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9035B1 - 모래유실 방지블록 조립체 - Google Patents

모래유실 방지블록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9035B1
KR101149035B1 KR1020110117773A KR20110117773A KR101149035B1 KR 101149035 B1 KR101149035 B1 KR 101149035B1 KR 1020110117773 A KR1020110117773 A KR 1020110117773A KR 20110117773 A KR20110117773 A KR 20110117773A KR 101149035 B1 KR101149035 B1 KR 101149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lock assembly
body portion
sand
loss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7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건
Priority to KR1020110117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90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뿔부재를 가진 모래유실 방지블록 및 모래유실 방지블록 조립체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안가에 설치되어 모래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모래유실 방지블록으로서,
다각형 단면이 일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면, 하면, 좌우 측면 및 전후면을 가지는 제2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하면과 상기 좌우측면이 각각 만나는 모서리로부터 연장돌출되되 상기 제2몸체부의 하면과 둔각을 이루고 있는 한 쌍의 제2지지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돌출되되 수평방향 단면적이 상향감소하는 뿔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몸체부의 좌우 측면 중 어느 한 측면과 상기 뿔부재의 상면을 관통하는 연결관통공이 마련되는 모래유실 방지블록 및 모래유실 방지블록 조립체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래유실 방지블록 조립체{Block assembly for preventing sand erosion}
본 발명은 뿔부재를 가진 모래유실 방지블록 및 모래유실 방지블록 조립체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면으로 밀려오는 해수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유실되는 모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뿔부재를 가진 모래유실 방지블록 및 모래유실 방지블록 조립체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안침식은 해양과 해변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발생되는 현상으로 해일, 폭풍과 같은 자연재해로 인해 일시에 대량의 모래가 유실되는 현상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지난 수십년간 인간은 연안에 다량의 직립식 방파제를 설치하여 연안침식을 막고자 하였으나, 최근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오히려 방파제로 인해 연안지역의 모래가 외해로 더 빨리 빠져나간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즉, 해안 부근에 파가 밀려오게 되면 방파제로 인해 파가 연안쪽으로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고 방파제의 아래쪽으로 진행하고 이때 이 파랑에너지에 의해 방파제의 저층에서는 모래가 유실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방파제 자체의 안정성에 치명적인 악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들은 모두 해안가로 밀려드는 파도가 해변으로 밀려오지 못하도록 함으로서 모래가 유실되지 않도록 하는데에 기인한다. 인위적으로 파도가 해변으로 밀려오지 못하게 함으로서 파도에 의한 파랑에너지가 방파제의 저층으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서 방파제 자체의 안정성을 저해하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01-0065002호에 개시된 모래유실 방지를 위한 구조에 의하면, 직립방파제의 적정높이에 횡방향으로 돌출부를 형성시킴으로서, 파랑에너지를 감소시켜 방파제 하부의 침식을 억제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직립방파제에 있어 해저바닥 보다 높고 해수면 보다 낮은 위치에, 횡방향으로 돌출부분을 설시하며, 상기 돌출부분은 방파제와 60-90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 방파제 인근의 모래유실방지를 위한 파도감쇄 방법에 관한 것을 그 요지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모래유실 방지를 위한 구조물도 효과적으로 파랑에너지를 분산시키지 못하여 실질적인 대책이 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1-0065002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해안가로 밀려드는 파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함은 물론 파랑에너지를 주변으로 분산시켜 모래유실 방지를 위한 블록의 안정성을 저해함이 없는 뿔부재를 가진 모래유실 방지블록 및 모래유실 방지블록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뿔부재를 가진 모래유실 방지블록은, 해안가에 설치되어 모래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모래유실 방지블록으로서,
다각형 단면이 일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면, 하면, 좌우 측면 및 전후면을 가지는 제2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하면과 상기 좌우측면이 각각 만나는 모서리로부터 연장돌출되되 상기 제2몸체부의 하면과 둔각을 이루고 있는 한 쌍의 제2지지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돌출되되 수평방향 단면적이 상향감소하는 뿔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몸체부의 좌우 측면 중 어느 한 측면과 상기 뿔부재의 상면을 관통하는 연결관통공이 마련된다.
상기 모래유실 방지블록에서,
상기 연결관통공은, 상기 제2몸체부의 좌우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몸체부의 좌우 측면 중 다른 측면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제2몸체부를 지나다가,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뿔부재의 내부를 지나 상기 뿔부재의 상면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모래유실 방지블록에서, 상기 뿔부재는 복수개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되, 상기 연결관통공은 상기 뿔부재와 대응되는 수만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래유실 방지블록에서,
상기 뿔부재는 원뿔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래유실 방지블록 조립체는,
상부의 가운데 영역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U 자 형상을 가지는 단면이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의 하측 양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돌출되며 상기 제1몸체부의 하면과 둔각을 이루고 있는 제1지지부를 포함하는 하부블록체가 상기 일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여 다수 배열되어 있는 하부블록조립체; 및
다각형 단면이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하측 양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돌출되며 상기 제2몸체부의 하면과 둔각을 이루고 있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뿔부재 및
상기 제2몸체부의 측면과 상기 뿔부재의 상면을 관통하는 연결관통공을 포함하는 상부블록체가 상기 일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다수 배열되고, 상기 하부블록체의 상측에 적층되어 있는 상부블록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블록체의 오목부는 상기 상부블록체의 제2지지부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
상기 모래유실 방지블록 조립체에서, 상기 하부블록체의 오목부는 서로 인접한 상부블록체의 지지부가 함께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래유실 방지블록은, 상측에 대략 뿔형태의 뿔부재가 마련되어 있어 해안에서 밀려오는 파도의 파랑에너지를 분산시켜 모래가 유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래유실 방지블록은, 밀려오는 파도를 내부의 연결관통공으로 안내하여 뿔부재를 통하여 상측으로 분사시킴에 따라서 파랑에너지를 분산시켜 모래가 유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래유실 방지블록 조립체는, 다수의 블록체가 안정적으로 적층되어 쌓일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밀려오는 파도로부터 해안의 모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래유실 방지블록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래유실 방지블록 조립체는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모래유실 방지블록 조립체의 일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Ⅴ-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래유실 방지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래유실 방지블록 및 모래유실 방지블록 조립체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모래유실 방지블록(40)은, 해안가에 설치되어 모래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제2몸체부(41), 제2지지부(42), 뿔부재(43) 및 연결관통공(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몸체부(41)는, 다각형 단면을 가지되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고 있게 된다. 이러한 제2몸체부(41)는, 상면(411), 하면(412), 좌우측면(413) 및 전후면(414)을 가지고 있게 된다. 이러한 제2몸체부(41)는 콘크리트 소재로 이루어지되 그 내부에는 자갈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기타 철근이 내부에 포함되어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제2몸체부(41)의 전면에는 전방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414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2몸체부(41)의 후면에는 상기 돌출부(414a)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홈부(414b)가 마련되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돌출부(414a)와 홈부(414b)가 마련되어 있음에 따라서 인접한 모래유실 방지블록(40)과의 결합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예컨데,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모래유실 방지블록(40)이 배치되는 경우에, 어느 한 모래유실 방지블록(40)의 돌출부(414a)가 다른 모래유실 방지블록(40)의 홈부(414b)에 결합됨으로서 조립체에서 어느 한 모래유실 방지블록(40)이 위치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조립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제2몸체부(41)의 표면이 매끈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면을 거칠게 함으로서 해조류 등이 번식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제2지지부(42)는 상기 제2몸체부(41)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몸체부(41)의 하면(412)과 상기 좌우측면(413)이 각각 만나는 모서리로부터 대략 135°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2지지부(42)는 한 쌍이 마련되어 있어 안정적으로 제2몸체부(41)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지지부(42)는 제2몸체부(41)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으며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2지지부(42)의 내부에는 자갈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강도 보강을 위하여 철근이 내포되어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뿔부재(43)는, 제2몸체부(41)의 상면(411)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돌출되는 것으로서 수평방향의 단면적이 상향감소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히다. 이러한 뿔부재(43)는 원뿔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뿔부재(43)는 2개 정도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개 이상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단일의 갯수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뿔부재(43)는 부딪치는 파도를 여러갈래로 부서뜨림으로 인하여 파랑에너지를 분산시킬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연결관통공(44)은, 측면으로부터 밀려오는 파도를 상측으로 분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한다. 즉, 밀려오는 파도의 파랑에너지를 제2몸체부(41)가 그대로 막아내는 것이 아니라 일부는 연결관통공(44)을 통하여 상측으로 분출시킴으로서 파랑에너지는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모래유실 방지블록(40)이 안정적으로 해안가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연결관통공(44)은, 제2몸체부(41)의 좌우 측면 중 어느 한 측면과 상기 뿔부재(43)의 상면(411)을 관통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결관통공(44)은 제2몸체부(41)의 좌우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으로부터 다른 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수평관통공(441)과, 상기 수평관통공(441)의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뿔부재(43)의 내부를 지나는 수직관통공(442)으로 이루어진다.
수평관통공(441)과 수직관통공(442)이 서로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서 밀려오는 파도는 수평관통공(441)을 통하여 안내되다가 수직관통공(442)으로 인도되어 최종적으로는 뿔부재(43)의 상면(411)을 통하여 외부로 분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파도가 뿔부재(43)의 상면(411)을 통하여 분출되는 과정에서 파도의 파랑에너지는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모래유실 방지블록(40)이 해안가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연결관통공(44)은 뿔부재(43)와 대응되는 수만큼 형성될 있으며 예컨데 뿔부재(43)가 2개가 배치되는 경우에 연결관통공(44)도 2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래유실 방지블록(40)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먼저, 설치된 모래유실 방지블록(40)을 향하여 외부의 파도가 밀려오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파도의 일부가 뿔부재(43)를 통과하면(412)서 여러갈래로 부서져 버리기 때문에 파랑에너지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모래유실 방지블록(40)의 안정적을 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설치된 모래유실 방지블록(40)의 측면을 향하여 파도가 밀려오는 경우에는 상기 파도가 연결관통공(44)을 통하여 안내되어 뿔부재(43)를 통하여 분출됨에 따라서 효과적으로 파랑에너지를 분산시킬 수 있어서 많은 양의 모래유실 방지블록(40)이 없이도 파도를 효과적으로 막아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기존의 모래유실 방지블록(40)은 파도를 막는 것에만 촛점을 맞추고 있었으나 이에 따라서 강한 파도에 견디기 위해서는 다량의 모래유실 방지블록(40)을 설치해야 했으며 강한 파랑에너지가 그대로 모래유실 방지블록(40)의 저부로 전달되어 전체적인 모래유실 방지블록(40)의 안정성을 저해하고 있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모래유실 방지블록(40)은 그러한 영향을 최소화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래유실 방지블록 조립체(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블록체가 배치되어 이루어진 조립체로서, 하부블록조립체(20)와 상부블록조립체(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블록조립체(20)는, 다수의 하부블록체(21)가 인접하에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이루게된다. 이때 하부블록체(21)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부(22), 제1지지부(23)로 구성된다.
이때 제1몸체부(22)는, 상부의 가운데 영역에 오목부(221)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U 자 형상을 가지는 단면이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제1지지부(23)는, 상기 제1몸체부(22)의 하측 양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돌출되며 상기 제1몸체부(22)의 하면(412)과 둔각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제1몸체부(22) 및 제1지지부(23)는 콘크리트 소재로 이루어지되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오목부(221)는 2개의 제2지지부(42)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데, 구체적으로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는 서로 다른 2개의 상부블록체의 제2지지부(42)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하부블록체(21)는 상기 일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여 다수 배열되어 하부블록조립체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상부블록조립체(30)는 다수의 상부블록체(31)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부 블록체는 도 1에서 언급한 모래유실 방지블록(40)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다각형 단면이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몸체부(32)와, 상기 제2몸체부(32)의 하측 양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돌출되며 상기 제2몸체부(32)의 하면과 둔각을 이루고 있는 제2지지부(33)와, 상기 제2몸체부(32)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뿔부재(34) 및 상기 제2몸체부(32)의 측면과 상기 뿔부재(34)의 상면을 관통하는 연결관통공(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상부블록체(30)는 일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다수 배열되어 있게 된다. 또한, 각각의 상부블록체(30)는 제2지지부(42)가 상기 하부블록체(21)의 오목부(221)에 삽입되도록 적층된다. 이때, 서로 인접한 상부블록체의 제2지지부(42) 각각이 서로 상기 오목부(221)에 삽입되어 있어 안정적으로 상기 상부블록체가 적층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래유실 방지블록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먼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상부블록체(31)의 제2지지부(33)가 하부블록체(21)의 오목부(221)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기 상부블록체(31)는 안정적으로 적층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상부블록체(31)가 하부블록체(21)에 대하여 교차적층되어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전체적인 구조물이 유지될 수 있게 한다.
또한, 하부블록체(21)는 상부블록체(31)가 적어도 일부가 수면에 노출될 수 있는 높이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서 파랑에너지의 감소를 극대화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래유실 방지블록 및 조립체에서 상기 하부블록체가 단일층이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수층이 적층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과 관련된 모래유실 방지블록에서 뿔부재가 원뿔대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뿔대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기타 다양한 뿔대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합리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범위라면 청구범위가 확대해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모래유실 방지블록 조립체 20...하부블록 조립체
21...하부블록체 22...제1몸체부
23...제1지지부 30...상부블록 조립체
32...제2몸체부 33...제2지지부
34...뿔부재 40...모래유실 방지블록
41...제2몸체부 411...상면
412...하면 413...좌우측면
414...전후면 414a...돌출부
414b...홈부 42...제2지지부
43...뿔부재 44...연결관통공
441...수평관통공 442...수직관통공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해안가에 설치되어 모래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모래유실 방지블록 조립체로서,
    상부의 가운데 영역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U 자 형상을 가지는 단면이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의 하측 양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돌출되며 상기 제1몸체부의 하면과 둔각을 이루고 있는 제1지지부를 포함하는 하부블록체가 상기 일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여 다수 배열되어 있는 하부블록조립체; 및
    다각형 단면이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하측 양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돌출되며 상기 제2몸체부의 하면과 둔각을 이루고 있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뿔부재 및 상기 제2몸체부의 측면과 상기 뿔부재의 상면을 관통하는 연결관통공을 포함하는 상부블록체가 상기 일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다수 배열되고, 상기 하부블록체의 상측에 적층되어 있는 상부블록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블록체의 오목부는 상기 상부블록체의 제2지지부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모래유실 방지블록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블록체의 오목부는 서로 인접한 상부블록체의 지지부가 함께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유실 방지블록 조립체.
KR1020110117773A 2011-11-11 2011-11-11 모래유실 방지블록 조립체 KR101149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7773A KR101149035B1 (ko) 2011-11-11 2011-11-11 모래유실 방지블록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7773A KR101149035B1 (ko) 2011-11-11 2011-11-11 모래유실 방지블록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9035B1 true KR101149035B1 (ko) 2012-05-24

Family

ID=46272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7773A KR101149035B1 (ko) 2011-11-11 2011-11-11 모래유실 방지블록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903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437B1 (ko) 2013-05-22 2014-03-25 주식회사 우리창우종합건축사사무소 유실 모래 복원 고정식 구조체 유닛, 구조물 및 복원방법
KR101568264B1 (ko) * 2015-03-19 2015-11-11 주식회사 해건 파향 전환기능을 갖는 잠제블록
KR102097760B1 (ko) * 2019-05-30 2020-04-07 주식회사 다해건설 해안침식 방지용 블록 조립체 및 이의 제작 방법
KR102569257B1 (ko) 2023-05-02 2023-08-23 주식회사 디딤공간 운동장용 미사 유실 방지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8247A (en) * 1986-05-05 1990-12-18 Lenson Walter J Erosion control device
JPH0522622U (ja) * 1991-08-20 1993-03-23 株式会社旭ダンケ 土木用コンクリートブロツク
KR200337316Y1 (ko) * 2003-10-01 2003-12-31 강원실업(주) 생태계 어초블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8247A (en) * 1986-05-05 1990-12-18 Lenson Walter J Erosion control device
JPH0522622U (ja) * 1991-08-20 1993-03-23 株式会社旭ダンケ 土木用コンクリートブロツク
KR200337316Y1 (ko) * 2003-10-01 2003-12-31 강원실업(주) 생태계 어초블록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437B1 (ko) 2013-05-22 2014-03-25 주식회사 우리창우종합건축사사무소 유실 모래 복원 고정식 구조체 유닛, 구조물 및 복원방법
KR101568264B1 (ko) * 2015-03-19 2015-11-11 주식회사 해건 파향 전환기능을 갖는 잠제블록
KR102097760B1 (ko) * 2019-05-30 2020-04-07 주식회사 다해건설 해안침식 방지용 블록 조립체 및 이의 제작 방법
KR102569257B1 (ko) 2023-05-02 2023-08-23 주식회사 디딤공간 운동장용 미사 유실 방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609B1 (ko) 부유식 방파제
KR101149035B1 (ko) 모래유실 방지블록 조립체
KR101399812B1 (ko) 방파제용 소파블록
KR20170107863A (ko) 육각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피복공법
KR101987883B1 (ko) 계단식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계단식 소파블록 구조물
KR101694524B1 (ko) 항만구조물의 케이슨
KR20150141225A (ko) 해수 교환형 케이슨식 방파제
KR101145257B1 (ko) 분수형 해안 잠제 구조물
KR102363137B1 (ko) 유공판을 구비하는 케이슨, 복수개의 막판들이 배열설치된 케이슨 및 이들의 시공방법
KR20150086439A (ko) 소파블록
KR101450787B1 (ko) 침식 방호 블록들의 배치 구조
KR20110021235A (ko) 허니콤 구조를 이용한 소파구조물의 케이슨 및 이를 구비한 안벽, 방파제, 호안
KR101829434B1 (ko) 항만구조물의 케이슨
CN211228350U (zh) 能量吸收构件以及能量吸收组件
KR102290352B1 (ko) 소파블록, 소파블록이 구비된 유공방파제 및 소파블록이 구비된 유공방파제 시공방법
KR20160021321A (ko) 소파블록
KR100684297B1 (ko) 방파제 경사면 피복블록
KR102483769B1 (ko) 정온도 향상을 위한 방파제 구조물
KR101326773B1 (ko) 부등침하에 대응이 용이한 항만구조물
KR101133501B1 (ko) 경사면을 보호하기 위한 소파용 친수블럭
KR20190099845A (ko) 부유식 방파제
KR100530693B1 (ko) 파제제용 소파블럭을 이용한 파제제
KR102559240B1 (ko) 케이크로스 소파블록 및 그 거치방법
KR102295252B1 (ko) 해양구조물 단위블록, 해양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413652B1 (ko) 소파블록 및 이를 갖는 방파제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