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1456A - 수상 가옥 - Google Patents

수상 가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1456A
KR20100041456A KR1020080100644A KR20080100644A KR20100041456A KR 20100041456 A KR20100041456 A KR 20100041456A KR 1020080100644 A KR1020080100644 A KR 1020080100644A KR 20080100644 A KR20080100644 A KR 20080100644A KR 20100041456 A KR20100041456 A KR 20100041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e
water
frame
floating
buoya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0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3856B1 (ko
Inventor
이성신
Original Assignee
(주) 동방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동방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 동방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080100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3856B1/ko
Publication of KR20100041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1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16Soil water dischar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6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26Stationary floating buildings for human use, e.g. floating dwellings or floating restaur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상 가옥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수상 가옥 내에서 생활이 전혀 불편함이 없으며, 오폐수 정화시설을 갖춤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수상 가옥에 관한 것으로,
사람이 생활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가옥과;
상기 가옥을 지지하고 부력을 제공하되, 상면에 다수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상판이 형성되고, 일정 길이를 가진 다수의 부구가 마련되어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육면체 형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출몰가능한 확장판이 더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수상, 가옥, 부구.

Description

수상 가옥{A house built on stilts over the water}
본 발명은 수상 가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상 가옥 사용자가 수상 가옥 내에서 생활이 전혀 불편함이 없으며, 오폐수 정화시설을 갖춤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수상 가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상(水上) 가옥은 단어의 뜻대로, 대지에 고정된 형태가 아닌 물위에서 사람이 생활할 수 있도록 하는 생활 공간이다.
이러한 수상 가옥은 일반적으로, 부구를 이용하여 부력을 유지하며, 부구 상에 일정 크기의 상판을 깔고 조립식 주택을 이용하여 설치되고 있으며, 호수, 바다, 낚시터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상 가옥은 그 내부에 사람이 생활할 수 있는 각종 여건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특히, 생활을 위한 식수가 부족하다. 또한, 사람이 생활하면서 발생하는 각종 오폐수를 저장하거나, 정화하는 설비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오폐수를 물로 그대로 방출하게 되어 수질 오염의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부력을 유지하는 상기 부구는 단순히 스티로폼 재질로 된 것을 엮어서 사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는바, 결합력이 충분하지 않음과 아울러 장시간 사용할 경우 스티로폼이 부식되고 떨어져 나가면서 수상 가옥의 구조적 불안감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기술에서 도출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수상 가옥 내에서 생활이 전혀 불편함이 없으며, 오폐수 정화시설을 갖춤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수상 가옥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수상 가옥은 부력의 확보가 용이하여 안정적으로 물 위에 떠 있을 수 있게 되며, 용수공급이 용이함에 따라 사용자가 수상 가옥 내에서 편리하게 생할할 수 있으며, 오폐수 정화시설을 갖춤으로써, 환경오염 또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상 가옥은 상판과 부구를 조립식으로 형성함에 따라 제작 및 수리가 간편하고, 외력에 의해 쉽게 손상되지 않도록 부구의 구조를 개선하고 부구가 클램프를 통하여 결합되므로 부구의 이탈에 따른 손상의 우려가 해소되며, 더불어 확장판을 구비함으로써 수상 가옥 상부의 공간을 보다 넓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람이 생활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가옥과;
상기 가옥을 지지하고 부력을 제공하되, 상면에 다수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상판이 형성되고, 일정 길이를 가진 다수의 부구가 마련되어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육면체 형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출몰가능한 확장판이 더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가옥을 제안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도 1 내지 도 9를 참고로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상 가옥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 라인에 따른 일부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 라인에 따른 일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상 가옥은 사람이 생활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가옥(100)과, 상기 가옥(100)을 지지하고 부력을 제공하는 지지부(200)로 이루어진다.
가옥(100)은 일반적인 조립식 주택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는 생활에 필요한 각종 상하수도 시설 및 냉장고, 전열기 등의 시설이 마련될 수 있으나, 그 자세한 구조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가옥(100)은 그 지붕에 사람의 생활에 필요한 각종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태양 전지판(110)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태양 전지판(110)은 실리콘 타입 또는 염료 감응형의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가옥(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상기 태양 전지판(110)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충전 수단이 마련되는바, 공지의 수단을 채택할 수 있음에 따라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지지부(200)는 상·하면이 4측면보다 큰 납작한 형태의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금속 또는 합성수지, 목재로 형성된 봉을 선택하여 육면체 형상으로 틀을 짜서 프레임(210)을 형성함으로써 기본 틀을 갖추게 되는바, 바람직하게는 금속재질의 H빔 또는 I빔을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210)을 형성함으로써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프레임(210)의 내부 공간에는 다수의 부구(220)가 끼워지게되며, 상면에는 상판(230)이 형성 된다. 상기 부구(220)는 본 발명의 수상 가옥이 물 위에 부유할 수 있도록 부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그 내부가 발포 수지 등으로 충진된 부력체(220A)를 기본 구성으로 하는 것이며, 내부가 비어 용수가 충진되는 용수공급탱크(220B) 및 내부에 오폐수를 처리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된 오폐수 처리기(220C)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부력체(220A), 용수공급탱크(220B), 오폐수 처리기(220C)는 모두 부력을 부여하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인데, 특히 용수 공급 탱크(220B)는 가옥(100)에서 생활하는 사람에게 용수를 공급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오폐수 처리기(220C) 는 가옥(100)에서 생활하는 사람이 생활하는 도중 발생하는 각종 오폐수를 수집하고, 정화하는 장치로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상판(230)은 사람이 생활할 수 있도록 평평한 면을 형성하게 되는바, 프레임(210)의 상면을 커버하는 다수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는 슬라이드 가이드(211)에 끼워져 설치됨으로써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출몰이 가능하게 구성되는바,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211)는 프레임(210) 상면에 단면 'ㄷ'자 형태의 봉을 일정 간격을 띄워 대향되게 고정함으로써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판(230)과 상기 프레임(210) 사이에는 출몰가능한 확장판(240)을 더 형성하여 줄 수 있다. 상기 확장판(240)은 상기 상판(230)이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ㄷ' 형상의 슬라이드 가이드(241)를 일정 간격을 띄워 대향되게 설치한 다음 그 사이에 상기 확장판(240)을 끼워서 출몰가능하게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확장판(240)을 형성함으로써 필요시 외부로 돌출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더욱 확장된 공간 활용이 가능해 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확장판(240)은 돌출되는 정도를 제한하기 위하여 그 끝단이 서랍의 레일과 같은 형태(도시되지 않음)를 이룰 수 있으며, 외부로 드러나는 부분 말단에는 잡아 당길수 있도록 손잡이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공지의 기술을 채택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상 가옥의 부력체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상 가옥의 부력체(220A)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서 일정 길이를 가지게 형성되는 내부가 빈 케이스(221) 와, 상기 케이스(221)의 내부에 설치되어 발포 수지가 주입되는 통로 역할을 하는 수지도포관부(223)와, 상기 수지도포관부(223)에 주입되는 발포 수지를 상기 케이스(221)의 내부에 고르게 분포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관부(224)와, 상기 수지도포관부(223)에 삽입되어 상기 보조관부(224)의 사이에 간격을 띄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리판넬부(225)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에 따라 수지도포관부(223)에 발포 수지를 주입하게 되면 보조관부(224)를 통해 발포 수지가 배출되어 케이스(221) 내부에 충전된다. 이때, 분리판넬부(225)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케이스(221) 내부에 골고루 발포 수지를 충전하여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상 가옥의 용수 공급 탱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상 가옥의 용수 공급 탱크(220B)는 부력을 형성하는 기능을 하되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서, 내부에 용수를 채울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용수 공급 탱크(220B)는 일측에 내부로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 공급관(220B-1)이 설치되고, 타측에는 용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용수 배관(220B-2)이 설치된다. 용수는 통상 모터로 뽑아 올려 사용하게 되며, 용수의 양을 점검할 수 있도록 수위 확인장치를 설치할 수 있으며, 상부에 내부 청소등을 위한 뚜껑(220B-3)을 착탈가능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상 가옥의 오폐수 처리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상 가옥의 오폐수 처리기(220C) 또한 부력을 형성하는 기능을 하되, 그 내부가 공동(空洞, cavity)으로 형성되어서 그 공간에 오폐수를 처리할 수 있는 설비가 설치되게 된다.
즉, 일측에는 내부로 오폐수가 유입되는 오페수 유입관(220C-1)이 설치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정화된 정화수를 배출하는 배출관(220C-2)이 설치되는 구성에 더해, 내부 공간이 다수의 분리막(220C-8)에 의해 구분되어 유량 조절실(220C-3), 접촉폭기실(220C-4,5,6), 침전실(220C-7)이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량 조절실(220C-3), 접촉폭기실(220C-4,5,6), 침전실(220C-7)의 상부에는 내부 청소등을 위한 뚜껑(220C-9)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분리막(220C-8)은 상단 부분은 막히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서, 상단부분에 구멍을 뚫어 주거나 또는 일정 높이까지만 분리막(220C-8)이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는바, 유입되는 오폐수가 분리막(220C-8)을 넘어 흘러 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오폐수가 자연스럽게 넘어 흘러갈 수 있도록 상기 분리막(220C-8)의 상단 높이는 갈수록 낮아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오페수 유입관(220C-1)으로 유입된 오폐수는 유량 조절실(220C-3)에 유입되어 머물게 되고,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이물질이 침전되게 된다. 이와 같이 유량 조절실(220C-3)에 침전된 이물질은 상부에 형성된 뚜껑(220C-9)을 통해 외부로 퍼 내 주게 된다.
이후, 오폐수가 더 유입되어 유량 조절실(220C-3)이 넘치게 되면 오폐수는 분리막(220C-8)을 넘어 접촉폭기실(220C-4,5,6)을 차례로 채워주게 된다. 상기 각 접촉폭기실(220C-4,5,6)에서는 부유물질이 재차 침전됨과 아울러 약품을 사용하여 이이물질을 분해하여 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접촉폭기실(220C-4,5,6)이 차례로 채워져 넘치게 되면 정화된 물이 분리막(220C-8)을 넘어 침전실(220C-7)로 유입되게 되는바, 마지막으로 한번 더 침전시킨 후 이를 외부로 배출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프레임과 부구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프레임(210) 내부에 삽입되는 부구(220)는 링 형태의 클램프(250)를 사용하여 프레임(2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클램프(250)는 동일한 형상의 좌·우 결합구(250a)(250b)로 이루어지는바, 상기 결합구(250a)(250b)는 반원형의 몸체(251) 상·하 끝단에서 연신된 네크(25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네크(252)의 끝단에는 접철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플랜지(25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네크(252)와 플랜지(253)에는 볼트를 관통시킬 수 있는 통공(252-1)과 볼트 결합공(253-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210)에도 상기 볼트 결합공(253-1)과 대응하는 볼트공이 형성되어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우선, 프레임(210)의 내부 공간에 다수의 부구(220)를 삽입하고, 상기 부구(220)의 좌·우측에 클램프(250)의 좌·우 결합 구(25a, 250b)를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프레임(210)에 상기 플렌지(253)의 볼트 결합공(253-1)에 대응하는 위치에 볼트공을 형성하고, 상기 볼트공과 볼트 결합공(253-1)을 이용하여 클램프(250)를 프레임(210)에 고정시킨다. 앞서 예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210)을 H빔 또는 I빔을 이용하여 형성하게 되면 프레임(210)에 볼트공을 천공하기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클램프(250)를 프레임(210)에 고정시킨 후, 상기 네크(252)의 통공(252-1)에 볼트를 삽입하고 반대편에 너트를 결합하여, 부구(220)를 프레임(210)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플렌지(253)의 볼트 결합공(253-1)을 도면상 좌우로 길게 형성하게 되면 상기 볼트를 잠가줄 수록 플렌지(253) 사이의 간격이 감소하게 되는바, 상기 네크 사이의 공간이 감소하므로 더욱 견고하게 부구(220)를 잡아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기본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의한 수상가옥은 상판(230)과 확장판(240)의 방향을 바꾸어 다르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A 라인 단면도,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B-B 라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230)을 구성하는 플레이트는 슬라이드 가이드(211)의 설치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조립되는 방향 및 출몰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확장판(240) 또한 슬라이드 가이드(241)의 설치 방향을 조절함으 로써 출몰되는 방향을 원하는 대로 형성하여 줄 수 있다. 즉, 가로 세로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이드(211)(241)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여 주는 것이며, 이러한 구조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의 입장에서는 당연한 설계 변경사항이다.
도면 중 부호는 도 2, 3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부기한 것인바, 미 설명부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수상가옥을 수상에 설치하게 되면 수상가옥에서 생활하는 자가 용수를 안정적으로 공급받으면서 수일간의 안정적인 생활이 가능한바, 레저용, 낚시터, 양식장에서 사람이 생활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용도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상 가옥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라인에 따른 일부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 라인에 따른 일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상 가옥의 부력체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상 가옥의 용수 공급 탱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상 가옥의 오폐수 처리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성도.
도 7은 프레임과 부구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A 라인 단면도.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B-B 라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가옥, 110; 태양 전지판,
200; 지지부, 210; 프레임,
220; 부구, 220A; 부력체,
220B: 용수 공급 탱크, 220C : 오폐수 처리기,
230; 상판, 240; 확장판,
250 : 클램프.

Claims (6)

  1. 사람이 생활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가옥과;
    상기 가옥을 지지하고 부력을 제공하되, 상면에 다수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상판이 형성되고, 일정 길이를 가진 다수의 부구가 마련되어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육면체 형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출몰가능한 확장판이 더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가옥.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와 확장판은 대향되어 설치된 단면이 'ㄷ'자 형상인 슬라이드 가이드에 끼워져 조립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가옥.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는,
    내부에 발포 수지가 충진되는 부력체, 내부에 용수가 충진되는 용수공급탱크, 내부에 오폐수 정화설비가 설치되는 오폐수 처리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가옥.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는,
    내부가 빈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발포제가 주입되는 수지도포관부와, 상기 수지도포관부에 주입되는 발포제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고르게 분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관부와, 상기 수지도포관부에 삽입되어 상기 보조관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판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가옥.
  5. 제1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는,
    반원형의 몸체 상·하 끝단에서 연신된 네크와, 상기 네크의 끝단이 접철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플랜지를 구비하는 좌·우 결합구로 이루어지는 클램프를 통하여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가옥.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결합구의 네크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볼트가 체결됨으로써 부구를 감싸게 되고, 상기 플랜지에는 볼트 결합공이 형성되어 볼트가 상기 볼트 결합공을 관통하여 프레임에 박혀 고정됨으로써 부구가 고정되게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가옥.
KR1020080100644A 2008-10-14 2008-10-14 수상 가옥 KR101013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644A KR101013856B1 (ko) 2008-10-14 2008-10-14 수상 가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644A KR101013856B1 (ko) 2008-10-14 2008-10-14 수상 가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456A true KR20100041456A (ko) 2010-04-22
KR101013856B1 KR101013856B1 (ko) 2011-02-14

Family

ID=42217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0644A KR101013856B1 (ko) 2008-10-14 2008-10-14 수상 가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385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500B1 (ko) * 2010-08-04 2011-01-04 주식회사 혁신 푼툰수납틀이 구비된 조립식 부유해상구조물
KR101420413B1 (ko) * 2013-03-06 2014-07-16 허두회 수상선착장 부력체 고정구조
WO2018105977A1 (ko) 2016-12-06 2018-06-14 이영석 수중 부양식 수상 가옥
CN110397307A (zh) * 2019-08-05 2019-11-01 陈力行 一种两栖框架房
KR200494915Y1 (ko) * 2020-11-04 2022-01-24 허영웅 낚시터용 방갈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864B1 (ko) 2011-06-30 2012-01-18 조한표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
CN103661825A (zh) * 2012-09-24 2014-03-26 蒋洋 水上房屋及对所述水上房屋的控制方法
CN104908884B (zh) * 2014-11-08 2017-03-08 烟台海升新材料有限公司 一种快速建造海面漂浮人工岛的方法
KR102173225B1 (ko) * 2019-11-01 2020-11-03 송민철 레저선박의 하우스모듈 도킹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7273A (ja) * 1994-04-05 1995-10-24 Yamaha Motor Co Ltd 居住設備付き浮遊体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500B1 (ko) * 2010-08-04 2011-01-04 주식회사 혁신 푼툰수납틀이 구비된 조립식 부유해상구조물
KR101420413B1 (ko) * 2013-03-06 2014-07-16 허두회 수상선착장 부력체 고정구조
WO2018105977A1 (ko) 2016-12-06 2018-06-14 이영석 수중 부양식 수상 가옥
US11447213B2 (en) 2016-12-06 2022-09-20 Young Seok Lee Submerged-floating type water house
CN110397307A (zh) * 2019-08-05 2019-11-01 陈力行 一种两栖框架房
KR200494915Y1 (ko) * 2020-11-04 2022-01-24 허영웅 낚시터용 방갈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3856B1 (ko) 2011-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3856B1 (ko) 수상 가옥
KR102523801B1 (ko) 수상 풍력 터빈 플랫폼을 위한 선체
KR101642949B1 (ko) 해상 부유식 발전장치
KR100763750B1 (ko) 자가 발전형 수질 정화장치
KR101642948B1 (ko) 해상 부유식 발전장치
US20050198730A1 (en) Floating swimming pool apparatus
KR101923543B1 (ko) 밸러스트탱크를 이용한 각도 조절 기능이 구비된 수상 태양광 발전 장치
KR102456289B1 (ko) 파력, 풍력 및 태양광발전을 위한 해상 부유식 플랫폼을 구비한 복합 재생에너지 생산시스템
AU752766B2 (en) Method of dissolving water-soluble gas in sea for isolation into deep sea, device therefor, laying method for device
US20100146695A1 (en) Floating station for aquatic exercises
KR20100000010U (ko) 밸러스트 탱크용 에어 벤트 메니폴드
KR100986820B1 (ko) 막힘방지형 고효율 산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CN109707557B (zh) 一种可移动海洋潮汐能泵水设备
KR101834249B1 (ko) 수상 블로워 하우스를 통한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폭기 시스템
KR20050063147A (ko) 부표식 공기 산기장치
CN105417740A (zh) 一种深水湖泊分层增氧的方法和装置
CN214142009U (zh) 一种水质净化用生态修复漂带
RU191965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KR20150057142A (ko) 조립식 수상가옥
CN217267355U (zh) 一种水面自巡航撇沫器
CN220826642U (zh) 水下耐压密封舱
CN217628063U (zh) 一种组合式化粪池
JPH10338918A (ja) 無動力海水交換装置
KR102431949B1 (ko) 연못용 물 배출 장치
CN212799815U (zh) 生化池进水引流消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