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5664B1 - 직립식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 Google Patents

직립식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5664B1
KR102605664B1 KR1020230044216A KR20230044216A KR102605664B1 KR 102605664 B1 KR102605664 B1 KR 102605664B1 KR 1020230044216 A KR1020230044216 A KR 1020230044216A KR 20230044216 A KR20230044216 A KR 20230044216A KR 102605664 B1 KR102605664 B1 KR 102605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r
sofa block
upper plate
angl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4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창환
Original Assignee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30044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56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디(10); 상기 바디(10)의 전방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바디(10)의 전방 상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양측방으로 연장되는 상판부(20); 상기 바디(10)의 전방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바디(10)의 전방 하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방각부(30); 상기 바디(10)의 후방에 연결되고, 상기 바디(10)의 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하방으로 연장되는 후방각부(40); 및 상기 후방각부(40)의 후방 단부의 양측 코너 부위에 연결되고, 상기 후방각부(40)의 후방단부의 양측 코너 부위로부터 외측방으로 그리고 후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후방양측코너돌출부(50);를 포함하고, 바디하부면(12)은, 전방각부하부면(32) 및 후방각부하부면(42)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고, 바디측면(15), 전방각부측면(35) 및 후방각부측면(45)은, 상판측면(25) 및 돌출부외측면(551)으로부터 측방향 내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고, 후방양측코너돌출부(50)는 상판부(20)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된 직립식 소파블록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직립식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UPRIGHT TYPE WAVE DISSIPATING BLOCK AND OCEANAIC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소파블록과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직립식 소파블록과 이를 이용한 항만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소파블록은, 항만의 정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항만 구조물의 하나이다. 소파블록은 해측에서 형성된 파도의 파압을 감소시키기 위해 해측에 거치한다. 소파블록은 해측에서 육측으로 진행하는 파도의 에너지를 소산하여 파도의 에너지를 저감하는 소파원리가 적용된 블록이다.
종래의 소파블록은 각각의 블록이 개별적,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형태인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소파블록은 설치된 소파블록 간의 구조적 일체성이 결여되어, 결과적으로 소파블록으로서 효과를 크게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등록특허공보 제228071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블록을 개별적으로 설치해감에 있어서, 다른 블록들과 정렬 및 상호 체결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블록 상부면에 돌기를 둔 구조가 개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돌기 구조는 제작이 어렵고, 상호 체결 기능이 다소 미흡하며, 돌기의 측면이 상하 방향으로 경사져 있을 뿐만 아니라 전후 방향으로도 경사져 있어서 오히려 상하 블록 간의 자유로운 위치 설정을 저해하는 한계가 있었다.
아울러, 이러한 소파블록들을 직립 거치한 해양구조물은, 내부 공간이 측방과 상하 방향으로 모두 상호 연통하는 구조이기는 하나, 해양구조물의 내부 공간으로 해수가 진입하기 어렵고, 진입한 해수의 상하 유통과 측방 유통 역시 원활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른 블록들과 정렬과 상호 체결이 간편하게 이루어져서 지면서도, 시공이 매우 단순하여, 시공비용과 시공기간을 저감할 수 있는 소파블록과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이 매우 단순하면서도, 다른 블록들과 상호 체결 기능이 뛰어난 소파블록과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블록들과 정렬을 위한 요철 구조가 마련됨에도, 제조가 용이한 소파블록과,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폭(W)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높이(H)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깊이(D)를 가지는 가상의 직육면체(9) 형상의 공간 내에 수용되는 형태의 직립식 소파블록(1)을 제공한다.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깊이(D) 방향 길이는, 폭(W) 방향 길이보다 더 클 수 있다.
상기 소파블록(1)의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상부면(91)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소파블록(1)의 하부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하부면(92)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소파블록(1)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전면(93)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소파블록(1)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후면(94)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소파블록(1)의 좌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좌측면(95)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소파블록(1)의 우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우측면(95)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소파블록(1)은, 바디(10), 상판부(20), 전방각부(30), 후방각부(40) 및 한 쌍의 후방양측코너돌출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10)는 바디상부면(11), 바디하부면(12) 및 한 쌍의 바디측면(15)을 구비할 수 있다.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바디(10)의 단면 형상은, 높이보다 폭이 더 긴 실질적인 직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바디상부면(11)은,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상부면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바디하부면(12)은,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하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디(10)는,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디(10)는,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바디측면(15)은, 각각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좌측면 및 우측면으로부터 측방향 내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판부(20)는, 상기 바디(10)의 전방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바디(10)의 전방 상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양측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상판부(20)는, 상판상부면(21), 상판하부면(22), 상판전면(23), 상판후면(24) 및 한 쌍의 상판측면(25)을 구비한다.
상기 상판상부면(21)은,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상부면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상판상부면(21)은 상기 바디상부면(11)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상판부(20)에는, 상기 상판상부면(21)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된 전방함몰면(216)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방함몰면(216)은,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방함몰면(216)과 상판상부면(21)은, 상기 전방함몰면(216)과 상판상부면(21)의 경계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 마련된 내벽면(218)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내벽면(218)은 경사면이거나 수직면일 수 있다.
경사면 형태의 내벽면(218)은 전후방향으로 상기 전방함몰면(216)과 상판상부면(21)이 인접한 부위에 마련될 수 있다.
경사면 형태의 내벽면(218)은 좌우방향으로 상기 전방함몰면(216)과 상판상부면(21)이 인접한 부위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직면 형태의 내벽면(218)은 좌우방향으로 상기 전방함몰면(216)과 상판상부면(21)이 인접한 부위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직면 형태의 내벽면(218)은 전후방향으로 상기 전방함몰면(216)과 상판상부면(21)이 인접한 부위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방함몰면(216)은 상기 상판상부면(21)의 폭방향으로 전체적으로 하나의 함몰 형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전방 상기 전방함몰면(216)은 상기 상판상부면(21)의 폭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폭방향 양측으로 2 분할된 함몰 형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전방함몰면(216)의 분할은, 전후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거나 단속적으로 연장된 분할턱(217)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전방함몰면(216)에 대한 분할턱(217)의 높이는 상기 전방함몰면(216)에 대한 상판상부면(21)의 높이와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분할턱(217)의 상부면은 상기 상판상부면(21)과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전방함몰면(216)은 상기 상판상부면(21)의 폭방향 양측으로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전방함몰면(216)은 상기 상판상부면(21)의 폭방향 양측 단부에서 폐쇄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전방함몰면(216)은 상기 상판상부면(21)의 전방단부에서 폐쇄된 형태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전방함몰면(216)은 상기 상판상부면(21)의 전방으로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전방함몰면(216)은 상기 상판상부면(21)의 후방에서 폐쇄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상판하부면(22)은,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하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판하부면(22)은 상기 바디하부면(12)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판하부면(22)은, 수평하거나, 후방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경사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상판전면(23)은,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전면과 대응되거나 그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판전면(23)의 폭방향 양단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전방돌출턱(237)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판전면(23)은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전방돌출턱(237)의 전방 단부가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전면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상판전면(23)의 폭방향 양단부와 한 쌍의 상기 상판측면(25)의 코너 부위에는, 전방코너모따기면(236)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판전면(23)이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전면과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전방돌출턱(237)과 전방코너모따기면(236)은, 후술할 해양구조물 전방에 요철 형상을 부여하여, 비스듬히 입사되는 파랑의 중첩을 방지하고 에너지를 소산한다.
상기 상판후면(24)은,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상판측면(25)은, 각각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좌측면 및 우측면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전방각부(30)는, 상기 바디(10)의 전방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바디(10)의 전방 하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하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전방각부(30)는 후방으로는 상기 바디(10)에 연결되고, 상방으로는 상기 상판하부면(2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방각부(30)는 전방각부하부면(32), 전방각부전면(33), 전방각부후면(34) 및 한 쌍의 전방각부측면(3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방각부하부면(32)은 상기 소파블록(1)이 거치되는 바닥면에 접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하부면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바닥면은, 하부에 기 거치된 다른 소파블록의 전방함몰면(216)일 수 있다.
상기 전방각부하부면(32)은 상기 바디하부면(12)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하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소정 거리는, 상기 전방함몰면(216)의 함몰 깊이보다 더 클 수 있다.
상기 전방각부전면(33)은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전면과 대응되거나 그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방각부전면(33)은 상기 상판전면(23)과 대응하거나 그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방각부전면(33)의 중앙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후방으로 함몰된 중앙홈(336)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중앙홈(336)은, 전후방향으로 상기 전방각부(30)의 전방 일부 구간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중앙홈(336)은, 전후방향으로 상기 전방각부(30)의 전체 구간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방각부(30)는 상기 중앙홈(336)에 의해 일측각부분체(301)와 타측각부분체(302)로 구분될 수 있다.
전후방향으로 상기 일측각부분체(301)와 타측각부분체(302)의 전방 단부의 위치는 상호 대응할 수 있다.
전후방향으로 상기 일측각부분체(301)와 타측각부분체(302)의 전방 단부의 위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일측각부분체(301)와 타측각부분체(302) 중 어느 하나는 나머지 하나보다 전방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방각부하부면(32)과 상기 전방각부전면(33)이 연결되는 코너 부위에는 전방하부코너모따기면(326)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방각부하부면(32)과 전방각부전면(33)은 상기 전방하부코너모따기면(326)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방하부코너모따기면(326)의 경사각은, 상기 상판부(20)의 전방함몰면(216)과 상판상부면(21)을 연결하는 경사면 형태의 내벽면(218)에서 상기 전방하부코너모따기면(326)와 마주하는 내벽면 부분의 경사각과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전방각부후면(34)은, 상기 전방각부하부면(32)과 바디하부면(12)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전방각부후면(34)의 경사각은, 상기 상판부(20)의 전방함몰면(216)과 상판상부면(21)을 연결하는 경사면 형태의 내벽면(218)에서 상기 전방하부코너모따기면(326)와 마주하는 내벽면 부분의 경사각과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전방각부후면(34)은, 상기 상판후면(24)보다 더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방각부측면(35)은,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전방각부측면(35)은, 상기 한 쌍의 바디측면(15)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전방각부측면(35)은, 상기 상판측면(25)보다 측방향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전방각부측면(35)과 상기 전방각부전면(33)이 연결되는 코너 부위에는, 전방양측코너모따기면(356)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방각부측면(35)과 전방각부전면(33)은 상기 전방양측코너모따기면(356)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방양측코너모따기면(356)은, 후술할 해양구조물 내부 공간으로 해수가 유입하는 것을 촉진한다.
상기 후방각부(40)는, 상기 바디(10)의 후방에 연결되고, 후방으로 연장되며 하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후방각부(40)는 전방으로 상기 바디(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방각부(40)는 상기 상판부(20)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방각부(40)는 후방각부상부면(41), 후방각부하부면(42), 후방각부전면(43), 후방각부후면(44) 및 한 쌍의 후방각부측면(4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후방각부상부면(41)은,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방각부상부면(41)의 높이는, 상기 전방함몰면(216)의 높이와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전방함몰면(216)과 후방각부상부면(41)은, 그보다 위에 거치될 소파블록의 전방각부(30)와 후방각부(40)가 거치되는 바닥면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후방각부상부면(41)과 상기 바디상부면(11)의 경계 부위에는 후방단턱(416)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후방각부상부면(41)과 바디상부면(11)은 상기 후방단턱(416)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방각부상부면(41)은 상기 상판상부면(21)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후방각부상부면(41)은 상기 전방함몰면(216)과 동일한 깊이를 같도록 하방으로 함몰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후방단턱(416)은 경사면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후방각부하부면(42)은 상기 소파블록(1)이 거치되는 바닥면에 접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하부면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바닥면은, 하부에 기 거치된 다른 소파블록의 후방각부상부면(41)일 수 있다.
상기 후방각부하부면(42)은 상기 바디하부면(12)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하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소정 거리는, 상기 바디상부면(11)에 대한 상기 후방각부상부면(41)의 함몰 깊이보다 더 클 수 있다. 상기 후방각부하부면(42)의 높이는, 상기 전방각부하부면(32)의 높이와 대응할 수 있다.
상기 후방각부전면(43)은, 상기 후방각부하부면(42)과 바디하부면(12)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후방각부전면(43)의 경사각은, 상기 후방단턱(416)의 경사각과 대응할 수 있다.
상기 후방각부전면(43)은, 상기 상판후면(24)보다 더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방각부전면(43)은, 상기 전방각부후면(34)보다 더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방각부전면(43)과 전방각부후면(34)은 바디하부면(12)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방각부후면(44)은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후면과 대응되거나 그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방각부하부면(42)과 상기 후방각부후면(44)이 연결되는 코너 부위에는 후방하부코너모따기면(446)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후방각부하부면(42)과 후방각부후면(44)은 상기 후방하부코너모따기면(446)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방각부측면(45)은,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후방각부측면(45)은, 상기 한 쌍의 바디측면(15)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후방양측코너돌출부(50)는, 상기 후방각부후면(44)과 후방각부측면(45)의 코너 부위에서 외측방으로 그리고 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후방양측코너돌출부(50)는, 돌출부상부면(51), 돌출부하부면(52), 돌출부전면(53), 돌출부후면(54), 돌출부외측면(551) 및 돌출부내측면(55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상부면(51)은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상부면(51)은, 상기 후방각부상부면(41)과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하부면(52)은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하부면과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하부면(52)은 상기 후방각부하부면(42)과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후면(54)은 상기 후방각부후면(44)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후면(54)은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후면과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후면(54)과 후방각부후면(44)은 돌출부내측면(552)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내측면(552)은 경사면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돌출부후면(54)과 돌출부하부면(52)의 경계 부위에는, 상기 후방하부코너모따기면(446)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외측면(551)은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측면과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외측면(551)은 상기 상판측면(25)과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외측면(551)과 후방각부측면(45)은 경사면 형태의 돌출부전면(53)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판부(20)와 상기 전방각부(30)를 합한 중량은 상기 후방각부(40)와 후방양측코너돌출부(50)를 합한 중량에 비해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 상판부(20)와 상기 전방각부(30)를 합한 중량이 상기 후방각부(40)와 후방양측코너돌출부(50)를 합한 중량보다 클 경우, 전면의 입사파에 의한 저항력이 커지는 효과가 있고, 상기 상판부(20)와 상기 전방각부(30)를 합한 중량이 상기 후방각부(40)와 후방양측코너돌출부(50)를 합한 중량과 같을 경우, 상기 바디(10)의 길이를 조절하여 소파블록의 크기 및 중량을 키우거나 줄일 수 있고, 운반 시 전, 후방의 중량이 바디(10)를 기준으로 동일하므로 인양와이어를 바디(10)에 설치하여 쉽게 인양 및 운반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소파블록은, 상기 바디하부면(12)이, 상기 전방각부하부면(32) 및 후방각부하부면(42)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고, 상기 바디측면(15), 전방각부측면(35) 및 후방각부측면(45)이, 상기 상판측면(25) 및 돌출부외측면(551)으로부터 측방향 내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며, 상기 후방양측코너돌출부(50)가 상기 상판부(20)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된다.
그러면, 측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전방각부측면(35), 바디측면(15) 및 후방각부측면(45)은 후술할 해양구조물의 전방으로 개방되고 전후 방향으로 연통된 통수로를 규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외해의 해수가 해양구조물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하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바디하부면(12), 상판상부면(21) 및 바디상부면(11)은 후술할 해양구조물 내에서 측방으로 연통된 통수로를 규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해양구조물 내부로 유입된 해수가 측방으로 원활하게 유동하며 파랑 에너지를 소산한다.
또한, 측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상판부(20), 바디(10) 및 후방양측코너돌출부(50)는 후술할 해양구조물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연통된 통수로를 규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해양구조물 내부로 유입된 해수가 상하방향으로 원활하게 유동하며 파랑 에너지를 소산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소파블록을 거치한 해양구조물을 더 제공한다.
상기 해양구조물은 해저면에 조성되는 기초사석층과 상기 기초사석층에 놓이는 기초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소파블록은 상기 기초블록 상에 적층될 수 있다.
상기 기초블록의 상면에는, 앞서 설명한 전방함몰면과 후방각부상부면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해양구조물에서, 상부 단에 거치되는 소파블록의 전방각부하부면(32)과 후방각부하부면(42)은, 하부 단에 거치된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상면에 좌우로 걸쳐지며 거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해양구조물에서, 상부 단에 거치되는 소파블록의 전방각부하부면(32)과 후방각부하부면(42)은, 하부 단에 거치된 소파블록 하나의 상면에 거치될 수 있다.
상기 해양구조물에서, 상부 단에 거치되는 소파블록의 전방각부(30)의 하단부가, 하부 단에 거치된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전방함몰면(216)에 삽입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해양구조물에서, 상부 단에 거치되는 소파블록의 전방각부(30)의 하단부가, 하부 단에 거치된 하나의 소파블록의 전방함몰면(216)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해양구조물에서, 상부 단에 거치되는 소파블록의 후방각부(40)의 하단부가, 하부 단에 거치된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후방각부상부면(41)에 접하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해양구조물에서, 상부 단에 거치되는 소파블록의 후방각부(40)의 하단부가, 하부 단에 거치된 하나의 소파블록의 후방각부상부면(4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부 단에 거치되는 소파블록이 전후방향으로 거치 위치가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단의 소파블록에 분할턱이 있는 경우, 또는 하부 단의 소파블록의 전방함몰면의 양측 단부가 폐쇄된 형태인 경우, 상부 단에 거치되는 소파블록이 하부 단에 거치된 두 소파블록의 중앙부에 정확히 걸쳐지도록 정렬되거나, 하부 단에 거치된 하나의 소파블록과 정확히 정렬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해양구조물의 배후에는 뒷채움재가 채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소파블록에 따르면, 시공이 단순하면서도 다른 블록들과 정렬과 상호 체결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시공비용과 시공기간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파블록은, 시공이 매우 단순하면서도, 시공된 소파블록들의 상호 체결 기능이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의 소파블록 구조에는, 다른 블록들과 정렬을 위한 요철 구조가 마련되어 있음에도 제조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소파블록을 거치한 해양구조물은,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전방 하부가 개방되어 있어 해양구조물 내부 공간에 대한 해수의 유출입이 자유롭다.
본 발명의 소파블록을 거치한 해양구조물은, 상판부와 후방양측코너돌출부에 의해 규정되는 상하 유동 경로를 통해 해양구조물 내부로 유입된 해수가 상하 방향으로도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직립식 소파블록과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6, 도 17 내지 도 20, 도 21 내지 도 25, 도 26 내지 도 30, 도 31 내지 도 35, 도 36 내지 도 39, 도 40 내지 도 43, 도 44 내지 도 47, 도 48 내지 도 52, 도 53 내지 도 57, 도 58 내지 도 62, 도 63 내지 도 67, 도 68 내지 도 75, 도 76 내지 도 80, 도 81 내지 도 85, 도 86 내지 도 90, 도 91 내지 도 94, 도 95 내지 도 98, 도 99 내지 도 104, 도 105 내지 도 109, 도 110 내지 도 114, 및 도 115 내지 도 119는 각각 제2 내지 제23실시예의 직립식 소파블록과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의 전방은 외해를 바라보고, 후방은 내해를 바라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의 전방은 해측을 바라보고, 후방은 육측을 바라볼 수 있다. 본 발명의 해양구조물은, 방파제, 안벽, 물양장, 호안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상술한 소파블록은 철근을 배근하지 않는 무근 콘크리트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철근을 배근할 수도 있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서로 다른 두 면이 대응된다고 함은, 그 두 면이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고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고 함은 엄밀한 수학적 의미가 아니라, 발명의 과제 해결 원리를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질적으로 그와 같다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실시예]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직립식 소파블록(1)의 일실시예와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을 설명한다.
상기 소파블록(1)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폭(W)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높이(H)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깊이(D)를 가지는 가상의 직육면체(9) 형상의 공간 내에 수용된다. 여기서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깊이(D) 방향 길이는, 폭(W) 방향 길이보다 더 클 수 있다.
상기 소파블록(1)의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상부면(91)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소파블록(1)의 하부면의 적어도1 일부는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하부면(92)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소파블록(1)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전면(93)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소파블록(1)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후면(94)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소파블록(1)의 좌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좌측면(95)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소파블록(1)의 우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우측면(95)에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소파블록(1)을 직립식으로 거치하였을 때, 이들은 직육면체(9)를 거치하는 것과 같이 규칙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상기 소파블록(1)은, 바디(10), 상판부(20), 전방각부(30), 후방각부(40) 및 한 쌍의 후방양측코너돌출부(5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10)는 소파블록(1)의 대략 중앙부에 배치되고, 바디상부면(11), 바디하부면(12) 및 한 쌍의 바디측면(15)을 구비한다.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바디(10)의 단면 형상은, 실질적으로 폭이 높이보다 더 긴 직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바디상부면(11)은,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상부면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바디하부면(12)은,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하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격 공간은, 해수의 측방 유동을 위한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바디(10)는,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바디(10)와 가상의 직육면체의 전면 사이에는 상판부(20)와 전방각부(30)가 배치된다.
상기 바디(10)는,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바디(10)와 가상의 직육면체의 후면 사이에는 후방각부(40)와 후방양측코너돌출부(50)가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바디측면(15)은, 각각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좌측면 및 우측면으로부터 측방향 내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판부(20)는, 상기 바디(10)의 전방 상부에 연결된다. 상기 상판부(20)는, 상기 바디(10)의 전방 상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또한 양측방으로도 연장된다.
상기 상판부(20)는, 상판상부면(21), 상판하부면(22), 상판전면(23), 상판후면(24) 및 한 쌍의 상판측면(25)을 구비한다.
상기 상판상부면(21)은,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상부면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상판상부면(21)은 상기 바디상부면(11)과 대응될 수 있다. 즉 상기 상판상부면(21)은 상기 바디상부면(11)이 전방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상판부(20)에는, 상기 상판상부면(21)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된 전방함몰면(216)이 마련된다. 상기 전방함몰면(216)은,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방함몰면(216)은, 상기 상판상부면(21)으로부터 소정 깊이만큼 함몰된 형태이다.
상기 전방함몰면(216)과 상판상부면(21)은, 상기 전방함몰면(216)과 상판상부면(21)의 경계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 마련된 내벽면(218)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내벽면(218)은 경사면이거나 수직면일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내벽면(218)이 경사면 형태임이 예시된다. 그러나, 내벽면(218)이 모두 경사면이거나 모두 수직면일 필요는 없으며, 일부는 경사면을 이루고 일부는 수직면을 이루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경사면 형태의 내벽면(218)은 전후방향으로 상기 전방함몰면(216)과 상판상부면(21)이 인접한 부위에 마련된다. 즉 상기 내벽면(218)은 상기 전방함몰면(216)의 전방에, 그리고 후방에 각각 마련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전방함몰면(216)은 전방으로, 그리고 후방으로, 상기 내벽면(218)에 의해 폐쇄된 형태이다.
상기 전방함몰면(216)은 상기 상판상부면(21)의 폭방향으로 전체적으로 하나의 함몰 형상을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전방함몰면(216)은 상기 상판상부면(21)의 폭방향 양측으로 개방된 형태를 이룬다.
상기 상판하부면(22)은, 수평한 표면을 가진다.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하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제1거리 이격 배치되고, 상기 바디하부면(12)으로부터 상방으로 제2거리 이격 배치된다. 상기 제1거리는 상기 제2거리보다 더 크다.
제1실시예에서, 상기 상판전면(23)은,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전면과 대응된다.
상기 상판후면(24)은,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제3거리 이격 배치되고, 상기 후방양측코너돌출부(50)로부터 전방으로 제4거리 이격 배치된다. 상기 제3거리는 상기 제4거리보다 더 크다.
상기 한 쌍의 상판측면(25)은, 각각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좌측면 및 우측면과 대응된다.
상기 전방각부(30)는, 상기 바디(10)의 전방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상판부(20)의 하부에 연결된다. 즉, 상기 전방각부(30)는 후방으로는 상기 바디(10)에 연결되고, 상방으로는 상기 상판하부면(22)에 연결된다. 상기 전방각부(30)는 상기 바디(10)의 전방 하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판부(2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전방각부(30)는 전방각부하부면(32), 전방각부전면(33), 전방각부후면(34) 및 한 쌍의 전방각부측면(35)을 구비한다.
상기 전방각부하부면(32)은 상기 소파블록(1)이 거치되는 바닥면에 접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하부면에 대응된다. 여기서 상기 바닥면은, 하부에 기 거치된 다른 소파블록의 전방함몰면(216)일 수 있다.
상기 전방각부하부면(32)은 상기 바디하부면(12)으로부터 제5거리만큼 하방으로 이격 배치된다. 상기 제5거리는 전방함몰면(216)의 함몰 깊이보다 더 크다. 이에 따라, 상기 바디하부면(12)의 하부에는 해수가 유통하는 소정의 공간이 마련된다.
제1실시예에서, 상기 전방각부전면(33)은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전면 그리고 상기 상판전면(23)과 대응된다. 그러나, 후술할 실시예들처럼 전방각부전면(33)이 상판전면(23)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전방각부하부면(32)과 상기 전방각부전면(33)이 연결되는 코너 부위에는 전방하부코너모따기면(326)이 마련된다. 즉 상기 전방각부하부면(32)과 전방각부전면(33)은 상기 전방하부코너모따기면(326)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전방하부코너모따기면(326)의 경사각은, 상기 상판부(20)의 전방함몰면(216)의 전방에서 상기 전방함몰면(216)과 상판상부면(21)을 연결하는 경사면 형태의 내벽면(218)의 경사각과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들 경사각이 반드시 상호 대응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방각부후면(34)은, 상기 전방각부하부면(32)과 바디하부면(12)을 연결한다. 상기 전방각부후면(34)의 경사각은, 상기 상판부(20)의 전방함몰면(216)의 후방에서 상기 전방함몰면(216)과 상판상부면(21)을 연결하는 경사면 형태의 내벽면(218)의 경사각과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들 경사각이 반드시 상호 대응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전방각부후면(34)은, 상기 상판후면(24)보다 더 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러한 위치 관계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상기 전방각부측면(35)은,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전방각부측면(35)은, 상기 한 쌍의 바디측면(15)과 대응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방각부측면(35)은, 상기 바디측면(15)이 전방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전방각부측면(35)은, 상기 상판측면(25)보다 측방향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전방각부측면(35)과 상기 전방각부전면(33)이 연결되는 코너 부위에는, 전방양측코너모따기면(356)이 마련된다. 상기 전방각부측면(35)과 전방각부전면(33)은 상기 전방양측코너모따기면(356)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전방양측코너모따기면(356)은, 해양구조물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해수를 안내해준다.
상기 후방각부(40)는, 상기 바디(10)의 후방에 연결된다. 즉 상기 후방각부(40)는 전방으로 상기 바디(10)에 연결된다. 상기 후방각부(40)는 상기 상판부(20)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된다. 이에 따라 해양구조물 내에서 측방으로 해수가 유통하는 내부 공간과 상하방향으로 해수가 유통하는 통로가 큰 유동 저항 없이 연통하게 된다.
상기 후방각부(40)는 상기 바디(1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또한 하방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상기 후방각부(40)는 후방각부상부면(41), 후방각부하부면(42), 후방각부전면(43), 후방각부후면(44) 및 한 쌍의 후방각부측면(45)을 구비한다.
상기 후방각부상부면(41)은,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 배치된다. 즉 상기 후방각부상부면(41)은 상기 상판상부면(21)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된 형태이다.
상기 후방각부상부면(41)과 상기 바디상부면(11)의 경계 부위에는 후방단턱(416)이 마련된다. 상기 후방각부상부면(41)과 바디상부면(11)은 상기 후방단턱(416)을 통해 상호 연결된다. 상기 후방단턱(416)은 경사면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하방향으로 상기 후방각부상부면(41)의 높이 위치는, 상기 전방함몰면(216)의 높이 위치와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전방함몰면(216)과 후방각부상부면(41)은, 그보다 위에 거치될 소파블록의 전방각부(30)와 후방각부(40)가 거치되는 바닥면을 구성한다. 다만 상기 후방각부상부면(41)와 상기 전방함몰면(216)의 높이 위치가 반드시 일치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후방각부하부면(42)은 상기 소파블록(1)이 거치되는 바닥면에 접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하부면에 대응된다. 여기서 상기 바닥면은, 하부에 기 거치된 다른 소파블록의 후방각부상부면(41)일 수 있다.
상기 후방각부하부면(42)은 상기 바디하부면(12)으로부터 제6거리만큼 하방으로 이격 배치된다. 상기 제6거리는, 상기 바디상부면(11)에 대한 상기 후방각부상부면(41)의 함몰 깊이보다 더 크다. 이에 따라, 상기 바디하부면(12)의 하부에는 해수가 유통하는 소정의 공간이 마련된다.
상하방향으로 상기 후방각부하부면(42)의 높이 위치는, 상기 전방각부하부면(32)의 높이 위치와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들의 높이 위치가 반드시 일치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후방각부전면(43)은, 상기 후방각부하부면(42)과 바디하부면(12)을 연결한다. 상기 후방각부전면(43)은 비스듬한 경사면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경사면의 경사각은, 상기 후방단턱(416)의 경사각과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들의 경사각이 반드시 대응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후방각부전면(43)은, 상기 상판후면(24)보다 더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후방각부전면(43)은, 상기 전방각부후면(34)보다 더 후방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해양구조물 내에서 측방으로 해수가 유통하는 내부 공간과 상하방향으로 해수가 유통하는 통로가 큰 유동 저항 없이 연통하게 된다.
상기 후방각부전면(43)과 전방각부후면(34)은 바디하부면(12)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후방각부후면(44)은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된다. 상기 후방각부후면(44)과 가상의 직육면체의 후면 사이에는 후방양측코너돌출부(50)가 마련된다.
상기 후방각부하부면(42)과 상기 후방각부후면(44)이 연결되는 코너 부위에는 후방하부코너모따기면(446)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상기 후방각부하부면(42)과 후방각부후면(44)은 상기 후방하부코너모따기면(446)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후방하부코너모따기면(446)이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다.
상기 후방각부측면(45)은,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된다. 상기 후방각부측면(45)과 가상의 직육면체의 측면 사이에는 후방양측코너돌출부(50)가 마련된다.
상기 한 쌍의 후방각부측면(45)은, 상기 한 쌍의 바디측면(15)과 대응된다. 즉 상기 후방각부측면(45)은 상기 바디측면(15)이 후방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후방양측코너돌출부(50)는, 상기 후방각부후면(44)과 후방각부측면(45)의 코너 부위에서 외측방으로 그리고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후방양측코너돌출부(50)는, 돌출부상부면(51), 돌출부하부면(52), 돌출부전면(53), 돌출부후면(54), 돌출부외측면(551) 및 돌출부내측면(55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상부면(51)은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된다. 즉 상기 돌출부상부면(51)은, 상기 후방각부상부면(41)과 대응한다.
상기 돌출부하부면(52)은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하부면과 대응한다. 즉 상기 돌출부하부면(52)은 상기 후방각부하부면(42)과 대응한다.
상기 돌출부후면(54)은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후면과 대응한다. 이러한 상기 돌출부후면(54)은 상기 후방각부후면(44)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된다.
상기 돌출부후면(54)과 후방각부후면(44)은 돌출부내측면(552)을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돌출부내측면(552)은 경사면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돌출부후면(54)과 돌출부하부면(52)의 경계 부위에는, 상기 후방하부코너모따기면(446)이 연장 형성된 형태의 경사면이 마련된다.
상기 돌출부외측면(551)과 후방각부측면(45)은 돌출부전면(53)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돌출부전면(53)은 경사면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돌출부외측면(551)은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측면 그리고 상기 상판측면(25)과 대응한다.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파블록(1)은, 상기 바디하부면(12)이, 상기 전방각부하부면(32) 및 후방각부하부면(42)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측면(15), 전방각부측면(35) 및 후방각부측면(45)은, 상기 상판측면(25) 및 돌출부외측면(551)으로부터 측방향 내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된다. 아울러, 상기 후방양측코너돌출부(50)가 상기 상판부(20)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된다.
이에 따라, 측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전방각부측면(35), 바디측면(15) 및 후방각부측면(45)은 후술할 해양구조물의 전방으로 개방되고 전후 방향으로 연통된 통수로를 규정하게 되어, 이를 통해 외해의 해수가 해양구조물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하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바디하부면(12), 상판상부면(21) 및 바디상부면(11)은 후술할 해양구조물 내에서 측방으로 연통된 통수로를 규정한다. 이에 따라, 해양구조물 내부로 유입된 해수가 측방으로 원활하게 유동하며 파랑 에너지를 소산한다.
또한, 측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상판부(20), 바디(10) 및 후방양측코너돌출부(50)는 후술할 해양구조물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연통된 통수로를 규정한다. 이에 따라, 해양구조물 내부로 유입된 해수가 상하방향으로 원활하게 유동하며 파랑 에너지를 소산한다.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파블록(1)을 거치하여, 가령, 도 6 내지 도 11과 같이 해양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상기 해양구조물은 해저면에 조성되는 기초사석층과 상기 기초사석층에 놓이는 기초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소파블록(1)은 상기 기초블록 상에 적층될 수 있음이 자명하다.
시공의 편의를 위해, 상기 기초블록의 상면에, 앞서 설명한 소파블록(1)의 전방함몰면과 후방각부상부면에 대응하는 구조나 형상이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해양구조물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으로 상기 소파블록들을 나란히 거치하고, 그 상부에 다시 측방으로 상기 소파블록들을 나란히 거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해양구조물에서, 상부 단에 거치되는 소파블록의 전방각부하부면(32)과 후방각부하부면(42)은,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단에 거치된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상면에 좌우로 걸쳐지도록 어긋나게 거치될 수 있다. 물론 제1실시예의 도면에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해양구조물에서, 상부 단에 거치되는 소파블록의 전방각부하부면(32)과 후방각부하부면(42)을 하부 단에 거치된 소파블록 하나의 상면에 걸쳐지도록 수직방향으로 거치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해양구조물 내에서, 상술한 어긋남 거치와 수직 거치를 모두 조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부 단에 거치되는 소파블록의 전방각부(30)의 하단부는, 하부 단에 거치된 소파블록의 전방함몰면(216)에 삽입 거치되고, 상부 단에 거치되는 소파블록의 후방각부(40)의 하단부는, 하부 단에 거치된 소파블록의 후방각부상부면(41)에 접하도록 거치된다.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소파블록을 직립 거치하고, 추가적으로, 그 배후에 뒷채움재를 채울 수 있다.
[제2실시예]
이하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제2실시예의 직립식 소파블록을 설명한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그리고 중복된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사항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이하 설명할 실시예들에서,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언급하지 아니한 사항은, 다른 실시예들을 통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제1실시예를 비롯하여 이하 설명할 실시예들에서, 어느 한 실시예의 구성을 다른 실시예의 구성으로 치환하는 것 역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2실시예의 소파블록(1)은, 제1실시예와 대비하여, 상판부(20)의 전후방향 길이, 상판전면(23) 및 전방함몰면(216)의 형상, 전방각부(30)의 전후방향 길이, 전방각부전면(33)의 위치 및 후방각부(40)의 전후방향 길이에 차이가 있다.
제1실시예에서는, 바디(10)를 기준으로, 그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상판부(20) 및 전방각부(30)의 하중과, 그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각부(40) 및 후방양측코너돌출부(50)의 하중의 밸런스에 중점을 두어 길이를 선정하였다. 이는, 소파블록(1)의 양중 과정에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제1실시예에서는, 상판전면(23)과 전방각부전면(33)이 서로 대응하는 면을 이루어, 상기 소파블록(1)을 거치하여 구축한 해양구조물의 전면에 배의 충돌을 흡수하는 부재를 부착하기 유리하도록 하였다.
또한 제1실시예에서는, 전방함몰면(216)이 측방으로 전체적으로 하나의 긴 홈을 구성하도록 함으로써, 소파블록(1) 거치시 기 거치된 하단 소파블록(1)에 대한 상단 소파블록(1)의 측방향 거치 위치에 대한 자유도를 높였다.
그러나, 인양 방법은 다양할 수 있고, 소파블록(1)의 측방향 거치 위치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할 상황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배의 충돌을 흡수하는 부재의 형상에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에 제2실시예에서는, 상판부(20)와 전방각부(30)의 전후방향 길이가 더 길게 구성되고, 이에 반해 후방각부(40)의 전후방향 길이가 더 짧게 구성된다. 아울러 전후방향으로 늘어난 전방각부(30)와 대응하여 전방함몰면(216) 역시 전후방향으로 더 늘어나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제2실시예에서는, 전방각부(30)의 전방각부전면(33)이 상판부(20)의 상판전면(23)보다 약간 후방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하여, 해양구조물 전면의 요철 형상을 더욱 강화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전방각부전면(33)은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방각부전면(33)은 상기 상판전면(23)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실시예에서는, 상판부(20)의 상판전면(23)의 양측 단부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방코너모따기면(236)을 형성하여, 해양구조물 전면의 요철 형상을 더욱 강화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상판전면(23)이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전면과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전방돌출턱(237)과 전방코너모따기면(236)은, 해양구조물 전방에 요철 형상을 부여하여, 비스듬히 입사되는 파랑의 중첩을 방지하고 에너지를 소산한다.
또한 제2실시예에서는, 전방함몰면(216)이 중앙에 마련된 분할턱(217)에 의해 상기 상판상부면(21)의 폭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폭방향 양측으로 2 분할된 함몰 형상을 제공한다.
상기 분할턱(217)은 전후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된 형태이다. 상기 전방함몰면(216)에 대한 분할턱(217)의 높이는 상판상부면(21)의 높이와 대응한다. 이에 따라 분할턱(217)의 상부면은 상기 상판상부면(21)과 대응한다.
상기 분할턱(217)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전방함몰면(216)의 내벽면(218)은 수직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하로 적층되는 소파블록 간의 측방 위치가 정확히 규제될 수 있다. 그러나 분할턱(217)의 내벽면(218)이 반드시 수직면 형상일 필요는 없으며, 가령, 경사면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전방함몰면(216)에 대한 분할턱(217)의 높이는 상기 전방함몰면(216)에 대한 상판상부면(21)의 높이와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분할턱(217)의 상부면은 상기 상판상부면(21)과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제2실시예에서는, 전방함몰면(216)의 전방에 배치된 내벽면(218)이 수직면을 이루는 점에서, 이 부분이 경사면 형태였던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대신 제2실시예에서, 상기 전방의 내벽면(218)의 코너 부위에는 인양고리(6)가 마련될 수 있다. 해당 부위의 인양고리(6)는, 소파블록(1)을 상하로 적층함에 아무런 장애를 일으키지 않는다. 상부에 거치되는 전방각부(30)의 전방 하부에는 전방하부코너모따기면(326)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전방각부(30)의 하단부를 전방함몰면(216)에 삽입할 때 상기 인양고리(6)가 전방각부(30)에 간섭되지 않는다.
또한 제2실시예에서는, 후방각부후면(44)에도 인양고리(6)가 형성된다. 상기 인양고리(6)는, 후방양측코너돌출부(50)보다 더 후방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인양고리(6)가 보호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 상기 전방하부코너모따기면(326)의 경사각은, 상기 상판부(20)의 전방함몰면(216)과 상판상부면(21)을 연결하는 수직면 형태의 내벽면(218)에 고정된 인양고리(6)와 간섭되지 않을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제3실시예]
이하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제3실시예의 직립식 소파블록을 설명한다.
제3실시예의 소파블록(1)은, 제2실시예와 대비하여, 상판전면(23)의 형상에 차이가 있다.
제3실시예는,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방각부(30)의 전방각부전면(33)이 상판부(20)의 상판전면(23)보다 약간 후방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하여, 해양구조물 전면의 요철 형상을 더욱 강화하였다.
전방코너모따기면(236)이 구비된 제2실시예와 달리, 제3실시예는, 상기 상판전면(23)의 폭방향 양단부에, 전방으로 돌출된 전방돌출턱(237)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판전면(23)은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전방돌출턱(237)의 전방 단부가 상기 가상의 직육면체의 전면과 대응된다.
이러한 전방코너모따기면(236)은, 해양구조물 전방에 요철 형상을 부여하여, 비스듬히 입사되는 파랑의 중첩을 방지하고 에너지를 소산한다.
[제4실시예]
이하 도 21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제4실시예의 직립식 소파블록을 설명한다.
제4실시예의 소파블록(1)은, 제2실시예와 대비하여, 상판하부면(22)의 형상에 차이가 있다.
제2실시예에서, 상기 상판하부면(22)은, 전후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다. 그러나 이와 달리, 제4실시예에서, 상기 상판하부면(22)은 후방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경사면 형태로 연장된다.
이러한 경사면 형태의 상판하부면(22)은, 해양구조물의 전방에서 유입된 해수에 하방 유동성을 부여하여, 해양구조물의 전방에서 내부로 들어온 해수를 상하 통수로를 통해 구보다 하부의 공간으로 내려 보내는 가이드의 기능을 한다.
[제5실시예]
이하 도 26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제5실시예의 직립식 소파블록을 설명한다.
제4실시예의 상판하부면(22)이 제2실시예의 상판하부면(22)과 차이가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제5실시예의 상판하부면(22) 역시 제3실시예와 대비하여, 상판하부면(22)이 후방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경사면 형태로 연장된다.
[제6실시예]
이하 도 31 내지 도 35를 참조하여, 제6실시예의 직립식 소파블록을 설명한다.
제6실시예의 소파블록은, 제2실시예와 대비하여, 전방각부전면(33)의 폭방향 중앙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홈(336)이 마련됨에 차이가 있다. 상기 중앙홈(336)은 후방으로 함몰된 형상이며, 상기 중앙홈(336)은 상기 전방각부(30)의 전후방향으로 일부 구간에 마련된다.
상기 중앙홈(336)에 의해 상기 전방각부(30)는 일측각부분체(301)와 타측각부분체(302)로 구분될 수 있다.
제6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측각부분체(301) 부분의 전면과 타측각부분체(302) 부분의 전면은 상호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도 33과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홈(336)의 형상은, 측방으로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전방코너모따기면(236)이 서로 마주하는 부분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해양구조물을 구축한 상태에서, 상기 해양구조물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중앙홈(336)과 전방코너모따기면(236)은 상하방향으로 정렬되어 일체적인 미감을 주고, 또한 측방으로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홈을 형성하므로, 경사 입사되는 파랑의 중첩 현상을 방지해준다.
[제7실시예]
이하 도 36 내지 도 39를 참조하여, 제7실시예의 직립식 소파블록을 설명한다.
제7실시예의 소파블록은, 제3실시예와 대비하여, 전방각부전면(33)의 폭방향 중앙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홈(336)이 마련됨에 차이가 있다.
제7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을 구축한 상태에서, 상기 해양구조물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중앙홈(336)과 전방돌출턱(237)은 상하방향으로 정렬되며 돌출 부위와 함몰 부위의 전후방향 깊이 차이를 더 크게 해주어 소파 효과를 높여준다.
[제8실시예]
이하 도 40 내지 도 43을 참조하여, 제8실시예의 직립식 소파블록을 설명한다.
제8실시예의 소파블록은, 제4실시예와 대비하여, 전방각부전면(33)의 폭방향 중앙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홈(336)이 마련됨에 차이가 있다.
[제9실시예]
이하 도 44 내지 도 47을 참조하여, 제9실시예의 직립식 소파블록을 설명한다.
제8실시예의 소파블록은, 제5실시예와 대비하여, 전방각부전면(33)의 폭방향 중앙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홈(336)이 마련됨에 차이가 있다.
[제10실시예]
이하 도 48 내지 도 52를 참조하여, 제9실시예의 직립식 소파블록을 설명한다.
제10실시예의 소파블록은, 제6실시예와 대비하여, 타측각부분체(302)의 전면이 일측각부분체(301)의 전면보다 더 후방에 배치된 점에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해양구조물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전방각부전면(33)에 요철 형상이 부여된다. 따라서 이를 통해 소파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두 분체(301, 302)의 전후방향 길이 차이를 적절히 설정하여, 해당 해역에서 주로 발생하는 파랑의 주파수와 동조하면, 쇄파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제11실시예]
이하 도 53 내지 도 57을 참조하여, 제11실시예의 직립식 소파블록을 설명한다.
제11실시예의 소파블록은, 제7실시예와 대비하여, 타측각부분체(302)의 전면이 일측각부분체(301)의 전면보다 더 후방에 배치된 점에 차이가 있다.
[제12실시예]
이하 도 58 내지 도 62를 참조하여, 제12실시예의 직립식 소파블록을 설명한다.
제12실시예의 소파블록은, 제8실시예와 대비하여, 타측각부분체(302)의 전면이 일측각부분체(301)의 전면보다 더 후방에 배치된 점에 차이가 있다.
[제13실시예]
이하 도 63 내지 도 67을 참조하여, 제13실시예의 직립식 소파블록을 설명한다.
제13실시예의 소파블록은, 제9실시예와 대비하여, 타측각부분체(302)의 전면이 일측각부분체(301)의 전면보다 더 후방에 배치된 점에 차이가 있다.
[제14실시예]
이하 도 68 내지 도 75를 참조하여, 제14실시예의 직립식 소파블록을 설명한다.
제14실시예의 소파블록(1)은, 제6실시예와 대비하여, 전방함몰면(216)의 폭방향 양단부가 막혀 있는 형상임에 차이가 있다. 또한 전방각부전면(33)의 중앙홈(336)이 후방으로 연장되어, 바디(10)의 일부분까지 함몰됨으로써, 전방각부(30)가 일측각부분체(301)와 타측각부분체(302)로 완전히 분할된 형상을 가짐에 차이가 있다.
상기 전방함몰면(216)의 폭방향 중앙에 마련된 분할턱(217)의 좌우방향 폭은, 상기 전방함몰면(216)의 폭방향 양단부에 각각 마련된 내벽면(218) 부분의 좌우방향의 폭의 합과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일측각부분체(301)와 타측각부분체(302)의 좌우방향 폭은 상호 대응한다.
상기 분할턱(217)와 내벽면(218)에 의해 규정되는 2분할된 전방함몰면(216)의 각각의 폭은 상호 대응한다.
상기 일측각부분체(301)와 타측각부분체(302)의 좌우방향 폭은 2분할된 전방함몰면(216)의 폭과 대응하거나 그보다 약간 작다.
상기 중앙홈(336)의 좌우방향 폭은, 상기 분할턱(217)의 좌우방향 폭과 대응하거나 그보다 약간 크다.
이에 따라, 도 70 내지 도 7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소파블록을 서로 어긋나게 적층하면, 즉 1/2씩 중첩되도록 적층하면, 상부 단에 거치된 하나의 소파블록의 일측각부분체(301)와 타측각부분체(302)가, 각각 하부 단에 거치된 두 소파블록의 전방함몰면(216)의 2분할 부위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부 단에 거치된 소파블록의 일측각부분체(301)와 타측각부분체(302)가, 하부 단에 거치된 두 소파블록의 전방함몰면(216)의 측방향 단부에 마련된 내벽면(218)을 폭방향으로 인터록킹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되어, 상하 단 간의 소파블록의 결속력을 더욱 높이게 된다.
이와 달리, 도 73 내지 도 7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소파블록을 서로 상하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수직 적층하더라도, 상부 단에 거치된 하나의 소파블록의 일측각부분체(301)와 타측각부분체(302)가, 하부 단에 거치된 하나의 소파블록의 전방함몰면(216)의 2분할 부위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어긋 적층 방식과 수직 적층 방식은, 하나의 해양구조물에서도 혼용할 수 있다. 가령 제1단과 제2단은 어긋 적층, 제2단과 제3단은 수직적층, 제3단과 제4단은 어극 적층하는 방식처럼, 서로 다른 단 간에 적층 방식을 달리할 수 있다. 또한, 제1단과 제2단 사이에서도, 폭방향으로 소정의 구간에서는 어긋 적층하고, 다른 구간에서는 수직 적층하는 등, 적층 방식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14실시예와 같이 중앙홈(336)이 바디(10) 부분까지 함몰되면, 중앙홈(336)에 의해 규정되는 공간이 바디하부면(12) 하부의 공간과 직접적으로 연통하여, 또 다른 해수 통로를 구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해양구조물 내부의 통수로가 더욱 다방향으로 구성될 수 있어, 소파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소파 효과는, 어긋 적층이나 수직 적층 여부에 관계없이 발휘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다른 통수로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어긋 적층 또는 수직 적층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이는 해당 해역의 해류와 파랑의 특성에 대응하여 최적의 구조로 결정될 수 있다.
[제15실시예]
이하 도 76 내지 도 80을 참조하여, 제15실시예의 직립식 소파블록을 설명한다.
제15실시예의 소파블록(1)은, 제14실시예의 소파블록과 대비하여, 상판전면(23)에, 전방코너모따기면(236) 대신 전방돌출턱(237)이 마련됨에 차이가 있다.
[제16실시예]
이하 도 81 내지 도 85를 참조하여, 제16실시예의 직립식 소파블록을 설명한다.
제16실시예의 소파블록(1)은, 제14실시예의 소파블록과 대비하여, 상판하부면(22)이 수평하게 연장되는 대신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그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 형태로 연장됨에 차이가 있다.
[제17실시예]
이하 도 86 내지 도 90을 참조하여, 제17실시예의 직립식 소파블록을 설명한다.
제17실시예의 소파블록(1)은, 제15실시예의 소파블록과 대비하여, 상판하부면(22)이 수평하게 연장되는 대신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그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 형태로 연장됨에 차이가 있다.
[제18실시예]
이하 도 91 내지 도 94를 참조하여, 제18실시예의 직립식 소파블록을 설명한다.
제18실시예의 소파블록(1)은, 전방함몰면(216)이 전방으로 폐쇄되어 있는 제16실시예의 소파블록과 대비하여, 전방함몰면(216)이 전방으로도 개방된 형태를 이루는 점에 차이가 있다.
그리고, 제18실시예의 소파블록(1)은, 인양고리(6)가, 분할턱(217)의 상부면에 고정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전방각부(30)에 마련된 중앙홈(336)으로 인해, 이러한 인양고리(6)는 소파블록(1)들의 적층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또한, 제18실시예의 소파블록(1)은, 상판전면(23)과 전방각부전면(33)이 대응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제19실시예]
이하 도 95 내지 도 98을 참조하여, 제19실시예의 직립식 소파블록을 설명한다.
제19실시예의 소파블록(1)은, 제18실시예의 소파블록과 대비하여, 분할턱(217)의 전후방향 중앙부가 삭제되어 있어, 분할턱(217)이 전후방향으로 또 분할된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인양고리(6)는, 이렇게 분할턱(217)이 삭제된 부위에서 전방함몰면(216)의 표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인양고리(6)는 분할턱(217)에 의해 보호된다.
또한 분할턱(217)의 중앙부가 삭제됨으로 인해 규정되는 내벽면(218)은 경사면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분할턱(217) 상부로부터 상기 인양고리(6)에 접근하기가 더욱 용이하므로, 인양고리에 인양로프를 걸기 한결 수월하다.
[제20실시예]
이하 도 99 내지 도 104를 참조하여, 제20실시예의 직립식 소파블록을 설명한다.
제20실시예의 직립식 소파블록은, 제18실시예의 소파블록과 대비하여, 분할턱(217)의 전후방향 중앙부 부근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다목적홀(219)이 형성되어 있음에 차이가 있다.
상기 다목적홀(219)은, 분할턱(217)의 상부 공간과 상판부(20)의 하부 공간으로서 상기 중앙홈(336)에 의해 규정되는 공간을 연통하도록 상기 상판부(20)를 관통한다. 따라서, 상판부(20) 상부의 공간은 상기 다목적홀(219)과 중앙홈(336)을 통해 바디하부면(12) 하부의 공간과도 연통할 수 있다.
상기 다목적홀(219)은, 인양고리(6)를 대체하여, 인양로프가 걸릴 수 있는 홀 형상을 제공함과 함께, 위와 같이 해양구조물 내부의 통수로의 기능을 함께 한다.
[제21실시예]
이하 도 105 내지 도 109를 참조하여, 제21실시예의 직립식 소파블록을 설명한다.
제21실시예의 소파블록은, 제14실시예와 대비하여, 일측각부분체(301)보다 타측각부분체(302)의 전면이 더 후방으로 오프셋 되어 있는 점에 차이가 있다.
[제22실시예]
이하 도 110 내지 도 114를 참조하여, 제22실시예의 직립식 소파블록을 설명한다.
제22실시예의 소파블록은, 제21실시예의 소파블록과 대비하여, 상판하부면(22)이 수평하게 연장되는 대신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그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 형태로 연장됨에 차이가 있다.
[제23실시예]
이하 도 115 내지 도 118을 참조하여, 제23실시예의 직립식 소파블록을 설명한다.
제23실시예의 소파블록은, 전방코너모따기면(236)이 마련된 제22실시예의 소파블록과 대비하여, 그 대신 전방돌출턱(237)이 마련됨에 차이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소파블록
10: 바디
11: 바디상부면
12: 바디하부면
15: 바디측면
20: 상판부
21: 상판상부면
216: 전방함몰면
217: 분할턱
218: 내벽면
219: 다목적홀
22: 상판하부면
23: 상판전면
236: 전방코너모따기면
237: 전방돌출턱
24: 상판후면
25: 상판측면
30: 전방각부
301: 일측각부분체
302: 타측각부분체
32: 전방각부하부면
326: 전방하부코너모따기면
33: 전방각부전면
336: 중앙홈
34: 전방각부후면
35: 전방각부측면
356: 전방양측코너모따기면

40: 후방각부
41: 후방각부상부면
416: 후방단턱
42: 후방각부하부면
43: 후방각부전면
44: 후방각부후면
446: 후방하부코너모따기면
45: 후방각부측면
50: 후방양측코너돌출부
51: 돌출부상부면
52: 돌출부하부면
53: 돌출부전면
54: 돌출부후면
551: 돌출부외측면
552: 돌출부내측면
6: 인양고리
9: 직육면체
91: 상부면
92: 하부면
93: 전면
94: 후면
95: 측면(좌, 우)

Claims (7)

  1. 바디상부면(11), 바디하부면(12) 및 한 쌍의 바디측면(15)을 구비하는 바디(10);
    상기 바디(10)의 전방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바디(10)의 전방 상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양측방으로 연장되며, 상판상부면(21), 상판하부면(22), 상판전면(23), 상판후면(24) 및 한 쌍의 상판측면(25)을 구비하는 상판부(20);
    상기 바디(10)의 전방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바디(10)의 전방 하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하방으로 연장되며, 전방각부하부면(32), 전방각부전면(33), 전방각부후면(34) 및 한 쌍의 전방각부측면(35)을 구비하는 전방각부(30);
    상기 바디(10)의 후방에 연결되고, 상기 바디(10)의 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하방으로 연장되며, 후방각부상부면(41), 후방각부하부면(42), 후방각부전면(43), 후방각부후면(44) 및 한 쌍의 후방각부측면(45)을 구비하는 후방각부(40); 및
    상기 후방각부(40)의 후방 단부의 양측 코너 부위에 연결되고, 상기 후방각부(40)의 후방단부의 양측 코너 부위로부터 외측방으로 그리고 후방으로 돌출되며, 돌출부상부면(51), 돌출부하부면(52), 돌출부전면(53), 돌출부후면(54), 돌출부외측면(551) 및 돌출부내측면(552)을 구비하는 한 쌍의 후방양측코너돌출부(50);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하부면(12)은, 상기 전방각부하부면(32) 및 후방각부하부면(42)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고,
    상기 바디측면(15), 전방각부측면(35) 및 후방각부측면(45)은, 상기 상판측면(25) 및 돌출부외측면(551)으로부터 측방향 내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고,
    상기 상판부(20)와 상기 전방각부(30)를 합한 중량은 상기 후방각부(40)와 후방양측코너돌출부(50)를 합한 중량과 같거나 그보다 큰, 직립식 소파블록.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20)에는, 상기 상판상부면(21)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된 전방함몰면(216)이 마련되고,
    상기 후방각부상부면(41)은 상기 전방함몰면(216)의 깊이와 대응하는 깊이를 같도록 하방으로 함몰된 형태이며,
    상기 전방함몰면(216)은, 상기 상판상부면(21)의 폭방향으로 전체적으로 하나의 함몰 형상을 제공하거나, 분할턱(217)에 의해 상기 상판상부면(21)의 폭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폭방향 양측으로 2 분할된 함몰 형상을 제공하는, 직립식 소파블록.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방함몰면(216)은, 상기 상판상부면(21)의 폭방향 양측으로 개방된 형태이거나, 상기 상판상부면(21)의 폭방향 양측 단부에서 폐쇄된 형태이고,
    상기 전방함몰면(216)은, 상기 상판상부면(21)의 전방단부에서 폐쇄된 형태이거나, 상기 상판상부면(21)의 전방으로 개방된 형태이며,
    상기 전방함몰면(216)은, 상기 상판상부면(21)의 후방에서 폐쇄된 형태인, 직립식 소파블록.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판전면(23)의 폭방향 양단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전방돌출턱(237)이 마련되거나, 상기 상판측면(25)과의 코너 부위에 전방코너모따기면(236)이 마련된, 직립식 소파블록.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판하부면(22)은, 수평하거나, 후방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경사면 형태를 가지는, 직립식 소파블록.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방각부측면(35)과 상기 전방각부전면(33)이 연결되는 코너 부위에는, 전방양측코너모따기면(356)이 마련된, 직립식 소파블록.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각부전면(33)은 상기 상판전면(23)과 대응하거나 그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된, 직립식 소파블록.
KR1020230044216A 2023-04-04 2023-04-04 직립식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KR102605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4216A KR102605664B1 (ko) 2023-04-04 2023-04-04 직립식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4216A KR102605664B1 (ko) 2023-04-04 2023-04-04 직립식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5664B1 true KR102605664B1 (ko) 2023-11-22

Family

ID=88973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4216A KR102605664B1 (ko) 2023-04-04 2023-04-04 직립식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56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016B1 (ko) * 2006-02-08 2006-08-03 (유) 이도건설 경사면을 갖는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KR101359000B1 (ko) * 2013-05-08 2014-02-06 이오진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항만 구조물
KR20230012351A (ko) * 2021-07-15 2023-01-26 이희구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016B1 (ko) * 2006-02-08 2006-08-03 (유) 이도건설 경사면을 갖는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KR101359000B1 (ko) * 2013-05-08 2014-02-06 이오진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항만 구조물
KR20230012351A (ko) * 2021-07-15 2023-01-26 이희구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4488B1 (ko) 케이슨
KR100554600B1 (ko)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및 호안구조
KR102605664B1 (ko) 직립식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KR101694524B1 (ko) 항만구조물의 케이슨
KR102202567B1 (ko) 블록 결합형 방파구조물
KR101149035B1 (ko) 모래유실 방지블록 조립체
KR101386626B1 (ko) 소파구조물의 케이슨 및 이를 이용한 안벽, 방파제, 호안
KR102202091B1 (ko) 마찰 증대 콘크리트 블록을 포함하는 항만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20230012351A (ko)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KR200272975Y1 (ko) 다공법이 혼용된 중력식 안벽구조
KR101366814B1 (ko) 해수 교환 케이슨
KR102280714B1 (ko)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KR101362918B1 (ko) 육상측 토압 분산 및 저면마찰 증대형 케이슨 및 이를 이용한 항만 시설물
KR102273927B1 (ko) 소파블록, 소파블록을 이용한 항만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N211228350U (zh) 能量吸收构件以及能量吸收组件
KR101829434B1 (ko) 항만구조물의 케이슨
KR20210063205A (ko)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 이를 이용한 방파제 및 그 시공 방법
KR100892374B1 (ko) 조립식 소파블록
KR102305030B1 (ko) 호안 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KR101133501B1 (ko) 경사면을 보호하기 위한 소파용 친수블럭
JP2694619B2 (ja) 被覆ブロック
KR101043021B1 (ko) 방파제 및 항만접안시설를 보호하기 위한 소파블럭 구축방법
KR102211097B1 (ko) 소파 블록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38679B1 (ko) 투과형 다기능 잠제블록
KR102254937B1 (ko) 케이슨 및 그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