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915Y1 - 낚시터용 방갈로 - Google Patents

낚시터용 방갈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915Y1
KR200494915Y1 KR2020200003978U KR20200003978U KR200494915Y1 KR 200494915 Y1 KR200494915 Y1 KR 200494915Y1 KR 2020200003978 U KR2020200003978 U KR 2020200003978U KR 20200003978 U KR20200003978 U KR 20200003978U KR 200494915 Y1 KR200494915 Y1 KR 2004949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wning
fishing
base frame
bungalow
chayangma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9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영웅
이성종
Original Assignee
허영웅
이성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영웅, 이성종 filed Critical 허영웅
Priority to KR20202000039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9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9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9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2Awnings, including rigid weather protection structures, e.g. sunroofs; Tarpaulins; Accessories for awnings or tarpaul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63B2029/027Removable walls, e.g. for temporarily erecting cabin spaces in ship hold, or for subdividing living areas into smaller units; Fittings for removable wall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63B29/04Furniture peculiar to vessels
    • B63B2029/043Seats; Arrangements thereof on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26Stationary floating buildings for human use, e.g. floating dwellings or floating restaurants

Abstract

본 고안은 그늘막의 사용이 편리하며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지켜줄 수 있는 등 다기능을 가지는 낚시터용 방갈로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사적 거처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육면체 형태의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 위에 설치되는 지붕유닛;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하단에 설치되는 바닥판;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바닥판의 일측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바닥판의 타측에 낚시를 하기 위한 데크가 마련되도록 하며 사방이 막힌 룸을 제공하는 벽체; 상기 데크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햇빛을 가리기 위한 차양막장치;를 포함하는 낚시용 방갈로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장치는 차양막; 및 상기 차양막이 펼쳐져 설치되거나 접혀저 걷히도록 하기 위한 차양막 폴딩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차양막 폴딩기구는 낚시대를 물로부터 위로 들어올릴 때는 걷히도록 하며, 상기 낚시대를 물에 드리울 때는 다시 원상태로 펼쳐지도록 하는 스위칭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낚시터용 방갈로{Bungalow For Fishing}
본 고안은 소형 또는 이동식 가옥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그늘막의 사용이 편리하며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지켜줄 수 있는 등 다기능을 가지는 낚시터용 방갈로에 관한 것이다.
방갈로(bungalow)는 원래 인도의 벵골 지방 특유의 단층에 베란다가 달린 작은 목조 가옥을 가리켰는데, 인도가 식민지로 있을 당시에 현지의 서양인들 사이에 퍼지고, 얼마 후에는 이 양식이 영국 본토나 미국 서부에 건너가서 발달하였다.
방갈로는 지붕의 물매가 완만하고 처마끝이 많이 나온 주거용 건물로, 거실의 주위를 베란다로 둘러싼 구성을 갖는 것으로서 별장이나 피서지에 많이 설치된다. 그러나 근래에는 낚시터, 캠핑장, 휴양지 등의 이용객에 의한 단기간의 생활을 위하여 방갈로가 널리 설치된다. 이러한 용도의 방갈로는 가옥으로서의 최소한의 요건을 구비하고 있다.
본 고안은 낚시터에 사용되는 방갈로의 제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낚시터용 방갈로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수면 위에 설치된다. 사용자는 방갈로 전방에 마련되어 있는 데크에 낚시의자를 놓고 앉아서 낚시대를 물에 드리워 낚시를 한다. 데크 위에는 그늘막을 만들기 위한 차양막이 설치되기도 한다. 종래의 방갈로에 설치되는 차양막은 고정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물고기를 낚아채어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차양막이 낚시대와 부딪히는 일이 흔히 있었다.
이것은 낚시대를 손상시키기도 하고 낚시 작업을 방해하기도 하는 문제를 낳는다.
또한 종래의 낚시터용 방갈로는 옆에 설치된 방갈로와의 관계에서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쉽게 노출되는 구조적 문제를 갖고 있다. 또한 종래의 낚시터용 방갈로는 개인이 혼자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한 구성을 갖고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16129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20-0039992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다양한 기능의 낚시터용 방갈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햇빛을 가리기 위한 차양막에 의해 낚시가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개인 프라이버시를 보호해줄 수 있으며, 혼자 사용하기에도 적합한 구조를 갖는 낚시터용 방갈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사적 거처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육면체 형태의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 위에 설치되는 지붕유닛;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하단에 설치되는 바닥판;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바닥판의 일측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바닥판의 타측에 낚시를 하기 위한 데크가 마련되도록 하며 사방이 막힌 룸을 제공하는 벽체; 상기 데크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햇빛을 가리기 위한 차양막장치;를 포함하는 낚시용 방갈로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장치는 차양막; 및 상기 차양막이 펼쳐져 설치되거나 접혀저 걷히도록 하기 위한 차양막 폴딩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차양막 폴딩기구는 낚시대를 물로부터 위로 들어올릴 때는 걷히도록 하며, 상기 낚시대를 물에 드리울 때는 다시 원상태로 펼쳐지도록 하는 스위칭수단을 포함하는 낚시터용 방갈로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스위칭수단은;
차양막의 후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권취축; 상기 권취축을 일방향으로 축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차양막이 롤형태로 권취되도록 하는 권취축 회전수단;
일단은 상기 차양막의 선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서, 자중에 의해 상기 차양막이 펼쳐지도록 하는 차양막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양막지지대는 상기 차양막의 전단부가 고정되는 횡바와, 상기 횡바의 양단에 직각으로 연결되어 있는 고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연결되는 한쌍의 종바로 구성됨으로써 "
Figure 112020117767791-utm00001
"의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권취축 회전수단은 태엽스프링, 모터 또는 중량추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바닥판에는 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벽체는 상기 레일을 따라서 기동하게끔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벽체는 외벽체와; 상기 외벽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거동하면서 상기 룸의 넓이를 조절할 수 있게끔 하는 내벽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최대한 열게 되면 측방을 시각적으로 가릴 수 있는 가림수단으로 사용되는 여닫이문이 전방벽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내벽체의 후벽체의 내벽면에는 필요시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 접이식 평상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차양막을 낚시의 상황에 따라서 펼치거나 접을 수 있음으로써 낚시할 때 차양막이 거추장스럽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낚시터용 방갈로가 제공된다. 또한 룸을 형성하기 위한 벽체의 넓이를 조정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넓게도 사용하고 좁게도 사용할 수 있는 가변형 방갈로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여닫이문을 가림막으로 이용함으로써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더 보호할 수 있게 하며, 필요에 따라 개방공간을 넓게 함으로써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하는 낚시터용 다용도 방갈로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낚시터용 방갈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낚시터용 방갈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낚시터용 방갈로의 내부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낚시터용 방갈로의 벽체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낚시터용 방갈로의 차양막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낚시터용 방갈로의 차양막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낚시터용 방갈로의 평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낚시터용 방갈로의 차양막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낚시터용 방갈로의 차양막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낚시터용 방갈로의 차양막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기본적으로 참조하되, 필요한 곳에서 다른 도면을 인용하는 형식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낚시터용 방갈로(이하, '방갈로'라 한다)는 베이스프레임(10), 지붕유닛(20), 바닥판(13), 벽체(30,50) 및 차양막장치(70)를 포함한다.
베이스프레임(10)은 방갈로의 기본적인 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육면체 형태로 되어 있다. 특히 장방형 육면체로 되어 있으며, 길이가 예를 들어 3 ~ 10m가 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10)은 바닥프레임(11)과 기둥(12)을 포함할 수 있다.
지붕유닛(20)은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에 걸쳐지게끔 설치된다. 바닥판(13)은 베이스프레임(10)의 하단에 설치된다. 베이스프레임(10)은 수면 위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미도시된 지지대에 의해 바닥에서 이격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바닥판(13)과 지붕유닛(20)의 사이에는 밀폐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벽체(30,50)가 설치된다. 벽체(30,50)는 사용자의 사적공간인 룸(room)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벽체(30,50)에는 창(window)이 마련되어 있다.
벽체(30,50)는 베이스프레임(10)을 이용하여 바닥판(13)의 일측에 치우치도록 설치됨으로써 바닥판(13)의 타측에 낚시를 하기 위한 데크가 마련되도록 한다. 도 1에는 데크에 낚시의자(100)가 놓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햇빛을 가리기 위한 차양막장치(70)는 데크의 직상부에 설치된다. 차양막장치(70)는 데크에서 낚시를 즐기는 사용자에게 그늘을 제공한다. 차양막장치(70)는 베이스프레임(10)이나 지붕유닛(20)에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차양막장치(70)가 베이스프레임(10)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된다.
차양막장치(70)는 차양막(71)과, 이 차양막(71)이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하기 위한 차양막 폴딩기구를 포함한다. 차양막 폴딩기구는 낚시대(P, 도 6 참조)를 물로부터 위로 들어올릴 때는 걷히도록 하며, 낚시대(P)를 물에 드리울 때는 다시 원상태로 펼쳐지도록 하는 스위칭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차양막 폴딩기구, 특히 그의 스위칭수단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차양막(71)의 후단에 권취축(73)이 고정된다. 권취축(73)은 베이스프레임(10), 특히 그의 기둥(1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권취축(73)을 일방향으로 축회전시킴으로써 차양막(71)이 롤형태로 권취되도록 하는 권취축 회전수단이 권취축(73)의 일단에 연결된다.
권취축 회전수단은 전기력을 이용하는 전동모터일 수도 있고, 탄성력을 이용하는 스프링(74)일 수도 있고, 중력을 이용하는 중량추(도르레 포함)일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스프링(74)을 이용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더 나아가 스프링(74)은 태엽스프링으로 되어 있으며 탄성력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차양막 지지대(72)가 일단은 차양막(71)의 선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베이스프레임(10)의 기둥(12)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차양막 지지대(72)는 자중(自重)에 의해 차양막(71)이 도 5에서 도시된 것처럼 펼쳐지도록 하는 것이다.
차양막 지지대(72)는 차양막(71)의 선단이 고정되는 횡바(72a)와, 횡바(72a)의 양단에 직각으로 연결되어 있고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끔 베이스프레임(10)에 직·간접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종바(72b)로 구성된다. 이로써 차양막 지지대(72)는 "
Figure 112020117767791-utm00002
"의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차양막 지지대(72)의 자중은 도 5에서 화살표 (W)의 방향으로 작용하면서 차양막(71)이 펼쳐지도록 한다.
종바(72b)의 양단은 하부고정대(7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하부고정대(75)는 차양막 지지대(72)의 회전중심축이 된다. 하부고정대(75)는 베이스프레임의 기둥(12)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차양막(71)이 펼쳐지는 방향으로 중력(重力)이 작용하고 차양막(71)이 접히는 방향으로 스프링(74)에 의한 탄성력이 작용하게 된다. 그래서 이들 힘의 합력이 차양막(71)의 펼쳐지는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중력이 탄성력보다 약간 크게 작용하도록 스프링(74)의 탄성력을 세팅하고 있다. 그래서 평상시에는 차양막(71)이 펼쳐져 있고 약간의 힘을 가할 때 차양막(71)이 접힐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6(a)는 중력이 탄성력보다 약간 크게 작용하고 있는 상태로서 그 결과로 차양막(71)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낚시대(P)가 화살표(K) 방향으로 살짝 건드리게 되며, 이 힘이 탄성력에 더해짐으로써 차양막(71)이 순간적으로 도 6(b)에 도시된 것처럼 감기게 된다. 어느 정도 감기는 중에 또는 완전히 감기게 된 상태에서 낚시대 등에 의한 힘이 제거되면 중력이 탄성력보다 크게 작용하여 차양막(71)은 스르르 펼쳐지면서 원상태로 회복된다.
즉 낚시대(P) 등의 작은 터치를 이용하여 차양막(71)을 접음으로써 물고기를 들어올릴 때 불편함이 없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 스프링(74) 대신 모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낚시대가 차양막지지대(72)를 터치하는 것을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차양막(71)을 감도록 모터를 구동할 수 있다. 모터는 차양막(71)을 감은 후 일정한 시간이 경과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고, 차양막 지지대(72)의 자중에 의해 다시금 원상태로 풀리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주로 참조하여 벽체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벽체(30,50)는 가변형으로 구성된다. 특히 사적 공간의 넓이를 필요에 따라 조정할 수 있게끔 구성된다.
바닥판(13)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쪽 가장자리에 레일(14)이 설치된다. 그리고 벽체(30,50)는 외벽체(30)와, 외벽체(30)의 내부에 삽입되어 레일(14)을 따라 거동하면서 룸의 넓이를 조정할 수 있게끔 하는 내벽체(50)로 구성될 수 있다.
외벽체(30)와 내벽체(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외벽체(30)는 외측벽체와 천장으로 구성된다. 내벽체(50)는 후벽체(51), 내측벽체(52), 및 천장으로 구성된다. 외벽체(30)의 전방에는 출입문이 설치될 수도 있으나, 후술되는 여닫이문(40)이 이를 대체하고 있다.
레일(14)은 이중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하나는 외벽체(30)가 화살표(W')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다른 하나는 내벽체(50)가 화살표(W")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외벽체(30)를 레일(14)을 따라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미닫이문과 같이 방갈로의 측방을 개방하는 도어의 역할을 하게 된다. 내벽체(50)를 레일(14)을 따라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방갈로의 내부공간, 즉 룸의 넓이를 조정할 수 있게 한다. 내벽체(50)의 이동거리는 예를 들어, 1m가 될 수 있다.
외벽체(30)와 내벽체(50)의 하단에는 롤러(미도시됨)가 설치되어 레일(14)을 따라서 이동시키기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소정의 스토퍼가 레일(14), 외벽체(30), 내벽체(50)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이동된 상태에서 유동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방갈로의 앞쪽이 되는 데크를 향한 방향으로는 전방벽체가 베이스프레임(10)에 고정 설치되는데, 이 전방벽체는 2개의 여닫이문(40)만으로 구성되거나 또 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닫이문(40)을 최대한 열어 베이스프레임(10)에 고정시키면 데크의 양측면을 시각적으로 가릴 수 있는 가림수단이 된다. 여닫이문(40)은 룸의 전방벽체가 되기도 하며, 이웃해 있는 타인의 방갈로로부터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는 가림막으로 활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여닫이문(40)은 베이스프레임(10)이 아닌 외벽체(30)의 전방에 설치되어 그와 함께 움직이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도 3과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내벽체(50)의 후벽체(51)의 내벽면(51a)에는 필요시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 접이식으로 된 평상(60)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평상(60)은 후벽체(51)에 고정되므로 내벽체(50)와 함께 레일(14)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평상(60)은 도 7(b)의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후벽체(51)의 내벽면(51a)에 붙어 있는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가, 실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길게 펼쳐질 수 있다. 평상(60)은 제1다리(63)가 접이식으로 부착되어 있는 제1상판(61)과, 제2다리(64)가 접이식으로 부착되어 있는 제2상판(62)으로 구성된다. 제1상판(61)은 후벽체(51)의 내벽면(51a)에 접철수단(65)에 의해 부착되어 있고, 제1상판(61)과 제2상판(62)은 경첩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7(a)는 평상(60)을 펼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우선 1단계(S1)로 제1,2상판(61,62)이 접힌 상태로 회전시켜 내리고, 제1다리(63)를 펼친 다음에 2단계(S2)로 제2상판(62)을 펼치면서 제2다리로 펼친다. 이 평상(60)은 간이침대로 사용될 수도 있고, 식사용 테이블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양막장치(70')를 설명한다.
차양막(71)은 베이스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롤박스(81)에 감겨들어갈 수 있게끔 되어 있다. 차양막(71)은 스프링, 모터 등의 힘에 의해 롤박스(81) 내부에 감겨질 수 있으며, 중력 또는 모터에 의해 펼쳐질 수 있다. 차양막 지지대(72)의 양단에는 롤러(8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롤러(84)는 가이드프레임(82)이 제공하는 경사레일(83)을 따라 구름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차양막(71)은 자중에 의해 경사레일(83)을 따라 구름운동하며 펼쳐질 수도 있으나, 모터에 의해 풀리거나 말릴 수도 있다. 가이드프레임(82)은 도시된 것처럼 직각삼각형으로 되어 있다.
차양막(71)은 미도시된 다양한 스위칭수단에 의해 낚시대의 거동에 대응하여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으며, 어떠한 방식으로 구동하는지 여부는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스위칭수단은 낚시대의 위치를 감지하는 전기적 센서(광센서, 터치센서 등)가 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의 차양막장치(70)는 방갈로로부터 독립적으로 설치 및 사용될 수 있다. 가령, 낚시터의 좌대 또는 그 주변에 소정의 폴대(기둥)을 세워놓은 다음에 여기에 차양막장치(70)를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서 해가 비치는 방향으로 이동 설치도 가능하게끔 할 수도 있다. 차양막장치(70)는 파라솔, 타프, 천막, 텐트 등 다양한 시설과 함께 설치될 수도 있다.
위에 도시 및 설명된 구성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당업자는 통상의 기술적 상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10 : 베이스프레임 11 : 바닥프레임
12 : 기둥 13 : 바닥판
14 : 레일 20 : 지붕유닛
30 : 외벽체(벽체) 40 : 여닫이문
50 : 내벽체 51 : 후벽체
52 : 내측벽체 60 : 평상
61,62 : 제1,2상판 63,64 : 제1,2다리
70,70' : 차양막장치 71 : 차양막
72 : 차양막 지지대 73 : 권취축
74 : 스프링 81 : 롤박스
82 : 가이드프레임 83 : 경사레일
84 : 롤러

Claims (7)

  1. 사적 거처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육면체 형태의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 위에 설치되는 지붕유닛;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하단에 설치되는 바닥판;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바닥판의 일측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바닥판의 타측에 낚시를 하기 위한 데크가 마련되도록 하며 사방이 막힌 룸을 제공하는 벽체; 상기 데크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햇빛을 가리기 위한 차양막장치;를 포함하는 낚시용 방갈로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장치는 차양막; 및 상기 차양막이 펼쳐져 설치되거나 접혀저 걷히도록 하기 위한 차양막 폴딩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차양막 폴딩기구는, 낚시대 또는 다른 물체에 의해 일정치 이상의 힘이 가해질 때는 걷히도록 하며, 상기 일정치 이상의 힘이 완전히 소진된 상태에서는 다시 원상태로 펼쳐지도록 하는 스위칭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수단은,
    차양막의 후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권취축;
    상기 권취축을 일방향으로 축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차양막이 롤형태로 권취되도록 하는 권취축 회전수단;
    일단은 상기 차양막의 선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서, 자중에 의해 상기 차양막이 펼쳐지도록 하는 차양막 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차양막이 펼쳐지는 방향으로 중력이 작용하고 상기 차양막이 접히는 방향으로는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이 작용하며,
    상기 중력이 상기 탄성력보다 소정치 만큼 크게 작용하도록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이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터용 방갈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2020200003978U 2020-11-04 2020-11-04 낚시터용 방갈로 KR2004949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978U KR200494915Y1 (ko) 2020-11-04 2020-11-04 낚시터용 방갈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978U KR200494915Y1 (ko) 2020-11-04 2020-11-04 낚시터용 방갈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915Y1 true KR200494915Y1 (ko) 2022-01-24

Family

ID=80048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978U KR200494915Y1 (ko) 2020-11-04 2020-11-04 낚시터용 방갈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9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3016A (ko) 2022-03-10 2023-09-19 주식회사 화영중공업 태양광 자가발전 구조를 가지는 독립형 방갈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0767A (ja) * 2001-07-05 2003-01-24 Schmitz Werke Gmbh & Co 日よけ
KR200316129Y1 (ko) 2003-03-08 2003-06-12 이만호 조립식 방갈로
JP2005023761A (ja) * 2003-07-04 2005-01-27 Takano Co Ltd オーニング
KR20100041456A (ko) * 2008-10-14 2010-04-22 (주) 동방하이테크 수상 가옥
KR20130015079A (ko) * 2011-08-02 2013-02-13 오명공 다면구체형 태양광모듈 및 무소음 풍력터빈 발전 동력구동 반잠수정 수상펜션요트와 정박계류장을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발전단지 조성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21474A (ko) * 2012-04-27 2013-11-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신축식 헬기 격납고
KR20200039992A (ko) 2018-10-08 2020-04-17 정창희 이중공간지를 이용한 방갈로형 보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0767A (ja) * 2001-07-05 2003-01-24 Schmitz Werke Gmbh & Co 日よけ
KR200316129Y1 (ko) 2003-03-08 2003-06-12 이만호 조립식 방갈로
JP2005023761A (ja) * 2003-07-04 2005-01-27 Takano Co Ltd オーニング
KR20100041456A (ko) * 2008-10-14 2010-04-22 (주) 동방하이테크 수상 가옥
KR20130015079A (ko) * 2011-08-02 2013-02-13 오명공 다면구체형 태양광모듈 및 무소음 풍력터빈 발전 동력구동 반잠수정 수상펜션요트와 정박계류장을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발전단지 조성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21474A (ko) * 2012-04-27 2013-11-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신축식 헬기 격납고
KR20200039992A (ko) 2018-10-08 2020-04-17 정창희 이중공간지를 이용한 방갈로형 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3016A (ko) 2022-03-10 2023-09-19 주식회사 화영중공업 태양광 자가발전 구조를 가지는 독립형 방갈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6394B1 (ko) 접이식 대형 파라솔
EP1883739B1 (en) A folding loft stair assembly
KR102236864B1 (ko) 먼지부착이 방지되는 자동 차양막 클린 벤치
KR200494915Y1 (ko) 낚시터용 방갈로
KR101637960B1 (ko) 이동식 하우스
KR101014408B1 (ko) 이동식 주택
US3067813A (en) Sidewalk canopy
BE1009550A3 (nl) Manueel afrolbare luifel.
JP2010065513A (ja) オーニング装置
KR20120109704A (ko) 권회식 어닝장치
KR200461639Y1 (ko) 다기능 방충문
EP1707734B1 (en) Shielding device
JP2000096877A (ja) オーニング装置
KR20090048217A (ko) 절첩식 천막용 받침지주 승강장치
KR100706638B1 (ko) 휴대용 텐트의 차양막 고정구조
KR20130115824A (ko) 창틀에 설치되는 비가리개 장치
JP2002356969A (ja) 日除け用テント装置
JPH0440336Y2 (ko)
CN211286871U (zh) 一种升降平台
JP2007503801A (ja) 折畳式防蚊ルーム構造体
KR101907394B1 (ko) 암대 기능을 가지는 수직형 접이식 외여닫이 창호
JP7110909B2 (ja) 日よけ
JP2534981Y2 (ja) シヤツター装置
KR102094594B1 (ko) 태양광 감응형 전동타프
JPH09111983A (ja) 玄関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