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0693B1 - 파제제용 소파블럭을 이용한 파제제 - Google Patents

파제제용 소파블럭을 이용한 파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0693B1
KR100530693B1 KR10-2004-0078915A KR20040078915A KR100530693B1 KR 100530693 B1 KR100530693 B1 KR 100530693B1 KR 20040078915 A KR20040078915 A KR 20040078915A KR 100530693 B1 KR100530693 B1 KR 100530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sea
block
wav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8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4434A (ko
Inventor
이승준
Original Assignee
고양종합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양종합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양종합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8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0693B1/ko
Publication of KR20040104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4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0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06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제제용 소파블럭에 관한 것으로, 외해와 내해의 해수유통을 위해 연결부(13)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지지부(11)의 전면 상하부에 한 쌍을 이루어 형성되는 해수통수구(17)와;일측 지지부(11)(31)의 전면에 반타원형의 형상을 이루어 돌출되는 다수의 파랑제어편(18)(38)이 더 형성되는 파제제용 소파블럭을 구비하였다.
그러므로, 일측 지지부(11)의 전면에 다수의 파랑제어편(18)이 형성되므로 파제제(20)로 구축될시 블럭(10)에 파랑이 부딪히는 면적을 넓게 하여 파랑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지지부(11)의 전면 상하부에 연결부(13)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해수통수구(17)가 한 쌍을 이루도록 형성되므로 외해와 내해의 해수유통량이 증가되도록 하여 더욱 원활한 해수유통이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파제제용 소파블럭을 이용한 파제제{breackwater using of a block for breackwater}
본 발명은 파제제용 블럭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랑의 제어가 용이한 파제제용 소파블럭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항구에는 외해로부터 끊임없이 래습하는 파랑을 저지하여 항내 해수면의 정온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선박의 정박, 화물의 선적, 하역 등의 작업시 안전을 도모하여 각종 항내 수역시설을 보호하기 위하여 파제제를 구축하게 된다.
일반적인 파제제는 각기 크기를 달리하는 다수의 블럭을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파제제를 구축하였다. 그런데 파제제를 구축하게 되는 블럭은 하부블럭의 상단면에 적층되어질 블럭의 대응면이 위치되어 적층되는 비교적 단순한 방법으로 적층되었고,블럭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요소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좌우이탈이 발생되었다.
또한,파제제를 기준으로 외해와 내해의 해수유통을 위한 수단이 구비되지 않으므로 항내에 오염물이 축적되어 항내해수면의 오염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측면의 단부에 각각 요홈(1a)과 돌기(1b)를 형성하고, 평면의 중앙에 내측으로 함몰되어 구비된 운반용 고리(2)를 구비하여 서로 대향하는 양측의 지지부(1)와;+자 형상을 이루며, 중앙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측에 운반용 고리(2)를 구비한 돌출부(4)와,상하면에 각각 안착홈(6)과 결합돌기(5)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4)를 연결하는 연결부(3)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4)의 전면에 상기 연결부(3)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해수의 유통을 위한 해수통수구(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제제용 블럭이 고안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파제제용 블럭은,파제제로 구축될시 지지부(4)의 면적이 넓지 못하여 외해로 부터의 파랑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지 못하였다.
또한 해수통수구(7)가 전면 중앙에 단독으로 형성되어 외해와 내해의 해수유통량이 많지 못하여 해수유통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파랑이 효과적으로 제어되고, 해수유통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 파제제용 소파블럭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파제제용 소파블럭은,측면 단부에 각각 요홈과 돌기가 형성되고 상호 대향되는 양측의 지지부와,+자 형상을 이루도록 양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하면 각각에 안착홈과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지지부와 연결부 상면에 구비되는 운반용 고리로 이루어진 파제제용 소파블럭에 있어서, 외해와 내해의 해수유통을 위해 연결부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지지부의 전면 상하부에 한쌍을 이루어 형성되는 해수통수구와;일측 지지부의 전면에 반타원형의 형상을 이루어 돌출되는 다수의 파랑제어편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파제제용 소파블럭의 다른 특징은, 상기 파랑제어편이 사다리꼴의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일측 지지부의 전면에 다수의 파랑제어편이 형성되므로 파제제로 구축될시 블럭에 파랑이 부딪히는 면적을 넓게 하여 파랑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지지부의 전면 상하부에 연결부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해수통수구가 한 쌍을 이루도록 형성되므로 외해와 내해의 해수유통량이 증가되도록 하여 더욱 원활한 해수유통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 파제제용 소파블럭을 보이는 사시도로써, 이는 크게 양측의 지지부(11)와 연결부(13)로 이루어진다.
지지부(11)는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되며, 측면 단부 각각에는 다수의 블럭을 연결시 흔들림 없이 체결되도록 요홈(11a)과 돌기(11b)가 형성된다.
연결부(13)는 +자 형상을 이루도록 중앙의 좌우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4)가 형성되고, 상하면 양측에는 블럭(10)과 블럭(10)의 적층시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적층되도록 안착홈(16)과 결합돌부(15)가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지지부(11)와 돌출부(14)각각의 상면에는 블럭(10)을 이동시키기 위해 내측으로 함몰되어 구비된 운반용 고리(12)가 구비된다.
한편,일측 지지부(11)의 전면에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파랑이 제어되도록 반타원형의 형상을 이루어 돌출되는 다수의 파랑제어편(18)이 형성되며, 연결부(13)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한 쌍의 해수통수구(17)가 지지부(11)의 전면상하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파제제용 소파블럭은,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파제제의 구축시 해저면 상면에 일정 높이와 폭으로 사석으로 사석기초단을 구비하고, 그 상면에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블럭(10)을 구비하여 지지부(11)의 일 측 측면 단부에 형성된 요홈(11a)에 다른 하나의 블럭(10)의 지지부(11)일측 측면 단부에 형성된 돌기(11b)가 체결되어 연결하는 방법으로 다수 연결하고, 이 기초단 상면에 연속하여 필요한 높이로 블럭(10)을 적층하는바, 기초단 블럭(10)의 연결부(13)양측 상면에 형성된 결합돌부(15)에, 적층되어질 블럭(10)의 연결부(13)양측 하면에 형성된 안착홈(16)이 체결되도록 적층하여 좌우의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적층시킨다. 이때 일측 지지부(11)의 전면에 형성된 다수의 파랑제어편(18)이 외해를 향하도록 적층시킨다.
그리고 적층된 블럭 내부공간에 양질의 사석 등으로 충전하고 최상단의 블럭(10)상면에 콘크리트 상판(C)을 씌움으로 월파 차단 및 해수교환을 위한 파제제(20)가 구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파제제용 소파블럭을 이용하여 파제제(20)를 구축하게 되면, 외해에서 밀려오는 파랑이 외해를 향하는 지지부(11)전면에 다수 형성된 파랑제어편(18)에 부딪혀서 파랑이 소파되는바, 이는 다수의 파랑제어편(18)을형성하므로써 파랑이 부딪히는 면적을 넓게 하여 파랑이 효과적으로 제어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파랑의 진입을 막아주므로 항내 해수면의 정온이 유지되어 선박의 정박, 화물의 선착, 하역 등의 작업시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지지부(11)의 전면 상하부에 연결부(13)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지는 해수통수구(17)가 한 쌍을 이루도록 형성되므로 외해와 내해의 해수유통량이 증가되도록 하여 더욱 원활한 해수유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 파제제용 소파블럭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사시도로써, 블 럭(30)의 일측 지지부(31)의 전면에 파랑제어편(38)이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도록 다수 형성되며, 작용 및 효과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파제제용 소파블럭에 의하면, 일측 지지부(11)의 전면에 다수의 파랑제어편(18)이 형성되므로 파제제(20)로 구축될시 블럭(10)에 파랑이 부딪히는 면적을 넓게하여 파랑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지지부(11)의 전면 상하부에 연결부(13)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해수통수구(17)가 한 쌍을 이루도록 형성되므로 외해와 내해의 해수유통량이 증가되도록 하여 더욱 원활한 해수유통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파제제용 블럭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파제제용 소파블럭을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파제제용 소파블럭을 이용한 파제제를 보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파제제용 소파블럭의 다른실시예를 보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30 ;블럭 11,31 ;지지부
11a ;요홈 11b ;돌기
12 ;운반용 고리 13 ;연결부
14 ;돌출부 15 ;결합돌부
16 ;안착홈 17 ;해수통수구
18,38 ;파랑제어편 20 ;파제제
C ;콘크리트 상판

Claims (3)

  1. 측면 단부에 각각 요홈과 돌기가 형성되고 상호 대향되는 양측의 지지부와,+자 형상을 이루도록 양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하면 각각에 안착홈과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지지부와 연결부 상면에 구비되는 운반용 고리로 이루어진 파제제용 소파블럭에 있어서,
    외해와 내해의 해수유통을 위해 연결부(13)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지지부(11)의 전면 상하부에 한 쌍을 이루어 형성되는 해수통수구(17)와;
    일측 지지부(11)(31)의 전면에 반타원형의 형상을 이루어 돌출되는 다수의 파랑제어편(18)(38)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제제용 소파블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랑제어편(38)이 사다리꼴의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파제제용 소파블럭.
  3. 삭제
KR10-2004-0078915A 2004-10-05 2004-10-05 파제제용 소파블럭을 이용한 파제제 KR100530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915A KR100530693B1 (ko) 2004-10-05 2004-10-05 파제제용 소파블럭을 이용한 파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915A KR100530693B1 (ko) 2004-10-05 2004-10-05 파제제용 소파블럭을 이용한 파제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8452U Division KR200330333Y1 (ko) 2003-06-12 2003-06-12 파제제용 소파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4434A KR20040104434A (ko) 2004-12-10
KR100530693B1 true KR100530693B1 (ko) 2005-11-23

Family

ID=37380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8915A KR100530693B1 (ko) 2004-10-05 2004-10-05 파제제용 소파블럭을 이용한 파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06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252B1 (ko) * 2021-02-22 2021-08-30 안구용 해양구조물 단위블록, 해양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4434A (ko) 200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57049A (ko) 조립식 케이슨 블록과 이를 이용한 방파제 및 안벽
KR100554600B1 (ko)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및 호안구조
KR100530693B1 (ko) 파제제용 소파블럭을 이용한 파제제
KR101149035B1 (ko) 모래유실 방지블록 조립체
KR20150141225A (ko) 해수 교환형 케이슨식 방파제
KR200330333Y1 (ko) 파제제용 소파블럭
KR101694524B1 (ko) 항만구조물의 케이슨
KR101606343B1 (ko) 파랑의 소파가 용이한 방파제용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KR20190051652A (ko) 계단식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계단식 소파블록 구조물
KR100584665B1 (ko) 깊은 심해에 시공되는 계단식 방파제
KR20070075118A (ko) 반턱이음방식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KR200310146Y1 (ko) 파제제용 블럭
KR100363227B1 (ko) 해수 순환 방파제
KR100622802B1 (ko) 투수식 소파판을 구비한 잔교구조물
KR101829434B1 (ko) 항만구조물의 케이슨
KR102605664B1 (ko) 직립식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KR102248753B1 (ko) 해양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479460B1 (ko) 중공블럭을 이용한 해수교환 방파제
KR200300479Y1 (ko) 변위 상태가 원위치 되는 구조의 부방파제
KR100374176B1 (ko) 해수교환방파제
KR200284996Y1 (ko) 중공블럭을 이용한 해수교환 방파제
KR102504774B1 (ko) 경사형 결합용 키에 의한 결합 구조를 가지는 방파제 구조체
KR102295252B1 (ko) 해양구조물 단위블록, 해양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521901B1 (ko) 직립식 항만 구조물에 사용되는 소파블럭 구조 및 시공구조
KR200317703Y1 (ko) 해수 교환기능과 소파기능을 가지는 직립식 방파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