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1577A - 해상 구조물의 로드 아웃용 스키드 빔 - Google Patents

해상 구조물의 로드 아웃용 스키드 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1577A
KR20170041577A KR1020150141202A KR20150141202A KR20170041577A KR 20170041577 A KR20170041577 A KR 20170041577A KR 1020150141202 A KR1020150141202 A KR 1020150141202A KR 20150141202 A KR20150141202 A KR 20150141202A KR 20170041577 A KR20170041577 A KR 20170041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d
upper portion
load
strength concrete
beam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1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용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1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1577A/ko
Publication of KR20170041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15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08Tracks on slip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 구조물의 로드 아웃용 스키드 빔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빔 부재와; 상기 빔 부재의 상부에 구비된 스키드 부재; 및 상기 스키드 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빔 부재의 상부로 매립 고정된 스키드 지지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철골에 비해 높은 압축력이 확보되도록 하는 가운데 스키드 빔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설치 또는 제작에 소모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지출되는 비용을 줄이는 가운데 기초부로 전달되는 하중이 분산되도록 하여 높은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해상 구조물의 로드 아웃용 스키드 빔{SKID BEAM FOR LOAD-OUT OF OFFSHORE STRUCTURES}
본 발명은 해상 구조물의 로드 아웃용 스키드 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키드 부재의 하부가 고강도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빔 부재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을 건조하기 위해서는 해안에 도크를 마련하고, 도크의 내부에서 선박을 건조한 후 도크를 개방하여 해수를 도크의 내부로 유입시켜, 선박이 진수되도록 한다.
근래에는 육상에서 선박을 건조한 후 진수바지로 이송하여 선박을 진수시키는 건조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며, 육상에 설치된 지지대의 상부에 올려진 상태로 선박을 건조한 후 스키드 빔에 설치된 로드 아웃(Road out)설비를 이용하여 선박을 밀어 바다에 떠있는 진수바지까지 로드 아웃시키고, 이어 진수바지를 이용하여 진수시킨다.
도5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해상 구조물의 로드 아웃용 스키드 빔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로드 아웃 설비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부(80)의 상부에 철골로 이루어진 스키드 빔(81)이 길이방향으로 연속된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고, 스키드 빔(81)의 상부로 지지대(82)가 구비되어 있어 미도시한 선박이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로드 아웃 설비에 사용되는 스키드 빔(81)은 전체가 철골로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제작에 많은 시간이 소모되는 가운데 이로 인해 비용이 더 많이 지출되는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키드 빔(81) 전체가 철골로 이루어져 있음으로써, 기초부(80)로 직접 작용되는 하중을 분산시키지 못해 한 곳으로 집중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46256호(2013.12.23)
본 발명은 스키드 부재의 하부가 높은 압축력을 갖는 빔 부재로 구비되도록 하여 높은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제작에 소모되는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지출되는 비용이 더 절감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스키드 부재 및 빔 부재를 통해 기초부로 전달되는 하중이 용이하게 분산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빔 부재와; 상기 빔 부재의 상부에 구비된 스키드 부재; 및 상기 스키드 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빔 부재의 상부로 매립 고정된 스키드 지지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빔 부재는 고강도 콘크리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부에 보강 철근이 배근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키드 부재는 평판형태를 갖는 스키드 패널이 빔 부재의 길이 방향과 동일하게 구비되고, 상기 스키드 패널의 길이 방향에 직각되는 가장자리에 리브 가이드가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키드 패널은 하부에 점착 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점착 부재는 다수개의 스터드 또는 스폿 돌기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키드 지지부재는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부로 배근된 보강 철근에 얹혀져 와이어로 묶여진 수평 부재와; 상기 수평 부재에 하단부가 결합되며, 상단부가 상기 스키드 부재의 하단에 맞대어져 용접 이음되는 수직 부재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 부재는 하부가 고강도 콘크리트에 매립되며, 상부가 고강도 콘크리트의 상부로 노출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빔 부재는 하부가 기초부의 상부로 구비된 콘크리트 블록에 의하여 지지되게 받쳐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블록은 다수개의 복층으로 구비되어 상기 빔 부재로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키드 부재의 하부가 고강도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빔 부재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철골 구조물에 비해 높은 압축력이 확보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스키드 빔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설치 또는 제작에 소모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지출되는 비용이 더 절감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스키드 부재 및 빔 부재를 통해 기초부로 전달되는 하중이 용이하게 분산되도록 하여 높은 안정성이 더 확보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구조물의 로드 아웃용 스키드 빔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로드 아웃용 스키드 빔의 내,외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로드 아웃용 스키드 빔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로드 아웃용 스키드 빔의 종단면도.
도5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해상 구조물의 로드 아웃용 스키드 빔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구조물의 로드 아웃용 스키드 빔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로드 아웃용 스키드 빔의 내,외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로드 아웃용 스키드 빔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로드 아웃용 스키드 빔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상 구조물의 로드 아웃용 스키드 빔은 철골에 비해 높은 압축력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이를 통해 기초부로 전달되는 하중이 용이하게 분산되도록 하여 높은 안정성이 더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부재(10), 스키드 부재(20) 및 스키드 지지부재(3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빔 부재(10)의 상부에 스키드 부재(20)가 구비되며, 상기 스키드 부재(20)의 하부와 빔 부재(10) 사이로 스키드 지지부재(30)가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빔 부재(10)는 미도시한 선박이 지지되는 지지대(50)의 하부로 구비된 이송 로울러부(60)가 안정되게 지지되는 가운데 하중이 분산되어 안정성이 높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제조 또는 구비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빔 부재(10)는 고강도 콘크리트(11)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고강도 콘크리트(11)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열의 보강 철근(12)이 배근되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상기 스키드 부재(20)가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키드 부재(20)는 미도시한 선박이 지지되는 지지대(50)의 하부로 구비된 이송로울러부(60)가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이송로울러부(60)가 스키드 부재(20)의 외측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직진성이 유지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스키드 부재(20)는 평판형태를 갖는 스키드 패널(21)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스키드 패널(21)은 빔 부재(10)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형태를 갖도록 배열되고, 상기 스키드 패널(21)의 길이 방향에 직각되는 가장자리에는 리브 가이드(22)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스키드 패널(21)의 상부에서 이송로울러부(60)가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스키드 패널(21)의 외측으로 이송방향이 틀어지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키드 패널(21)은 도3의 저면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별도의 점착 부재(211)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상기 점착부재(211)는 빔 부재(10)를 이루는 고강도 콘크리트(11)가 타설 및 경화되는 과정에서 높은 점착력이 확보되어 제조된 이 후 분리되는 것을 더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점착 부재(211)는 보다 높은 점착력이 확보되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스키드 패널(21)의 하부에 다수개의 볼트 머리 형태를 갖는 스터드(211')가 구비되도록 하여 볼트 머리 형태에 의하여 고강도 콘크리트(11)의 내부로 매립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첨착 부재(211)가 볼트 머리 형태를 갖는 스터드(211')로 구비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원기둥 형태의 스폿 돌기(211")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키드 지지부재(30)는 빔 부재(10)와 스키드 부재(20) 사이에 구비되어 빔 부재(10)와 스키드 부재(20)가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수평 부재(32)와 수직 부재(33)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수평 부재(32)는 고강도 콘크리트(11)의 내부로 배근된 보강 철근(12)에 얹혀져 별도의 와이어(31)로 묶여진 상태에서 타설 및 경화되는 고강도 콘크리트(11)의 내부로 매립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수평 부재(32)는 보강 철근(12)가 직각이 되는 상태로 하부가 얹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 부재(33)는 수평 부재(32)와 스키드 부재(20)의 하부 사이에 수직되게 구비된 것으로 상기 수직 부재(33)의 하단부는 수평 부재(32)의 상단부 또는 외주연부에 얹혀져 용접 이음 등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수직 부재(33)는 상단부가 상기 스키드 부재(20)의 하단에 맞대어져 용접 이음 등으로 결합되어 있어 높은 결합력이 유지될 수 있게 구비되어 일부는 고강도 콘크리트(11)에 매립되고, 일부는 고강도 콘크리트(11)의 상부로 노출되어 있다.
한편, 상기 빔 부재(10)는 하부가 기초부(40)의 상부로 구비된 콘크리트 블록(50)에 의하여 지지되게 받쳐짐으로써, 스키드 부재(20)와 스키드 지지부재(30) 및 빔 부재(10)를 통해 기초부(70)를 향하여 직하부로 전달되는 하중이 분산되어 안정된 기초부(70)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콘크리트 블록(50)은 빔 부재(10)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 것으로 내부에 미도시한 보강철근이 배근되며, 고강도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길이방향으로 길게 제조된 것을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다수개의 복층으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해상 구조물의 로드 아웃용 스키드 빔은 먼저, 미도시한 형틀의 내측 상부로 가수열의 보강철근(12) 길이방향으로 연속된 형태를 갖도록 배근되도록 한 후 배근된 보강철근(12)의 상부로 수직부재(33)를 갖는 수평부재(32)가 보강철근(12)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얹여지도록 하고, 이어 와이어(31) 또는 철선을 이용하여 묶여지도록 한다.
다음, 수평부재(32)의 상부로 스키드 부재(20)의 하부 또는 밑면이 안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용접 이음으로 결합되도록 하고, 이어 형틀의 내부로 고강도 콘크리트(11)가 타설되어 경화된 후 형트를 제거하는 것으로 높은 압축력이 확보된 스키그 빔을 얻을 수 있게 된다.
10:빔 부재 11:고강도 콘크리트
12:보강 철근 20:스키드 부재
21:스키드 패널 22:리브 가이드
30:스키드 지지부재 31:와이어
32:수평 부재 33:수직 부재
40:기초부 50:콘크리트 블록
211:점착 부재 211':스터드
211":스폿 돌기

Claims (9)

  1. 빔 부재와;
    상기 빔 부재의 상부에 구비된 스키드 부재; 및
    상기 스키드 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빔 부재의 상부로 매립 고정된 스키드 지지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의 로드 아웃용 스키드 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 부재는 고강도 콘크리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부에 보강 철근이 배근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의 로드 아웃용 스키드 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키드 부재는 평판형태를 갖는 스키드 패널이 빔 부재의 길이 방향과 동일하게 구비되고, 상기 스키드 패널의 길이 방향에 직각되는 가장자리에 리브 가이드가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의 로드 아웃용 스키드 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키드 패널은 하부에 점착 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의 로드 아웃용 스키드 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부재는 다수개의 스터드 또는 스폿 돌기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의 로드 아웃용 스키드 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키드 지지부재는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부로 배근된 보강 철근에 얹혀져 와이어로 묶여진 수평 부재와;
    상기 수평 부재에 하단부가 결합되며, 상단부가 상기 스키드 부재의 하단에 맞대어져 용접 이음되는 수직 부재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의 로드 아웃용 스키드 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부재는 하부가 고강도 콘크리트에 매립되며, 상부가 고강도 콘크리트의 상부로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의 로드 아웃용 스키드 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 부재는 하부가 기초부의 상부로 구비된 콘크리트 블록에 의하여 지지되게 받쳐짐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의 로드 아웃용 스키드 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은 다수개의 복층으로 구비되어 상기 빔 부재로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의 로드 아웃용 스키드 빔.
KR1020150141202A 2015-10-07 2015-10-07 해상 구조물의 로드 아웃용 스키드 빔 KR201700415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202A KR20170041577A (ko) 2015-10-07 2015-10-07 해상 구조물의 로드 아웃용 스키드 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202A KR20170041577A (ko) 2015-10-07 2015-10-07 해상 구조물의 로드 아웃용 스키드 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577A true KR20170041577A (ko) 2017-04-17

Family

ID=58703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1202A KR20170041577A (ko) 2015-10-07 2015-10-07 해상 구조물의 로드 아웃용 스키드 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15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158A (ko) 2018-11-01 2020-05-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육상 건조 블록을 바지선으로 로드 아웃 하기 위한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플랫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158A (ko) 2018-11-01 2020-05-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육상 건조 블록을 바지선으로 로드 아웃 하기 위한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플랫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0789U (ko) 수직 지지 장치
KR101281644B1 (ko) 선체블록의 해상운송용 고박 방법 및 장치
KR20180023157A (ko) 횡방향 지지유닛을 구비한 거더교
KR20170041577A (ko) 해상 구조물의 로드 아웃용 스키드 빔
US20090313937A1 (en) Steel beams and related assemblies and methods
KR101516296B1 (ko) 블록 턴오버 지그
KR101642110B1 (ko) 탈형 데크 플레이트
JP6432786B2 (ja) 梁材荷重負担構造および梁材修復方法
JP6630105B2 (ja) 浮桟橋用浮体の連結構造
US9505468B2 (en) Floating platform
US7631470B2 (en) Heliport and civil engineering/building material
KR20130036578A (ko) 트러스 구조가 적용된 선박의 외부 계류 터렛 시스템용 캔틸레버
KR101848878B1 (ko) 트러스 구조를 갖는 천정형 크레인
JP6370167B2 (ja) 立て起こし具及び立て起こし方法
KR20140023496A (ko) 형강 설치를 위한 비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형강 설치방법
JP5603805B2 (ja) 吊り治具および吊り治具の取付構造、バルコニーユニットの吊り上げ方法
KR102455882B1 (ko) 대상물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
JP2009299263A (ja) 浮体構造物及び浮体構造物の施工方法
JP6048474B2 (ja) 碁盤の目状に配置した長尺棒鋼を4腕十字に溶接した構造物により結合する漁礁の構築法
JP2009275375A (ja) 複合床版橋
KR101873449B1 (ko) 아노드 설치 방법 및 아노드 서포트
KR101420413B1 (ko) 수상선착장 부력체 고정구조
KR102493444B1 (ko) 부유체 안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로드아웃 방법
KR20150001961U (ko) 지그 구조체
JP2006144397A (ja) 橋脚の上縁拡幅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