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5864B1 -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 - Google Patents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5864B1
KR101105864B1 KR1020110064875A KR20110064875A KR101105864B1 KR 101105864 B1 KR101105864 B1 KR 101105864B1 KR 1020110064875 A KR1020110064875 A KR 1020110064875A KR 20110064875 A KR20110064875 A KR 20110064875A KR 101105864 B1 KR101105864 B1 KR 101105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e
lower structure
upper structure
water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4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한표
Original Assignee
조한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한표 filed Critical 조한표
Priority to KR1020110064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58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5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5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36Structures movable as a whole, e.g. mobile hom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6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adverse conditions, e.g. extreme climate, p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변이나 강변에 설치되어 해일이나 쓰나미 혹은 홍수시에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평상시에는 일반적인 생활이 가능한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거주공간 및 피난공간이 구비되고 상부에 채광창(23)이 형성되고 후방 출입구에 밀폐형 도어(27)가 설치된 밀폐형 구조의 상부 구조물(20)과, 내부에 기계실(31)이 설치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상부 구조물(20)이 결합되며 저면이 유선형으로 형성된 하부 구조물(30)로 이루어지는 이동 하우스(10)와; 상기 하부 구조물(30)의 후방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기계실(31)에 구비된 구동수단(32)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이동 하우스(10)가 수상에서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류(15)와; 상기 하부 구조물(3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이동 하우스(10)를 지지하고 이동시킬 수 있는 받침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평상시에는 상부 구조물에 형성된 거주공간부에서 일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고 유사시에는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로 이루어진 이동 하우스를 물에 띄워 피난용 선박으로 이용함은 물론 거주민 외에 다른 피난민들도 함께 구호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Prefabrication type Movable Tank house }
본 발명은 해변이나 강변에 설치되어 해일이나 쓰나미 혹은 홍수시에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평상시에는 일반적인 생활이 가능한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상 이변으로 인하여 폭우와 집중 호우가 자주 발생하고 그로 인해 강물이 범람하고 홍수가 발생하여 강변이나 저지대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수해를 입는 경우가 많다. 또, 해안의 경우에는 해일이나 쓰나미 등에 의해 큰 피해가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해안의 경우에는 해일이나 쓰나미가 아니더라도 홍수시 상류에서 흘러오는 대량의 물과 만조시 밀려오는 밀물의 복합 작용으로 수해가 발생하기도 한다.
최근 일본의 동북지방에서 발생한 쓰나미는 해안 지방은 물론 해안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역까지도 큰 피해를 주었으며, 순식간에 밀어닥친 물로 인해 수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한 바 있다.
이러한 물과 관련한 대형 재난은 재산 피해는 물론 인명 피해를 동반하여 국가적 재난을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대형 재난에 의한 피해, 특히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여러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폭우에 따른 홍수 또는 해일이나 쓰나미 등의 대형 자연 재해로부터 인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평상시에는 일반적인 생활이 가능한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거주공간 내에 거주하는 사람은 물론 다른 사람들도 동시에 구호할 수 있고, 피난민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에 뜬 상태에서 이동이 가능하고, 육상에서도 어느 정도의 이동할 수 있는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생활보조시설을 이용하여 거주공간 내에서 원활하게 일상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활보조시설과 기계실 등이 하부 후방에 설치되어 물에 안정적으로 뜰 수 있음은 물론 복원력이 향상된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수상 항행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일상 생활에는 불편이 없도록 구성한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 사다리를 이용한 내부에서의 이동과 착탈 가능한 줄사다리를 이용한 외부에서의 출입이 자유로운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유사시 많은 사람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내부가 밀폐되어 물이 침투하지 않도록 한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거주공간 및 피난공간이 구비되고 상부에 채광창이 형성되고 후방 출입구에 밀폐형 도어가 설치된 밀폐형 구조의 상부 구조물과, 저면이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기계실이 설치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상부 구조물이 결합되며 저면이 유선형으로 형성된 하부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이동 하우스와; 상기 하부 구조물의 후방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기계실에 구비된 구동수단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이동 하우스가 수상에서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류와; 상기 하부 구조물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이동 하우스를 지지하고 이동시킬 수 있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에 따르면, 상기 상부 구조물은 거주공간이 형성된 거주공간부와, 거주공간을 제외한 갑판에 형성되는 피난공간부로 구획되고, 상기 피난공간부를 형성하는 상기 상부 구조물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복수개의 체인 고정부가 형성되며, 이 복수개의 체인 고정부에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복수의 체인이 서로 직교하게 고정되어, 사각의 피난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되, 상기 체인에는 각 피난 공간 안으로 피신한 사람들이 착용한 안전벨트(26)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에 따르면, 상기 상부 구조물의 상측에 상기 이동 하우스의 이동 방향 및 상기 기계실의 구동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조타실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에 따르면, 상기 하부 구조물의 하부 또는 받침대의 하부에는 육상에서의 이동을 위한 바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에 따르면, 상기 하부 구조물의 내부에는 거주공간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생활을 위한 저수조와 정화조 및 급수펌프를 포함하는 생활보조시설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에 따르면, 상기 기계실 및 생활보조시설은 상기 하부 구조물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에 따르면, 상기 하부 구조물의 저부에는 배수구가 아닌 바닥에 떨어진 물이 흘러서 모이는 집수정 및 상기 정화조와 집수정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에 따르면, 상기 하부 구조물은 전면보다 후면이 들려 있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하부 구조물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전방부가 후방부에 비해 더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에 따르면, 상기 상부 구조물의 바닥과 조타실을 연결하는 상부 사다리 및 상기 상부 구조물의 바닥과 상기 하부 구조물의 바닥을 연결하는 하부 사다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에 따르면, 상기 상부 구조물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 구조물의 상단부가 각각 외측으로 일정 폭 돌출 연장되어 형성된 상부 및 하부 플랜지부에 복수의 볼트가 체결되어 상기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는, 평상시에는 상부 구조물에 형성된 거주공간부에서 일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고 유사시에는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로 이루어진 이동 하우스를 물에 띄워 피난용 선박으로 이용함은 물론 거주민 외에 다른 피난민들도 함께 구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에 따르면, 거주공간 내에 거주하는 사람은 물론 다른 사람들도 동시에 구호할 수 있고, 피난민들을 체인에 고정된 안전벨트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에 따르면, 유사시 이동 하우스가 받침대로부터 분리되어 물에 뜬 상태에서 스크류를 이용하여 수상 항행이 가능하고, 이동 하우스의 저부에 설치된 바퀴를 이용하여 육상이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에 따르면, 하부 구조물 내에 다양한 생활보조시설이 설치되므로, 거주공간 내에서 원활하게 일상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에 따르면, 생활보조시설과 기계실 등의 무거운 시설물들이 하부 구조물의 후방측에 설치되므로, 무게 중심이 하부에 위치하여 물에 안정적으로 뜰 수 있음은 물론 외력에 의해 흔들리더라도 초기 위치로 복귀하는 복원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에 따르면, 고정 사다리를 이용한 내부에서의 이동과 후방 출입구를 통한 외부에서의 출입이 자유롭고 비상시 착탈 가능한 줄사다리를 이용하여 외부 출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에 따르면, 유사시 후방 출입구를 통해 많은 사람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음은 물론 밀폐형 도어에 의해 후방 출입구가 완전히 밀폐되어 물이 침투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의 측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받침대의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요구 구성의 다른 실시예의 받침대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의 측단면도.
도 6a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상부 구조물의 내부 배치도.
도 6b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상부 구조물에 복수의 체인이 설치된 상태의 내부 배치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는 도 1 내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거주공간 및 피난공간이 구비되고 상부에 채광창(23)이 형성되고 후방 출입구에 밀폐형 도어(27)(도 2 참조)가 설치된 밀폐형 구조의 상부 구조물(20)과, 내부에 기계실(31)이 설치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상부 구조물(20)이 결합되며 저면이 유선형으로 형성된 하부 구조물(30)로 이루어지는 이동 하우스(10)와; 상기 하부 구조물(30)의 후방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기계실(31)에 구비된 구동수단(32)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이동 하우스(10)가 수상에서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류(15)와; 상기 하부 구조물(3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이동 하우스(10)를 지지하고 이동시킬 수 있는 받침대(40)와; 상기 상부 구조물(2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하우스(10)의 이동 방향 및 상기 기계실(31)의 구동수단(32)을 제어하기 위한 조타실(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상부 구조물(20)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주공간이 형성된 거주공간부(21)와, 거주공간을 제외한 갑판에 형성되는 피난공간부(22)로 구획되고, 상기 거주공간부(21)와 피난공간부(22)를 형성하는 상기 상부 구조물(10)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사람의 허리 또는 복부 높이에 다수의 체인 고정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체인 고정부(24)는 위급시 각 사람의 안전벨트를 매는 체인을 걸기 위한 것으로, 평상시에는 체인 고정부(24)에서 체인을 분리하여 별도 보관하므로 일상 생활에는 전혀 지장을 주지 않으나, 만약 쓰나미와 같은 위급한 상황이 오면 상부 구조물(20)의 바닥에 있는 체인 및 안전벨트 보관부(60)에서 체인과 안전벨트를 꺼내 피난공간부(22)의 마주보는 측벽에 형성된 체인 고정부(24) 사이에 먼저 복수의 체인(25)을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교차하게 걸어 복수의 체인(25)이 서로 직교하여 사각의 피난 공간을 형성하도록 한 다음, 각 사람이 안전벨트(26)를 자기 허리에 차고 각 피난 공간 안으로 들어가 자기 허리에 찬 안전벨트(26)를 각 사람의 인근에 있는 체인(25)의 고리에 걸어 그 사람의 몸을 안전벨트(26)를 통해 체인(25)에 고정할 수 있게 한다.
또, 피난공간부(22) 외 거주공간부(21), 예를 들어, 거실, 주방 및 화장실 등의 측벽에도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체인 고정부(24)가 형성되어 있어, 일상 생활 도중 예고없이 갑자기 쓰나미가 닥친 것을 창문을 통해 알거나 인편을 통해 들은 경우에도 따로 산으로 피신할 필요없이 각종 창문과 도어를 폐쇄한 후 바로 거주공간부(21) 아래에 있는 안전벨트 보관부(59)에서 안전벨트(26)를 꺼내 현재 자기가 있는 곳에서 제일 가까운 체인 고정부(24)에 자기의 안전벨트(26)를 직접 걸어 자기 몸을 신속히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구조물(20)의 측면에는 강화유리로 형성된 다수의 창(57)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들 창(57)은 열리지 않는 고정식 창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개폐식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개폐식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창(57)이 닫힌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패킹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구조물(20)의 상면에 설치되는 채광창(23)은 고정식 창일 수도 있으나, 개폐식 구조로 형성하여 사다리(38)를 이용하여 위급시 비상용 출입구로 활용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조타실(50)의 전면에 설치되는 창(52)도 고정식 창일 수도 있으나, 개폐식 구조로 형성하여 위급시 비상용 출입구로 활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구조물(20)과 하부 구조물(30)은 철재 구조물로서 단층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중 구조로 형성되어 외벽이 손상을 입더라도 내부로는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구조물(30)의 하부에 육상에서의 이동을 위한 바퀴(33)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작이 끝난 상기 이동 하우스(10)를 설치 위치로 운송하거나 설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하여 육상에서 일정 정도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바퀴(33)에 의해 쓰나미와 같은 유사시 물에 떠 다니는 중에 하부 구조물(30)의 하면이 직접 다른 물체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퀴(33)는 공기 주입식 타이어일 수도 있으나 부하와 충격을 보다 잘 견디기 위하여 공기 주입식이 아닌 전체가 고무로 이루어진 통 타이어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구조물(30)의 내부에는 거주공간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생활을 위한 급수용 저수조(35a)와 배수용 정화조(35b), 급수펌프(35c), 및 각종 배수펌프(37) 및 환기 시설(도시 생략) 등의 생활보조시설(35)이 설치된다. 환기 시설의 외부쪽 환기구는 물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조타실(50)의 외부 측벽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구조물(30)의 저부에는 배수구가 아닌 바닥에 떨어진 물이 자연적으로 흘러 모일 수 있게 하부 구조물(30)에서 외부로 돌출 형성되는 집수정(36) 및 상기 정화조(35b)와 집수정(36) 등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각종 배수펌프(37)들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기계실(31) 및 생활보조시설(35)은 상기 하부 구조물(30)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이동 하우스(10)가 쓰나미 등 위급시 물에 잠겼을 때 사람들이 상부 구조물(20)의 앞쪽인 피난공간부(22)에 사람들이 대피해 있을 때와 균형을 맞추고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또,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구조물(30)은 후면 바닥이 전면 바닥보다 더 높이 들려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상부 구조물의 거주공간이나 상기 하부 구조물의 기계실 등이 후방측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이동 하우스(10)의 무게 중심이 후방측으로 쏠리는 것과 상부 구조물(20)의 앞쪽인 피난공간부(22)에 사람들이 대피해 있는 것 사이에 균형을 맞춰 이동 하우스(10)의 전체 무게의 균형을 잡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40)는 상기 하부 구조물(30)의 높낮이에 대응하도록 받침대(40)의 전방부가 후방부에 비해 더 낮게 형성된다(도 3 및 도 4a 참조). 이는 상기 이동 하우스(10)가 상기 받침대(40)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항상 수평을 유지하게 함으로써, 평상시 거주공간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이 불편을 느끼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받침대(40)의 하부에는 이동 하우스(10)를 안착한 상태에서 육상에서의 이동을 위한 바퀴(42)가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제작이 끝난 상기 이동 하우스(10)를 안착한 상태에서 받침대(40)를 사용하여 이동 하우스(10)를 원하는 위치로 운송하거나 설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하여 육상에서 일정 정도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바퀴(42)는 공기 주입식 타이어일 수도 있으나 부하를 더 잘 견디기 위하여 공기 주입식이 아닌 전체가 고무로 이루어진 통 타이어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또, 이동 하우스(1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평상시 생활하는 중에 이동 하우스(10)가 지면에 흔들림 없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받침대(40)의 전후 좌우에 있는 타이어(42) 외부쪽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 앵커(44)와 볼트(46)가 설치될 수 있으며(도 4b 참조), 이 고정 앵커(44)와 볼트(46)를 사용하여 받침대(40)의 전후 좌우를 고정함으로써 받침대(40)가 지면에 흔들림 없이 고정되어 받침대(40) 위에 있는 이동 하우스(10)를 흔들림 없이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 하우스(10)는 상기 받침대(40)에 별도의 볼트 등으로 고정되지 않고 단순히 얹혀진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쓰나미와 같은 유사시 물의 흐름에 따라 상기 이동 하우스(10)가 상기 받침대(40)로부터 자연스럽게 이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상부 구조물(20)의 후방에 설치되는 밀폐형 도어(27)(도 2 참조)는 후방 출입구를 개폐하는 장치로, 유사시 외부인들이 빠르게 피난할 수 있도록 하며, 사람들이 모두 탑승한 이후에는 상기 밀폐형 도어(27)가 완전히 밀폐되어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하우스(10) 내부에서의 원활한 층간 이동을 위하여 다수의 사다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구조물(20)의 바닥과 상기 조타실(50)을 연결하는 상부 계단 또는 상부 사다리(39a) 및 상기 상부 구조물(20)의 바닥과 상기 하부 구조물(30)의 바닥을 연결하는 하부 계단 또는 하부 사다리(39b) 및 상기 상부 구조물(20)의 밀폐형 도어(27)와 외부 지면을 연결하는 사다리(39c)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구조물(20)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기 채광창(23)에도 사다리(38)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밀폐형 도어(27)가 닫힌 상태에서도 사람들이 상기 상부 구조물(20)의 내부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상부 구조물(20)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 구조물(30)의 상단부가 각각 외측으로 일정 폭 돌출 연장되어 형성된 상부 및 하부 플랜지부(20')(30')(도 5 및 도 1, 도 2 참조)에 패킹(미도시)을 사이에 두고 복수의 볼트(55)가 체결되어 상기 상부 구조물(20)과 하부 구조물(30)을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랜지부(20')(30')를 형성하는 이유는,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을 별도로 제작한 다음 조립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제조상의 편의성과 별 이동의 편의성을 도모함과 아울러, 일정 폭에 걸쳐 상기 상부 구조물(20)과 하부 구조물(30)이 견고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상부 및 하부 플랜지부의 돌출 연장에 의해 상기 이동 하우스(10)가 물 속에서 전복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부 및 하부 플랜지부(20')(30')의 양측 무게에 의해 이동 하우스(10)를 평형 상태로 신속히 복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는 도 6a 및 도 6b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보통 때에는 일반 주거용 주택으로 사용되고 폭우로 인한 홍수 또는 해일이나 쓰나미와 같은 재해가 발생할 경우에는 피난 및 구호용 선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부 구조물(20)과 하부 구조물(30)로 이루어진 이동 하우스(10)는 외부의 제작소에서 제작된 후 주택가에 설치된 받침대(40)에 거치되어 일반 주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설치 위치의 변경 등을 위해서 상기 이동 하우스(10)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 하우스(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퀴(33)를 이용하거나 이동 하우스(10)를 받침대(40) 위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받침대(40)의 바퀴(42)를 이용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 하우스(10) 내의 생활은 거주공간부(21)의 거실이나 부엌 등 일반 거주공간에서 이루어지며(도 6a 참조), 피난 공간부(22)는 평소에는 외부 거실로 사용되고, 출입은 밀폐형 도어(27)(도 2 참조)가 설치된 후방 출입구를 이용한다. 그리고, 하부 구조물(30)에 설치된 생활보조시설(35)(도 5 참조)은 거주공간 내의 생활을 위해 물을 공급하고, 배수구를 통해 배수된 오폐수를 정화조에 저장하는 등 일반적인 생활을 보조하게 된다. 그리고, 배수구가 아닌 바닥에 떨어진 물은 낮은 곳으로 자연적으로 흘러 마지막으로 집수정(36)으로 수거된 후 배수 펌프(37)를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만약, 홍수나 해일과 같은 물로 인한 재해가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 하우스(10)의 창문이나 도어를 완전히 밀폐함으로써 상기 이동 하우스(10)를 피난 및 구호용 선박으로 사용한다. 재해 초기에는 상기 상부 구조물(20)의 후방에 설치된 밀폐형 도어(27)를 개방하여 다른 사람들이 빠르게 탑승하도록 하고, 물이 차오르면 상기 밀폐형 도어(27)는 폐쇄하고 상기 상부 구조물(20)의 상부에 위치한 채광창(23)을 개방하여 임시 보조 출입구로 이용한다.
이때, 거주공간부(21)로 피신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안전을 위하여 피난공간부(22)에는 복수의 체인(25)을 전술된 바와 같이 서로 직교하게 설치한 후 그 끝단을 각각 상기 상부 구조물(20) 내측에 설치된 체인 고정부(24)에 고정함으로써 각 사각의 피난 공간 내에 한 사람씩 또는 몇 사람씩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도 6b 참조). 이때, 피난 공간 내부의 사람들이 착용한 안전벨트(26)를 상기 체인(25)에 고정함으로써 배가 흔들리더라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사람들의 피신이 완료되고 상기 이동 하우스(10)가 물에 뜨게 되면, 조타실(50)(도 5 참조)에서 상기 이동 하우스(10)의 이동 방향과 속도를 제어한다. 상기 이동 하우스(10)는 상기 하부 구조물(30)의 외측에 설치된 스크류(15)를 회전시킴으로써 추진력을 얻게 되는데, 상기 스크류(15)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32)으로는 전기모터를 사용할 수도 있고, 엔진과 같은 내연기관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배터리나 연료를 포함하는 연료통이 하부 구조물(30)의 저부에 배치되고, 연소 가스 배기구는 조타실(50)의 외부 측벽 상단으로 이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 하우스(20)가 물에 뜬 상태에서는 물살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하므로 전복의 위험이 있으나, 상기 이동 하우스(10)는 무게중심이 하부에 위치하여 쉽게 복원될 수 있고, 상기 이동 하우스(10)의 결합부에 형성되는 일정 폭 돌출 형성된 상부 및 하부 플랜지부(20')(30')가 상기 이동 하우스(10)의 복원력을 향상시켜 쉽게 전복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응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이동 하우스
15: 스크류
20: 상부 구조물
20': 플랜지부
21: 거주공간부
22: 피난공간부
23: 채광창
24: 체인 고정부
25: 체인
26: 안전벨트
27: 밀폐형 도어
30: 하부 구조물
30': 플랜지부
31: 기계실
32: 구동수단
33: 바퀴
35: 생활보조시설
36: 집수정
37: 배수펌프
40: 받침대
50: 조타실
55: 볼트

Claims (5)

  1. 삭제
  2. 내부에 거주공간 및 피난공간이 구비되고 상부에 채광창(23)이 형성되고 후방 출입구에 밀폐형 도어(27)가 설치된 밀폐형 구조의 상부 구조물(20)과, 내부에 기계실(31)이 설치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상부 구조물(20)이 결합되며 저면이 유선형으로 형성된 하부 구조물(30)로 이루어지는 이동 하우스(10)와;
    상기 하부 구조물(30)의 후방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기계실(31)에 구비된 구동수단(32)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이동 하우스(10)가 수상에서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류(15)와;
    상기 하부 구조물(3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이동 하우스(10)를 지지하고 이동시킬 수 있는 받침대(40)
    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구조물(20)은 거주공간이 형성된 거주공간부(21)와, 거주공간을 제외한 갑판에 형성되는 피난공간부(22)로 구획되고,
    상기 피난공간부(22)를 형성하는 상기 상부 구조물(10)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복수개의 체인 고정부(24)가 형성되며, 이 복수개의 체인 고정부(24)에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복수의 체인(25)이 서로 직교하게 고정되어, 사각의 피난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되, 상기 체인(25)에는 각 피난 공간 안으로 피신한 사람들이 착용한 안전벨트(26)가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물(20)의 상측에 상기 이동 하우스(10)의 이동 방향 및 상기 기계실(31)의 구동수단(32)을 제어하기 위한 조타실(50)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 구조물(30)의 하부에 육상에서의 이동을 위한 바퀴(33)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 구조물(30)의 내부에는 거주공간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생활을 위한 저수조(35a), 정화조(35b) 및 급수펌프(35c)를 포함하는 생활보조시설(35)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31) 및 생활보조시설(35)은 상기 하부 구조물(30)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구조물(30)의 저부에는 배수구가 아닌 바닥에 떨어진 물이 흘러서 모이는 집수정(36) 및 상기 정화조(35b)와 집수정(36)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37)가 더 구비되고,
    상기 하부 구조물(30)은 전면보다 후면이 들려 있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40)는 상기 하부 구조물(3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전방부가 후방부에 비해 더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물(20)의 바닥과 조타실(50)을 연결하는 상부 사다리(39a) 및 상기 상부 구조물(20)의 바닥과 상기 하부 구조물(30)의 바닥을 연결하는 하부 사다리(39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구조물(20)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 구조물(30)의 상단부가 각각 외측으로 일정 폭 돌출 연장되어 형성된 상부 및 하부 플랜지부(20')(30')에 복수의 볼트(55)가 체결되어 상기 상부 구조물(20)과 하부 구조물(30)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
KR1020110064875A 2011-06-30 2011-06-30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 KR101105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875A KR101105864B1 (ko) 2011-06-30 2011-06-30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875A KR101105864B1 (ko) 2011-06-30 2011-06-30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5864B1 true KR101105864B1 (ko) 2012-01-18

Family

ID=45614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875A KR101105864B1 (ko) 2011-06-30 2011-06-30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58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68906A (zh) * 2021-07-27 2021-11-19 武强县宏宇集成房屋有限公司 一种可以迁移的立体宅基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2768A (ko) * 2005-01-13 2006-07-19 현익근 지진,해일에 대비한 농가주택을 건설하는 방법
KR20090008864A (ko) * 2007-07-19 2009-01-22 임성섭 수상주택
KR101013856B1 (ko) 2008-10-14 2011-02-14 (주) 동방하이테크 수상 가옥
KR101026148B1 (ko) 2010-11-25 2011-03-30 주식회사 지주 다목적 레저용 수상 펜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2768A (ko) * 2005-01-13 2006-07-19 현익근 지진,해일에 대비한 농가주택을 건설하는 방법
KR20090008864A (ko) * 2007-07-19 2009-01-22 임성섭 수상주택
KR101013856B1 (ko) 2008-10-14 2011-02-14 (주) 동방하이테크 수상 가옥
KR101026148B1 (ko) 2010-11-25 2011-03-30 주식회사 지주 다목적 레저용 수상 펜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68906A (zh) * 2021-07-27 2021-11-19 武强县宏宇集成房屋有限公司 一种可以迁移的立体宅基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84408B2 (ja) 津波シェルター装置
JP3541197B1 (ja) 津波又は洪水に対する防災用として地上設置される浮遊型シェルタ
JP6065274B2 (ja) 垂直に立てられたポールを有するガイドタワー式の津波対応浮上式小部屋
JP6065277B2 (ja) ワイヤー巻取り装置により巻き取り可能としたワイヤーにより平屋住宅を固定する津波対応浮上式小部屋
EA012009B1 (ru) Перемещаемое здание
JP2007077758A (ja) 水害対応免震建築物
US20180347176A1 (en) Disaster-proof home
JP2004339920A (ja) 津波・洪水等の非常事態からの避難装置
JP2012206640A (ja) 津波・洪水用救命カプセル
JP2008014112A (ja) 津波避難装置
JP2015074437A (ja) 津波救命カーシェルター(シートベルト固定式)
JP2006219972A (ja) 災害対策装置
AU2021273635B2 (en) Evacuation structure
KR101105864B1 (ko) 조립식 이동 탱크 하우스
JP6065275B2 (ja) 浮力室の下方に4本の鎖を介して重りを配置する津波対応浮上式小部屋
JP6065276B2 (ja) リフト装置を有する津波対応浮上式小部屋
JP6514917B2 (ja) シェルター
JP2013163961A (ja) 津波・洪水など非常事態用の避難装置
JP2013076257A (ja) 避難シェルタ
JP3188958U (ja) シェルター
TW201408543A (zh) 緊急避難用裝置
GB2357094A (en) Buoyant building for flood protection
JP6547094B2 (ja) 津波、洪水、高潮対策用の避難部屋付き建築建造物
JP6256964B1 (ja) 浮遊傾動式避難カプセル
JP3188263U (ja) 防災シェル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