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348B1 - Lng 저장탱크용 발판 대빗 장치 - Google Patents

Lng 저장탱크용 발판 대빗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348B1
KR102663348B1 KR1020230120592A KR20230120592A KR102663348B1 KR 102663348 B1 KR102663348 B1 KR 102663348B1 KR 1020230120592 A KR1020230120592 A KR 1020230120592A KR 20230120592 A KR20230120592 A KR 20230120592A KR 102663348 B1 KR102663348 B1 KR 102663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lng storage
vertical support
coupled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0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준혁
손현진
Original Assignee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오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20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3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building sites; constructed, e.g. with separable parts,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for operation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for transport by road or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5Stagings, or scaffolding, i.e. constructions providing temporary working platforms on slipways, in building or repair docks, or inside hu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2005/008Hois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as part of a scaffold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LNG 저장탱크용 발판 대빗 장치가 제공된다. LNG 저장탱크용 발판의 보드베어에 결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서 선체의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지지부와 상기 수직지지부의 상부에서 상기 수직지지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지지부와 상기 수평지지부의 양측 중 상기 수직지지부에 연결된 일측의 반대인 타측에서 상기 수직지지부의 하부까지 경사지게 연장되는 지지보강부 및 상기 수직지지부 또는 상기 수평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와이어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도르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드베어는 상기 LNG 저장탱크용 발판을 구성하는 트러스 구조물일 수 있다.

Description

LNG 저장탱크용 발판 대빗 장치 {DAVIT APPARAUS FOR SYSTEM SCAFFOLDINGS}
본 발명은 LNG 저장탱크 제작용 발판(비계)에 설치되는 대빗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LNG 운반선 내에서 설비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을 할 때 작업장에 설치되는 LNG 저장탱크용 발판 대빗 장치에 관한 것이다.
LNG 운반선 등의 액화가스 운반선은 액화가스를 싣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 수요처에 액화가스를 하역하는 선박이며, 이를 위해, 액화가스의 극저온에 견딜 수 있는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액화가스 저장탱크는 충격에 민감하고 높이가 높기 때문에 저장탱크 및 그 주변시설의 설치 및 해체 작업 시에는 작업자 및 자재의 이동을 위하여 발판을 설치하고 그 위에서 작업이 진행된다.
특히 작업대상물의 높이가 상당히 높은 경우에는 발판을 여러 층으로 구성하는데, 작업에 필요한 자재 또는 도구를 해당 층으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동시키기 위하여 자재 또는 도구의 수직이동 수단인 대빗 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에 선박에 적용되던 대빗 장치들은 주로 구명정이나 닷을 끌어올리는 용도로 구비되었기에 기존의 대빗 장치를 발판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크기 및 구조에 제약이 있었다. 또한, 대빗 장치를 작업자가 이동하는 작업면에 결합시키면 합판으로 형성된 작업면의 강성 부족으로 대빗 장치가 발판에 견고하게 결합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특허문헌 3은 대빗의 하부결합부재가 작업면에 결합되는데, 상기 작업면은 합판으로서 대빗이 견고하게 결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발판에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발판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LNG 저장탱크 제작을 위한 발판용 대빗 장치의 제공이 요구된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1168호(2013.07.24. 등록)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97606호(2020.03.31. 등록)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29311호(2009.11.23.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LNG 저장탱크 제작을 위한 발판에 간편하게 설치되는 대빗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LNG 저장탱크 제작을 위한 발판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대빗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와이어부재에 가해지는 피로응력을 절감시키는 LNG 저장탱크용 발판 대빗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에 설치된 LNG 저장탱크용 발판의 변형을 최소화하는 대빗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LNG 저장탱크용 발판 대빗 장치는 베이스부, 수직지지부, 수평지지부, 지지보강부 및 도르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LNG 저장탱크용 발판의 보드베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직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직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서 선체의 상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수평지지부는 상기 수직지지부의 상부에서 상기 수직지지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지지보강부는 상기 수평지지부의 양측 중 상기 수직지지부에 연결된 일측의 반대인 타측에서 상기 수직지지부의 하부까지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도르레부는 상기 수직지지부 또는 상기 수평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르레부는 와이어부재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보드베어는 상기 LNG 저장탱크용 발판을 구성하는 트러스 구조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부는 하부결합부 및 하부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결합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결합부는 상기 보드베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수용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수용부에는 상기 수직지지부가 원주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결합부는 하부가 개구된 "ㅠ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결합부는 상기 보드베어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보드베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결합부는 수평결합부, 제1수직결합부 및 제2수직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결합부는 상기 하부결합부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결합부는 상기 보드베어의 상단부와 평행한 평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직결합부는 상기 하부결합부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직결합부는 상기 수평결합부와 직교하는 평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수직결합부는 상기 하부수용부에 인접한 상기 하부결합부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수직결합부는 상기 수평결합부와 직교하는 평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수직결합부에는 복수의 볼트부재가 관통하는 복수의 볼트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하부결합부와 상기 하부수용부와의 사이에 와이어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와이어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와이어안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안내부는 탄성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르레부는 제1도르레부 및 제2도르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도르레부는 상기 수평지지부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도르레부는 상기 수평지지부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작업면의 외부에서 상기 와이어부재가 상기 윈치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보드베어의 외부에서 상기 와이어부재가 상기 윈치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LNG 저장탱크용 발판 대빗 장치는 LNG 저장탱크용 발판의 보드베어에 결합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베이스부의 상부에서 선체의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지지부와 수직지지부의 상부에서 수직지지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지지부와 수평지지부의 양측 중 수직지지부에 연결된 일측의 반대인 타측에서 수직지지부의 하부까지 경사지게 연장되는 지지보강부 및 수직지지부 또는 수평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와이어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도르레부를 포함하고 보드베어는 LNG 저장탱크용 발판을 구성하는 트러스 구조물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대빗 장치를 보드베어의 외측면에 결합시키는 간편한 방법에 의하여 LNG 저장탱크용 발판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LNG 저장탱크용 발판 대빗 장치는 베이스부가 베이스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보드베어에 결합되는 하부결합부 및 베이스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수직지지부가 원주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결합부와 수용부를 분리시킴으로써 수용부에 결합된 수직지지부의 움직임에 의하여 결합부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LNG 저장탱크용 발판 대빗 장치는 하부결합부가 하부가 개구된 "ㅠ자"형상으로 형성되고 보드베어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삽입되어 보드베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빗 장치의 하중에 의하여 대빗 장치와 보드베어와의 사이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LNG 저장탱크용 발판 대빗 장치는 상기 하부결합부가 하부결합부의 상부에 보드베어의 상단부와 평행한 평판으로 형성되는 수평결합부와 하부결합부의 일측에 수평결합부와 직교하는 평판으로 형성되는 제1수직결합부 및 하부수용부에 인접한 하부결합부의 타측에 수평결합부와 직교하는 평판으로 형성되는 제2수직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빗 장치의 결합부가 보드베어의 외측면 및 내측면을 모두 지지하게 되어 대빗 장치와 보드베어와의 사이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LNG 저장탱크용 발판 대빗 장치는 제1수직결합부에 복수의 볼트부재가 관통하는 복수의 볼트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볼트부재의 체결방향이 이동대상물의 하중에 의하여 대빗 장치가 받는 힘의 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하여 이동대상물의 이동중에도 볼트부재가 대빗 장치에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LNG 저장탱크용 발판 대빗 장치는 베이스부에 하부결합부와 하부수용부와의 사이에 와이어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면에 와이어부재의 이동을 위한 구멍을 뚫을 필요가 없어 기존에 설치된 LNG 저장탱크용 발판의 작업면을 변형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LNG 저장탱크용 발판 대빗 장치는 베이스부에 와이어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와이어안내부가 구비되고 와이어안내부는 탄성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와이어부재의 마모에 따른 수명연장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LNG 저장탱크용 발판 대빗 장치는 도르레부가 수평지지부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도르레부 및 수평지지부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도르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두 개의 도르레부에 의하여 와이어부재의 이동이 안내될 수 있어 세 개 이상의 도르레부가 적용될 때에 비하여 와이어부재에 가해지는 피로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LNG 저장탱크용 발판 대빗 장치는 작업면의 외부에서 와이어부재가 윈치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와이어부재가 제1도르레부에서 윈치까지 최단거리로 이동될 수 있고 윈치는 제1도르레부의 거의 직하부에 위치하여 특허문헌 3에서와 같은 방향전환 롤러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드베어와 작업면 지지대 사이에는 틈이 존재하고 와이어관통홀을 통과한 와이어부재가 그 틈 사이로 통과할 수 있다. 즉, 와이어부재는 작업면 외부를 통과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작업면 바깥쪽에서 와이어부재가 통과하게 되어서, 작업면 합판에 별도의 관통홀을 형성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대빗 장치가 설치된 LNG 저장탱크용 발판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대빗 장치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LNG 저장탱크용 발판 대빗 장치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따른 대빗 장치의 베이스부의 결합상태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따른 대빗 장치의 베이스부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6a는 본 실시예에 따른 LNG 저장탱크용 발판 대빗 장치가 이동대상물을 상승시키는 동작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6b는 본 실시예에 따른 LNG 저장탱크용 발판 대빗 장치가 이동대상물을 하강시키는 동작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빗 장치의 베이스부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LNG 저장탱크용 발판은 LNG 저장탱크용 비계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선체의 전방은 선체의 선수방향을 의미하고 선체의 후방은 선체의 선미방향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선체의 상단은 선체의 상갑판을 의미하며 선체의 선측은 선체의 측면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선체의 길이는 선체의 상갑판과 평행한 선수에서 선미방향으로의 거리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선체의 폭은 선체의 상갑판과 평행한 일 선측에서 타 선측방향으로의 거리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선체의 높이는 선체의 상갑판과 직교하는 상갑판에서 선저방향으로의 거리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횡단면은 선체를 폭방향으로 절단된 단면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대빗 장치가 설치된 LNG 저장탱크용 발판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LNG 저장탱크용 발판(20)은 대형 구조물의 건설 현장, 바람직하게는 LNG 저장탱크 내에서 선체(미도시)의 상갑판(미도시)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수직기둥(미부호)에 선체의 상갑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보드베어(30)가 결합될 수 있다. 보드베어(30)는 LNG 저장탱크용 발판(20)의 골격을 형성하는 기본 구조물일 수 있다. 보드베어(30)는 수직기둥의 외주면과 보드베어(30)의 일측을 볼트/너트를 포함하는 기계적 방식 또는 용접방식에 의하여 수직기둥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는, 수직기둥의 외주면에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를 결합시킨 후 보드베어(30)의 일측을 체결부재에 삽입시키고 키부재로 고정하는 방식에 의하여 수직기둥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보드베어(30)의 안쪽면에는 작업면(50)을 지지하기 위한 작업면 지지대(40)가 결합될 수 있다. 작업면 지지대(40)는 보드베어(30)에 안쪽면에 나사체결방식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작업면 지지대(40)는 보드베어(30)에 안쪽면에 용접방식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작업면 지지대(40)의 상부에 작업면(50)이 놓였을 때 작업면(50)의 상단과 보드베어(30)의 상단이 같은 높이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면 지지대(40)는 작업면 지지대(40)의 상단이 보드베어(30)의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작업면(50)의 두께만큼 이격되게 보드베어(30)에 결합될 수 있다.
작업면 지지대(40)의 상부에는 작업면(50)이 놓일 수 있다. 작업면(50)으로는 작업자 및 자재가 이동될 수 있다. 작업면(50)은 일반적으로 합판(Poly Wood) 소재로 형성된 평판일 수 있다. 작업면(50)은 24t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작업면(50)은 24t 이외의 다른 두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보드베어(30)에는 대빗 장치(10)가 결합될 수 있다. 대빗 장치(10)의 상부와 하부는 상하로 서로 이웃하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보드베어(3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대빗 장치는 상부에 결합 시에는 작업면 지지대(4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대빗 장치(10)의 상부가 결합되는 작업면 지지대(40) 또는 보드베어(30)는 대빗 장치(10)의 하부가 결합되는 보드베어(30)의 상부에 평행하게 배치된 작업면 지지대(40) 또는 보드베어(30)일 수 있다.
대빗 장치(10)와 작업면(50)은 선체의 높이 방향으로 서로 분리되어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 도시 또는 설명한 것 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위에 도시 또는 설명한 것은 단지 예일 뿐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대빗 장치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LNG 저장탱크용 발판 대빗 장치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LNG 저장탱크용 발판 대빗 장치(10)는 베이스부(100), 수직지지부(200), 수평지지부(300), 지지보강부(400), 도르레부(500) 및 상부지지부(600)를 포함한다. 수직지지부(200)의 하부에는 하부의 보드베어(30)에 결합되는 베이스부(100)가 구비된다. 상기 보드베어(30)는 발판을 구성하는 트러스 구조물일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대빗 장치는 지지력이 우수한 트러스 구조물에 고정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바람직하게는 보드베어(30)는 트러스 구조물의 외측 수평 구조물일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대빗이 수평 회전할 경우 발판의 내부 해체물들을 발판 외부로 이동시켜 하부로 옮길 수 있다.
수직지지부(200)의 상부에는 상부의 작업면 지지대(40)에 결합되는 상부지지부(600)가 구비될 수 있다. 수직지지부(200)의 상부 중 상부지지부(600)의 아래에 수평지지부(300)가 형성되며 수평지지부(300)에서 수직지지부(200)의 하부까지 경사지게 지지보강부(400)가 형성될 수 있다. 수직지지부(200) 또는 수평지지부(300)에는 와이어부재(70)의 이동을 안내하는 도르레부(500)가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LNG 저장탱크용 발판(20)의 보드베어(30)에 결합된다. 베이스부(1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수직지지부(200)는 베이스부(10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수직지지부(200)는 베이스부(100)의 상부에서 선체의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다. 다시 말해, 수직지지부(200)는 선체의 상갑판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직지지부(200)는 파이프(Pipe)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직지지부(200)의 상단부는 후술될 상부지지부(600)에 의하여 보드베어(30)에 결합될 수 있다. 수직지지부(200)의 상단부가 결합되는 작업면 지지대(40)는 베이스부(100)가 결합된 보드베어(30)에서 선체의 높이 방향으로 인접한 상부에 위치된 작업면 지지대(40)일 수 있다.
수직지지부(200)는 수직지지부(200)의 원주방향(즉, 수직지지부(200)의 수직 평면, 도 2의 화살표 참조)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LNG 저장탱크용 발판(20)의 내부 작업면에 위치된 이동대상물(80)을 수직지지부(200)의 회전에 의하여 작업면(50)의 외부로 이동시켜 작업면(50) 하부 위치로 이동하거나 그 반대의 작업을 할 수 있다.
수평지지부(300)는 수직지지부(200)의 상부에서 선체의 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수평지지부(300)는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지지부(300)의 일측은 수직지지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수평지지부(300)의 일측과 수직지지부(200)를 용접방식 또는 다른 기계적 방식에 의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또는, 수직지지부(200)의 외주면에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를 결합시킨 후 수평지지부(300)의 일측을 체결부재에 삽입시키고 키부재나 볼트/너트로 고정시키는 방식에 의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다.
수직지지부(200)와 수평지지부(300)의 결합부분에는 보강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는 수직지지부(200)와 수평지지부(300)의 결합부분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보강부에는 후술될 도르레부(50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수평지지부(300)는 수직지지부(200)의 상단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평지지부(300)와 LNG 저장탱크용 발판(20) 구조물과의 사이에 기설정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직지지부(200)의 회전 시 수평지지부(300)와 LNG 저장탱크용 발판(20)의 구조물과의 충돌이 방지될 수 있다.
지지보강부(400)는 수평지지부(300)의 양측 중 수직지지부(200)에 연결된 일측의 반대인 타측에서 수직지지부(200)의 하부까지 경사지게 연장된다. 지지보강부(400)는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보강부(400)의 일측은 수직지지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보강부(400)의 일측과 수직지지부(200)는 용접방식 또는 다른 기계적 방식에 의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지지보강부(400)의 타측은 수평지지부(300)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보강부(400)의 타측과 수평지지부(300)는 용접방식 또는 다른 기계적 방식에 의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지지보강부(400)와 수평지지부(300)의 결합부분에는 보강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는 지지보강부(400)와 수평지지부(300)의 결합부분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보강부에는 후술될 도르레부(50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수직지지부(200), 수평지지부(300) 및 지지보강부(400)는 각각 일반 구조용 탄소 강재,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열간 압연 강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르레부(500)는 수직지지부(200) 또는 수평지지부(30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도르레부(500)는 와이어부재(70)의 이동을 안내한다. 도르레부(500)는 중앙부에 구멍이 형성된 원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르레부(500)의 외주면에는 오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에는 와이어부재(70)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부재(70)의 이동 방향을 따라 도르레부(500)가 회전될 수 있다.
도르레부(500)는 제1도르레부(510) 및 제2도르레부(520)를 포함한다. 와이어부재(70)는 제1도르레부(510) 및 제2도르레부(520)에 의하여 안내되며 이동되는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제1도르레부(510)는 수평지지부(30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거나 수평지지부가 결합된 수직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제1도르레부(510)는 수직지지부(200)와 수평지지부(300)의 결합부분에 형성된 보강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제1도르레부(510)는 수평지지부(300)의 일측에 구비된 별도의 브래킷(Bracket)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윈치(60)에서 상갑판(미도시)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와이어부재(70)는 제1도르레부(510)에 의하여 상갑판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도 3에서 와이어부재(70)는 제1도르레부(510)로부터 윈치(60)까지 경사지게 연결된 것으로 보이지만, 수직으로 연결되는 것도 당연히 본 발명에 포함된다. 제1도르레부(510)의 크기에 따라서 제1도르레부(510)로부터 윈치(60)까지 연결되는 와이어부재(70)의 경사가 변경될 수 있다.
제2도르레부(520)는 수평지지부(300)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제2도르레부(520)는 지지보강부(400)와 수평지지부(300)의 결합부분에 형성된 보강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제2도르레부(520)는 수평지지부(300)의 타측에 별도로 구비된 브래킷(Bracket)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갑판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와이어부재(70)는 제2도르레부(520)에 의하여 상갑판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상부지지부(600)는 대빗 장치(1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부지지부(600)에는 수직지지부(200)의 상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부지지부(600)는 상부결합부(610) 및 상부수용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결합부(610)는 평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결합부(610)는 보드베어(30) 또는 작업면 지지대(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결합부(610)의 일측과 작업면 지지대(40) 또는 보드베어(30)의 내측면을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또는, 상부결합부(610)의 일측과 작업면 지지대(40) 또는 보드베어(30)의 내측면을 용접방식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상부수용부(62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수용부(620)는 상부결합부(610)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결합부(610)에는 적어도 한 개의 상부수용부(620)가 결합될 수 있다. 상부수용부(620)의 외주면과 상부결합부(610)의 타측면을 접촉시킨 후 용접방식에 의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또는, 상부수용부(620)를 상부결합부(610)의 타측에 나사체결방식에 의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다.
상부수용부(620)에는 수직지지부(200)의 상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부수용부(620)의 내부에는 베어링(Bearing)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수직지지부(200)의 상부는 베어링부재의 내주에 결합될 수 있다. 수직지지부(200)의 상부는 나사체결방식, 억지끼움방식 또는 용접방식에 의하여 베어링부재의 내주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수직지지부(200)의 상부는 베어링부재 없이 상부수용부(6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위에 도시 또는 설명한 것 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위에 도시 또는 설명한 것은 단지 예일 뿐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대빗 장치의 베이스부의 결합상태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따른 대빗 장치의 베이스부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00)는 하부결합부(110) 및 하부수용부(120)를 포함한다. 하부결합부(110)와 하부수용부(120)는 베이스부(100)에서 서로 반대부분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부결합부(110)와 하부수용부(120)를 분리시킴으로써 하부수용부(120)에 결합된 수직지지부(200)의 움직임에 의하여 하부결합부(110)의 결합상태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하부결합부(110)는 베이스부(100)의 일측에 형성된다. 하부결합부(110)는 보드베어(3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빗 장치(10)를 보드베어(30)의 외측면에 결합시키는 간편한 방법에 의하여 LNG 저장탱크용 발판(20)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하부결합부(110)는 하부가 개구된 "ㅠ자"형상으로 형성된다. 하부결합부(110)는 보드베어(3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삽입되어 보드베어(30)에 결합된다. 이를 통해, 대빗 장치(10)의 하중에 의하여 대빗 장치(10)와 보드베어(30)와의 사이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될 수 있다. 하부결합부(110)는 보드베어(30)의 외측부와 나사체결방식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빗 장치(10)를 보드베어(30)에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하부결합부(110)는 수평결합부(111), 제1수직결합부(112), 제2수직결합부(113) 및 와이어관통홀(13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결합부(110)는 제1수직결합부(112), 수평결합부(111) 및 제2수직결합부(113)가 연속되면서 "ㅠ자"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부결합부(110)가 보드베어(30)의 외측면 및 내측면을 모두 지지하게 되어 대빗 장치(10)와 보드베어(30)와의 사이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될 수 있다.
수평결합부(111)는 하부결합부(110)의 상부에 형성된다. 수평결합부(111)는 보드베어(30)의 상단부와 평행한 평판으로 형성된다. 이를 통해, 하부결합부(110)의 상부의 형상이 보드베어(30)의 상부의 형상과 매칭되게 형성되어 하부결합부(110)가 보드베어(30)의 하부까지 깊숙히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제1수직결합부(112)는 하부결합부(110)의 일측에 형성된다. 제1수직결합부(112)는 수평결합부(111)와 직교하는 평판으로 형성된다. 이를 통해, 하부결합부(110)의 일측의 형상이 보드베어(30)의 외측면의 형상과 매칭되게 형성되어 하부결합부(110)가 보드베어(30)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제1수직결합부(112)에는 복수의 볼트부재(미도시)가 관통하는 복수의 볼트관통홀(115)이 형성된다. 복수의 볼트부재는 복수의 볼트관통홀(115)을 관통한 후 보드베어(30)에 외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홀(미도시)에 나사체결될 수 있다. 복수의 체결홀에는 나사산(미도시)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볼트부재의 체결방향이 이동대상물(80)의 하중에 의하여 대빗 장치(10)가 받는 힘의 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하여 이동대상물(80)의 이동중에도 볼트부재가 보드베어(30)에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제1수직결합부(112)의 양측에는 수평결합부(11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볼트보호부(117)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나사체결된 복수의 볼트부재가 외부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거나 보드베어(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수직결합부(113)는 하부수용부(120)에 인접한 하부결합부(110)의 타측에 형성된다. 제2수직결합부(113)는 수평결합부(111)와 직교하는 평판으로 형성된다. 이를 통해, 하부결합부(110)의 타측의 형상이 보드베어(30)의 내측면의 형상과 매칭되게 형성되어 하부결합부(110)가 보드베어(30)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 도시 또는 설명한 것 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위에 도시 또는 설명한 것은 단지 예일 뿐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하부수용부(120)는 베이스부(100)의 타측에 형성된다. 하부수용부(120)에는 수직지지부(200)가 원주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통해, 대빗 장치(10)를 이용하여 LNG 저장탱크용 발판(20)의 외부에 위치된 이동대상물(80)을 상승시킨 후 수직지지부(200)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켜 이동대상물(80)을 작업면(50)의 상부에 위치되게 할 수 있다. 또는 그 반대로 발판(비계)을 해체할 경우에는 작업면(50)에 위치하는 이동대상물(80)을 상승시킨 후, 수직지지부(200)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켜 이동대상물(80)을 비계 외측으로 이동시켜서 작업면(50)의 하부로 옮길 수 있다.
하부수용부(120)는 수평수용부(121), 회전수용부(122) 및 이동손잡이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수용부(121)는 베이스부(100)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수평수용부(121)의 상부에는 회전수용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수직지지부(200)(또는 수평수용부(121))와 베이스부(100)와의 사이에는 후술될 와이어관통홀(130)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평수용부(121)와 하부결합부(110)의 수평결합부(111)와의 사이에는 와이어관통홀(1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평수용부(121)와 수평결합부(111)는 최소한의 면적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직지지부(200)의 움직임이 하부결합부(110)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회전수용부(122)는 수평수용부(121)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회전수용부(122)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구동홈(미부호) 및 회전구동홈을 수평수용부(1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구동홈고정부재(미부호)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구동홈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상부와 상부보다 직경이 작은 복수의 원통으로 형성된 하부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구동홈의 상부에는 수직지지부(200)의 하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수직지지부(200)의 하부는 회전구동홈의 내주에 나사체결방식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수직지지부(200)의 하부 외주면과 회전구동홈의 내주면에 서로 매칭되게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체결될 수 있다. 또는, 수직지지부(200)의 하부는 회전구동홈의 내주에 억지끼움방식에 의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수직지지부(200)를 회전수용부(122)에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회전구동홈의 하부는 수평수용부(1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구동홈이 수평수용부(121)의 상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구동홈결합부재는 회전구동홈을 수평수용부(1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구동홈결합부재는 수평수용부(121)의 상부에 나사체결방식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동홈결합부재를 수평수용부(121)에서 분리시켜 수리 또는 교체를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수용부(122)에는 베어링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베어링부재는 회전수용부(122)에 형성된 베어링수용홈(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다. 베어링부재는 구동홈결합부재에 의하여 회전수용부(122)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구동홈의 하부는 회전수용부(122)에 구비된 베어링부재의 내주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구동홈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회전구동홈은 나사체결방식, 억지끼움방식 또는 용접방식에 의하여 베어링부재의 내주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회전구동홈은 베어링부재 없이 회전수용부(12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동손잡이부(123)는 수평수용부(121)의 상부에 고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부(100)의 운반 시 이동손잡이부(123)를 잡고 운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베이스부(100)의 운반 시 편리하게 파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 도시 또는 설명한 것 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위에 도시 또는 설명한 것은 단지 예일 뿐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00)는 와이어관통홀(130), 작업면간격유지부(140) 및 와이어안내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관통홀(130)은 하부결합부(110)와 하부수용부(120)와의 사이에 형성된다. 와이어관통홀(130)은 구멍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관통홀(130)을 관통하여 와이어부재(70)가 LNG 저장탱크용 발판(20)의 하부에 구비된 윈치(60)에 권선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와이어부재(70)가 도르레부(500)에서 윈치(60)까지 최단거리로 이동될 수 있다. 윈치(60)는 제1도르레부(510)의 거의 직하부에 위치하여 특허문헌 3에서와 같은 방향전환 롤러가 필요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면간격유지부(140)는 와이어관통홀(130)의 양측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작업면간격유지부(140)는 보드베어(30)의 상단부와 직교하는 평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작업면간격유지부(140)는 보드베어(30)와 작업면(50)과의 사이에 기설정된 간격의 관통홀(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와이어부재(70)가 작업면(50)과 보드베어(30)와의 사이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여 LNG 저장탱크용 발판(20)의 하부에 구비된 윈치(60)에 권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작업면(50) 외부에 관통홀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베어(30)와 작업면 지지대(40)와의 사이에는 틈이 존재하고 와이어관통홀(130)을 통과한 와이어부재(70)가 그 틈 사이로 통과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작업면(50)의 외부에서 와이어부재(70)는 윈치(60)에 연결된다. 이렇게 하면 특허문헌 3과 달리, 작업면(50) 바깥쪽에서 와이어부재(70)가 통과하게 되어서, 작업면(50) 합판에 별도의 관통홀을 형성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와이어안내부(150)는 수평수용부(121)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와이어안내부(150)에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와이어부재(70)의 마찰을 줄이는 원통상부재(미부호)가 형성되거나 롤러(미부호)가 설치될 수 있다.
롤러는 와이어부재(70)의 이동 방향을 따라 회전될 수 있다. 롤러결합부재는 롤러를 수평수용부(121)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와이어안내부(150)는 와이어관통홀(130)에 이웃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부재(70)가 와이어관통홀(130)을 통하여 이동될 때 와이어안내부(150)의 롤러의 외주면에 면접촉하며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와이어부재(70)가 와이어관통홀(130)의 모서리에 걸려 손상되지 않고 원할하게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와이어안내부(124)는 탄성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와이어부재(70)의 마모에 따른 수명연장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안내부(124)는 탄성부재가 아닌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위에 도시 또는 설명한 것 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위에 도시 또는 설명한 것은 단지 예일 뿐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LNG 저장탱크용 발판 대빗 장치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도 6a는 본 실시예에 따른 LNG 저장탱크용 발판 대빗 장치가 이동대상물을 상승시키는 동작을 보인 동작상태도이고, 도 6b는 본 실시예에 따른 LNG 저장탱크용 발판 대빗 장치가 이동대상물을 하강시키는 동작을 보인 동작상태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와이어부재(70)의 일측에 결합된 윈치(60)가 와이어부재(70)를 권취함에 따라 와이어부재(70)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부재(70)의 타측에 결합된 이동대상물(80)이 대빗 장치(10)에 의하여 LNG 저장탱크용 발판(20)의 상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와이어부재(70)의 일측에 결합된 윈치(60)가 와이어부재(70)를 권출함에 따라 와이어부재(70)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부재(70)의 타측에 결합된 이동대상물(80)이 대빗 장치(10)에 의하여 LNG 저장탱크용 발판(20)의 하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빗 장치의 베이스부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00)는 와이어안내부(150)가 하부결합부(1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와이어안내부(150)에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와이어부재(70)의 마찰을 줄이는 원통상부재(미부호)가 형성되거나 롤러(미부호)가 설치될 수 있다.
롤러는 와이어부재(70)의 이동 방향을 따라 회전될 수 있다. 롤러결합부재는 롤러를 하부결합부(110)의 상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보드베어(30)의 외부에서 와이어부재(70)는 윈치(60)에 연결된다. 와이어부재(70)가 보드베어(30)의 외부에서 상하 이동될 때 와이어안내부(150)의 롤러의 외주면에 면접촉하며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와이어부재(70)가 보드베어(30)의 모서리에 걸려 손상되지 않고 원할하게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특허문헌 3과 달리, 보드베어(30) 바깥쪽에서 와이어부재(70)가 통과하게 되어서, 작업면(50) 합판에 별도의 관통홀을 형성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LNG 저장탱크용 발판(2)에서 보드베어(30)의 외부에서 와이어부재(70)가 윈치(6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와이어부재(70)가 도르레부(500)에서 윈치(60)까지 최단거리로 이동될 수 있다. 윈치(60)는 제1도르레부(510)의 거의 직하부에 위치하여 특허문헌 3에서와 같은 방향전환 롤러가 필요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위에 도시 또는 설명한 것 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위에 도시 또는 설명한 것은 단지 예일 뿐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베이스부
110 : 하부결합부 111 : 수평결합부
112 : 제1수직결합부 113 : 제2수직결합부
114 : 볼트관통홀 115 : 볼트보호부
120 : 하부수용부 121 : 수평수용부
122 : 회전수용부 123 : 이동손잡이부
130 : 와이어관통홀 140 : 작업면간격유지부
150 : 와이어안내부
200 : 수직지지부
300 : 수평지지부
400 : 지지보강부
500 : 도르레부
510 : 제1도르레부 520 : 제2도르레부
600 : 상부지지부
610 : 상부결합부 620 : 상부수용부
10 : 대빗 장치 20 : LNG 저장탱크용 발판
30 : 보드베어 40 : 작업면 지지대
50 : 작업면 60 : 윈치
70 : 와이어부재 80 : 이동대상물

Claims (10)

  1. LNG 저장탱크용 발판의 보드베어에 결합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서 선체의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지지부;
    상기 수직지지부의 상부에서 상기 수직지지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지지부;
    상기 수평지지부의 양측 중 상기 수직지지부에 연결된 일측의 반대인 타측에서 상기 수직지지부의 하부까지 경사지게 연장되는 지지보강부; 및
    상기 수직지지부 또는 상기 수평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와이어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도르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드베어는 상기 LNG 저장탱크용 발판을 구성하는 트러스 구조물이고,
    상기 와이어부재는 상기 보드베어의 바깥쪽에서 통과하게 되는,
    LNG 저장탱크용 발판 대빗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보드베어에 결합되는 하부결합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수직지지부가 원주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수용부를 포함하는 LNG 저장탱크용 발판 대빗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결합부는,
    하부가 개구된 "ㅠ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드베어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보드베어에 결합되는 LNG 저장탱크용 발판 대빗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결합부는,
    상기 하부결합부의 상부에 상기 보드베어의 상단부와 평행한 평판으로 형성되는 수평결합부;
    상기 하부결합부의 일측에 상기 수평결합부와 직교하는 평판으로 형성되는 제1수직결합부; 및
    상기 하부수용부에 인접한 상기 하부결합부의 타측에 상기 수평결합부와 직교하는 평판으로 형성되는 제2수직결합부를 포함하는 LNG 저장탱크용 발판 대빗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결합부에는,
    복수의 볼트부재가 관통하는 복수의 볼트관통홀이 형성되는 LNG 저장탱크용 발판 대빗 장치.
  6. 삭제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와이어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와이어안내부가 구비되는 LNG 저장탱크용 발판 대빗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르레부는,
    상기 수평지지부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도르레부; 및
    상기 수평지지부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도르레부를 포함하는 LNG 저장탱크용 발판 대빗 장치.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보드베어의 외부에서 상기 와이어부재가 윈치에 연결되는 LNG 저장탱크용 발판 대빗 장치.
KR1020230120592A 2023-09-11 2023-09-11 Lng 저장탱크용 발판 대빗 장치 KR102663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0592A KR102663348B1 (ko) 2023-09-11 2023-09-11 Lng 저장탱크용 발판 대빗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0592A KR102663348B1 (ko) 2023-09-11 2023-09-11 Lng 저장탱크용 발판 대빗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3348B1 true KR102663348B1 (ko) 2024-05-14

Family

ID=91075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0592A KR102663348B1 (ko) 2023-09-11 2023-09-11 Lng 저장탱크용 발판 대빗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334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2061A (ko) * 2007-10-25 2009-04-29 박동원 대빗 장치
KR101291168B1 (ko) 2011-03-31 2013-07-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구명보트 대빗장치를 구비한 선박
KR20150000789U (ko) * 2013-08-16 2015-02-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수직 지지 장치
KR102097606B1 (ko) 2018-07-03 2020-04-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대빗 보강장치
KR20220000309A (ko) * 2020-06-25 2022-01-03 주식회사 신성곤도라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수직 및 경사부용 곤도라 안전지그
KR102374358B1 (ko) * 2021-09-14 2022-03-15 정석만 케이블포설장치
KR20220158480A (ko) * 2021-05-24 2022-12-01 주식회사 디섹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구조물 및 상기 발판구조물의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2061A (ko) * 2007-10-25 2009-04-29 박동원 대빗 장치
KR100929311B1 (ko) 2007-10-25 2009-11-27 박동원 대빗 장치
KR101291168B1 (ko) 2011-03-31 2013-07-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구명보트 대빗장치를 구비한 선박
KR20150000789U (ko) * 2013-08-16 2015-02-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수직 지지 장치
KR102097606B1 (ko) 2018-07-03 2020-04-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대빗 보강장치
KR20220000309A (ko) * 2020-06-25 2022-01-03 주식회사 신성곤도라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수직 및 경사부용 곤도라 안전지그
KR20220158480A (ko) * 2021-05-24 2022-12-01 주식회사 디섹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구조물 및 상기 발판구조물의 설치방법
KR102374358B1 (ko) * 2021-09-14 2022-03-15 정석만 케이블포설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84600A (en) Method for removing a bearing assembly of a pedestal crane and a removable bearing assembly for a pedestal crane
JP5647355B2 (ja) 可撓性ラインを海に敷設する敷設船および方法
US20120061504A1 (en) Transporting and installing flexible pipe
JP2018502776A (ja) 貨物倉点検用のガントリータワークレーン
NO326914B1 (no) Dreietarn for bore- eller produksjonsskip
US20110291061A1 (en) High Tonnage Winch Systems and Methods
US4686925A (en) Rotary boat repair apparatus
NO171628B (no) Dreiehode
KR20070090709A (ko) Lng선박의 카고 탱크의 단열 시스템 설치용 비계장치 및비계설치방법
KR102663348B1 (ko) Lng 저장탱크용 발판 대빗 장치
US20110217124A1 (en) Landing mechanism for lifted pipe reel
TWI764495B (zh) 用於調整風力機系統之裝置和方法以及風力機系統之塔柱
JP2003326390A5 (ko)
KR101475200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JP5351372B2 (ja) はしご
CA2109301C (en) Apparatus for offshore swivel replacement
KR102616062B1 (ko) 해양 구조물의 플래어 팁 교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교체 방법
CN210703400U (zh) 一种脱硫塔筒体施工辅助工装
KR101556268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설치방법
KR101540379B1 (ko) 유지보수 구조를 구비한 헬리데크
CN109263806B (zh) 一种船用锚链止跳装置
GB1585365A (en) Rig transport
NO165285B (no) Dreietaarn.
US20240227991A1 (en) Work platform for performing a cable operation on a vessel deck
KR20190019358A (ko) 진동방지용 이동식 난간 지지체 및 그 설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