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769B1 - 정온도 향상을 위한 방파제 구조물 - Google Patents

정온도 향상을 위한 방파제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769B1
KR102483769B1 KR1020190019322A KR20190019322A KR102483769B1 KR 102483769 B1 KR102483769 B1 KR 102483769B1 KR 1020190019322 A KR1020190019322 A KR 1020190019322A KR 20190019322 A KR20190019322 A KR 20190019322A KR 102483769 B1 KR102483769 B1 KR 102483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
main
seawater
support
sofa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1108A (ko
Inventor
김석문
Original Assignee
김석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문 filed Critical 김석문
Priority to KR1020190019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769B1/ko
Publication of KR20200101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2Stream regulation, e.g. breaking up subaqueous rock, cleaning the beds of waterways, directing the water flo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해 측의 파랑에너지가 내해 측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내해 측의 정온도를 향상시키는 방파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해저면에 설치되는 메인가더와, 메인가더를 관통하여 양단이 각각 내해와 외해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해수유통 파이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온도 향상을 위한 방파제 구조물{Breakwater structure of improved calmness}
본 발명은 방파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해 측의 파랑에너지가 내해 측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내해 측의 정온도를 향상시키는 방파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방파제 구조물은 항만 또는 어항의 근방에 설치되어 외해로부터 밀려오는 파랑에너지를 감소시켜 항 내의 선박 기타 시설물을 보호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방파제 구조물은 길이, 깊이, 파고 등 설치될 지역의 여러 특성과 소파기능 및 경제성의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설계 및 시공된다.
방파제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해저에 기초단이 시공되고 기초단의 상부에 파력을 막을 수 있는 구조물이 설치되어 외해와 내해를 분리함으로써 내해를 보호하는 방식으로 많이 시공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은 내해의 바닷물이 외해와 분리되기 때문에, 내해와 외해의 바닷물이 서로 소통되지 않아 내해의 바닷물이 오염되고, 각종 오물이 쌓이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내해의 갯벌 등의 생태계가 파괴되는 문제 또한 발생하였다.
또한, 해수가 방파제 구조물을 통과하지 못하고 모든 파랑에너지가 반사됨으로써, 방파제 구조물에 큰 힘이 가해져 방파제 구조물 자체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밀려오는 파랑에너지와 반사되는 파도가 합쳐져 파고가 높아짐으로써 월파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기초단의 상부에 파력을 막을 수 있으면서도 해수가 통과할 수 있는 구조물이 설치되는 방식의 방파제 구조물이 개발되었다. 일 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0-1073750호 "방파제의 단위 유닛 및 방파제 구조물과 그 설치 방법"을 들 수 있다.
그런데, 이처럼 내해와 외해의 해수 유통이 가능한 방파제 구조물은, 외해의 파도가 방파제 구조물을 통과하여 내해의 수면 위로 떨어지면서, 내해 측의 정온도에 영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외해 측의 파랑에너지가 내해 측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파제 구조물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해로부터 전달되는 파랑에너지를 내해의 수중으로 유도함으로써, 내해의 수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파제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저면에 설치되는 메인가더; 및 상기 메인가더를 관통하여 양단이 각각 내해와 외해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해수유통 파이프를 포함하는 정온도 향상을 위한 방파제 구조물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복수 개의 해수유통 파이프는 상기 메인가더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행과 열을 이루도록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해수유통 파이프는, 상기 메인가더의 내부에 적층되는 복수 개의 고정 파이프와, 상기 메인가더의 상단부로부터 내해의 수중으로 일단이 연장되는 연장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메인가더의 내해측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설치되며, 상기 연장 파이프의 일단이 결합되는 지지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메인가더는, 복수 개의 단위프레임에 의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단에 형성되며 해저면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메인기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가더는, 상기 연장 파이프의 일단이 결합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단에 형성되어 해저면에 지지되는 복수 개의 보조기둥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저면에 설치되는 메인가더; 및 상기 메인가더의 내해측 상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내해의 수중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해수유통 파이프를 포함하는 정온도 향상을 위한 방파제 구조물을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복수 개의 해수유통 파이프 중 적어도 하나는, 일단이 해수면 위로 노출되고 타단이 상기 메인가더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하여 내해의 수중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메인가더는 복수 개의 소파블록이 복수 개의 행과 열을 이루도록 적층되어 형성되며, 상기 소파블록을 통해 내해와 외해의 해수 유통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해수유통 파이프의 일단에 폭이 확장된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소파블록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부의 삽입을 위한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메인가더의 내해측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설치되며, 상기 해수유통 파이프의 타단이 결합되는 지지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소파블록은,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대향하는 상판과 하판, 및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지지기둥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메인가더는, 상측면에 복수 개의 지지기둥이 일체로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복수 개의 층으로 적층되며 상측면에 복수 개의 지지기둥이 일체로 형성되고 저면에 복수 개의 삽입홈이 형성되는 소파블록과, 최상층 소파블록의 상측에 안착되며 저면에 복수 개의 삽입홈이 형성되는 커버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소파블록은 상기 지지기둥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온도 향상을 위한 방파제 구조물에 의하면, 내해와 외해의 해수 유통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온도 향상을 위한 방파제 구조물에 의하면, 외해 측의 파랑에너지가 내해의 수중으로 유도되므로, 외해 측으로부터 전달되는 파랑에너지가 내해의 해수면 정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온도 향상을 위한 방파제 구조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온도 향상을 위한 방파제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온도 향상을 위한 방파제 구조물의 설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온도 향상을 위한 방파제 구조물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온도 향상을 위한 방파제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온도 향상을 위한 방파제 구조물의 설치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온도 향상을 위한 방파제 구조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온도 향상을 위한 방파제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온도 향상을 위한 방파제 구조물의 설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온도 향상을 위한 방파제 구조물(이하, '방파제 구조물')(100)은, 해저면에 설치되는 메인가더(110)와, 메인가더(110)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해수유통 파이프(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인가더(110)는 복수 개의 단위프레임에 의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메인프레임(111)과, 메인프레임(111)의 하단에 형성되며 해저면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메인기둥(112)을 포함한다. 즉, 메인가더(110)는 해저면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메인기둥(112)에 의해 해저면 위에 견고하게 지지된다. 메인가더(110)의 상단은 해수면 위로 노출된다.
메인가더(110)와, 후술하는 지지가더(130)는 콘크리트나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가더(110)는 전후좌우와 상하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이며, 메인가더(110) 내부의 공간부에 복수 개의 해수유통 파이프(120)가 설치된다. 해수유통 파이프(120)는 양단이 각각 내해(도면상 메인가더(110)의 좌측)와 외해(도면상 메인가더(110)의 우측)를 향하도록 설치되며, 따라서 내해와 외해의 바닷물이 해수유통 파이프(120)를 통해 상호 유통될 수 있다.
해수유통 파이프(120)는 고무나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메인가더(110)의 내부에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행과 열로 적층되는 복수 개의 고정 파이프(121)와, 메인가더(110)의 상단부로부터 내해의 수중으로 일단이 연장되는 연장 파이프(122)를 포함한다.
예컨대, 메인가더(110) 내에서 해수면 위에 위치하도록, 복수 개의 연장 파이프(122)가 고정 파이프(121)의 상층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메인가더(110) 내에 복수 개의 고정 파이프(121)가 복수 개의 행과 열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해수면 상층의 고정 파이프(121)에 내해의 수중으로 일단이 연장되는 연장 파이프(122)의 타단이 각각 결합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고정 파이프(121)는 메인가더(110)의 내부에 용접, 접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별도의 체결구에 의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장 파이프(122)는 해수면 위에서 내해의 수중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해수면 위에 설치된 연장 파이프(122)의 일단이 메인가더(110)로부터 내해 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한 지점의 수중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외해로부터 메인가더(110) 방향으로 진행한 파도는 메인가더(110)에 부딪혀 파랑에너지가 감쇄되며, 연장 파이프(122)를 통과한 외해의 바닷물이 내해의 수중으로 유도됨으로써, 내해의 해수면 정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메인가더(110)로부터 내해 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연장 파이프(122)의 일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가더(130)가 설치된다.
이때, 지지가더(130)는 예컨대 사각틀 형태의 지지프레임(131)과, 지지프레임(131)의 하단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보조기둥(132)을 포함한다. 일 예로서, 지지프레임(131)은 복수 개의 단위프레임을 사각형으로 결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연장 파이프(122)의 일단이 지지프레임(131) 내에 각각 끼움결합되거나, 용접, 융착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거나, 별도의 체결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지지가더(130)의 하단에 형성되는 보조기둥(132)은 해저면에 삽입되어 지지프레임(131)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100)의 설치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가더(110)의 상단부가 해수면 위로 노출된다. 이때, 복수 개의 연장 파이프(122)는 해수면 위로 노출된 메인가더(110)의 상단부로부터 내해 측의 수중으로 연장되며, 지지가더(130)에 의해 지지된다.
외해로부터 메인가더(110)의 해수면 위로 파도가 부딪히면, 복수 개의 해수유통 파이프(120)가 적층된 메인가더(110)에 의해 파랑에너지가 감쇄되며, 파도에 실린 바닷물이 연장 파이프(122)를 통해 내해의 수중으로 유도됨으로써 내해 수면의 정온도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된다. 이때, 해수유통 파이프(120)를 통해, 또는 상호 인접하는 해수유통 파이프(120)들 사이의 틈새를 통해 내해와 외해의 해수 유통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온도 향상을 위한 방파제 구조물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온도 향상을 위한 방파제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온도 향상을 위한 방파제 구조물의 설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200)은, 연장 파이프와 지지가더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일부 구성이 동일하며 다만, 메인가더(210)가 소파블록(213)이 적층된 형태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는 차이점이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2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200)은, 해저면에 설치되는 메인가더(210)와, 메인가더(210)의 상부로부터 내해(도면상 메인가더(210)의 좌측)의 수중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해수유통 파이프(220)를 포함한다.
메인가더(210)는 복수 개의 소파블록(213)이 복수 개의 행과 열을 이루도록 적층되어 형성되는데, 각각의 소파블록(213)에는 내해와 외해의 해수 유통이 가능하도록 공간부가 형성된다.
예컨대, 소파블록은,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대향하는 상판과 하판, 그리고 상판과 하판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지지기둥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판과 하판이 복수 개의 지지기둥에 의해 서로 이격하고, 복수 개의 지지기둥 역시 상호 간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되므로, 이 소파블록들이 복수 개 적층되어 형성되는 메인가더를 통과하여 내해와 외해의 해수 유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이며, 해수의 유통이 가능하고 해수유통 파이프의 결합이 가능한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의 소파블록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메인가더(210)는 베이스플레이트(211)와, 베이스플레이트(211) 상에 복수 개의 층으로 적층되는 소파블록(213)과, 최상층 소파블록(213)의 상측에 안착되는 커버플레이트(2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베이스플레이트(211)의 상측면에 복수 개의 지지기둥(212)이 일체로 형성되고, 소파블록(213)의 상측면에 복수 개의 지지기둥(212)이 일체로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베이스플레이트(211)의 폭이 소파블록(213)의 폭보다 넓고 길이는 더 짧은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이며, 베이스플레이트(211)와 소파블록(213)의 폭과 길이 및 두께 등의 규격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211) 상에 소파블록(213)이 복수 개의 층으로 적층되며, 이를 위해 소파블록(213)의 저면에는 하층의 지지기둥(212) 상단이 삽입되도록 복수 개의 삽입홈(215)이 형성된다. 또한, 최상층 소파블록(213)의 상측에 커버플레이트(214)가 안착되는데, 커버플레이트(214)의 저면에는 하층의 지지기둥(212) 상단이 삽입되도록 복수 개의 삽입홈(215)이 형성된다.
아울러, 소파블록(213)에는 지지기둥(212)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216)이 관통 형성되는데, 이를 통해 상부와 하부의 소파블록층 사이에 해수 유통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실시예의 메인가더(210)는, 베이스플레이트(211)가 해저면에 안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저면 상에 기초지반(217)을 형성하고, 기초지반(217) 위에 베이스플레이트(211)를 안착시킨다. 기초지반(217)은 지형이 불안정한 해저면을 평평하게 하기 위한 기초공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초지반(217)의 저면에는 해저면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지주(218)가 형성되며, 기초지반(217)의 폭 방향 양측에는 베이스플레이트(211)의 유동방지를 위한 걸림턱(미도시)이 방파제 구조물(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소파블록(213)의 내해 측 테두리에 해수유통 파이프(220)의 일단이 결합되며, 이를 위해, 해수유통 파이프(220)의 일단에 폭이 확장된 걸림부(221)가 형성되고, 소파블록(213)의 내해 측 테두리에는 상측면과 저면에 각각 테두리를 따라 결합홈(219)이 연장 형성된다. 또한, 커버플레이트(214)의 저면에도 내해측 테두리를 따라 결합홈(219)이 연장 형성된다.
걸림부(221)는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플레이트 형태로 해수유통 파이프(2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별도로 제작된 걸림부(221)가 해수유통 파이프(220)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해수유통 파이프(220)와 소파블록(213)의 결합시, 해수유통 파이프(220)의 걸림부(221)가 소파블록(213)의 결합홈(219)에 삽입된다. 이때, 걸림부(221)의 하단이 하층 소파블록(213) 상측면의 결합홈(219)에 삽입되고, 걸림부(221)의 상단은 상층 소파블록(213) 저면의 결합홈(219)에 삽입됨으로써, 상층과 하층의 소파블록(213) 사이에 해수유통 파이프(220)의 걸림부(221)가 끼워져 결합된다. 최상층 해수유통 파이프(220)의 경우, 걸림부(221)의 상단이 커버플레이트(214) 저면의 결합홈(219)에 삽입되며, 걸림부(221)의 하단은 최상층 소파블록(213)의 상측면 결합홈(219)에 삽입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파블록(213)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해수유통 파이프(220) 중 적어도 일부는 일단이 해수면 위로 노출되고 타단이 내해 측의 수중으로 연장된다. 복수 개의 해수유통 파이프(220) 중 나머지는 해수면 밑으로 잠기는 소파블록(213)에 결합될 수 있다.
내해 측의 수중으로 연장된 해수유통 파이프(220)의 타단을 지지하기 위해, 메인가더(210)로부터 내해 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지지가더(230)가 설치된다.
이때, 지지가더(230)는 예컨대 사각틀 형태의 지지프레임(231)과, 지지프레임(231)의 내부를 복수 개의 층으로 구획하도록 가로지르는 복수 개의 가로프레임(232)과, 인접하는 한 쌍의 가로프레임(232)을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보강프레임(233)과, 지지프레임(231)의 하단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보조기둥(234)을 포함한다.
일 예로서, 지지프레임(231)은 복수 개의 단위프레임을 사각형으로 결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지지프레임(231)의 내부를 가로지르는 복수 개의 가로프레임(232)을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이격하여 결합할 수 있다. 보강프레임(233)은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한 쌍의 가로프레임(232) 사이에 결합되어 가로프레임(23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한편, 인접하는 한 쌍의 가로프레임(232)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시켜, 지지가더(230)를 통한 해수의 유통이 가능하게끔 한다.
복수 개의 가로프레임(232)에 의해 지지프레임(231)의 내부에 복수 개로 구획 형성되는 공간부에, 복수 개의 해수유통 파이프(220)의 타단이 나란히 결합된다. 이때, 해수유통 파이프(220)의 타단은 끼움결합되거나, 용접 또는 융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별도의 체결구에 의해 가로프레임(232) 사이의 공간부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가더(230)의 하단에 형성되는 보조기둥(234)은 해저면에 삽입되어 지지프레임(231)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2 실시예의 지지가더(230) 대신에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지지가더(130)를 적용하거나, 제1 실시예의 지지가더(130) 대신에 제2 실시예의 지지가더(230)를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200)의 설치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가더(210)의 상단부가 해수면 위로 노출된다. 이때, 복수 개의 해수유통 파이프(220)는 일단이 해수면에 인접하도록 내해 측 소파블록(213)에 결합되며, 해수유통 파이프(220)의 타단은 내해 측의 수중으로 연장되어 지지가더(230)에 의해 지지된다.
외해의 파도가 메인가더(210)에 부딪히면 소파블록(213)에 의해 파랑에너지가 감쇄되며, 상층부의 소파블록(213)을 통해 내해 측으로 유입되는 해수는 해수유통 파이프(220)를 통해 내해의 수중으로 유도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소파블록(213)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해수에 의해 내해 수면의 정온도가 크게 영향받았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외해의 해수가 내해의 수중으로 유도되므로, 해수 유입시 내해 수면의 정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200 : 방파제 구조물 110,210 : 메인가더
120,220 : 해수유통 파이프 121 : 고정 파이프
122 : 연장 파이프 130,230 : 지지가더
131,231 : 지지프레임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해저면에 설치되는 메인가더; 및
    상기 메인가더의 내해측 상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내해의 수중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해수유통 파이프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가더는 복수 개의 소파블록이 복수 개의 행과 열을 이루도록 적층되어 형성되고, 상기 소파블록을 통해 내해와 외해의 해수 유통이 가능하며,
    상기 해수유통 파이프의 일단에 폭이 확장된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소파블록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부의 삽입을 위한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소파블록은,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대향하는 상판과 하판, 및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지지기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온도 향상을 위한 방파제 구조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해수유통 파이프 중 적어도 하나는, 일단이 해수면 위로 노출되고 타단이 상기 메인가더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하여 내해의 수중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온도 향상을 위한 방파제 구조물.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메인가더의 내해측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설치되며, 상기 해수유통 파이프의 타단이 결합되는 지지가더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가더는, 사각틀 형태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부를 복수 개의 층으로 구획하도록 가로지르는 복수 개의 가로프레임과, 인접하는 한 쌍의 가로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보강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단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보조기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온도 향상을 위한 방파제 구조물.
  12. 삭제
  13. 해저면에 설치되는 메인가더; 및
    상기 메인가더의 내해측 상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내해의 수중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해수유통 파이프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가더는 복수 개의 소파블록이 복수 개의 행과 열을 이루도록 적층되어 형성되고, 상기 소파블록을 통해 내해와 외해의 해수 유통이 가능하며,
    상기 해수유통 파이프의 일단에 폭이 확장된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소파블록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부의 삽입을 위한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가더는, 상측면에 복수 개의 지지기둥이 일체로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복수 개의 층으로 적층되며 상측면에 복수 개의 지지기둥이 일체로 형성되고 저면에 복수 개의 삽입홈이 형성되는 소파블록과, 최상층 소파블록의 상측에 안착되며 저면에 복수 개의 삽입홈이 형성되는 커버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온도 향상을 위한 방파제 구조물.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소파블록은 상기 지지기둥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온도 향상을 위한 방파제 구조물.
KR1020190019322A 2019-02-19 2019-02-19 정온도 향상을 위한 방파제 구조물 KR102483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322A KR102483769B1 (ko) 2019-02-19 2019-02-19 정온도 향상을 위한 방파제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322A KR102483769B1 (ko) 2019-02-19 2019-02-19 정온도 향상을 위한 방파제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108A KR20200101108A (ko) 2020-08-27
KR102483769B1 true KR102483769B1 (ko) 2022-12-30

Family

ID=72237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322A KR102483769B1 (ko) 2019-02-19 2019-02-19 정온도 향상을 위한 방파제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376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7142A (ja) * 1998-07-15 2000-01-25 Kubota Corp 海底導水設備
KR100704431B1 (ko) * 2006-12-19 2007-04-09 범아건설 주식회사 벌집형 방파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751585B1 (ko) * 2006-12-19 2007-08-27 오병춘 축조블록의 설치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117B1 (ko) * 2017-07-11 2019-12-05 김석문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7142A (ja) * 1998-07-15 2000-01-25 Kubota Corp 海底導水設備
KR100704431B1 (ko) * 2006-12-19 2007-04-09 범아건설 주식회사 벌집형 방파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751585B1 (ko) * 2006-12-19 2007-08-27 오병춘 축조블록의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108A (ko) 202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5144B1 (ko) 홍수범람 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454648B1 (ko) 방파제 구조물
KR101266152B1 (ko) 어집 기능을 갖는 투과성 잠제블럭
US3654640A (en) Above ground swimming pool construction
KR102483769B1 (ko) 정온도 향상을 위한 방파제 구조물
KR20100036595A (ko) 방파제용 조립식 호안블록을 이용한 방파제의 시공방법
KR101149035B1 (ko) 모래유실 방지블록 조립체
KR101379040B1 (ko) 방파제 구조물
KR102010119B1 (ko) 방파제 구조물
KR101239000B1 (ko) 사석이 제거된 방파제구조물
JP2008038451A (ja) 波浪防護構造物
US5586835A (en) Shore erosion control structures
US2514119A (en) Breakwater
KR20050018827A (ko) 방파제 구축용 단위블럭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시공방법
US8142105B2 (en) Wave-motion reducing structure
KR20180006679A (ko) 방파제 구조물
JP7099785B2 (ja) 消波ブロック
KR102312940B1 (ko) 부유 구조체, 부유 구조체를 포함하는 물품 및 부유 구조체의 제조방법
KR101391360B1 (ko) 소파구조물의 케이슨 및 이를 이용한 안벽, 방파제, 호안
KR100637589B1 (ko) 접안시설 구축 및 방파용 소파블록
KR101829434B1 (ko) 항만구조물의 케이슨
KR20190099845A (ko) 부유식 방파제
KR102513898B1 (ko) 월파 저감용 소파블럭
KR102504774B1 (ko) 경사형 결합용 키에 의한 결합 구조를 가지는 방파제 구조체
KR101198407B1 (ko) 방파제 구조물 및 그 방파제 구조물용 단위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