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7450B1 -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 - Google Patents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7450B1
KR101307450B1 KR1020120030941A KR20120030941A KR101307450B1 KR 101307450 B1 KR101307450 B1 KR 101307450B1 KR 1020120030941 A KR1020120030941 A KR 1020120030941A KR 20120030941 A KR20120030941 A KR 20120030941A KR 101307450 B1 KR101307450 B1 KR 101307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able
traction
detection sensor
artificial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0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현
Original Assignee
(주)스마트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마트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스마트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120030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74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devices movable inside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2Driving gear incorporating electric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1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means at cable ends, e.g. pulling eyes or anch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의 관로 구간의 광케이블 포설 또는 철거시 기울기 감지센서의 기울기에 비례하는 광케이블의 장력의 세기를 눈으로 확인 가능하게 하여 광케이블이 과도하게 견인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광케이블의 광코어 구부러짐 및 단선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광케이블을 지하 관로에 포설하기 위하여 견인하는 광케이블 견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케이블을 견인하여 포설하기 위한 각 구성이 설치되고 지하 관로의 인공에 고정하기 위한 인공 거치대; 상기 인공 거치대의 지하 관로 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광케이블의 마찰력을 최소화시키고 견인각도에 따라 힘의 방향이 일정하게 정 방향으로 위치하게 광케이블을 견인하는 견인 롤러부; 상기 견인 롤러부의 회전에 따라 견인되는 광케이블을 견인 각도에 따른 장력의 변화가 최소화 되도록 힘의 전달 방향을 고정시켜 회전하는 방향전환 롤러부; 및 상기 견인 롤러부가 광케이블의 장력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기울기를 감지하여 상기 기울기에 비례하는 광케이블의 장력 값을 출력하는 컨트롤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에 의하면, 작업자로 하여금 현재 포설중인 광케이블에 미치는 장력 값을 손쉽게 인지하여 광케이블의 품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Fiber optic cable pulling apparatus having slope detection sensor}
본 발명은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지하의 관로 구간의 광케이블 포설 또는 철거시 기울기 감지센서의 기울기에 비례하는 광케이블의 장력의 세기를 눈으로 확인 가능하게 하여 광케이블이 과도하게 견인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광케이블의 광코어 구부러짐 및 단선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케이블을 지하 관로에 포설 또는 철거하는 작업은 견인측 인공(manhole:맨홀)내부의 관구에 관구 가이드를 설치하고 선단 견인기를 이용하여 인공 외측에서 그 단부에 광케이블을 결속하고 로프를 감아 작업자의 감각에 의존하여 광케이블을 견인하여 왔다.
이러한 포설기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85369호(전기.전자 광 케이블 포설기)에 개시된다.
상기 광 케이블 포설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의 컨베이어(11,12)사이에 맞물린 케이블을 엔진(10)의 구동력으로 인출하는 포설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및 그에 결속되는 견인용 로프를 각각 지지하도록 전방에 설치되는 안내롤러(21,22); 상기 엔진(10)의 구동력으로 형성된 유압을 기계력으로 전환하여 컨베이어(11,12)에 전달하는 유압 유니트(23); 상기 유압 유니트(23)와 유압관(27)으로 연결되도록 장착되어 유로를 개폐하여 외부의 유압관(28)에 유압력을 전달하는 밸브(25); 및 승강핸들(26)의 작동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11,12)의 틈새가 일정하게 변동되도록 하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여기서, 도면부호 24는 구동롤러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 기술은 광케이블 포설시 작업자의 감각에만 의존하여 광케이블을 견인하게 되어 최대 허용 장력 초과가 수시로 발생하여 이로 인한 광케이블의 광코어 구부러짐, 단선 등을 초래하여 광케이블 품질 저하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를 이용하여 광케이블의 견인 장력에 따른 기울기 감지 센서의 출력값을 표시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현재 포설중인 광케이블의 장력 값을 손쉽게 인지하는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공 거치대의 길이를 나비볼트 체결방식의 줌 기능을 채택함으로써 간편하게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인공의 규격에 관계없이 사용 가능하게 하는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견인방향에 따라 롤러가 힘의 방향과 일직선상으로 이동되게 하여 힘의 벡터값을 최대화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견인력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울기 측정용 센서의 부착 각도에 따라 경보 임계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작업환경 변화에 쉽게 대응할 수 있는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케이블에 인가되는 장력의 크기를 바 그래프(Bar-Graph)형태로 전환시켜 디스플레이(Display) 함으로써 시각 판별이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울기 센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플러그 인 방식으로 하여 견인작업자가 작업반경 내에서도 상시 감시할 수 있도록 편리성을 제공하는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 체커 기능을 내장시킴에 따라 저 전압에 의한 기기 오 동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케이블 최대 허용장력 초과 시에는 작업자가 경보를 인지하고 경보 해지 조치를 취하여만 할 수 있도록 가,시청 경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도록 하여 견인작업시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기울기 센서의 분해능은 현재 범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압력 센서에 비하여 신뢰성이 매우 우수하고 초소형 경량이므로 휴대가 편리하여 광케이블 견인 시 허용 포설장력을 상시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견인장력 변화에 따른 광섬유의 특성 변화 요인을 해소시키고 시설공사 시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인위적인 시설피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는 광케이블을 지하 관로에 포설하기 위하여 견인하는 광케이블 견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케이블을 견인하여 포설하기 위한 각 구성이 설치되고 지하 관로의 인공에 고정하기 위한 인공 거치대; 상기 인공 거치대의 지하 관로 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광케이블의 마찰력을 최소화시키고 견인각도에 따라 힘의 방향이 일정하게 정 방향으로 위치하게 광케이블을 견인하는 견인 롤러부; 상기 견인 롤러부의 회전에 따라 견인되는 광케이블을 견인 각도에 따른 장력의 변화가 최소화 되도록 힘의 전달 방향을 고정시켜 회전하는 방향전환 롤러부; 및 상기 견인 롤러부가 광케이블의 장력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기울기를 감지하여 상기 기울기에 비례하는 광케이블의 장력 값을 출력하는 컨트롤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인공 거치대는 상기 견인 롤러부, 방향전환 롤러부, 및 컨트롤러부를 안착시키기 위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좌우 양 끝단에 체결되어 인공에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거치 프레임과; 상기 인공의 크기에 따라 상기 거치 프레임의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하기 위한 좌우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길이조절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견인 롤러부는 중앙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견인 롤러축에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게 하여 견인하는 광케이블의 견인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정 방향으로 유지하게 하여 견인하는 광케이블을 적절한 장력으로 안내하여 견인하기 위한 견인롤러와; 일측은 상기 견인 롤러축을 양측에서 지지하고, 타측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 브라켓에 회동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이동 브라켓과; 일측은 상기 베이스와 고정되고 상부로 연장하여 상기 이동 브라켓과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견인롤러와 견인 스프링에 의해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과 상기 이동 브라켓에 연결되어 견인력에 의해 상기 이동 브라켓의 각도가 조절되게 하는 견인 스프링; 및 상기 이동 브라켓의 일면에 부착되어 견인력에 의해 변화되는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는 설치 위치 변경이 가능한 플러그 인 방식을 채택하여 어떤 위치에서도 항상 작업자가 장력 상태를 확인하면서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부는 상기 기울기 감지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장력 값을 바 그래프 형태로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부는 견인되는 광케이블의 장력 값이 최대 허용 장력 이상이면 리셋(Reset)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경보음이 지속적으로 발생되도록 하고,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외부에 설치된 견인 롤러 구동부의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일정한 견인력을 유지하기 위한 견인속도를 조절하게 한다.
본 발명의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에 의하면, 작업자로 하여금 현재 포설중인 광케이블에 미치는 장력 값을 손쉽게 인지하여 광케이블견인 장력 초과에 의한 품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에 의하면, 작업자로 하여금 현재 포설중인 광케이블에 미치는 장력 값을 시청각적으로 디스플레이(Display)하여 실시간으로 제공하므로 현재 견인되는 장력 값을 한눈에 알 수 있으므로 최대 허용 장력 이상에 따른 품질저하 발생요인을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에 의하면, 견인되는 장력의 변화에 따라 스프링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견인 롤러와 방향전환 롤러를 이용하여 장력의 변화가 최소화 되도록 하여 안정적인 견인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에 의하면, 작업자가 광케이블에 인가되는 장력을 손쉽게 인지하여 시설 환경에 따라 적정 포설 속도로의 속도 가감이 바로 가능하므로 작업 능률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포설기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의 평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의 실물 사진1;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의 실물 사진2;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의 이동 브라켓이 견인 장력에 따라 기울기가 변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의 이동 브라켓에 부착된 기울기 센서의 기울기 변화에 따른 출력전압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케이블 견인장치가 인공에서 광케이블을 견인하는 원리를 도시한 개념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가 인공에 설치되어 광케이블을 견인하는 실물사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의 컨트롤러부의 블록 구성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의 실물 사진1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의 실물 사진2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100)는 인공 거치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인공 거치대는 견인 롤러부, 방향전환 롤러부와 컨트롤러부(155)를 포함하는 베이스(190);와 거치 프레임(170); 및 길이조절 브라켓(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인공 거치대는 광케이블을 지하 관로 또는 맨홀의 덕트의 출구 등과 같은 견인단의 인공에 설치되어 광케이블을 견인 및/또는 포설하기 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로 견인 및 포설에 필요한 각각의 구성(견인 롤러부, 방향전환 롤러부, 거치 프레임, 길이조절 브라켓 등)이 상기 인공 거치대에 설치되며, 인공 거치대는 인공에 고정된다.
베이스(190)는 평평한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그 위에 견인 롤러부의 고정 브라켓(130), 방향전환 롤러부의 방향전환 롤러 브라켓(140) 및 컨트롤러부(155)가 안착 및 고정된다.
한 쌍의 거치 프레임(170)은 베이스(190)의 좌우 양 끝단에 체결되어 인공에 지지 및/또는 고정된다.
한 쌍의 길이조절 브라켓(160a,160b)은 복 수개의 나사체결용 관통공을 가지고 베이스(19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어 인공의 크기(예:648 mm 또는 766 mm)에 따라 거치 프레임(170)의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한다.
견인 롤러부는 견인 롤러(110), 고정 브라켓(130), 이동 브라켓(150), 견인 스프링(180) 및 기울기 감지 센서(1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견인 롤러부는 인공 거치대의 지하 관로 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광케이블의 마찰력을 최소화시키고 견인각도에 따라 힘의 방향이 일정하게 정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광케이블을 견인한다.
견인 롤러(110)는 그 중앙부에 견인 롤러축(111)을 관통시켜 좌우로 이동가능하며 견인하는 광케이블의 견인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정 방향으로 유지하여 견인하며 광케이블을 적절한 장력으로 안내 및 견인한다.
이동 브라켓(15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일 측은 견인 롤러축(111)을 양측에서 지지하며, 타 측은 베이스(190)에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 브라켓(130)에 회동되게 결합된다.
고정 브라켓(130)은 볼베어링을 사용한 공지된 기술을 적용하여 이동 브라켓(150)을 회전 및 지지한다.
한 쌍의 고정 브라켓(130)은 일 측이 베이스(190)에 고정되며, 상부로 연장되어 이동 브라켓(130)과 결합되며, 타 측이 견인 롤러(110)와 견인 스프링(180)에 의해 결합된다.
견인 스프링(180a,180b)은 소정의 탄성계수를 가지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고정 브라켓(130)과 이동 브라켓(150)에 연결되어 견인력에 의해 이동 브라켓(150)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한다.
기울기 감지 센서(151)는 이동 브라켓(150)의 일면에 부착되어 견인력에 의해 변화되는 이동 브라켓(150)의 기울기를 감지한다.
상기 방향전환 롤러부는 방향전환 롤러(120)와 방향전환 롤러 브라켓(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방향전환 롤러(120)는 그 중앙부에 방향전환 롤러축(121)을 관통시켜 좌우로 이동가능하며 견인 롤러(110)의 회전에 따라 견인되는 광케이블의 견인 각도에 따른 장력의 변화가 최소화 되도록 힘의 전달 방향을 고정시켜 회전한다.
여기서, 방향전환 롤러축(121)은 끝단에 롤러 이탈 방지용 링을 결합하여 방향전환 롤러 브라켓(140)에 고정된다.
또한, 컨트롤러부(155)는 견인 롤러부가 광케이블의 견인장력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기울기를 감지하고 상기 기울기에 비례하는 광케이블의 장력 값을 바 그래프 형태로 디스플레이한다.
컨트롤러부(155)는 설치 위치 변경이 가능한 플러그 인(Plug-in)방식을 채택하여 어떤 위치에서도 항상 작업자가 작업 반경 내에서 장력 값(장력 상태)을 확인하면서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장력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100)는 스테인레스 스틸 (Stainless steel) 또는 알루미륨과 같이 경량의 강한 재질로 제작된다.
고정 브라켓(130), 견인 스프링(180) 및 이동 브라켓(150)은 서로 볼트/너트 체결 방법으로 고정된다.
상기 견인 롤러(110) 및 방향전환 롤러(120)는 그 휠 직경이 광케이블의 벤딩(Bending;구부러짐) 한계를 넘지 않는 적당한 사이즈로 이루어지며 보통 광케이블 제조업체에 의해 정해진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의 실물 사진1로 사시도를 촬영한 사진이며,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의 실물 사진2로 평면도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의 이동 브라켓이 광케이블의 견인 장력에 따라 그 기울기가 변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의 이동 브라켓에 부착된 기울기 감지 센서의 기울기 변화에 따른 출력전압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이동 브라켓(150)은 그 일면에 기울기 감지 센서(151)를 장착하며 상기 기울기 감지 센서(151)는 광케이블의 인장되는 장력과 견인 스프링(180)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기울기를 감지하여 이동 브라켓(150)의 수평각 변화를 감지한다.
기울기 감지 센서(151)는 견인 롤러(110)의 견인롤러축(111)과 수직하게 설치되며 수평각의 변화에 따른 선형적인 출력전압을 컨트롤러부(155)에 출력한다.
이동 브라켓(150) 및 견인 스프링(180)은 견인력의 변화에 따라 견인 스프링(180)이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견인 롤러(110)를 지지한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가 인공에서 광케이블을 견인하는 원리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가 인공에 설치되어 광케이블을 견인하는 실물 사진이다.
도 6a 및 6b를 참조하면, 도 6a는 지하 관로에 드럼(광케이블 견인롤러 유닛)을 설치하고 본 발명의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가 광케이블을 인력 및/또는 장비에 의해서 견인하는 개념도이다.
도 6b는 광케이블을 견인하는 작업의 사시도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광케이블 또는 견인선(견인 로프)은 견인 롤러(110) 위를 통과하여 방향전환 롤러(120)의 아래로 빠져나온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의 컨트롤러부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컨트롤러부(155)는 제어부(220)와 출력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90)는 컨트롤러부(155)의 설치 위치 변경이 가능한 플럭인(Plug-in) 방식에 따른 연결 커넥터(미도시)를 구비하며, 제어부(220)는 기울기 감지 센서(151)를 포함하는 검출부(2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견인되는 광케이블의 장력 값을 출력부(230)의 창을 통하여 디스플레이(Display)한다.
또한, 컨트롤러부(155)는 경보 발생부(미도시)를 구비하여 견인되는 장력 값이 최대 허용 장력 이상이면 외부로부터 리셋(Reset)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경보음이 지속적으로 발생되도록 하고 동시에 제어신호를 외부에 설치된 견인 롤러 구동부(미도시) 또는 도 6의 장비에 출력하여 상기 견인 롤러 구동부(미도시) 또는 장비의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또는 일정한 견인력을 유지하도록 견인 속도를 조절한다.
또한, 컨트롤러부(155)는 출력부(230)에 구비된 LCD 디스플레이(미도시)와 같은 창을 통하여 광케이블 견인시 정상작동, 컨트롤러부의 전원전압 (예:5.6V 이하, 6V 정격전압 일때), 최대 허용 장력(예:10Bar) 또는 현재 견인 장력 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출력신호를 바 그래프 형태로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은 최대 허용 장력 임계값을 기울기 감지 센서(151)의 부착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손쉽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울기 감지 센서(151)의 분해능은 현재 범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압력센서 및/또는 타 센서 대비 신뢰성이 우수하며 초경량으로 휴대가 용이하여 광케이블 견인장치 제작비용이 매우 저렴하며 신뢰성이 높은 초소형 경량화가 가능한 관계로 실용성 및 경제성이 매우 우수하다.
110 : 견인 롤러
120 : 방향전환 롤러
151 : 기울기 감지 센서
170 : 거치 프레임

Claims (6)

  1. 광케이블을 지하 관로에 포설하기 위하여 견인하는 광케이블 견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케이블을 견인하여 포설하기 위한 각 구성이 설치되고 지하 관로의 인공에 고정하기 위한 인공 거치대;
    상기 인공 거치대의 지하 관로 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광케이블의 마찰력을 최소화시키고 견인각도에 따라 힘의 방향이 일정하게 정 방향으로 위치하게 광케이블을 견인하는 견인 롤러부;
    상기 견인 롤러부의 회전에 따라 견인되는 광케이블을 견인 각도에 따른 장력의 변화가 최소화 되도록 힘의 전달 방향을 고정시켜 회전하는 방향전환 롤러부; 및
    상기 견인 롤러부가 광케이블의 장력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기울기를 감지하여 상기 기울기에 비례하는 광케이블의 장력 값을 출력하는 컨트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공 거치대는 상기 견인 롤러부, 방향전환 롤러부, 및 컨트롤러부를 안착시키기 위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좌우 양 끝단에 체결되어 인공에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거치 프레임과, 상기 인공의 크기에 따라 상기 거치 프레임의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하기 위한 좌우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길이조절 브라켓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롤러부는, 중앙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견인 롤러축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하여 견인하는 광케이블의 견인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정 방향으로 유지하게 하여 견인하는 광케이블을 안내하여 견인하기 위한 견인 롤러와;
    일측은 상기 견인 롤러축을 양측에서 지지하고, 타측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 브라켓에 회동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이동 브라켓과;
    일측은 상기 베이스와 고정되고 상부로 연장하여 상기 이동 브라켓과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견인 롤러와 견인 스프링에 의해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과 상기 이동 브라켓에 연결되어 견인력에 의해 상기 이동브라켓의 각도가 조절되게 하는 견인 스프링; 및
    상기 이동 브라켓의 일면에 부착되어 견인력에 의해 변화되는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 센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부는 설치 위치 변경이 가능한 플러그 인 방식을 채택하여 어떤 위치에서도 항상 작업자가 장력 상태를 확인하면서 작업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부는 상기 기울기 감지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장력 값을 바 그래프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부는 견인되는 광케이블의 장력 값이 최대 허용 장력 이상이면 리셋(Reset)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경보음이 지속적으로 발생되도록 하고,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외부에 설치된 견인 롤러 구동부의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일정한 견인력을 유지하기 위한 견인속도를 조절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
KR1020120030941A 2012-03-27 2012-03-27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 KR101307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941A KR101307450B1 (ko) 2012-03-27 2012-03-27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941A KR101307450B1 (ko) 2012-03-27 2012-03-27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7450B1 true KR101307450B1 (ko) 2013-09-11

Family

ID=49455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941A KR101307450B1 (ko) 2012-03-27 2012-03-27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745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178B1 (ko) 2014-02-24 2015-01-14 (주)동산텔레콤 동케이블 회수장치
KR20160071858A (ko) * 2014-12-12 2016-06-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이동량 보상기 및 이를 이용한 선박 이동량 보상 방법
CN111458825A (zh) * 2020-04-23 2020-07-28 厦门众合天元科技有限公司 一种光缆布线用牵引装置及其使用方法
CN112909852A (zh) * 2021-01-28 2021-06-04 吉林大学 一种测井用井口电缆导向固定装置
CN116780411A (zh) * 2023-08-21 2023-09-19 国网山东省电力公司宁阳县供电公司 一种电缆安装托举组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3016U (ko) * 1989-10-16 1991-06-20
JPH06225421A (ja) * 1993-01-22 1994-08-12 Kandenko Co Ltd 地中送電線工事用ウインチ作業法及びその装置
KR101076946B1 (ko) * 2008-10-08 2011-10-26 주식회사 케이티 케이블 포설 장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3016U (ko) * 1989-10-16 1991-06-20
JPH06225421A (ja) * 1993-01-22 1994-08-12 Kandenko Co Ltd 地中送電線工事用ウインチ作業法及びその装置
KR101076946B1 (ko) * 2008-10-08 2011-10-26 주식회사 케이티 케이블 포설 장비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178B1 (ko) 2014-02-24 2015-01-14 (주)동산텔레콤 동케이블 회수장치
KR20160071858A (ko) * 2014-12-12 2016-06-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이동량 보상기 및 이를 이용한 선박 이동량 보상 방법
KR101715704B1 (ko) 2014-12-12 2017-03-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이동량 보상기 및 이를 이용한 선박 이동량 보상 방법
CN111458825A (zh) * 2020-04-23 2020-07-28 厦门众合天元科技有限公司 一种光缆布线用牵引装置及其使用方法
CN111458825B (zh) * 2020-04-23 2021-11-09 厦门众合天元科技有限公司 一种光缆布线用牵引装置及其使用方法
CN112909852A (zh) * 2021-01-28 2021-06-04 吉林大学 一种测井用井口电缆导向固定装置
CN112909852B (zh) * 2021-01-28 2021-10-29 吉林大学 一种测井用井口电缆导向固定装置
CN116780411A (zh) * 2023-08-21 2023-09-19 国网山东省电力公司宁阳县供电公司 一种电缆安装托举组件
CN116780411B (zh) * 2023-08-21 2024-01-12 国网山东省电力公司宁阳县供电公司 一种电缆安装托举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7450B1 (ko)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
EP1250546B1 (en) Pipe lay system with tension compensator
KR102374358B1 (ko) 케이블포설장치
US9577418B2 (en) Cable system
KR101261458B1 (ko) 지중케이블 다회선 풀링장치
JP2000197230A (ja) ケーブル送り装置およびケーブル敷設工法
CN115954800B (zh) 电缆检测安装系统及利用其实现电缆敷设安装的方法
US11807495B2 (en)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an elevator shaft and use of the measuring device to measure an elevator shaft
JP4049468B2 (ja) ケーブル送り装置およびケーブル敷設工法
CA2320691A1 (en) Device for inserting elongated objects into clamps
CN114275699B (zh) 一种无人值守可变缆径式水下电动绞车
KR20190123714A (ko) 원격조종 시스템이 구비된 하수관 보수 자동 견인장치
KR20190018311A (ko) 원격조종 시스템이 구비된 하수관 보수 자동 견인장치
JP2021035240A (ja) ケーブル布設装置およびケーブル布設方法
KR101562299B1 (ko) 수질측정시설용 채수기의 호스 권취장치
CN114803700A (zh) 轻型特种光缆车载式收放线装置的控制方法
KR102348445B1 (ko) 하수관로 촬영장치
CN203714888U (zh) 可横向移动并可测量卷径的微张力主动放卷装置
JP4281933B2 (ja) ウィンチドラム式延線装置
US11365101B1 (en) Aided freewheel winch assembly
KR101315175B1 (ko) 와이어 장력 조절장치
KR100784328B1 (ko) 하수관 감시 시스템
CN111750280A (zh) 检测设备
KR101574325B1 (ko) 장력측정장치 및 방법
KR101708484B1 (ko) 송배전 지중관로의 도통시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