KR100958100B1 - 다점식 멀티 지그 - Google Patents

다점식 멀티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8100B1
KR100958100B1 KR1020080049318A KR20080049318A KR100958100B1 KR 100958100 B1 KR100958100 B1 KR 100958100B1 KR 1020080049318 A KR1020080049318 A KR 1020080049318A KR 20080049318 A KR20080049318 A KR 20080049318A KR 100958100 B1 KR100958100 B1 KR 100958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support
hole
product
coi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3318A (ko
Inventor
연규현
우형주
김형국
Original Assignee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49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100B1/ko
Publication of KR20090123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8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ortable, e.g. battery operated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점식 멀티 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단부가 막힌 원통형으로 된 중심체(1) 저면에 삽입부(101)를 형성하여 코일스프링(103)이 내장된 스프링케이스(104)를 상기 삽입부(101) 내부에 삽설하고, 중심체(1) 상부에는 환상으로 된 걸림부(102)를 형성하여 지지대(2)의 내측 단부에 형성된 요입홈부(201)가 상기 걸림부(102)와 맞물리도록 적어도 3개 이상의 지지대(2)를 중심체(1) 둘레에 방사형으로 배치하며, 지지대(2)의 외측에는 슬라이딩안내부를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딩안내부를 따라서 슬라이딩 작동하는 가동체(3)를 설치하고, 상기 가동체(3)의 중앙에는 종방향으로 통공(301)을 형성하여, 코일스프링(302)이 끼워진 지그봉(303)이 상기 통공(301) 내부에서 코일스프링(302)에 의해 탄력적으로 승강 가능케 설치하며, 상기 지지대(2)에 형성된 설치공(203)에는 텐션바(4)의 힌지결합부(401)를 힌지 결합하며, 텐션바(4)의 내측 단부에 형성된 호형돌부(402)는 상기 중심체(1)의 삽입부(101)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케이스(104) 저면에 밀착되게 하고, 텐션바(4)의 외측에는 지지부(403)를 형성하여 지지부(403) 상면에 상기 지그봉(303)의 저면이 밀착되게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제품의 각기 다른 구조에 쉽게 대응하여 제품을 매우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범용성, 사용편의성, 효율성이 매우 우수하며, 제품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제품의 중심부를 항상 일정한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시켜 고정하기 때문에 제품의 안정적이고 정밀한 고정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다점식, 멀티 지그, 지지대, 텐션바, 지그봉

Description

다점식 멀티 지그{Multi jig of multi point}
본 발명은 다점식 멀티 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제품의 각기 다른 구조에 쉽게 대응하여 제품을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안정적이고 정밀한 고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다점식 멀티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전자 제품 제조 과정을 살펴보면, 금형을 이용하여 외부 케이스를 제작하고, 그 케이스 내부에 장착될 인쇄회로기판에 각종 회로 소자를 표면 실장기 등을 이용해 자동 제작한 후 인쇄회로 기판을 케이스 내부에 장착하여 외부 케이스 조립을 완료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전자 제품의 제조 과정은 과거 대부분의 작업이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졌으나, 최근 각종 제조 설비 및 제조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전자 제품의 제조 과정에서 있어서 이미 상당 부분 자동화가 이루어진 실정이다.
이처럼 전자 제품의 제조 과정을 자동화하는 것은 생산 인력에 대한 수요를 감소시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제품의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장점 때문에 거의 모든 전자 제품이 제조에 필요한 전 과정을 자동화하기 위하여 관련 업계나 업체에서는 자동화 설비 및 기술에 대한 연구, 개발에 많은 시간과 돈과 노력을 투자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전자 제품의 제조 과정을 자동화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정밀한 조립을 위한 부품의 안정적인 고정과 제조 공정 간의 정확한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제품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서 지그와 같은 고정 장치를 사용하고, 제조 공정 간의 정확한 이동을 위해서는 컨베이어벨트에서 로봇팔까지 다양한 형태의 이송 수단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중에서도 제품을 고정하는 지그의 경우에는 제품의 제조 과정에서 마킹, 조립, 검사 등 다양한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제품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중요한 생산 설비 중 하나이다.
이러한 지그는 제품의 형태에 따라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지그 포인트의 위치가 변화하기 때문에 제품의 형태가 변형되면 그에 따라서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품의 형태에 맞는 지그를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지그는 매우 다양한 형상과 구조로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지그는 제품의 형태나 디자인에 따라서 변형되는 지그 포인트에 대응하기 위하여 제품의 형태가 바뀔 때마다 그에 맞게 지그를 별도로 제작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매번 새로운 사이즈나 용도에 맞도록 지그를 제작해야 함으로써, 그에 따른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휴대용 모바일 제품이나 휴대용 전자 제품과 같이 크기가 작은 소형 제품의 제조 과정에서 지그로 제품 케이스를 고정하는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케이스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이 지그 포인트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플라스틱 사출로 제조되는 케이스의 경우에는 단품 제조 과정에서 지그포인트가 되는 결합공 간의 간격에 미세한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제품을 고정하는 지그는 설계상 계산된 지그포인트 간의 간격을 기준으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제조, 설치가 되기 때문에 지그에 의해 고정되는 제품의 제조 과정에서 미세한 오차가 발생하게 되면 지그와 제품의 지그포인트가 되는 결합공 간에 미세한 오차로 인하여 지그에 의한 제품의 고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문제점은 제품의 제조 과정에서 행해지는 마킹이나, 조립, 검사 등의 과정에서 불량률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단부가 막힌 원통형으로 된 중심체(1) 저면에 삽입부(101)를 형성하여 코일스프링(103)이 내장된 스프링케이스(104)를 상기 삽입부(101) 내부에 삽설하고,
중심체(1) 상부에는 환상으로 된 걸림부(102)를 형성하여 지지대(2)의 내측 단부에 형성된 요입홈부(201)가 상기 걸림부(102)와 맞물리도록 적어도 3개 이상의 지지대(2)를 중심체(1) 둘레에 방사형으로 배치하며,
지지대(2)의 외측에는 슬라이딩안내부를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딩안내부를 따라서 슬라이딩 작동하는 가동체(3)를 설치하고,
상기 가동체(3)의 중앙에는 종방향으로 통공(301)을 형성하여, 코일스프링(302)이 끼워진 지그봉(303)이 상기 통공(301) 내부에서 코일스프링(302)에 의해 탄력적으로 승강 가능케 설치하며,
상기 지지대(2)에 형성된 설치공(203)에는 텐션바(4)의 힌지결합부(401)를 힌지 결합하며,
텐션바(4)의 내측 단부에 형성된 호형돌부(402)는 상기 중심체(1)의 삽입부(101)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케이스(104) 저면에 밀착되게 하고,
텐션바(4)의 외측에는 지지부(403)를 형성하여 지지부(403) 상면에 상기 지그봉(303)의 저면이 밀착되게 한 구성이다.
한편, 상기 중심체(1)와 지지대(2) 측면에는 각각 브라켓(5, 5')을 부착하여, 그 브라켓(5, 5')을 이용해 중심체(1)와 지지대(2)를 각각 일정한 높이와 위치 로 고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안내부는 수평으로 된 한 쌍의 가이드(202)를 형성하고, 상기 가동체(3)의 양 측면에는 가이드홈(304)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동체(3)의 통공(301) 내부에는 걸림턱(305)을 형성하고, 통공(301)에 끼워지는 지그봉(303)에는 단턱부(303a)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턱(305)과 단턱부(303a) 사이에 코일스프링(302)을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그봉(303)의 상단부는 원뿔형으로 형성하고, 지그봉(303)의 하단부는 반구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점식 고정부의 회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품을 고정하는 지그봉의 위치 조절이 용이하여 다양한 제품의 각기 다른 구조에 쉽게 대응하여 제품을 매우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범용성, 사용편의성, 효율성이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발명은 목적물의 특정 지그포인트에서 발생한 오차를 모든 지그봉이 균등하게 분배하여 자동으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각 지그포인트에서의 오차를 자동적으로 최소화시켜 보다 안정적이고 정밀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첨부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부 분해 사시도이고, 첨부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평면 예시도로서, 본 발명은 지그의 중심이 되는 중심체(1)와, 그 중심체(1)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케 설치되는 지지대(2), 그리고 지그봉(303)을 설치하여 지지대(2)를 따라 슬라이딩 작동하는 가동체(3)와, 상기 지그봉(303)을 탄력적으로 밀어 올려 지그봉(303)에 의한 목적물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텐션바(4)로 구성되는데, 주요 구성 요소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중심체(1)는 지그의 중심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단부는 막혀있고, 하단부는 개방되어 내부에 삽입부(101)를 형성한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그 내부에 코일스프링(103)이 내장된 스프링케이스(104)를 삽설하게 되는데, 스프링케이스(104)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스프링케이스(104)를 중심체(1)의 삽입부(101) 내부에 삽설하면 중심체(1)의 삽입부(101) 상면과 스프링케이스(104)의 바닥면 사이에 코일스프링(103)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제조 장비 등의 상면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브라켓(5) 등을 이용하여 중심체(1)를 일정한 위치상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게 되면 스프링케이스(104)에는 코일스프링(103)의 탄성력이 항상 일정하게 작용하게 된다.
한편, 중심체(1)의 상부에 환상으로 된 걸림부(102)를 형성하여, 지지대(2)의 내측 단부에 형성된 요입홈부(201)가 상기 걸림부(102)와 맞물리도록 적어도 3개 이상의 지지대(2)를 중심체(1) 둘레에 방사형으로 배치하게 된다.
이때, 중심체(1) 둘레에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지지대(2)가 중심체(1)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중심체(1)를 중심으로 원활하게 회전할 있도록 중심체(1)와 밀착되는 지지대(2)의 내측면은 중심체(1)의 외주면 외경에 맞는 곡률을 형성함으로써, 지지대(2)의 회전이 보다 부드럽고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중심체(1)에 형성된 걸림부(102)와, 지지대(2)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는 요입홈부(201)의 형태는 단면 형상으로 볼 때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걸림부(102)와 요입홈의 밀착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지지대(2)가 중심체(1)를 중심으로 회전하더라도 지지대(2)가 항상 일정한 회전 반경으로 회전하도록 한 것으로서 그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위와 같이 중심체(1) 둘레에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지지대(2)는 적어도 3개 이상을 배치함으로써, 목적물의 중심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3점 고정식 지그의 구성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데, 각 지지대(2)의 위치, 즉 지지대(2)간의 각도 설정은 지그에 의해 고정될 목적물에 형성되는 지그포인트에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조정한 후, 첨부도면 도 3과 같이 중심체(1)와 지지대(2) 측면에 브라켓(5, 5') 등을 나사 결합 또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부착하게 된다.
그리하여 그 브라켓(5, 5')을 지그가 설치될 제조 장비 등의 상면에 고정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지그는 그 사용 용도나 지그가 설치되는 제조 장비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그에 따라 지그를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5, 5')의 형태나 고정 방식도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으므로 브라켓(5, 5')의 형상이나 구조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중심체(1) 둘레에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지지대(2) 외측에는 슬라이딩안내부를 형성하여, 그 슬라이딩안내부를 따라서 슬라이딩 작동하도록 가동체(3)를 설치하게 된다.
이때, 가동체(3)가 지지대(2)의 외측에 형성된 슬라이딩안내부를 따라서 슬라이딩 작동케 하기 위한 구조는 매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기계적인 요소를 부가하여 슬라이딩 작동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생산성과 제조원가 등을 고려한 슬라이딩안내부의 가장 바람직한 구조는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2) 외측 단부에 수평으로 된 한 쌍의 가이드(202)를 형성하고, 가동체(3)의 양 측면에는 가이드홈(304)을 형성하여 가이드(202)가 가동체(3)에 형성된 가이드홈(304)에 끼워져 결합이 이루어지면서 가동체(3)가 가이드(202)를 따라서 슬라이딩 작동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또한, 가동체(3)의 슬라이딩 작동은 본 발명에 의해 고정되는 목적물에 형성되는 지그포인트의 위치에 따라서 가동체(3)의 위치를 움직여서 지그포인트와의 중심을 정확히 맞춰줌으로써 정확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일단 가동체(3)를 정확한 위치 상으로 움직여서 그 위치를 설정한 후에는 더 이상의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가이드(202)와 가동체(3) 간에 서포트 용접 등을 수행하여 가동체(3)를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안내부를 구성하는 가이드(202)를 따라서 슬라이딩 작동이 이루어지는 가동체(3)는 그 중앙에 종방향으로 통공(301)을 형성하여 그 통공(301) 내부에 지그봉(303)을 설치하게 된다.
이때, 지그봉(303)이 통공(301) 내부에서 항상 탄력적으로 승강 작동케 하기 위하여, 상기 가동체(3)의 통공(301) 내부에는 걸림턱(305)을 형성하고, 통공(301)에 끼워지는 지그봉(303)에는 단턱부(303a)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턱(305)과 단턱부(303a) 사이에 코일스프링(302)을 설치함으로써, 통공(301) 내부에 설치된 코일스프링(302)에 의해 지그봉(303)은 항상 탄력적인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가동체(3) 내부에 설치된 지그봉(303)이 가동체(3)의 통공(301) 하부로 빠져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지그봉(303)의 탄력적인 승강 작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대(2)에는 텐션바(4)를 회동 가능케 설치하게 된다.
즉, 지지대(2)에는 횡방향으로 설치공(203)을 형성하여 텐션바(4)의 가운데 상부에 형성된 힌지결합부(401)를 상기 설치공(203)에 핀(401a)으로 힌지 결합하게 되는데, 그 텐션바(4)의 내측 단부에 형성된 호형돌부(402)는 상기 중심체(1)의 삽입부(101) 삽설된 스프링케이스(104)의 저면에 밀착되게 하고, 텐션바(4)의 외측에는 지지부(403)를 형성하여 지지부(403) 상면에 상기 지그봉(303)의 저면이 밀착되 도록 설치하게 된다.
아울러, 위와 같이 텐션바(4)를 설치할 때, 모든 가동체(3) 내부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302)은 항상 일정한 복원력이 발생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압축 상태가 되게 하고, 텐션바(4)는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중심체(1) 내부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1032)의 탄성률은 압축 상태는 가동체(3) 내부의 코일스프링(302)과 탄성률의 균형을 맞추어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주요 구성부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지그에 휴대전화 케이스와 같은 목적물을 고정하기 위하여 지그 상부에 목적물을 안착시키면 목적물에 형성된 지그포인트가 되는 결합공과 본 발명의 지그봉(303)의 중심이 정화하게 일치하도록 설계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목적물의 결합공에 지그봉(303)의 상부가 투입되면서 지그봉(303)에 의한 목적물의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목적물의 고정을 위한 안착 과정에서 목적물의 특정 결합공의 형상이나 위치에 미세한 오차가 있다면, 해당 결합공에 투입되는 지그봉(303)에는 목적물의 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이처럼 지그봉(303)에 제품의 하중이 작용할 경우에, 하중에 의해 눌린 지그봉(303)이 하강하면서, 텐션바(4)의 외측에 형성된 지지부(403)를 눌러주게 된다.
이때, 텐션바(4)는 브라켓(5')에 의해 일정한 높이로 고정되어 있는 지지 대(2)의 설치공(203)에 힌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지그봉(303)에 가해지는 제품 하중에 의해 지지부(403)가 눌려서 하강하면, 시소의 원리에 의해 텐션바(4)의 내측 단부가 상승하게 된다.
한편, 텐션바(4)의 내측 단부에 형성된 호형돌부(402)는 중심체(1)의 삽입부(101) 내부에 탄설된 스프링케이스(104) 저면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호형돌부(402)가 상승하면서 스프링케이스(104)를 중심체(1) 내부로 밀어 올리게 된다.
이때, 중심체(1) 내부에 설치된 코일스프링(103)은 압력이 증가하게 되고, 그와 반대로 지그봉(303)이 설치된 가동체(3)의 통공(301) 내부에 설치된 코일스프링(302)의 압력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모든 코일스프링(103,302)의 탄성률 균형에 의하여 중심체(1) 둘레에 방사형으로 배치된 모든 지지대(2)에 회동 가능케 설치된 텐션바(4)가 동일한 각도로 회동하기 때문에 모든 가동체(3)에 설치된 지그봉(303)은 동시에 하강하게 된다.
이처럼 모든 지그봉(303)이 동시에 하강하게 되면, 목적물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특정 지그봉(303)에만 가해졌던 목적물의 하중이 소멸되기 때문에 코일스프링(103,302)의 탄성률 균형에 의해 중심체(1) 내부에 설치된 코일스프링(103)이 스프링케이스(104)를 하강시키고, 그 스프링케이스(104)에 의해 모든 텐션바(4)가 동시에 회동하면서 모든 가동체(3)에 설치된 지그봉(303)이 다시 동시에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특정 결합공과 지그봉(303)에 작용했던 목적물의 오차에 대한 하중이 모든 결합공과 지그봉(303)간에 균일하게 배분되면서 지그봉(303)에 의해 고정되는 목적물이 최적의 고정 상태를 자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목적물에 대한 안정적이고 정밀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평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측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 측면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부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가동체 내부를 나타낸 측면 확대 단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가동체에 설치된 지그봉에 목적물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 확대 단면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중심체 101: 삽입부
102: 걸림부 103: 코일스프링
104: 스프링케이스 2: 지지대
201: 요임홈부 202: 가이드
203: 설치공 3: 가동체
301: 통공 302: 코일스프링
303: 지그봉 303a: 단턱부
304: 가이드홈 305: 걸림턱
4: 텐션바 401: 힌지결합부
402: 호형돌부 403: 지지부
5, 5': 브라켓

Claims (5)

  1. 상단부가 막힌 원통형으로 된 중심체(1) 저면에 삽입부(101)를 형성하여 코일스프링(103)이 내장된 스프링케이스(104)를 상기 삽입부(101) 내부에 삽설하고,
    중심체(1) 상부에는 환상으로 된 걸림부(102)를 형성하여 지지대(2)의 내측 단부에 형성된 요입홈부(201)가 상기 걸림부(102)와 맞물리도록 적어도 3개 이상의 지지대(2)를 중심체(1) 둘레에 방사형으로 배치하며,
    지지대(2)의 외측에는 슬라이딩안내부를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딩안내부를 따라서 슬라이딩 작동하는 가동체(3)를 설치하고,
    상기 가동체(3)의 중앙에는 종방향으로 통공(301)을 형성하여, 코일스프링(302)이 끼워진 지그봉(303)이 상기 통공(301) 내부에서 코일스프링(302)에 의해 탄력적으로 승강 가능케 설치하며,
    상기 지지대(2)에 형성된 설치공(203)에는 텐션바(4)의 힌지결합부(401)를 힌지 결합하며,
    텐션바(4)의 내측 단부에 형성된 호형돌부(402)는 상기 중심체(1)의 삽입부(101)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케이스(104) 저면에 밀착되게 하고,
    텐션바(4)의 외측에는 지지부(403)를 형성하여 지지부(403) 상면에 상기 지그봉(303)의 저면이 밀착되게 구성한 다점식 멀티 지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심체(1)와 지지대(2) 측면에는 각각 브라켓(5, 5')을 부착하여, 그 브라켓(5, 5')을 이용해 중심체(1)와 지지대(2)를 각각 일정한 높이와 위치로 고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점식 멀티 지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안내부는 수평으로 된 한 쌍의 가이드(202)를 형성하고, 상기 가동체(3)의 양 측면에는 가이드홈(304)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점식 멀티 지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3)의 통공(301) 내부에는 걸림턱(305)을 형성하고, 통공(301)에 끼워지는 지그봉(303)에는 단턱부(303a)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턱(305)과 단턱부(303a) 사이에 코일스프링(302)을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점식 멀티 지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그봉(303)의 상단부는 원뿔형으로 형성하고, 지그봉(303)의 하단부는 반구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점식 멀티 지그.
KR1020080049318A 2008-05-27 2008-05-27 다점식 멀티 지그 KR100958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318A KR100958100B1 (ko) 2008-05-27 2008-05-27 다점식 멀티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318A KR100958100B1 (ko) 2008-05-27 2008-05-27 다점식 멀티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318A KR20090123318A (ko) 2009-12-02
KR100958100B1 true KR100958100B1 (ko) 2010-05-17

Family

ID=41685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318A KR100958100B1 (ko) 2008-05-27 2008-05-27 다점식 멀티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81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688B1 (ko) * 2008-10-20 2011-04-07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차량 도어 개폐용 지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2240A (ja) 1983-09-28 1985-04-24 Toshiba Ceramics Co Ltd ウエ−ハ保持具
JPH09282719A (ja) * 1996-04-09 1997-10-31 Kao Corp 円板の洗浄・乾燥方法および装置
JPH10312953A (ja) 1997-05-14 1998-11-24 Nkk Corp レチクル移載治具
JP2001184056A (ja) 1999-12-27 2001-07-06 Hoshino Gakki Kk スネアドラムの保持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2240A (ja) 1983-09-28 1985-04-24 Toshiba Ceramics Co Ltd ウエ−ハ保持具
JPH09282719A (ja) * 1996-04-09 1997-10-31 Kao Corp 円板の洗浄・乾燥方法および装置
JPH10312953A (ja) 1997-05-14 1998-11-24 Nkk Corp レチクル移載治具
JP2001184056A (ja) 1999-12-27 2001-07-06 Hoshino Gakki Kk スネアドラムの保持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318A (ko) 200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861030U (zh) 轴承径向游隙检测机构
CN103521958B (zh) 软联结夹具、带有软联结夹具的多层机械手及全自动焊接系统
JPH0332532A (ja) 開放葉状部材の下部ソケットブラケット自動組立装置
KR102180308B1 (ko) 금형 반송용 롤러 유닛
CN108012446B (zh) 一种翻板装置
US20100090704A1 (en) Test fixture
KR100958100B1 (ko) 다점식 멀티 지그
CN107624037B (zh) 一种固定治具
KR20140000461A (ko) 도금용 랙
CN112643694A (zh) 夹具及上料机器人
KR101784573B1 (ko) 제품 고정용 지그
KR102293762B1 (ko) 반도체 장치 검사용 소켓
KR200441526Y1 (ko) 피씨비용 수평 지그장치
CN219695219U (zh) 一种smt加工成形电路板的测试治具
JP2008066630A (ja) 基板搬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印刷はんだ検査装置
JP6412357B2 (ja) ノズル交換装置
KR102456505B1 (ko) 기판 클램핑 장치
CN109725180B (zh) 治具平台
CN101899715A (zh) 一种等离子体处理设备及其顶针升降装置
KR20080045348A (ko) 디스플레이장치 제조장비의 틸트앤로테이션 스테이지
KR101503041B1 (ko) 도금랙 장치
CN2884814Y (zh) 装配印制电路板中使用的托架装置
KR101199420B1 (ko) 포지션 유니트
KR0134542Y1 (ko) 표면실장기의 인쇄회로기판 받침기구
CN217930058U (zh) 一种检具基准块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