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985B1 - 수중 고정이 가능한 조립식 바지선 - Google Patents
수중 고정이 가능한 조립식 바지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04985B1 KR102404985B1 KR1020200169425A KR20200169425A KR102404985B1 KR 102404985 B1 KR102404985 B1 KR 102404985B1 KR 1020200169425 A KR1020200169425 A KR 1020200169425A KR 20200169425 A KR20200169425 A KR 20200169425A KR 102404985 B1 KR102404985 B1 KR 1024049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oyancy
- barge
- main body
- support
- fix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0/00—Outboard propulsion units, e.g. outboard motors or Z-drives; Arrangements thereof on vess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32—Vegetable materials or material comprising predominately vegetable material
- B63B2231/34—Wood or wood produc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42—Elastomeric materials
- B63B2231/44—Rub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 측이 개방되되, 내부가 중공 된 본체와, 본체가 물속에 부유되기 위해 본체 내부에 속이 빈 부력체가 끼움 결합되고, 본체가 물속의 지면에 고정되기 위해 본체 외측면에 고정지지대가 포함된 수중 고정이 가능한 조립식 바지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현장에서 바지선을 조립할 수 있어 이동이 편리하고, 호수나 저수지 등의 물속의 지면에 바지선이 고정되어 작업자가 바지선 위에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현장에서 바지선을 조립할 수 있어 이동이 편리하고, 호수나 저수지 등의 물속의 지면에 바지선이 고정되어 작업자가 바지선 위에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중 고정이 가능한 조립식 바지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장에서 조립이 가능하여 이동이 편리하고, 호수나 저수지 등의 물속의 지면에 고정되어 바지선 위에서 작업이 용이한 수중 고정이 가능한 조립식 바지선에 관한 것이다.
바지선(barge)은 강, 운하, 호수, 바다 등에서 화물, 공사재료와 장비 등의 중량물을 운반하기 위하여 만든 바닥이 평평한 선박으로, 자체 동력이 없는 자항식과 비자항식으로 구분된다.
대부분의 바지선은 비자항식으로, 바지선에 실린 중량물 중 굴삭기를 이용하여 움직이거나, 예인선과 연결하여 운행되거나, 밀배가 밀어줘야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바지선은 물 위에서 작업할 경우에 물 아래의 지면에 고정되는 방식이 아니고 예인선과 홑 줄로 묶어 고정되는 방식으로, 파도와 같은 물결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받지 못한다.
또, 바지선은 크기와 부력에 따라 적재 가능한 중량물의 크기와 중량이 제한되며, 시공사에서 제작된 바지선을 현장에 투입하기 위해 운송되는 과정이 번거롭거나, 한계가 있다.
이에, 바지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1765호(이하,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1836호(이하, 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7-108982호(이하, 문헌 3)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51658호(이하, 문헌 4)가 있다.
문헌 1 발명은 조립식 부잔교 구조물로, 조립이 가능하기 위해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 된 상자 모양의 본체에 발포폴리스티렌으로 형성된 부력체가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 조립식 부잔교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발명의 조립식 부잔교 구조물은 물 또는 바닷물과 맞닿는 본체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어 녹이나 부식이 발생되어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다.
문헌 2 발명은 고강도 바지선으로, 수개의 셀이 배열된 구조를 갖고 각 셀의 바닥과 가장자리에 위치된 셀에 보강용 콘크리트나 수지가 부착되어 강도가 우수한 고강도 바지선에 관한 것이다.
문헌 2 발명의 바지선은 내부본체의 각 셀의 바닥에 소정의 높이로 콘크리트를 채워 경화시킨다. 그러나 바지선이 완전히 밀폐되지 못하게 되면, 본체 내부로 물이 유입되고 그로 인해 콘크리트의 수밀성이 떨어져 동결현상과 인장에 약해 균열이 발생될 수 있다.
문헌 3 발명은 부두로, 조립할 수 있도록 섬유강화플라스틱(FRP, Fiber Reinforced Plastics) 재질로 형성된 격자 모양의 뗏목 하부에 블록 형상의 부력체를 끼우고, 상부에 수지 재질로 형성된 바닥재가 결합되는 부두에 관한 것이다.
문헌 3 발명의 부두는 발포폴리스티렌(EPS, Expanded Polystyrene) 재질로 형성된 부력체가 뗏목 하부에 압입 방식으로 조립되어 파도 등으로 인하여 부력체 일부가 소실될 수 있다. 또, 뗏목에 사용되는 섬유강화플라스틱은 폐기 시에 환경호르몬이 배출되는 문제가 있다.
문헌 4 발명은 바지선 조립체로, 몸체 전방 및 후방, 좌우 단부가 소정 폭으로 커팅 되어 안착부가 형성된 부구가 격자 모양으로 배치된 전후연결부재와 구조보강부재에 좌우, 전후로 연속하여 끼움 결합되는 바지선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문헌 4 발명의 바지선은 부구가 전후연결부재와 구조보강부재에 결합되기 위해 각진 모양으로 형성되어 물속에서 수압으로 인해 부구가 찌그러지게 되어 부력이 저하될 수 있다.
<배경기술문헌>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1765호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1836호
(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7-108982호
(문헌 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51658호
본 발명은 상기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조립식으로 이루어져 설치가 간단하고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바지선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식으로 분리가 가능하여 유지 관리가 쉬우며, 이동성이 우수한 조립식 바지선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호수나 저수지 등의 물속의 지면에 바지선이 고정되어 작업자가 바지선 위에서 작업이 용이한 수중 고정이 가능한 조립식 바지선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맞춤 제작이 가능하거나, 확장이 용이한 조립식 바지선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수중 고정이 가능한 조립식 바지선은 일 측이 개방되되, 내부가 중공 된 본체(10), 본체(10)가 물속에 부유되기 위해 본체(10) 내부에 속이 빈 부력체(100)가 끼움 결합되고, 본체(10)가 물속의 지면에 고정되기 위해 본체(10) 외측면에 고정지지대(5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력체(100)는 내부에 속이 빈 다각형 부력체(110) 또는 원형 부력체(12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부력체(100)가 본체(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10) 내부의 하부면 또는 상부면 가장자리 부분에 고정프레임(20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연결수직바(320) 일단과 타단에 연결수평바(310)가 결합되어 연결홈부(330)가 형성된 연결프레임(300)이 부력체(100)와 부력체(100) 사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나무판자 또는 고무판으로 형성되는 미끄럼방지부(400)가 부력체(100) 상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정지지대(500)는 제2고정지지부(520)가 삽입될 수 있는 내부가 중공이되, 일측면에 관통홀(H)이 포함된 사각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측면에 이탈방지부(511)가 포함된 제1고정지지부(510); 일측면에 관통홀(H)이 포함된 사각 프레임으로 형성되되, 내부가 중공이고, 하부면에 바닥지지부(521)가 포함된 제2고정지지부(520); 고정지지대(50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제1고정지지부(510)와 제2고정지지부(520)의 관통홀(H)에 삽입이 가능한 고정봉(530); 및 제1고정지지부(510)가 본체(10) 외측면에 고정 결합되기 위한 결합프레임(540);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립식 바지선이 이동 가능하기 위해 본체(10)에 선외기(2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립식 바지선의 부력이 향상되기 위해 부력체들(100)이 적층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원형 부력체(120)는 내부가 빈 원통의 부력부(121)와, 중공 형성되기 위해 부력부(121)의 일단과 타단에 사각 또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부(122)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바지선은 조립식으로 이루어져 설치가 간단하고 시공이 용이하며, 분리가 가능하여 유지 관리가 쉽고, 육상교통수단을 이용하여 운송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호수나 저수지 등의 물속의 지면에 바지선이 고정되어 작업자가 바지선 위에서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맞춤 제작이 가능하거나, 확장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바지선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각형 부력체가 포함된 조립식 바지선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프레임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프레임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형 부력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원형 부력체가 포함된 조립식 바지선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지지대가 포함된 조립식 바지선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지지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지지대가 포함된 조립식 바지선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 부력체가 적층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조립식 바지선
10: 본체, 20: 선외기
100: 부력체, 110: 다각형 부력체,
120, 120a, 120b: 원형 부력체, 121: 부력부,
122, 122a, 122b: 지지부, 123: 결합공
200: 고정프레임, 210: 고정수평바,
220: 고정수직바
300: 연결프레임, 310: 연결수평바,
320: 연결수직바, 330: 연결홈부
400: 미끄럼방지부
500: 고정지지대, 510: 제1고정지지부,
511: 이탈방지부, 520: 제2고정지지부,
521: 바닥지지부, 530: 고정봉,
540: 결합프레임
C: 결합부재, H: 관통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각형 부력체가 포함된 조립식 바지선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프레임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프레임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형 부력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원형 부력체가 포함된 조립식 바지선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지지대가 포함된 조립식 바지선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지지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지지대가 포함된 조립식 바지선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 부력체가 적층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조립식 바지선
10: 본체, 20: 선외기
100: 부력체, 110: 다각형 부력체,
120, 120a, 120b: 원형 부력체, 121: 부력부,
122, 122a, 122b: 지지부, 123: 결합공
200: 고정프레임, 210: 고정수평바,
220: 고정수직바
300: 연결프레임, 310: 연결수평바,
320: 연결수직바, 330: 연결홈부
400: 미끄럼방지부
500: 고정지지대, 510: 제1고정지지부,
511: 이탈방지부, 520: 제2고정지지부,
521: 바닥지지부, 530: 고정봉,
540: 결합프레임
C: 결합부재, H: 관통홀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이 가해질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 특징들, 실시예들 또는 구현예들은 단독으로 또는 다양한 조합들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청구범위에 의해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하고,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사람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바지선은 해상, 항내, 호수, 하천, 저수지, 운하 등에서 중량물을 운반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호수나 저수지 등에서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공사재료와 장비(굴삭기 등)를 운반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립식 바지선은 적재되는 중량물의 형상, 크기 및 중량에 따라 맞춤 제작이 가능할 수 있기에, 크기와 길이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바지선(1)은 본체(10), 부력체(100) 및 고정지지대(50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가 5 내지 8m인 철판으로 상부가 개방되되 내부가 중공 된 사각의 상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본체(10)는 철판을 이용하여 상자 모양이 형성되기 위해 철판과 철판이 맞닿는 안쪽과 바깥쪽 모서리가 용접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철판이 이중구조로 형성되어 본체(10)가 물에 의한 침수를 방지하며, 안쪽에 위치한 철판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철판은 수분이나 염분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연도금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부력체(100)는 본체(10)가 물속에 부유되기 위해 본체(10) 내부에 끼움 결합되어 수용될 수 있다. 이때, 부력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속이 빈 다각형 부력체(110) 또는 원형 부력체(120) 선택되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부력체(100)는 조립식 바지선(1)에 부력을 주기 위해 금속 또는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철,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제조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부력체(100)는 철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수분이나 염분에 의해 철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연도금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각형 부력체(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 된 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체(10) 내부에 안정적으로 수용되되, 파도 등으로 인해 다각형 부력체(11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가 중공 된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형 부력체(1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 된 원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원형 부력체(120)는 본체(10) 내부에 수용될 때, 본체(10)의 바닥면과 닿는 면이 곡선을 이루고 있어 앞서 설명된 다각형 부력체(110) 보다 상대적으로 안정적으로 수용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다각형 부력체(110)는 조립식 바지선이 물에 들어가게 되면, 수압으로 인해 면이 안쪽으로 찌그러지게 되어 조립식 바지선의 부력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원형 부력체(120)는 내부가 빈 원통의 부력부(121)와, 중공 형성되기 위해 부력부(121)의 일단과 타단에 사각 또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부(122)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사각 형상의 철판으로 구성된 지지부(122a)가 부력부(121)의 일단과 타단에 용접 결합될 경우 도 7에 도시된 원형 부력체(120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사각 형상의 철판으로 구성된 지지부(122a)의 가로, 세로 길이가 상기 부력부(121)의 지름과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만일, 사각 형상의 철판으로 구성된 지지부(122a)의 가로, 세로 길이가 상기 부력부(121)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될 경우 부력부(121)에 중공이 형성되지 못해 조립식 바지선(1)에 부력이 발생되지 못할 수 있다.
또, 사각 형상의 철판으로 구성된 지지부(122a)는 복수의 원형 부력체(120a)가 동일 방향으로 연속되어 결합될 때, 복수의 원형 부력체(120a)의 지지부(122a) 간에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조립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공(1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공(123)으로 결합부재(C)가 삽입되어 복수의 원형 부력체(120a)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철판이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부(122b)가 부력부(121)의 일단과 타단에 용접 결합될 경우 도 7에 도시된 원형 부력체(120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형 부력체(120b)는 도 7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부(122b)의 수직면이 부력부(121)의 일단과 타단에 용접 결합되고, 복수의 결합공(123)이 포함된 수평면이 부력부(121)의 바깥 방향으로 배치되어 조립식 바지선의 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원형 부력체(120b)는 지지부(122b)의 수직면 가로, 세로 길이가 부력부(121)의 지름과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만일, 지지부(122b)의 수직면 가로, 세로 길이가 부력부(121)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될 경우 부력부(121)에 중공이 형성되지 못해 조립식 바지선(1)에 부력이 발생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형 부력체들(120b)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연속되어 본체(10) 내부에 1단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복수의 결합공(123)이 포함된 지지부(122b) 수평면이 본체(10) 내부의 바닥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부력체들(120b)이 복수의 결합공(123)이 포함된 지지부(122b) 수평면들이 맞닿아 배치된 경우에 결합공들(123)에 결합부재(C)가 삽입되어, 결합력이 향상되고 결합 시간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만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본체(10) 내부에 2단으로 적층되는 원형 부력체들(120b)의 지지부들(122b)이 맞닿아 안정적으로 적층됨은 물론이다.
이때, 적층된 원형 부력체들(120b)이 보다 더 안정적인 구조를 갖기 위해 맞닿아 배치된 지지부들(122b)에 결합부재(C)를 이용하여 고정결합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결합공(123)이 포함된 지지부(122b)의 수평면이 본체(10) 내부의 바닥면과 맞닿도록 배치되어 1단이 형성될 수 있다.
1단으로 형성된 지지부(122b)의 수평면과 1단 위에 적층되는 복수의 결합공(123)이 포함된 지지부(122b)의 수평면이 맞닿도록 배치되어 2단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이때, 1단과 2단으로 적층되어 맞닿도록 배치된 수평면들의 결합공(123)에 결합부재(C)가 삽입되어 결합력이 향상되고, 결합 시간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원형 부력체들(120b)이 본체(10) 내부에 2단으로 적층되어 수용될 경우에는 1단에 배치되는 지지부(122b) 하부에 위치한 수평면들이 본체(10) 내부 바닥면에 맞닿아 배치되어 본체(10)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결합공(123)은 결합부재(C)와의 결합력이 향상되기 위해, 나사산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C)는 나사 또는 볼트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결합부재(C)로 볼트가 사용될 경우에는 조립식 바지선(1)에 가해지는 진동으로 인해 볼트가 결합공(123)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볼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너트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정지지대(5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외측면에 복수 개가 배치됨으로써, 조립식 바지선이 물속의 지면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물 위에서 작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고정지지대(5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지지부(510), 제2고정지지부(520), 고정봉(530) 및 결합프레임(54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지지부(510)는 고정지지대(500)가 물속 지면에 지지되기 위해 상하로 길이가 늘어나기 위한 제2고정지지부(520)가 삽입될 수 있는 내부가 중공이되, 일측면에 관통홀(H)이 포함된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사각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고정지지부(510)는 삽입된 제2고정지지부(520)가 상측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고정지지부(510)의 상측면에 이탈방지부(511)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지지부(520)는 제1고정지지부(510)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움직여 고정지지대(5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이되, 일측면에 관통홀(H)이 포함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사각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고정지지부(520)는 지면에 고정지지대(500)가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되기 위해, 제2고정지지부(520) 하부면에 바닥지지부(521)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511)와 바닥지지부(521)는 사각 판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봉(530)은 제1고정지지부(510)와 제2고정지지부(520)의 관통홀(H)에 삽입하여 고정지지대(5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고정지지대(500)가 길게 배치되기 위해서는 제1고정지지부(510)의 최하단에 위치한 관통홀(H)과, 제2고정지지부(520)의 최상단에 위치한 관통홀(H)이 일직선상이 되도록 배치시킨 후에 고정봉(530)을 삽입하여 고정시켜 조립식 바지선이 물속의 지면에 고정되어 작업자가 물 위에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예컨대, 고정지지대(500)가 짧게 배치되기 위해서는 제1고정지지부(510)의 최상단에 위치한 관통홀(H)과, 제2고정지지부(520)의 최하단에 위치한 관통홀(H)이 일직선상이 되도록 배치시킨 후에 고정봉(530)을 삽입하여 고정되어 조립식 바지선이 물속에서 이동될 때, 고정지지대(500)가 지면에 걸리지 않아 이동에 어려움이 없는 이점이 있다.
상기 결합프레임(540)은 제1고정지지부(510)가 본체(10) 외측면에 고정 결합되기 위해 제1고정지지부(510) 상측 일부분이 결합프레임(540)에 삽입되고, 본체(10) 외측면에 맞닿는 결합프레임(540)에 결합부재(C)를 이용하여 고정결합 될 수 있다.
이때, 고정지지대(500)는 제1고정지지부(510)가 상기 본체(10) 외측면에 돌출되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만일, 결합프레임(540)에 사용된 결합부재(C)가 풀리게 되어 본체(10) 외측면에 결합된 제1고정지지부(510)가 하부방향으로 내려가게 될 경우에는, 제1고정지지부(510) 상측면에 형성된 이탈방지부(511)에 의해 결합프레임(540)의 측면이 맞닿게 되어 제1고정지지부(510)가 하부방향으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도면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부력체(100)가 본체(10) 내부에 삽입될 경우에 부력체(100)가 인접된 부력체(100) 또는 본체(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프레임(200) 또는 연결프레임(30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200)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부력체(100)가 본체(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10) 내부의 하부면 또는 상부면 가장자리 부분에 결합부재(C)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고정프레임(2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평바(210) 일단에 고정수직바(220)가 수직 방향으로 결합된 형상 즉, ㄱ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부력체(100)가 본체(10)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개의 다각형 부력체(110)가 본체(10)에 결합될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200)이 본체(10) 내부의 하부면과 상부면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개의 원형 부력체(120, 120a, 120b)가 본체(10)에 결합될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200)이 본체(10) 내부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부력부(121)의 상부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3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부력체(100)가 연속하여 조립될 때, 부력체들(100)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프레임(3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수직바(320) 일단과 타단에 각각 연결수평바(310)의 중심부분이 결합되어 연결수직바(320)를 중심으로 양측에 부력체(100)가 삽입될 수 있는 연결홈부(330)가 형성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개의 다각형 부력체(110)가 본체(10)에 결합될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수직바(320)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된 연결홈부(330)에 다각형 부력체(110)가 각각 삽입되고, 연결수평바(310)에 결합부재(C)를 이용하여 다각형 부력체들(110)이 고정결합 될 수 있다.
이때, 연결프레임들(300)은 복수개의 다각형 부력체(110)를 결합함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 모양으로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부력체들(100)이 삽입되어 조립된 본체(10) 위에서 작업할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부력체들(100)이 삽입된 본체(10)의 윗면이 평탄해지기 위해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체들(100)의 윗면 즉, 외부에 노출되는 면에 철판(미도시) 또는 미끄럼방지부(400)가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철판은 외부에 노출되는 부력체들(100)의 윗면에 적층될 수 있다. 여기서 철판은 부력체들(100)의 윗면에 적층되어 내부로 물 또는 습기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철판 위에 미끄럼방지부(400)가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부(400)는 나무판자 또는 고무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나무판자를 이용하여 미끄럼방지부(400)가 철판의 윗면 또는 부력체들(100)의 윗면에 적층될 경우에 나무판자가 물 또는 습기를 흡수하여 곰팡이가 발생되거나, 썩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방습제 또는 방부제로 코팅된 나무판자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고무판을 이용하여 미끄럼방지부(400)가 철판의 윗면 또는 부력체들(100)의 윗면에 적층될 경우에 고무판은 방습성을 갖는 고무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바지선(1)은 각 구성들 간을 결합하기 위해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현장에서 조립과 분리가 가능하여 유지 보수가 가능하고, 육상교통수단을 이용하여 운송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바지선(1)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맞춤 제작이 가능하거나, 확장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1>
앞서 설명된 다각형 부력체(110)가 포함되어 조립되는 조립식 바지선(1)은 본체(10), 다각형 부력체(110)와 고정프레임(200)이 포함될 수 있다.
본체(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형성되기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다각형 부력체(1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 된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2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수평바(210) 일단에 고정수직바(220)가 수직 방향으로 결합된 형상 즉, ㄱ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프레임(200)은 다각형 부력체들(110)이 본체(10) 내부에 연속되어 배치되었을 경우에, 가장 바깥쪽에 배치된 다각형 부력체들(110)의 아랫면과 윗면 바깥쪽에 위치된 모서리 부분을 연결하여 본체(10) 내부에서 다각형 부력체들(110)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각형 부력체(110)가 포함되어 조립되는 조립식 바지선(1)의 조립 방법(S100)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10)가 철판이 이중구조를 갖는 상부가 개방되되 내부가 중공 된 사각의 상자 모양으로 용접되는 단계(S110)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체(10) 내부 바닥면의 가장자리에 위치되는 다각형 부력체들(110)이 연속되어 배치되는 단계(S120)가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연속되어 배치되는 다각형 부력체들(110) 아랫면의 바깥쪽에 위치한 모서리 부분에 각각 고정프레임(200)이 결합부재(C)인 볼트로 고정 결합되어 중심부가 비어 있는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는 단계(S130)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고정프레임(200)이 결합되어 중심부가 비어 있는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 다각형 부력체들(110)이 본체(10) 내부에 삽입되어 끼움 결합되는 단계(S140)가 수행될 수 있다.
이어,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 다각형 부력체들(110)이 끼움 결합된 본체(10)의 비어 있는 부분에 상기 다각형 부력체들(110)이 연속되어 끼움 결합되는 단계(S150)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연속되어 배치되는 다각형 부력체들(110) 윗면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모서리 부분에 각각 고정프레임(200)이 결합부재(C)인 볼트로 고정 결합되어 다각형 부력체들(110)이 포함된 본체(10)가 형성되는 단계(S16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다각형 부력체들(110)이 포함된 본체(10)로 구성된 조립식 바지선(1)은 스스로 움직이지 못하는 비자항식으로 바지선에 실린 중량물 중 굴삭기를 이용하여 움직이거나, 예인선과 연결하여 운행되거나, 밀배를 이용하여 밀어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다각형 부력체들(110)이 포함된 본체(10)로 구성된 조립식 바지선(1)은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자항식이 되기 위해 선외기(20)가 본체(10)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선외기(20)는 공지에 알려진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선외기(20)는 본체(10)의 외측면에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고, 조립식 바지선(1)의 이동 방향을 수월하게 제어하기 위해서 2개 이상의 선외기(20)가 포함될 수 있으나, 조립식 바지선(1)의 크기에 따라 변동될 수 있기에 이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다각형 부력체들(110)이 사용됨에 따라 별도의 평탄화를 위한 작업이 불필요하나, 작업자가 다각형 부력체들(110) 윗면에 서서 작업하여 물이나 습기 등으로 인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속 배치되는 다각형 부력체들(110) 윗면에 미끄럼방지 페인트가 도포될 수 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다각형 부력체(110)가 포함되어 조립되는 조립식 바지선(1)에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프레임(300)과, 미끄럼방지부(40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300)과, 미끄럼방지부(400)를 제외한 다각형 부력체(110)가 포함되어 조립되는 조립식 바지선(1)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기에 생략된다.
상기 연결프레임(300)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다각형 부력체들(110)이 연속하여 조립될 때, 다각형 부력체들(110)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연결프레임(3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수직바(320) 일단과 타단에 각각 연결수평바(310)의 중심부분이 결합되어 연결수직바(320)를 중심으로 양측에 다각형 부력체(110)가 삽입될 수 있는 연결홈부(330)가 형성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부(4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윗면이 평탄해지고, 작업자가 바지선 위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나무판자 또는 고무판이 사용될 수 있다.
다각형 부력체(110)가 포함되어 조립되는 조립식 바지선(1)의 조립 방법(S200)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10)가 철판이 이중구조를 갖는 상부가 개방되되 내부가 중공 된 사각의 상자 모양으로 용접되는 단계(S210)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연속되는 다각형 부력체들(110) 사이에 연결프레임(300)이 삽입되고, 연결프레임(300)이 삽입된 다각형 부력체들(110) 윗면에 결합부재(C)인 볼트로 고정 결합되는 단계(S220)가 수행될 수 있다.
이어, 가로 방향으로 연속되어 결합된 다각형 부력체들(110) 사이에 연결프레임(300)이 결합되어 연결프레임들(300)이 수직으로 결합되어 격자 모양이 형성되는 단계(S230)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연결프레임들(300)이 끼움 결합된 다각형 부력체들(110) 아랫면과 윗면의 바깥쪽에 위치한 모서리 부분에 고정프레임(200)이 결합부재(C)인 볼트로 각각 고정 결합되는 단계(S240)가 수행될 수 있다.
이어, S240 단계를 통해 고정프레임(200)이 결합된 다각형 부력체들(110)이 본체(10) 내부로 삽입되는 단계(S250)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연결프레임들(300)이 결합되어 격자 모양을 갖게 됨에 따라,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으로 미끄럼방지부(400)가 삽입되는 단계(S26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다각형 부력체들(110)이 포함된 본체(10)로 구성된 조립식 바지선(1)은 스스로 움직이지 못하는 비자항식으로 바지선에 실린 중량물 중 굴삭기를 이용하여 움직이거나, 예인선과 연결하여 운행되거나, 밀배를 이용하여 밀어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다각형 부력체들(110)이 포함된 본체(10)로 구성된 조립식 바지선(1)은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자항식이 되기 위해 선외기(20)가 본체(10)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선외기(20)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체(10)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의 다각형 부력체(110)가 포함되어 조립되는 조립식 바지선(1)이 적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조립식 바지선(1)을 이용하여 호수나 저수지 등에서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공사재료와 장비(굴삭기 등)를 운반하기 위해 조립식 바지선(1)의 부력을 높이기 위해 다각형 부력체들(110)이 포함된 본체(10)들이 적층될 수 있다.
예컨대, 다각형 부력체들(110)이 포함된 본체(10) 2개가 적층되며, 적층된 본체(10)와 본체(10) 사이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용접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 4>
앞서 설명된 원형 부력체(120)가 포함되어 조립되는 조립식 바지선(1)은 본체(10), 원형 부력체(120), 고정프레임(200)과, 미끄럼방지부(400)가 포함될 수 있다.
본체(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형성되기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원형 부력체(1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 된 원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원형 부력체(120)는 내부가 빈 원통의 부력부(121)와, 중공 형성되기 위해 부력부(121)의 일단과 타단에 사각 또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부(122)가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사각 형상의 철판으로 구성된 지지부(122a)가 부력부(121)의 일단과 타단에 용접 결합될 경우 도 7에 도시된 원형 부력체(120a)가 형성되고, 철판이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부(122b)가 부력부(121)의 일단과 타단에 용접 결합될 경우 도 7에 도시된 원형 부력체(120b)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0) 내부에 연속되어 배치되는 원형 부력체들(120)은 본체(10) 내부에서 구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철판이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부(122b)가 부력부(121)의 일단과 타단에 용접 결합된 원형 부력체(120b)가 사용되는 것이 좋다.
만일, 부력부(121)의 길이가 본체(1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경우에는 2개의 부력부(121)를 연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2개의 부력부(121)를 일직선상으로 배치시키고, 2개의 부력부(121) 사이에 사각 형상의 철판으로 구성된 지지부(122a)에 부력부들(121)의 타단과 일단이 각각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사각 형상의 철판으로 구성된 지지부(122a)가 타단에 결합된 부력부(121)의 일단에 철판이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부(122b)가 용접 결합되고, 사각 형상의 철판으로 구성된 지지부(122a)가 일단에 결합된 부력부(121)의 타단에 또 다른 철판이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부(122b)가 용접 결합되어, 원형 부력체(120)의 길이를 맞춤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2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기에, 생략한다.
상기 미끄럼방지부(4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기에, 생략한다.
원형 부력체(120b)가 포함되어 조립되는 조립식 바지선(1)의 조립 방법(S300)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10)가 철판이 이중구조를 갖는 상부가 개방되되 내부가 중공 된 사각의 상자 모양으로 용접되는 단계(S310)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내부에 원형 부력체들(120b)이 연속되어 배치되는 단계(S32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S320단계에서, 원형 부력체들(120b)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부(122b)의 수직면이 부력부(121)의 일단과 타단에 용접 결합되고, 수평면이 부력부(121)의 바깥 방향으로 배치되어 원형 부력체들(120b)이 본체(10) 내부에서 구르지 않고 배치된 위치에 고정되는 이점이 있다.
이후, 본체(10) 내부에 연속되어 배치된 원형 부력체들(120b)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10) 내부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부력부(121)의 상부 가장자리 부분에 고정프레임(200)이 배치되어 결합부재(C)인 볼트로 고정 결합되는 단계(S330)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체(10) 내부에 연속되어 배치된 원형 부력체들(120b)의 상부에 미끄럼방지부(400)가 결합되는 단계(S340)가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S340단계는 연속되어 배치된 원형 부력체들(120b) 사이에 홈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그 위에서 작업하기 어렵기에, 이를 평탄화시키고, 미끄럼 저항성을 갖기 위해서 원형 부력체들(120b) 상부에 미끄럼방지부(400)가 배치되어 결합부재(C)인 볼트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원형 부력체(120b)가 포함되어 조립되는 조립식 바지선(1)은 스스로 움직이지 못하는 비자항식으로 바지선에 실린 중량물 중 굴삭기를 이용하여 움직이거나, 예인선과 연결하여 운행되거나, 밀배를 이용하여 밀어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원형 부력체(120b)가 포함되어 조립되는 조립식 바지선(1)은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자항식이 되기 위해 선외기(20)가 본체(10)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선외기(20)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체(10)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4의 원형 부력체(120b)가 적층구조를 갖는 조립식 바지선(1)이 제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조립식 바지선(1)을 이용하여 호수나 저수지 등에서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공사재료와 장비(굴삭기 등)를 운반하기 위해 조립식 바지선(1)의 부력을 높이기 위해 원형 부력체(120b)가 적층될 수 있다.
이때, 적층구조를 갖는 조립식 바지선(1)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원형 부력체(120b)가 수직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수직방향으로 적층된 원형 부력체들(120b)은 하부에 위치한 원형 부력체(120b)의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부(122b)에 포함된 수평면 상부와, 상부에 위치한 원형 부력체(120b)의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부(122b)에 포함된 수평면 하부가 맞닿게 배치되고, 결합부재(C)인 볼트로 고정 결합되어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본체(10)는 원형 부력체들(120b)이 수직방향으로 적층됨에 따라, 그에 맞춰 적층된 원형 부력체들(120b)의 높이와 본체(10)의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형 부력체(120b)가적층되어 조립되는 조립식 바지선(1)의 조립 방법(S400)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10)가 철판이 이중구조를 갖는 상부가 개방되되 내부가 중공 된 사각의 상자 모양으로 용접되는 단계(S410)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내부에 원형 부력체들(120b)이 연속되어 배치되는 단계(S420)가 수행되며, S420단계는 앞서 설명된 실시예 4의 S320단계와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후, 본체(10) 내부에 배치된 원형 부력체들(120b) 상부에 원형 부력체들(120b)이 적층되어 결합되는 단계(S43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S430단계에서 적층 결합된 원형 부력체들(120b)은 하부에 위치한 원형 부력체(120b)의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부(122b)에 포함된 수평면 상부와, 상부에 위치한 원형 부력체(120b)의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부(122b)에 포함된 수평면 하부가 맞닿게 배치되고, 결합부재(C)인 볼트로 고정 결합되어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체(10) 내부에 연속되어 배치된 원형 부력체들(120b)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10) 내부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부력부(121)의 상부 가장자리 부분에 고정프레임(200)이 배치되어 결합부재(C)인 볼트로 고정 결합되는 단계(S440)가 수행될 수 있다.
이후, 본체(10) 내부에 연속되어 배치된 원형 부력체들(120b)의 상부에 미끄럼방지부(400)가 결합되는 단계(S450)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S450단계는 앞서 설명된 실시예 4의 S340단계와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원형 부력체(120b)가 적층되어 조립되는 조립식 바지선(1)은 스스로 움직이지 못하는 비자항식으로 바지선에 실린 중량물 중 굴삭기를 이용하여 움직이거나, 예인선과 연결하여 운행되거나, 밀배를 이용하여 밀어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원형 부력체(120b)가 포함되어 조립되는 조립식 바지선(1)은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자항식이 되기 위해 선외기(20)가 본체(10)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선외기(20)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체(10)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 중 어느 하나의 조립식 바지선(1)에 고정지지대(50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정지지대(500)를 제외한 조립식 바지선(1)의 구성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와 같이 동일하게 형성되기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고정지지대(500)의 구성은 앞서 설명되었기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조립식 바지선(1)에 결합되는 위치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지지대(500)는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외측면에 복수개가 배치되어, 조립식 바지선(1)이 물속의 지면에 고정되어 작업자가 물 위에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예컨대, 고정지지대(500)는 본체(10) 외부 측면에 각각 2개씩 결합되어, 1개의 본체(10)에 4개의 고정지지대(500)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만일, 1개의 본체(10)에 4개 이상의 고정지지대(500)가 결합될 경우에 고정지지대(500)는 안정감을 주는 짝수개로 배치되어 본체(10) 외부 측면에 결합되는 것이 좋다.
상기 고정지지대(500)를 이용한 길이 조절 방법은 앞에서 설명되었기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실시예들의 조립식 바지선(1)에 고정지지대(500)가 포함됨에 따라, 고정지지대(500)의 길이를 조절하여 물속의 지면에 조립식 바지선(1)이 고정됨에 따라, 파도나 빠른 유속 등에 의해 조립식 바지선(1)이 흔들리지 않아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고정지지대(500)가 포함된 조립식 바지선(1)은 물속에서 고정이 가능한 조립식 바지선이라 할 수 있다.
예컨대, 선외기(20)가 포함된 조립식 바지선(1)에 고정지지대(500)가 결합될 경우에는 본체(10) 외부 측면에 각각 결합되되, 선외기(20)와 고정지지대(500)가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 중 어느 하나의 조립식 바지선(1)에 난간이 포함될 수 있다.
난간을 제외한 조립식 바지선(1)은 실시예들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기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난간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일정한 높이로 막아 세우는 구조물로, 조립식 바지선(1)이 이동하거나, 작업자가 조립식 바지선(1) 위에서 작업할 때 조립식 바지선(1)에서 사람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10) 상부 가장자리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난간이 포함된 조립식 바지선(1)은 작업자가 물 위에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수중 고정이 가능한 조립식 바지선으로, 현장에서 바지선을 조립하여 이동이 편리하고, 호수나 저수지 등의 수중에 바지선이 고정되어 작업자가 물 위에서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산업상 이용가능한 발명이다.
Claims (9)
- 일 측이 개방되되, 내부가 중공 된 본체(10);
본체(10)가 물속에 부유되기 위해 본체(10) 내부에 연속하여 배치되되, 원기둥으로 형성되는 원형 부력체(120b);
원형 부력체(120b)가 본체(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10) 내부의 하부면 또는 상부면 가장자리 부분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200);
원형 부력체(120b) 상부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본체(10)의 윗면이 평탄해지는 미끄럼방지부(400); 및
본체(10)가 물속의 지면에 고정되기 위해 본체(10) 외측면에 고정지지대(500);가 포함되며,
본체(10)는 철판이 이중구조로 형성되어 물에 의한 침수 및 안쪽에 위치한 철판의 부식을 방지하고,
원형 부력체(120b)는 금속으로 제조되며 내부가 빈 원통의 부력부(121)와, 중공 형성되기 위해 부력부(121)에 지지부(122b)가 결합되며,
지지부(122b)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수직면이 부력부(121)의 일단과 타단에 용접 결합되고, 복수의 결합공(123)이 포함된 수평면이 부력부(121)의 바깥 방향으로 배치되어, 본체(10) 내부에서 원형 부력체(120b)가 구르지 않고 배치된 위치에 고정되며,
미끄럼방지부(400)는 방습제 또는 방부제로 코팅된 나무판자가 사용되거나, 방습성을 갖는 고무판이 사용되고,
고정지지대(500)는 제2고정지지부(520)가 삽입될 수 있는 내부가 중공이되, 일측면에 관통홀(H)이 포함된 사각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측면에 이탈방지부(511)가 포함된 제1고정지지부(510);
일측면에 관통홀(H)이 포함된 사각 프레임으로 형성되되, 제1고정지지부(510)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움직여 고정지지대(5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이고, 하부면에 바닥지지부(521)가 포함된 제2고정지지부(520);
길이 조절된 고정지지대(500)를 고정하기 위해 제1고정지지부(510)와 제2고정지지부(520)의 관통홀(H)에 삽입이 가능한 고정봉(530); 및
제1고정지지부(510)가 본체(10) 외측면에 고정 결합되기 위한 결합프레임(540);가 포함되며,
원형 부력체들(120b)이 수평방향으로 연속되어 본체(10) 내부에 배치되면, 지지부(122b) 수평면이 본체(10) 내부의 바닥면과 수직을 이루고, 결합공들(123)에 결합부재(C)가 삽입되어 결합력 향상 및 결합 시간이 단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고정이 가능한 조립식 바지선.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조립식 바지선이 이동 가능하기 위해 본체(10)에 선외기(2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고정이 가능한 조립식 바지선. - 청구항 1에 있어서,
원형 부력체(120b)가 본체(10)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2단 적층되도록 배치되면, 지지부(122b)의 수평면이 본체(10) 내부의 바닥면과 맞닿도록 배치되어 1단이 형성되고, 1단에 형성된 지지부(122b)의 수평면과 2단에 형성된 지지부(122b)의 수평면이 맞닿아 배치되되, 1단과 2단의 결합공(123)에 결합부재(C)가 삽입 결합되어 조립식 바지선의 부력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고정이 가능한 조립식 바지선.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9425A KR102404985B1 (ko) | 2020-12-07 | 2020-12-07 | 수중 고정이 가능한 조립식 바지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9425A KR102404985B1 (ko) | 2020-12-07 | 2020-12-07 | 수중 고정이 가능한 조립식 바지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04985B1 true KR102404985B1 (ko) | 2022-06-02 |
Family
ID=81985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69425A KR102404985B1 (ko) | 2020-12-07 | 2020-12-07 | 수중 고정이 가능한 조립식 바지선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04985B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7401Y1 (ko) * | 2003-05-19 | 2003-09-19 |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 항만용 가설 부도 |
KR101420413B1 (ko) * | 2013-03-06 | 2014-07-16 | 허두회 | 수상선착장 부력체 고정구조 |
JP2014201303A (ja) * | 2013-04-04 | 2014-10-27 | 株式会社 ▲高▼▲橋▼監理 | 津波対応浮上式小部屋(ガイドタワー式) |
KR20140135878A (ko) * | 2013-05-16 | 2014-11-27 |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 풍력발전기 설치용 바지선 |
KR101681289B1 (ko) * | 2016-01-19 | 2016-12-05 | 주식회사 지주 | 부유식 수상 구조물의 미끄럼방지기능과 난연성능을 가진 발판부재, 그 발판부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KR20170042243A (ko) * | 2015-10-08 | 2017-04-18 | 강흥묵 | 수상용 부상조립체 |
JP2020526444A (ja) * | 2017-07-10 | 2020-08-31 | ソレタンシュ フレシネSoletanche Freyssinet | 浮遊構造体を繋ぎ留めるための係留装置 |
-
2020
- 2020-12-07 KR KR1020200169425A patent/KR10240498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7401Y1 (ko) * | 2003-05-19 | 2003-09-19 |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 항만용 가설 부도 |
KR101420413B1 (ko) * | 2013-03-06 | 2014-07-16 | 허두회 | 수상선착장 부력체 고정구조 |
JP2014201303A (ja) * | 2013-04-04 | 2014-10-27 | 株式会社 ▲高▼▲橋▼監理 | 津波対応浮上式小部屋(ガイドタワー式) |
KR20140135878A (ko) * | 2013-05-16 | 2014-11-27 |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 풍력발전기 설치용 바지선 |
KR20170042243A (ko) * | 2015-10-08 | 2017-04-18 | 강흥묵 | 수상용 부상조립체 |
KR101681289B1 (ko) * | 2016-01-19 | 2016-12-05 | 주식회사 지주 | 부유식 수상 구조물의 미끄럼방지기능과 난연성능을 가진 발판부재, 그 발판부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JP2020526444A (ja) * | 2017-07-10 | 2020-08-31 | ソレタンシュ フレシネSoletanche Freyssinet | 浮遊構造体を繋ぎ留めるための係留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199502B1 (en) | Concrete module for floating structures and method of construction | |
US3157144A (en) | Marine float | |
US8402908B2 (en) | Dock system | |
US3448709A (en) | Marine float construction | |
US7640881B1 (en) | Dock system | |
US6179525B1 (en) | Floating dock section | |
US3614937A (en) | Pontoon structure | |
KR101500283B1 (ko) | 다목적 수상구조물용 폰툰 | |
US6089176A (en) | Apparatus for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floating dock structure | |
KR100932050B1 (ko) | 종강도가 보강된 바지선 | |
KR100956519B1 (ko) | 스냅핏 착탈 조립식 중공단면 섬유강화 복합소재 데크를이용한 부잔교 | |
KR102014812B1 (ko) | 해상 구조물용 부력체 | |
KR101694406B1 (ko) | 요동저감형 해상 부유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 |
WO2003064246A1 (en) | Cellular spar apparatus and method of its construction | |
US6205945B1 (en) | Floating dock including buoyant wharf modules and method of making such modules | |
US3779192A (en) | Modular concrete floatation unit | |
KR101009264B1 (ko) | 수상구조물용 부유조립체 | |
US4602587A (en) | Float structure | |
KR20170107081A (ko) | 플로팅 플랫폼 모듈 | |
KR102404985B1 (ko) | 수중 고정이 가능한 조립식 바지선 | |
US6786165B2 (en) | Pontoo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
KR102417512B1 (ko) | 친환경 부유식 해상구조물 | |
KR102200448B1 (ko) | 부력 보강용 에어파이프를 갖는 양식장용 부유식 구조물 | |
US4803943A (en) | Floating docks | |
EP0461301A1 (en) | Multi-part ship construction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