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3225B1 - 레저선박의 하우스모듈 도킹장치 - Google Patents

레저선박의 하우스모듈 도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3225B1
KR102173225B1 KR1020190138838A KR20190138838A KR102173225B1 KR 102173225 B1 KR102173225 B1 KR 102173225B1 KR 1020190138838 A KR1020190138838 A KR 1020190138838A KR 20190138838 A KR20190138838 A KR 20190138838A KR 102173225 B1 KR102173225 B1 KR 102173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hip
house module
house
d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8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민철
Original Assignee
송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민철 filed Critical 송민철
Priority to KR1020190138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3225B1/ko
Priority to PCT/KR2019/016505 priority patent/WO202108572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63B29/025Modular or prefabricated ca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 또는 호수 등에서 항해하는 선체모듈에 사용목적에 따라 내부 인테리어 된 하우스모듈을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레저선박의 하우스모듈 도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선체모듈의 선상에 사용목적에 따라 인테리어 된 하우스모듈을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선체모듈의 선상과 하우스모듈의 하단부 간에 도킹수단과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분리결합 가능하게 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레저선박의 하우스모듈 도킹장치{House Module Docking Equipment of Leisure Boat}
본 발명은 해상 또는 호수 등에서 항해하는 선체모듈에 사용목적에 따라 내부 인테리어 된 하우스모듈을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레저선박의 하우스모듈 도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레저용 선박 산업의 관심증가로 기존의 소규모 선박 제조업체에서 레저요트로 산업분야를 넓히면서 레저선박 인테리어의 중요성이 증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레저선박 인테리어의 경우 고객의 요구에 따라 인테리어 자재의 내용이 달라지는 문제로 인하여 자재 및 재고의 여부와 수급의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는 자재가 고정 자산화되어 운전자금의 증대 및 흑자 도산이 발생하는 문제로 야기될 수 있어 자재 및 재고량의 정보를 파악하고 불필요한 자재의 양을 줄임으로써 수익률과 공정상의 지연을 사전에 예방하는 시스템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인테리어 설비는 선박의 선체와 내부의장 등 기본적인 공정이 모두 마친 후에 공정이 진행되어 진다. 이때 일반적인 선박일 경우 인테리어 개념보다는 배의 일부로서 개념을 지닌 정형화된 형태의 물품이나 자재가 사용되며, 배치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레저선박이나 특수목적의 선박들은 내부 인테리어가 매우 중요하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상기와 같이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기존의 레저용 선박은, 하나의 목적용 즉 유람용, 낚시용, 펜션형, 비즈니스형 등 각기 다른 목적의 레저용 선박을 각각 제작하고 그 제작된 각각의 레저용 선박을 해당 목적으로만 사용할 수 있음으로 경제성과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선체모듈과 하우스모듈을 분리할 수 있는 레저용 선박이 없다.
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16-0103613호 : 레저 선박용 인테리어모듈. 한국등록특허번호 제10-1868946호 : 수중 관람이 가능한 레저용 보트. 한국등록특허번호 제10-1372982호 : 선박용 파티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해상 또는 호수 등에서 항해하는 선체모듈에 사용목적(유람용, 레저용, 낚시용, 펜션용, 비즈니스용 등)에 따라 내부 인테리어 된 하우스모듈을 교체 사용하도록 상기 선체모듈의 선상과 하우스모듈의 하단부 간에 도킹수단을 매개로 필요에 따라 분리결합 가능하게 설치하여 하나의 선체모듈로 다양한 사용목적의 레저용 선박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제성을 누릴 수 있도록 한 레저선박의 하우스모듈 도킹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레저선박의 하우스모듈 도킹장치 과제 해결 수단 구성은,
해상 또는 호수 등에서 항해하는 선체모듈의 선상에 사람이 생활할 수 있도록 인테리어 된 하우스모듈을 설치하여 된 레저선박에 있어서,
상기 선체모듈의 선상에 사용목적에 따라 인테리어 된 하우스모듈을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선체모듈의 선상과 하우스모듈의 하단부 간에 분리결합 가능하게 설치되고 설치후 좌우 유동이 방지되도록 한 도킹수단(300)을 마련하되, 상기 도킹수단은 선체모듈의 선상 양측에 설치되는 하부도킹수단(310)과, 상기 하우스모듈의 하단 양측에 설치되는 상부도킹수단(320)으로 구분 형성되어 상기 상부도킹수단이 상기 하부도킹수단으로 밀려 들어가 도킹되게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도킹수단과 상부도킹수단이 설치되지 않은 쪽의 선체모듈 선상과 하우스모듈 하단 양측에는 하우스모듈의 설치 후 전후 유동을 방지하도록 중앙에 안착 홀(411)이 형성되고 외주 연에 고정부재로 고정되는 플랜지부(412)가 형성된 하부고정체(410)가 선체모듈의 선상에 매립 설치되고, 상기 하우스모듈의 하단에는 중앙에 나사 홀(421)이 형성되고 외주 연에 고정부재로 고정되는 플랜지부(422)가 형성된 상부고정체(420)가 매립 설치되며, 상기 나사 홀에는 상부에 나사 홀과 나사 결합되는 볼트(431)가 형성되고 상기 볼트 하부에는 표면이 미려한 몸체(432)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상기 안착 홀에 끼워 결합되는 단턱(433)이 형성된 지지체(430)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에는 중앙에 관통 홀(441)이 형성되고 하단이 상기 단턱의 상단을 지지하는 지지구(442)가 형성되며 상부 외주 연에는 고정부재로 고정되는 플랜지부(443)를 형성시켜 된 고정체(440)로 구성되는 고정수단(400)을 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레저선박의 하우스모듈 도킹장치는 상기 목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해상 또는 호수 등에서 항해하는 선체모듈에 사용목적(유람용, 레저용, 낚시용, 펜션용, 비즈니스용 등)에 따라 내부 인테리어 된 하우스모듈을 교체 사용하도록 상기 선체모듈의 선상과 하우스모듈의 하단부 간에 도킹수단을 매개로 필요에 따라 분리결합 가능하게 설치하여 하나의 선체모듈로 다양한 사용목적의 레저용 선박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제성을 누릴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저선박 하우스모듈 도킹장치가 적용된 레저선박의 측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저선박 하우스모듈 도킹장치에서 도킹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저선박 하우스모듈 도킹장치에서 도킹수단이 설치된 상태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저선박 하우스모듈 도킹장치에서 고정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레저선박 하우스모듈 도킹장치에서 고정수단이 설치된 상태의 결합 단면도 및 분리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레저선박 하우스모듈 도킹장치에서 하우스모듈의 실시 예를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은 해상 또는 호수 등에서 항해하는 선체모듈에 사용목적에 따라 내부 인테리어 된 하우스모듈을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레저선박의 하우스모듈 도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본 발명의 레저선박 하우스모듈 도킹장치 기본 구성은, 도 1 내지 도 6e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상 또는 호수 등에서 항해하는 선체모듈의 선상에 사람이 생활할 수 있도록 인테리어 된 하우스모듈을 설치하여 된 레저선박에 있어서,
상기 선체모듈의 선상에 사용목적에 따라 인테리어 된 하우스모듈을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선체모듈의 선상과 하우스모듈의 하단부 간에 분리결합 가능하게 설치되고 설치후 좌우 유동이 방지되도록 한 도킹수단(300)을 마련하되, 상기 도킹수단은 선체모듈의 선상 양측에 설치되는 하부도킹수단(310)과, 상기 하우스모듈의 하단 양측에 설치되는 상부도킹수단(320)으로 구분 형성되어 상기 상부도킹수단이 상기 하부도킹수단으로 밀려 들어가 도킹되게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도킹수단과 상부도킹수단이 설치되지 않은 쪽의 선체모듈 선상과 하우스모듈 하단 양측에는 하우스모듈의 설치 후 전후 유동을 방지하도록 중앙에 안착 홀(411)이 형성되고 외주 연에 고정부재로 고정되는 플랜지부(412)가 형성된 하부고정체(410)가 선체모듈의 선상에 매립 설치되고, 상기 하우스모듈의 하단에는 중앙에 나사 홀(421)이 형성되고 외주 연에 고정부재로 고정되는 플랜지부(422)가 형성된 상부고정체(420)가 매립 설치되며, 상기 나사 홀에는 상부에 나사 홀과 나사 결합되는 볼트(431)가 형성되고 상기 볼트 하부에는 표면이 미려한 몸체(432)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상기 안착 홀에 끼워 결합되는 단턱(433)이 형성된 지지체(430)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에는 중앙에 관통 홀(441)이 형성되고 하단이 상기 단턱의 상단을 지지하는 지지구(442)가 형성되며 상부 외주 연에는 고정부재로 고정되는 플랜지부(443)를 형성시켜 된 고정체(440)로 구성되는 고정수단(400)을 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레저선박의 하우스모듈 도킹장치에서 선체모듈(10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력발생수단에 의해 해상 또는 호수 등에서 항해하는 것으로, 하부 일부는 해상 또는 호수에 잠기고, 상부는 수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이는 일반적인 구성임으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하우스모듈(20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선체모듈(100)의 선상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그 용도는 내/외부 인테리어에 따라 도 6a 내지 도 6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람용, 레저용, 낚시용, 펜션용, 비즈니스용 등 다양하게 구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하우스모듈(200)의 사용용도에서 유람용은, 도 6a에 나타낸 것으로 장시간 항해 가능하며 저수심의 호수 또는 바다나 강에서 항해하며 자연경관을 관람하는 용도로 내/외부 인테리어 되어 있는 것이고,
레저용은, 도 6b에 나타낸 것으로 장시간 항해 가능하며 저수심의 호수 또는 바다나 강에서 항해하며 레저 활동에 적합하도록 내/외부 인테리어 되어 있는 것이고,
낚시용은,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시간 항해 가능하며 저수심의 호수 또는 바다나 강 그리고 협수로 등에서 낚시할 수 있도록 내/외부 인테리어 되어 있는 것이고,
펜션용은, 도 6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시간 항해 가능하며 저수심의 호수 또는 바다나 강에서 항해하며 취사, 숙박 등을 할 수 있도록 내/외부 인테리어 되어 있는 것이고,
비즈니스용은, 도 6e에 나타낸 것으로 장시간 항해 가능하며 저수심의 호수 또는 바다나 강에서 항해하며 관람 및 취사와 간단한 발표시설 그리고 컴퓨터 등을 사용할 수 있도록 내/외부 인테리어 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다양하게 구분 형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스모듈(20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체모듈(100)로부터 필요에 따라 도킹수단(300)을 매개로 분리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그 이유는, 하나의 선체모듈(100)에 사용목적에 따라 제작된 하우스모듈(200)을 교체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종래 각각의 목적에 따라 각각 제조되는 레저선박에 비해 경제성과 활용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레저선박 하우스모듈 도킹장치는, 선체모듈(100)과 그 선체모듈의 선상에 설치되는 하우스모듈(200)로 이루어지는데, 그 구성은, 상기 선체모듈(100)의 선상에 사용목적에 따라 제작된 하우스모듈(200)을 교체 사용하도록 상기 선체모듈(100)의 선상과 하우스모듈(200)의 하단부 간에 도킹수단(300)을 매개로 분리결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도킹수단(30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체모듈(100)의 선상에 설치되는 하부도킹수단(310)과, 상기 하우스모듈(20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상부도킹수단(320)으로 구분 형성되어 상기 상부도킹수단(320)이 상기 하부도킹수단(310)으로 밀려 들어가 도킹되게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에서 상기 선체모듈(100)에 설치되는 하부도킹수단(110)의 일실시 예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스모듈(200)이 위치하는 선체모듈(100)의 양측 길이방향을 따라 측면에서 볼 때 "ㄱ"자 형의 하부고정브래킷(111)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 하부고정브래킷(111)을 선체모듈(100)에 설치하는 방법은, 하부고정브래킷(111)의 하부일부를 선체모듈(100)의 선상에 용접하는 방법으로 고정 설치하거나, 또는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하거나, 또는 선체모듈(100)의 선상을 제조할 때에 하부고정브래킷(111)의 하부일부를 매립설치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하부고정브래킷(111)을 선체모듈(100) 선상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는 방법이면 모두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하우스모듈(200)에 설치되는 상부도킹수단(210)의 일실시 예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ㄴ"자 형의 상부고정브래킷(211)이 하우스모듈(200)의 양측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 설치되어 상기 하부고정브래킷(111)과 상부고정브래킷(211)이 상호 포개어지는 형태로 결합되게 구성된다.
상기의 상부고정브래킷(211)을 하우스모듈(200)의 하단에 설치하는 방법은, 상기 하부고정브래킷(111)을 선체모듈(100)에 설치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상부고정브래킷(211)의 상부일부를 하우스모듈(200)에 용접하는 방법으로 고정 설치하거나, 또는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하거나, 또는 하우스모듈(200)을 제조할 때에 상부고정브래킷(211)의 상부일부를 매립설치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상부고정브래킷(211)을 하우스모듈(200)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는 방법이면 모두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하부고정브래킷(111)을 측면에서 볼 때 "ㄱ"자 형으로 하고 상부고정브래킷(211)을 측면에서 볼 때 "ㄴ"자 형으로 하는 이유는, 상기 "ㄱ"자 형의 하부고정브래킷(111)과, "ㄴ"자 형의 상부고정브래킷(211)이 만다는 부분을 중첩시켜 견고한 결합력을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ㄱ"자 형의 하부고정브래킷(111) 상부 표면은, 상기 선체모듈(100)의 선상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설치되고, 상기 "ㄴ"자 형의 상부고정브래킷(211)은, 하우스모듈(200)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ㄱ"자 형의 하부고정브래킷 높이만큼 돌출되게 설치하여 상기 상부고정브래킷(211)과 하부고정브래킷(111)이 상호 결합 되었을 때 상기 하우스모듈(200)의 하단이 선체모듈(100)의 선상 표면에 긴밀히 접촉되게 하였다.
상기와 같이하여 하부고정브래킷(111)과 상부고정브래킷(211)이 상호 결합되게 되면 하우스모듈(200)은, 선체모듈(100)의 폭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고 안전하고 견고하게 지지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ㄱ"자 형의 하부고정브래킷(111)이 설치되는 선체모듈(100)의 선상에는 하부고정브래킷(111)과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ㄴ"자 형의 상부고정브래킷(211)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홈(120)이 형성되고, 그 가이드 홈(120)의 깊이는 상기 "ㄱ"자 형의 하부고정브래킷(111)과 상기 "ㄴ"자 형의 상부고정브래킷(211) 높이와 준하는 깊이를 갖도록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하우스모듈(200)을 선체모듈(100)에 용이하게 도킹시키기 위하여 하우스모듈(200)의 하부에 설치된 상부고정브래킷(211)을 상기 가이드 홈(120)에 안착시킨 후 하우스모듈(200)을 하부고정브래킷(111) 쪽으로 밀게 되면 하우스모듈(200)이 하부고정브래킷(111) 쪽으로 이동하면서 상부고정브래킷(211)과 하부고정브래킷(111)과 결합되어 도킹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단 상기 가이드 홈(120)의 끝단부는, 하부고정브래킷(111)의 일 측 단부 까지 임으로 상기 하우스모듈(200)이 가이드 홈(120)을 따라 이동하는 범위는, 하부고정브래킷(111)의 일 측 단부 까지이고, 더이상은 이동되지 않는다.
또 상기 가이드 홈(120)은, 하부고정브래킷(111)의 타측 단부에서 시작하여 하부고정브래킷(111) 길이의 2배 이상으로 형성시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하우스모듈(200)에 설치된 상부고정브래킷(211)을 가이드 홈(120)의 선택된 곳에 위치시킨 후 하우스모듈(200)을 하부고정브래킷(111)으로 밀러 넣는 방법으로 상부고정브래킷(211)과 하부고정브래킷(111)을 결합시켜 도킹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단 상기 하우스모듈(200)을 가이드 홈(120)까지 이동시키는 방법은, 하우스모듈(200)을 들어올리고 내리는 장비 즉 일예로 크레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상기 하우스모듈(200)에 설치된 상부고정브래킷(211)과 선체모듈(100)에 설치된 하부고정브래킷(111)이 도킹 완료되면 하우스모듈(200)은 그 하우스모듈(200)이 밀려 들어가는 방향으로는 유동 될 수 있으나, 그 외 나머지 방향으로는 유동되지 않고 견고한 도킹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스모듈(200)이 밀려 들어가는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4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부도킹수단(310)과 상부도킹수단(320)이 설치되지 않는 쪽의 상기 선체모듈(100)의 선상과 하우스모듈(200)의 하단 간에 고정수단(400)을 설치하여 하우스모듈(200)이 유동되지 않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고정수단(400)의 일실시 예 구성은, 도 4 내지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에 안착 홀(411)이 형성되고 외주 연에 고정부재로 고정되는 플랜지부(412)가 형성된 하부고정체(410)가 선체모듈(100)의 선상에 매립 설치되고, 상기 하우스모듈(200)의 하단에는 중앙에 나사 홀(421)이 형성되고 외주 연에 고정부재로 고정되는 플랜지부(422)가 형성된 상부고정체(420)가 매립 설치되며, 상기 나사 홀(421)에는 상부에 나사 홀(421)과 나사 결합되는 볼트(431)가 형성되고 그 볼트(431) 하부에는 표면이 미려한 몸체(432)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상기 안착 홀(411)에 끼워 결합되는 단턱(433)이 형성된 지지체(430)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432)에는 중앙에 관통 홀(441)이 형성되고 하단이 상기 단턱(433)의 상단을 지지하는 지지구(442)가 형성되며 상부 외주 연에는 고정부재로 고정되는 플랜지부(443)를 형성시켜 된 고정체(440)을 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고정수단(400)을 선체모듈(100)의 선상과 하우스모듈(200)의 하단 간에 설치하면 하우스모듈(200)이 선체모듈(100)로부터 전/후/좌/우/상/하 어느 방향으로도 유동 없이 견고하게 지지 고정된다.
그 이유는, 하부고정체(410)가 선체모듈(100)의 선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부고정체(420)가 하우스모듈(200)에 설치되며, 지지체(430)의 볼트(431)가 나사 홀(421)에 나사 결합되고, 단턱(433)이 안착 홀(411)의 하단에 긴밀히 안착된 후 고정체(440)의 하단이 상기 단턱(433)을 지지하는 상태에서 각 플랜지부(412,443)가 고정부재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면 하우스모듈(200)과 선체모듈(100)은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역으로 상기 하우스모듈(200)을 선체모듈(10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각 플랜지부(412,443)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상기 각 플랜지부(412,443)로부터 풀고, 상기 도킹수단(300)인 하부도킹수단(310)과 상부도킹수단(320)의 결합 역방향으로 하우스모듈(200)을 밀어내어 하우스모듈(200)을 선체모듈(100)로부터 분리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고정수단(400)의 다른 실시 예는 상기 하우스모듈(200)이 선체모듈(1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스모듈(200)이 밀려 들어가는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도킹수단(310)과 상부도킹수단(320)이 설치되지 않은 쪽의 상기 선체모듈(100)의 선상과 하우스모듈(200)의 하단 간에 길이방향으로 마감부재(도면 미조시)를 설치하여 하우스모듈(200)이 선체모듈(100)로부터 위치이동 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마감부재는 하우스모듈(200) 측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마감부재안착 홈(도면 미도시)을 형성하고 이에 마감부재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체(440)에 형성된 플랜지부(443)와 하부고정체(410)에 형성된 플랜지부(412)는 상호 중첩되어 고정부재가 관통하며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재로 고정된 플랜지부(443)의 상부 표면은 선체모듈(100)의 선상과 동일선상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상부고정체(420)의 플랜지부(422)는 하우스모듈(200)의 하단 표면과 동일선상을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그 이유는, 상기 하우스모듈(200)이 선체모듈(100)의 선상에 도킹 완료되었을 때 상기 하우스모듈(200)의 하단과 선체모듈(100)의 선상이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고정체(440)에 형성된 플랜지부(443)의 크기는, 상기 상부고정체(420)에 형성된 플랜지부(422)보다 크게 형성시켜 상기 플랜지부(443)를 고정하는 고정부재의 머리가 하우스모듈(200)의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시킨다.
그 이유는, 상기 하우스모듈(200)을 선체모듈(100)로부터 분리하고 도킹할 때에 상기 플랜지부(443)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용이하게 풀고 조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레저선박의 하우스모듈 도킹장치는, 상기 효과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해상 또는 호수 등에서 항해하는 선체모듈에 사용목적(유람용, 레저용, 낚시용, 펜션용, 비즈니스용 등)에 따라 내부 인테리어 된 하우스모듈을 교체 사용하도록 상기 선체모듈의 선상과 하우스모듈의 하단부 간에 도킹수단을 매개로 필요에 따라 분리결합 가능하게 설치하여 하나의 선체모듈로 다양한 사용목적의 레저용 선박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제성을 누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삭제
100 : 선체모듈 120 : 가이드 홈
200 : 하우스모듈 300 : 도킹수단
310 : 하부도킹수단 311 : 하부고정브래킷
320 : 상부도킹수단 321 : 상부고정브래킷
400 : 고정수단 410 : 하부고정체
411 : 안착 홀 412 : 플랜지부
420 : 상부고정체 421 : 나사 홀
422 : 플랜지부 430 : 지지체
431 : 볼트 432 : 몸체
433 : 단턱 440 : 고정체
441 : 관통 홀 442 : 지지구
443 : 플랜지부

Claims (7)

  1. 해상 또는 호수 등에서 항해하는 선체모듈의 선상에 사람이 생활할 수 있도록 인테리어 된 하우스모듈을 설치하여 된 레저선박에 있어서,
    상기 선체모듈의 선상에 사용목적에 따라 인테리어 된 하우스모듈을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선체모듈의 선상과 하우스모듈의 하단부 간에 분리결합 가능하게 설치되고 설치후 좌우 유동이 방지되도록 한 도킹수단(300)을 마련하되, 상기 도킹수단은 선체모듈의 선상 양측에 설치되는 하부도킹수단(310)과, 상기 하우스모듈의 하단 양측에 설치되는 상부도킹수단(320)으로 구분 형성되어 상기 상부도킹수단이 상기 하부도킹수단으로 밀려 들어가 도킹되게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도킹수단과 상부도킹수단이 설치되지 않은 쪽의 선체모듈 선상과 하우스모듈 하단 양측에는 하우스모듈의 설치 후 전후 유동을 방지하도록 중앙에 안착 홀(411)이 형성되고 외주 연에 고정부재로 고정되는 플랜지부(412)가 형성된 하부고정체(410)가 선체모듈의 선상에 매립 설치되고, 상기 하우스모듈의 하단에는 중앙에 나사 홀(421)이 형성되고 외주 연에 고정부재로 고정되는 플랜지부(422)가 형성된 상부고정체(420)가 매립 설치되며, 상기 나사 홀에는 상부에 나사 홀과 나사 결합되는 볼트(431)가 형성되고 상기 볼트 하부에는 표면이 미려한 몸체(432)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상기 안착 홀에 끼워 결합되는 단턱(433)이 형성된 지지체(430)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에는 중앙에 관통 홀(441)이 형성되고 하단이 상기 단턱의 상단을 지지하는 지지구(442)가 형성되며 상부 외주 연에는 고정부재로 고정되는 플랜지부(443)를 형성시켜 된 고정체(440)로 구성되는 고정수단(400)을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선박의 하우스모듈 도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도킹수단(310)은, 상기 하우스모듈이 위치하는 선체모듈의 양측 길이방향을 따라 측면에서 볼 때 "ㄱ"자 형의 하부고정브래킷(311)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상부도킹수단(320)은, 측면에서 볼 때 "ㄴ"자 형의 상부고정브래킷(321)이 하우스모듈의 양측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 설치되어 상기 하부고정브래킷과 상부고정브래킷의 일부가 상호 중첩 고정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선박의 하우스모듈 도킹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ㄱ"자 형의 하부고정브래킷 상부 표면은 상기 선체모듈의 선상으로 돌출되지 않게 설치되고, 상기 "ㄴ"자 형의 상부고정브래킷은, 상기 하우스모듈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ㄱ"자 형의 하부고정브래킷 높이만큼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하우스모듈의 하단이 선체모듈의 선상에 긴밀히 접촉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선박의 하우스모듈 도킹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ㄱ"자 형의 하부고정브래킷이 설치되는 선체모듈의 선상 길이방향으로는 상기 "ㄴ"자 형의 상부고정브래킷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의 깊이는 상기 "ㄴ"자 형의 상부고정브래킷 높이와 준하는 깊이를 갖도록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선박의 하우스모듈 도킹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에 형성된 플랜지부(443)와 하부고정체에 형성된 플랜지부(412)는 상호 중첩되어 고정부재가 관통하며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재로 고정된 플랜지부(443)의 상부 표면은 선체모듈의 선상과 동일선상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상부고정체의 플랜지부(422)는 하우스모듈의 하단 표면과 동일선상을 유지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선박의 하우스모듈 도킹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에 형성된 플랜지부(443)의 크기는, 상기 상부고정체에 형성된 플랜지부(422)보다 크게 형성시켜 상기 플랜지부(443)를 고정하는 고정부재의 머리가 하우스모듈의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선박의 하우스모듈 도킹장치.
KR1020190138838A 2019-11-01 2019-11-01 레저선박의 하우스모듈 도킹장치 KR102173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838A KR102173225B1 (ko) 2019-11-01 2019-11-01 레저선박의 하우스모듈 도킹장치
PCT/KR2019/016505 WO2021085729A1 (ko) 2019-11-01 2019-11-27 레저선박의 하우스모듈 도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838A KR102173225B1 (ko) 2019-11-01 2019-11-01 레저선박의 하우스모듈 도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3225B1 true KR102173225B1 (ko) 2020-11-03

Family

ID=73197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838A KR102173225B1 (ko) 2019-11-01 2019-11-01 레저선박의 하우스모듈 도킹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73225B1 (ko)
WO (1) WO202108572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6307B1 (ko) 2022-06-21 2023-05-26 (주)케이랩스 경로 주행 및 충돌 방지가 가능한 선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2233U (ko) * 1994-12-30 1996-07-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헤드라이닝의 장착구조
KR101372982B1 (ko) 2006-03-15 2014-03-11 가부시키가이샤 다이코 산교 선박용 파티션 모듈
KR20160103613A (ko) 2015-02-24 2016-09-02 주식회사 에스에이치글로벌 레저 선박용 인테리어모듈
KR101868946B1 (ko) 2017-02-24 2018-06-19 주식회사 펭귄오션레저 수중 관람이 가능한 레저용 보트
KR101984488B1 (ko) * 2018-11-22 2019-05-31 김진영 데크 교체가 가능한 선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2474A (ja) * 2001-06-11 2002-12-18 Japan Boating Industry Association 小型船舶及び小型船舶用船体(ハル)の製造方法
KR101013856B1 (ko) * 2008-10-14 2011-02-14 (주) 동방하이테크 수상 가옥
KR101282350B1 (ko) * 2011-09-29 2013-07-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선의 데크하우스 및 그 데크하우스를 이용한 컨테이너 적재방법
KR20160004321U (ko) * 2015-06-09 2016-12-19 (주) 코스펙엔지니어링 데크하우스의 교체가 용이한 다목적 폰툰보트
KR101919852B1 (ko) * 2017-09-18 2018-11-20 대화정공 주식회사 보트용 체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2233U (ko) * 1994-12-30 1996-07-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헤드라이닝의 장착구조
KR101372982B1 (ko) 2006-03-15 2014-03-11 가부시키가이샤 다이코 산교 선박용 파티션 모듈
KR20160103613A (ko) 2015-02-24 2016-09-02 주식회사 에스에이치글로벌 레저 선박용 인테리어모듈
KR101868946B1 (ko) 2017-02-24 2018-06-19 주식회사 펭귄오션레저 수중 관람이 가능한 레저용 보트
KR101984488B1 (ko) * 2018-11-22 2019-05-31 김진영 데크 교체가 가능한 선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6307B1 (ko) 2022-06-21 2023-05-26 (주)케이랩스 경로 주행 및 충돌 방지가 가능한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85729A1 (ko)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O20055689L (no) Fremgangsmate og system for fortoyning
UA92649C2 (en) ship
Uithof et al. A systematic comparison of the influence of the Hull Vane®, interceptors, trim wedges, and ballasting on the performace of the 50m AMECRC series# 13 patrol vessel
KR102173225B1 (ko) 레저선박의 하우스모듈 도킹장치
CA2002030A1 (en) Modular rigid inflatable aquatic vessel structure
KR100983084B1 (ko) 선회식 추진장치를 갖는 해양 구조물
US3750607A (en) Shallow-draft boat
KR102010226B1 (ko) H빔을 이용한 조립식 쌍동선
SE9601836L (sv) Båtskrov samt fartyg med ett dylikt skrov
KR20140029761A (ko) 만곡부 단면적이 감소된 저속 비대선
KR20110068486A (ko) 시추선
US11396355B2 (en) Bracket for mounting a thruster to a boat
GB2324277A (en) Production vessel with sinusoidal waterline hull
ATE459530T1 (de) Schiffsantriebssystem mit teilweise eingetauchtem propeller
KR20200105484A (ko) 해양 선박을 위한 선내 분리 가능한 접이식 스러스터 및 해양 선박
KR20160017006A (ko) 부유 기능을 갖는 거주구가 설치된 선박
KR20160004321U (ko) 데크하우스의 교체가 용이한 다목적 폰툰보트
EP4249366A1 (en) Through-hull light
JP2006312364A (ja) 連結船
SE9202130D0 (sv) Pitchstabiliserat deplacementfartyg
JP7064185B1 (ja) 船体取り付け用浮き具装置及び浮き具システム
USD1022491S1 (en) Combined marine vessel and convertible seating
EA200501747A1 (ru) Система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я судна,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подводной лодки
KR20090015312A (ko) 스러스터를 가지는 선박
WO2016098520A1 (ja) フェアリング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