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789U - 수직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수직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789U
KR20150000789U KR2020130006839U KR20130006839U KR20150000789U KR 20150000789 U KR20150000789 U KR 20150000789U KR 2020130006839 U KR2020130006839 U KR 2020130006839U KR 20130006839 U KR20130006839 U KR 20130006839U KR 20150000789 U KR20150000789 U KR 2015000078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member
vertical
present
support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68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우현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68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0789U/ko
Publication of KR201500007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78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직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평 부재의 일측에 결합된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기 수평 부재 상부로 수직 연장되어, 상기 수평 부재 중앙을 따라 상기 수평 부재 상에 배치된 수직 부재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결합부를 상기 수평 부재에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수직 지지 장치는 수평 부재 일측에 결합되어 수직 부재의 측면을 지지함으로써 수직 부재가 수평 부재 상에서 직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직 지지 장치{Apparatus for vertical support}
본 고안은 수직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 등의 대형 해양 구조물은 다수의 블록들을 조립하여 형성된다. 블록들 각각은 론지 등의 보강용 부재가 일정 간격으로 용접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보강용 부재는 대형 구조물에 구조 역학적 안정성을 부여하고, 하중 및 외부 충격을 분산하기 때문에 해류와 기상 변화에 따른 강한 자연력을 지속적으로 받는 해양 구조물에 필수적으로 적용된다.
상술한 보강용 부재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용접하기 전 제조된다. 보강용 부재는 수평 부재(face)의 중심부를 따라 수직 부재(web)가 직교하도록 용접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보강용 부재 제조를 위한 용접 작업은 용접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와, 수평 부재와 수직 부재의 수직을 유지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를 포함하여 2인 1조로 실시된다. 이때, 수평 부재와 수직 부재 사이의 배치 상태를 수직하게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수평 부재에 결합되는 수직 부재의 배치상태를 수직하게 유지할 수 있는 수직 지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지지 장치는 수평 부재의 일측에 결합된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기 수평 부재 상부로 수직 연장되어, 상기 수평 부재 중앙을 따라 상기 수평 부재 상에 배치된 수직 부재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결합부를 상기 수평 부재에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수평 부재에 삽입되는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부를 상기 수평 부재에 고정시키는 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수직 지지 장치는 수평 부재 일측에 결합되어 수직 부재의 측면을 지지함으로써 수직 부재가 수평 부재 상에서 직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지지 장치가 수평 부재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직 지지 장치의 고정 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직 지지 장치의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지지 장치가 수평 부재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지지 장치는 수평 부재(101)에 결합되어 수직 부재(103)를 지지하는 본체(110)와 본체(110)를 수평 부재(101)에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120)을 포함한다.
수평 부재(101)와 수직 부재(103)는 선박의 보강용 부재를 제조하기 위해 공급된 철강일 수 있다. 수직 부재(103)는 수평 부재(101)의 중앙을 따라 수평 부재(101) 상에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본체(110)는 고정 수단(120)에 의해 수평 부재(101)의 일측에 결합되어 수평 부재(101) 상에 배치된 수직 부재(103)의 측면을 지지한다. 이에 따라, 수직 부재(103)는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 부재(101)에 대해 수직한 배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체(110)와 고정 수단(120)은 다수의 지점에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10) 및 고정 수단(120)에 의해 수직한 배치 상태를 유지하는 수평 부재(101)와 수직 부재(103)를 다수의 이격된 지점에서 가용접하여 가용접부(105)를 형성한다. 이 때, 본체(110) 및 고정 수단(120)에 의해 수평 부재(101)와 수직 부재(103)의 배치 상태를 수직하게 유지가능하여 용접 작업을 수행하는 1인의 작업자만으로 수평 부재(101)와 수직 부재(103)의 용접이 가능하다. 가용접 후, 수평 부재(101)와 수직 부재(103)의 접합부를 용접한다.
본 고안은 본체(110) 및 고정 수단(120)에 의해 수평 부재(101)와 수직 부재(103) 간의 수직한 배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수평 부재(101)와 수직 부재(103)의 결합부에서 불균일한 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본 고안은 수평 부재(101)와 수직 부재(103) 사이의 결합부에 일정한 갭이 유지된 상태에서 가용접 또는 용접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취부 불량을 방지하여 용접 가공물의 변형을 줄이고 추가 수정 작업을 줄일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직 지지 장치의 고정 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수단(120)은 본체(110)와 수평 부재(101) 사이의 틈새에 삽입된 쐐기(wedge)일 수 있다. 쐐기는 빗면을 포함하고 있어 일측으로 갈수록 두께(D)가 얇아지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체(110)와 수평 부재(101) 사이에 발생한 다양한 수치의 틈새에 삽입되어 본체(110)를 수평 부재(101)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직 지지 장치의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는 수평 부재(101)의 일측에 결합된 결합부(111), 수직 부재(103)에 접하는 결합부(111) 일측으로부터 수평 부재(101) 상부 방향으로 수직 연장되어 수직 부재(103)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115), 및 수평 부재(101)가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부(111)에 형성된 결합홈(113)을 포함한다.
결합부(111)와 지지부(115)는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수평 부재(101) 상에 배치된 수직 부재(103)가 지지부(115)에 밀착되는 경우, 수직 부재(103)가 수평 부재(101)에 자동으로 직교한 상태가 된다.
결합홈(113)은 수직 부재(103) 하부의 결합부(111) 일측에 형성되어, 수평 부재(101)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수평 부재(101)가 결합홈(113)에 삽입되면, 수평 부재(101)와 결합홈(113) 사이의 틈새에 도 2에서 상술한 쐐기형 고정 수단(120)을 삽입하여 수평 부재(101)를 결합부(11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수평 부재(101) 일측에 결합되어 수직 부재(103)의 측면을 지지함으로써 수직 부재(103)가 수평 부재(101) 상에서 직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1: 수평 부재 103: 수직 부재
111: 결합부 113: 결합홈
115: 지지부 110: 본체
120: 고정 부재

Claims (3)

  1. 수평 부재의 일측에 결합된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기 수평 부재 상부로 수직 연장되어, 상기 수평 부재 중앙을 따라 상기 수평 부재 상에 배치된 수직 부재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결합부를 상기 수평 부재에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지지 장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수평 부재에 삽입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지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부를 상기 수평 부재에 고정시키는 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지지 장치.
KR2020130006839U 2013-08-16 2013-08-16 수직 지지 장치 KR2015000078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839U KR20150000789U (ko) 2013-08-16 2013-08-16 수직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839U KR20150000789U (ko) 2013-08-16 2013-08-16 수직 지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789U true KR20150000789U (ko) 2015-02-25

Family

ID=52579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6839U KR20150000789U (ko) 2013-08-16 2013-08-16 수직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0789U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508B1 (ko) * 2014-02-05 2015-07-15 (주)에이원엔지니어링 스틸 보빈 제조용 내심지그 및 이를 이용한 스틸 보빈 제조 방법
KR101599542B1 (ko) * 2015-06-25 2016-03-03 한국검사엔지니어링(주) 비파괴 검사용 필름 위치고정장치
KR200481039Y1 (ko) * 2016-01-07 2016-08-05 이규철 파일 고정기구
KR20160108957A (ko) * 2015-03-09 2016-09-21 김현수 내구성을 향상시킨 목재패널 및 제조방법
KR200481676Y1 (ko) * 2016-05-13 2016-10-31 이규철 파일 고정기구
KR102195434B1 (ko) * 2020-07-30 2020-12-28 안영호 Pc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2663348B1 (ko) * 2023-09-11 2024-05-14 한화오션 주식회사 Lng 저장탱크용 발판 대빗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508B1 (ko) * 2014-02-05 2015-07-15 (주)에이원엔지니어링 스틸 보빈 제조용 내심지그 및 이를 이용한 스틸 보빈 제조 방법
KR20160108957A (ko) * 2015-03-09 2016-09-21 김현수 내구성을 향상시킨 목재패널 및 제조방법
KR101599542B1 (ko) * 2015-06-25 2016-03-03 한국검사엔지니어링(주) 비파괴 검사용 필름 위치고정장치
KR200481039Y1 (ko) * 2016-01-07 2016-08-05 이규철 파일 고정기구
KR200481676Y1 (ko) * 2016-05-13 2016-10-31 이규철 파일 고정기구
KR102195434B1 (ko) * 2020-07-30 2020-12-28 안영호 Pc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2663348B1 (ko) * 2023-09-11 2024-05-14 한화오션 주식회사 Lng 저장탱크용 발판 대빗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0789U (ko) 수직 지지 장치
KR20140145405A (ko) 수평기가 구비된 파이프 정렬 보조장치
US20190158012A1 (en) Securing Fixture for Photovoltaic Cell Module
JP2016023410A (ja) 構台
KR20090082794A (ko) 슬래브 폼 장치
KR20140000687U (ko) 선박 블록 또는 해양구조물 블록의 보강재 취부지그
JP2017014730A (ja) 梁材荷重負担構造および梁材修復方法
KR20120007434U (ko) 선박의 해치커버 하부가이드 취부용 지그
JP2016183460A (ja) 建ち調整治具
KR101716328B1 (ko) 컨테이너 가이드 설치방법 및 구조
JP2018021399A (ja) 取付補助具及び伸縮装置
JP2006316507A (ja) 床材支持部材及び床材支持構造
KR101260182B1 (ko) 벌크선의 그레인 피딩 홀을 이용한 발판치구
KR101516274B1 (ko) 더블 플레이트의 설치 방법
KR101444377B1 (ko) 블록 접합용 가이드장치
JP2015028294A (ja) 側溝再生用構造体
JP6471056B2 (ja) 構造物修復工法
KR20150019900A (ko) 대형 패널 곡직 작업용 보조 기구
KR20170041577A (ko) 해상 구조물의 로드 아웃용 스키드 빔
KR20140005840U (ko) 형강 취부용 지그
KR20140000273U (ko) 선박 블럭의 레벨 조정용 피스
KR20140004065U (ko) 해양구조물의 서브빔 임시 고정구
JP2017160737A (ja) 木質構造材補強構造
KR20150000264A (ko) 억세스 플로어 스트링거 설치 구조
CN203957086U (zh) 一种混凝土模板拼缝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