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0413B1 - 수상선착장 부력체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수상선착장 부력체 고정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0413B1 KR101420413B1 KR1020130024191A KR20130024191A KR101420413B1 KR 101420413 B1 KR101420413 B1 KR 101420413B1 KR 1020130024191 A KR1020130024191 A KR 1020130024191A KR 20130024191 A KR20130024191 A KR 20130024191A KR 101420413 B1 KR101420413 B1 KR 1014204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oyant body
- buoyant
- buoyancy
- fastening
- fram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0920 waste ty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40000005374 Rumex hydrolapathum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1437 Rumex hydrolapath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032 molecular do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02B3/064—Floating landing-st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빔구조물을 호수나 강 등의 수상에 띄운 상태에서 선착장, 연구소, 판매소 등의 다양한 수상가옥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상선착장 부력체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수상선착장을 제작함에 있어서, 부력체로 활용하기 손쉽고, 저가이며, 부력의 크기가 큰 드럼통이나 원통형부력체를 활용하여 안전하게 수상에 띄울 수 있도록 하고, 그를 위해서 물위에 떠오르는 부력체의 일측 모서리를 수상선착장 빔프레임의 구조를 통해서 가압하여 수상선착장이 안전하게 수상 위에 부양할 수 있도록 하는 수상선착장 부력체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빔구조물을 호수나 강 등의 수상에 띄운 상태에서 선착장, 연구소, 판매소 등의 다양한 수상가옥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상선착장 부력체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수상선착장을 제작함에 있어서, 부력체로 활용하기 손쉽고, 저가이며, 부력의 크기가 큰 드럼통이나 원통형부력체를 활용하여 안전하게 수상에 띄울 수 있도록 하고, 그를 위해서 물위에 떠오르는 부력체의 일측 모서리를 수상선착장 빔프레임의 구조를 통해서 가압하여 수상선착장이 안전하게 수상 위에 부양할 수 있도록 하는 수상선착장 부력체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상가옥, 수상선착장 등은 철골이나 목조 구조물을 수상 위에 띄운 상태에서 지상에서처럼 작업자가 일을 하거나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서 활용되는 구조물이다.
종래 이러한 수상가옥이나 수상선착장은 아주 단순한 형태로 수상가옥을 수상에 부양시키게 되는데, 부력이 큰 부력체를 수상가옥이나 수상선착장의 지지프레임 하단에 고정시켜 활용하였다. 그런데 종래 대다수의 이 부력체 고정의 방식, 고정구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도시된 도 1의 종래 부력체 고정방식을 설명하자면, 다수의 폐타이어(10)를 순차적으로 적층시킨 상태에서, 상기 폐타이어(10)의 외주면에 수직 방향으로 직립하는 별도의 아이볼트(30)를 체결하여 고정결합체(70)를 형성한다. 상기 폐타이어(10)의 중심부분은 중공간부(22)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데, 바로 이 중공간부(22)에 부력체(40)를 삽입하고, 부력체(40)가 상부로 떠오르지 않도록 십자형의 방지막(50)을 상기 폐타이어(10)의 중공간부(22) 최상단에 체결한다. 부력체(40)는 항상 물에서 상부로 부양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고, 외곽부의 폐타이어(10)는 그 무게에 따라 수중으로 가라앉기에 폐타이어(10)의 중공간부(22) 최상단은 항상 폐쇄시키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부력조립체(70)의 사용은 문제가 발생될 수밖에 없다. 첫째, 부력체(40)를 보호하기 위해서 폐타이어(10)를 형성시키는 방식은 바람직하나 그 조립과정이 어렵고 실질적으로 발생되는 부력이 약하다. 비중이 큰 폐타이어(10)가 사실상 부력체(40)의 부력을 상쇄시키는 결과를 가져와 보다 많은 량의 부력체(40)를 수상가옥의 저면에 체결해야만 한다.
둘째, 이 건은 물론 대다수의 부력체(40)가 가진 문제점으로 그 부력체(40)의 부력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방지막(50)을 항상 형성해야만 하는데, 이 과정이 어렵고 고비용이 발생된다. 또한 방지막(50)이 견고하지 못하면, 방지막(50) 상부의 수상가옥 바닥이 부양하게 되어 파손이 일어나는 결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은 빔구조물을 호수나 강 등의 수상에 띄운 상태에서 선착장, 연구소, 판매소 등의 다양한 수상가옥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상선착장 부력체 고정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수상선착장을 제작함에 있어서, 부력체로 활용하기 손쉽고, 저가이며, 부력의 크기가 큰 드럼통이나 원통형부력체를 활용하여 안전하게 수상에 띄울 수 있도록 하고, 그를 위해서 물위에 떠오르는 부력체의 일측 모서리를 수상선착장 빔프레임의 구조를 통해서 가압하여 수상선착장이 안전하게 수상 위에 부양할 수 있도록 하는 수상선착장 부력체 고정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상선착장 부력체 고정구조는, 하단에 하나 또는 다수의 드럼통이나 원통형부력체의 크기에 맞도록 부력체체결공간(A)을 구획하되, 빔을 가로 세로로 용접 체결하여 일정 영역을 형성한 빔프레임(10); 빔프레임(10)의 상부로 지붕과 같이 상부의 공간을 일정 영역 구획하는 지붕프레임(20); 상기 빔프레임(10)의 하단에 그 체결구조(A)를 통해서 체결되는 드럼통이나 원통형부력체와 같은 부력체(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체결구조(B)는 부력체(30)가 빔프레임(10)을 수중에서 상부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부력체(30)의 부상을 구조적으로 차단하여 수상선착장(100)을 수상에 띄울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 수상선착장 부력체 고정구조에 따른, 체결구조(B)는, 빔프레임(10)을 형성하는 일정 간격을 가진 지지빔(40)의 상단에 부력체체결공간(A)으로 구획하는 "ㄱ"자형앵글(50)을 대칭되게 쌍으로 용접체결하고, 부력체(30)의 좌우 양단 모서리(31)의 부상을 차단하도록 "ㄱ"자형앵글(50)의 꺽인 내측 저면(51)에 부력체(30)를 끼워 넣으며; 노끈이나 용접을 통해서 부력체체결공간(A) 내측에서 부력체(30)가 수평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결합시키고 : 체결구조(B)는, 빔프레임(10)을 형성하는 일정 간격을 가진 지지빔(40)에 부력체체결공간(A)으로 구획하는 "H"자형 간격빔(60)을 용접체결하고, 부력체(30)의 좌우 양단 모서리(31)의 부상을 차단하도록 간격빔(60)의 상판(61) 좌우 저면에 끼워넣으며; 노끈이나 용접을 통해서 부력체체결공간(A) 내측에서 부력체(30)가 수평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결합시키며 : 간격빔(60)은, 부력체(30)가 그 상판(61)의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밑판(62)에 부력체(30)의 부피를 수용할 수 있는 일정영역 절개부(66)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 수상선착장 부력체 고정구조에 따른, 지지빔(40)과 간격빔(60)의 용접체결을 위해서 지지빔(40)의 상판(41) 저면의 폭만큼 간격빔(60)의 상판(61)과 밑판(62)을 절단한 커팅부(65)를 형성하여 간격빔(60)의 중심지지판(63)이 지지빔(40)의 상판(41)과 밑판(42)의 내측으로 끼어 용접체결한다.
본 발명에 따라 지면이 되는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별도의 부력체체결공간을 형성하되, 지지프레임의 지지빔의 용접과정에서 구조적으로 부력체의 부력을 차단하는 체결구조를 갖추어 별도의 차단막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그 체결구조가 견고하여 부력체가 안정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안정되게 부력체를 장착하되, 특히 비중이 커서 큰 부력을 발생시키는 드럼통이나 원통형부력체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하여 작은 수의 부력체로도 큰 수상가옥을 수상에 부양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지상이 되는 지지프레임의 제조과정에서 부력체도 안정되게 장착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그 체결력이 견고하여 오랜 내구성을 갖춘 수상가옥이나 수상선착장을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사용하던 부력체가 조립된 부력조립체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부력체 고정방식으로 제작된 수상선착장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부력체 고정방식으로 제작된 수상선착장을 완전 결합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부력체 체결구조 중 "ㄱ"자형앵글을 이용하여 체결하는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부력체 체결구조 중 간격빔을 이용하여 체결하는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부력체 체결구조 중 앵글을 이용하여 상부만 체결하는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부력체 체결구조 중 앵글을 이용하여 상부와 하부를 체결하는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부력체 체결구조 중 간격빔을 이용하여 체결하는 방식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부력체 체결구조 중 "ㄱ"자형앵글을 이용하여 체결하는 방식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간격빔 체결의 방식을 다양한 실시예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부력체 고정방식으로 제작된 수상선착장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부력체 고정방식으로 제작된 수상선착장을 완전 결합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부력체 체결구조 중 "ㄱ"자형앵글을 이용하여 체결하는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부력체 체결구조 중 간격빔을 이용하여 체결하는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부력체 체결구조 중 앵글을 이용하여 상부만 체결하는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부력체 체결구조 중 앵글을 이용하여 상부와 하부를 체결하는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부력체 체결구조 중 간격빔을 이용하여 체결하는 방식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부력체 체결구조 중 "ㄱ"자형앵글을 이용하여 체결하는 방식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간격빔 체결의 방식을 다양한 실시예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수상선착장 부력체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과 그 작동의 방식을 도시된 도 2 내지 도 10를 통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은 하단에 하나 또는 다수의 드럼통이나 원통형부력체의 크기에 맞도록 부력체체결공간(A)을 구획하되, 빔을 가로 세로로 용접 체결하여 일정 영역을 형성한 빔프레임(10)이 있고, 빔프레임(10)의 상부로 지붕과 같이 상부의 공간을 일정 영역 구획하는 지붕프레임(20)이 있으며, 상기 빔프레임(10)의 하단에 그 체결구조(A)를 통해서 체결되는 드럼통이나 원통형부력체와 같은 부력체(30)로 이루어진 수상선착장이다. 특히 상기 체결구조(B)는 부력체(30)가 빔프레임(10)을 수중에서 상부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부력체(30)의 부상을 구조적으로 차단하여 수상선착장(100)을 수상에 띄울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경우 종래의 수상선착장(100)과 동일한 기능, 동일한 구성요소가 많이 공통된다. 단지 본 발명의 특징은 수상가옥이나 수상선착장(100)을 수상으로 부양시키는 부력체(30)에 특징이 있고, 그 부력체(30)를 체결하는 고정구조, 그 부력체(30)의 부력을 본 발명의 수상선착장(100) 빔프레임(10)의 구조를 통해서 수용하여 항상 안정되고 내구성이 높은 수상선착장(100)을 실시하는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은 빔을 이용하여 지면이 되는 빔프레임(10)을 형성한다. 이 빔프레임(10)의 상부에 후일 바닥판이 깔리어 바닥판의 상부에서 지상과 동일하게 도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 빔프레임(10)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그 길이도 정확하게 계산하여 제작한다. 빔프레임(10)은 금속강을 이용하여 제작되기에 그 견고함이 우수하다.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것처럼 대다수의 부력체(30)는 그 부력에 의해서 수상으로 떠오르려고 하는 힘이 발생된다. 따라서 바닥판에 이 부력체(30)가 면접하게 되면 바닥판이 물위로 상승하여 도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는 문제점이 많다. 바닥판이 파손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결국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별도의 차단막이나 상승 방지바 같은 구성을 체결하여 바닥판에 가해지는 부력체(30)의 힘을 차단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번거러운 모든 제작방식이나 제작의 비용을 없앤다. 즉, 빔프레임(10)이 바로 부력체(30)의 부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 빔프레임(10)이 수상 위로 부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부력체가 빔프레임을 부양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부력체(30) 체결구조(B)를 별도로 실시하여 구조적인 형태가 부력체(30)의 부력을 다 수용할 수 있도록 했다. 보다 상세한 것은 뒤에서 설명하겠지만, 이 부력체(30) 체결구조는 상기 부력체체결공간(A)에 대응된다.
본 발명의 부력체체결공간(A)은 도시된 도 2에서처럼 큰 면적의 빔프레임(10)에 다수개로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일정한 영역이 구분된 형태이다. 빔프레임(10)을 서로 용접으로 체결할 때 일정한 간격을 벌리게 되는데, 도시된 것처럼 체결될 부력체(30) 즉, 드럼통이나 원통형의 부력체(30)의 크기에 비례하여 용접 체결된다. 대체적으로 드럼통의 폭에 비례하여 지지빔(40)의 간격을 두게 되는데, 본 발명은 약 3개의 드럼통이 서로 겹쳐진 폭을 기준으로 지지빔(40)의 간격을 벌려 용접한다. 또한 지지빔(40)과 지지빔(40)의 견고한 체결을 위해서 별도의 연결방식을 가지게 되는데, 이것이 본 발명의 독특한 체결구조(B)이다. 즉, 상기 지지빔(40)과 지지빔(40)을 세로방향으로 완벽하게 체결하면서도 하단의 부력체(30)에서 상승하는 부력을 차단하여 빔프레임(10)이 수상으로 상승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체결구조(B)의 실시예를 2가지로 제안하는데, 하나는 도 4, 6, 9에서처럼 "ㄱ"자형앵글(50)을 이용하는 방식이고, 나머지 하나는 또 다른 빔을 이용한 방식이다. 따라서 뒤에서는 이러한 보다 상세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체결구조(B) 중 "ㄱ"자형앵글(50)을 이용한 체결구조를 설명한다. 도시된 도 2, 도 4, 도 6, 9에서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체결구조(B)는, 빔프레임(10)을 형성하는 일정 간격을 가진 지지빔(40)의 상단에 부력체체결공간(A)으로 구획하는 "ㄱ"자형앵글(50)을 대칭되게 쌍으로 용접체결하고, 부력체(30)의 좌우 양단 모서리(31)의 부상을 차단하도록 "ㄱ"자형앵글(50)의 꺽인 내측 저면(51)에 부력체(30)를 끼워 넣으며, 노끈이나 용접을 통해서 부력체체결공간(A) 내측에서 부력체(30)가 수평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결합시킨다.
빔프레임(10)은 도시된 것처럼 가로 세로 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 수평되게 지지빔(40)이 깔린다.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그 내측이 부력체(30)가 삽입될 부력체체결공간(A)으로 활용한다. 물론 최 외곽부 즉, 빔프레임(10)의 모서리와 변이 되는 부분은 세로방향으로도 지지빔(40)이 깔려 빔프레임(10)의 견고함을 증진시킨다. 이후 본 발명의 체결구조의 일실시예로서 수평된 지지빔(40)과 지지빔(40)을 연결시키는 "ㄱ"자형앵글(50)을 용접시킨다. 이 "ㄱ"자형앵글(50)의 용접 간격은 도시된 것처럼 부력체(30)의 좌우 양단의 끝단이 앵글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는 간격을 두고 용접한다. 꺽인 내측 저면(51)에 부력체(30)의 양끝단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여 상승하는 부력이 앵글을 상승시켜 사실상 빔프레임(10)이 수상에 부양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빔(40)과 용접체결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ㄱ"자형앵글(50)이기에 부력에 의해서 파손되기 힘들다. 견고한 구조가 부력을 차단하고 있기에 그 내구성은 높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ㄱ"자형앵글(50)은 서로 쌍으로 겹쳐서 용접된다.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뒤집어져서 용접되기에 "ㄱ"자형앵글(50)의 좌측과 우측에 모두 부력체(30)를 수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ㄱ"자형앵글(50)을 이용하여 부력체(30)에서 발생되는 부력이 모두 빔프레임(10)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고, 별도의 노끈이나 용접의 방식으로 부력체(30)가 상기 부력체체결공간(A) 내에서 이리저리 이동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도면에서와 같이 지지빔(10)의 간격은 약 3개의 드럼통이 끼워질 수 있는 폭으로 형성하여 부력체체결공간(A)을 형성하고, 있기에 끼워진 부력체(30)는 자기의 위치를 갖고 있다. 이리 저리 유동할 간격이 없는 것이다. 또한 부력체(30)의 길이 방향으로는 상방향에서 "ㄱ"자형앵글(50)로 이루어진 체결구조(B)를 통해서 부력체의 모서리(31)가 가압되기에, 상승하는 제한선이 마련된다. 그리고 예방의 차원에서 노끈이나 용접을 통해서 상기 부력체(30)가 부력체체결공간(A)에 고정되게 되면 상하방향은 물론 좌우 방향으로의 유동이 차단되어 보다 안전하게 고정될 수 있다. 물론 노끈이나 용접은 사실상 다 조립된 수상선착장(100)을 수상에 띄울 때, 해체하여도 무방하며, 그대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도시된 도 6에는 상방향에만 "ㄱ"자형앵글(50)을 체결하여 드럼통 부력체(30)에서 작용되는 상승하는 힘을 꺽인 내측 저면(51)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이 실시예는 지지빔(40)의 상부에 "ㄱ"자형앵글(50)을 용접 체결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도시된 도 7에는 지지빔(40)의 하단에도 별도의 "ㄱ"자형앵글(50)을 용접체결하여 부력체(30)가 상부로 올라가는 힘들 차단함은 물론 하부로 내려오는 유동도 차단시키고 있다. 이 형태의 지지빔(40)은 도시된 도 6의 지지빔(40)에 비하여 큰 지지빔(40)일 경우에 활용이 가능하다. 지지빔(40)의 두께가 드럼통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다소 큰 경우에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럼 본 발명 체결구조(B)의 두 번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체결구조(B)는, 빔프레임(10)을 형성하는 일정 간격을 가진 지지빔(40)에 부력체체결공간(A)으로 구획하는 "H"자형 간격빔(60)을 용접체결하고, 부력체(30)의 좌우 양단 모서리(31)의 부상을 차단하도록 간격빔(60)의 상판(61) 좌우 저면에 끼워넣으며, 노끈이나 용접을 통해서 부력체체결공간(A) 내측에서 부력체(30)가 수평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결합시킨다.
즉. 도시된 도 5, 8, 및 10에서처럼 전술된 첫번째 실시예의 "ㄱ"자형앵글(50) 대신에 별도의 빔을 용접하여 지지빔(40)과 지지빔(40) 사이를 체결한다. 지지빔(40)과 지지빔(40) 사이의 간격은 이미 드럼통 약 3개의 간격으로 벌린 상태이기에 이 간격을 간격빔(60)으로 용접하여 견고히 체결하는 것이다. 이때 사용되는 간격빔(60)은 지지빔(40)과 그 크기와 부피가 동일해도 무방하며 다소 작은 크기를 가져도 무방하다. 용접으로 체결되기에 견고하게 드럼통 부력체(30)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빔(60)은, 부력체(30)가 그 상판(61)의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밑판(62)에 부력체(30)의 부피를 수용할 수 있는 일정영역 절개부(66)를 가진다. 이는 간격빔(60)의 두께와 높이는 부력체(30)로 사용될 드럼통이나 원통형부력체의 지름에 차이가 있을 수 있기에 제안된다. 즉, 도시된 도 10의 (a)에서처럼, 만일 드럼통의 지름이 간격빔(60)의 높이, 두께에 비하여 클 경우에는 도시된 것처럼 간격빔(60)의 밑판을 제거한 절개부(66)를 두어 간격빔(60)의 상판(61)의 저면(64)에 부력체(30)의 모서리(31)가 끼어들도록 하면서, 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밑판(62)은 제거하여 절개부(66)를 갖는 것이다. 간격빔(60)의 두께가 부력체(30)의 지름에 비하여 작기에 이를 수용시킬 수 있는 절개부(66)를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도시된 도면에서는 도 10의 (a)와 (b)에 서로 다른 형태로 절개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a)의 경우 밑판(62)을 완벽하게 제거하여 상판(61) 저면(64)에 부력체(30)의 모서리(31)가 다 수용될 수 있도록 한 실시예이고, (b)는 일부만 절개한 상태이다. 모두 활용될 수 있다. 간격빔(60)의 상판(61)과 밑판(62)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폭으로 절개부(66)를 형성해도 무방한 것이다.
또한 도시된 도 10의 (c)에는 간격빔(60)의 두께와 높이가 커서 부력체(30)의 지름을 완전히 수용한 형태의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실시예는 별도의 절개부(66) 없이 간격빔(60)의 상판(61)과 하판(62)의 사이에 부력체(30)를 끼우고,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의 유동을 차단하는 노끈이나 용접을 통해서 부력체(30)를 부력체체결공간(A)에 고정시킨다. 모든 실시예들이 본 발명에서 활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지지빔(40)과 간격빔(60)의 용접체결을 위해서 지지빔(40)의 상판(41) 저면(44)의 폭만큼 간격빔(60)의 상판(61)과 밑판(62)을 절단한 커팅부(65)를 형성하여 간격빔(60)의 중심지지판(63)이 지지빔(40)의 상판(41)과 밑판(42)의 내측으로 끼어 용접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시된 도 5와 9에서처럼, 본 발명은 체결구조 두 번째 실시예에서 빔프레임(10)을 형성할 때, 지지빔(40)과 간격빔(60)을 용첩체결했다. 단면이 "H"자 형상인 지지빔(40)과 간격빔(60)은 서로 전면적으로 용접하기 힘든 형태이기에 서로 면접되는 부분을 넓게 형성한 것이다. 간격빔(60)의 좌우 양단을 먼저 가공하게 되는데, 상판(61)과 밑판(62)을 절개하여 없애고, 가운데의 중심지지판(63)만 남기는 것이다. 중심지지판(63)이 "H"자 단면 형상의 상판(61)과 밑판(62)의 사이 공간부로 끼어질 수 있도록 하고, 커팅부(65)가 완전히 지지빔(10)의 밑판(62)과 상판(61)으로 채워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커팅하고 용접하면 보다 넓은 면적으로 지지빔(10)과 간격빔(60)이 체결되어 보다 견고한 체결력을 발생시킨다. 혹시 지지빔(10)과 간격빔(60)의 크기가 다를 경우에도 커팅부(65)를 조절하여 커팅하고 용접이 가능하다. 상판에만 커팅부를 형성해도 무방하다.
10; 빔프레임 20; 지붕프레임
30; 부력체 31; 모서리
40; 지지빔 50; "ㄱ"자앵글
51; 저면 60; 간격빔
A; 부력체체결공간 B; 체결구조
30; 부력체 31; 모서리
40; 지지빔 50; "ㄱ"자앵글
51; 저면 60; 간격빔
A; 부력체체결공간 B; 체결구조
Claims (5)
- 하단에 하나 또는 다수의 드럼통이나 원통형부력체의 크기에 맞도록 부력체체결공간(A)을 구획하되, 빔을 가로 세로로 용접 체결하여 일정 영역을 형성한 빔프레임(10);
상기 빔프레임(10)의 상부로 지붕과 같이 상부의 공간을 일정 영역 구획하는 지붕프레임(20);
상기 빔프레임(10)의 하단에 체결구조(B)를 통해서 체결되는 드럼통이나 원통형부력체와 같은 부력체(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체결구조(B)는 부력체(30)가 빔프레임(10)을 수중에서 상부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부력체(30)의 부상을 구조적으로 차단하여 수상에 띄울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구조(B)는, 빔프레임(10)을 형성하는 일정 간격을 가진 지지빔(40)에 부력체체결공간(A)으로 구획하는 "H"자형 간격빔(60)을 용접체결하고, 부력체(30)의 좌우 양단 모서리(31)의 부상을 차단하도록 간격빔(60)의 상판(61) 좌우 저면에 끼워넣으며;
노끈이나 용접을 통해서 부력체체결공간(A) 내측에서 부력체(30)가 수평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결합시켜 이루어진 수상선착장(100)에 있어서,
상기 간격빔(60)은, 부력체(30)가 그 상판(61)의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밑판(62)에 부력체(30)의 부피를 수용할 수 있는 일정영역 절개부(66)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선착장 부력체 고정구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4191A KR101420413B1 (ko) | 2013-03-06 | 2013-03-06 | 수상선착장 부력체 고정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4191A KR101420413B1 (ko) | 2013-03-06 | 2013-03-06 | 수상선착장 부력체 고정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20413B1 true KR101420413B1 (ko) | 2014-07-16 |
Family
ID=51742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24191A KR101420413B1 (ko) | 2013-03-06 | 2013-03-06 | 수상선착장 부력체 고정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2041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04985B1 (ko) * | 2020-12-07 | 2022-06-02 | 조의진 | 수중 고정이 가능한 조립식 바지선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40456A (ko) * | 2008-10-10 | 2010-04-20 | 이희엽 | 직접압축법을 이용한 발사르탄 함유 고형 경구 제형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고형 경구 제형 |
KR20100041456A (ko) * | 2008-10-14 | 2010-04-22 | (주) 동방하이테크 | 수상 가옥 |
KR101026543B1 (ko) | 2010-10-20 | 2011-04-01 |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 부력체 지지장치와 이를 이용한 부유구조체 |
KR101070242B1 (ko) * | 2011-02-11 | 2011-10-06 | 주식회사 혁신 | 연결식 푼툰수납틀이 구비된 부유해상구조물 |
-
2013
- 2013-03-06 KR KR1020130024191A patent/KR10142041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40456A (ko) * | 2008-10-10 | 2010-04-20 | 이희엽 | 직접압축법을 이용한 발사르탄 함유 고형 경구 제형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고형 경구 제형 |
KR20100041456A (ko) * | 2008-10-14 | 2010-04-22 | (주) 동방하이테크 | 수상 가옥 |
KR101026543B1 (ko) | 2010-10-20 | 2011-04-01 |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 부력체 지지장치와 이를 이용한 부유구조체 |
KR101070242B1 (ko) * | 2011-02-11 | 2011-10-06 | 주식회사 혁신 | 연결식 푼툰수납틀이 구비된 부유해상구조물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04985B1 (ko) * | 2020-12-07 | 2022-06-02 | 조의진 | 수중 고정이 가능한 조립식 바지선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267003B2 (en) | Pile guide | |
US8091500B2 (en) | Over-the-water dock | |
KR101420413B1 (ko) | 수상선착장 부력체 고정구조 | |
KR101122060B1 (ko) | 중심홀이 천공된 푼툰을 이용한 부유해상구조물 | |
KR101005500B1 (ko) | 푼툰수납틀이 구비된 조립식 부유해상구조물 | |
KR102250159B1 (ko) | 수상 태양광 설비용 부유식 구조물 | |
CN207482140U (zh) | 一种船用集装箱底座 | |
KR102166383B1 (ko) | 파일 가이드가 연결된 부잔교 | |
CA2813978C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ground mobility for a dock | |
KR20170049967A (ko) | 블록지지용 캐리어 | |
KR102273223B1 (ko) | 조립이 간편한 부력조립체 | |
KR101791461B1 (ko) | 부유식 수상구조물의 리모델링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부유식 수상구조물의 리모델링 방법 | |
JP5060379B2 (ja) | パレット用支持棚 | |
WO2011110271A1 (en) |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a concrete capping beam made from capping - beam segments and a shell structure therefor | |
ES2916097T3 (es) | Dispositivo de protección para postes de almacén | |
JP5522571B2 (ja) | 汚濁拡散防止装置 | |
KR101613067B1 (ko) | 파일가이드용 수상시설물 계류장치 | |
US20210332545A1 (en) | Universal framing system for a boat dock and method of building a boat dock therefrom | |
KR102483769B1 (ko) | 정온도 향상을 위한 방파제 구조물 | |
KR101816224B1 (ko) | 고 하중 지지용 배수로 덮개 | |
FR3102750A1 (fr) | Système de mise en sécurité d'une surface rigide verticale segmentée | |
KR101581325B1 (ko) | 론지 장착을 위한 고정 지그 | |
KR102312940B1 (ko) | 부유 구조체, 부유 구조체를 포함하는 물품 및 부유 구조체의 제조방법 | |
KR20130109517A (ko) | 연료유 탱크를 구비한 이중 선체 | |
ES2932605T3 (es) | Estructura flotante de amar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4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