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2351A -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 Google Patents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2351A
KR20230012351A KR1020210093103A KR20210093103A KR20230012351A KR 20230012351 A KR20230012351 A KR 20230012351A KR 1020210093103 A KR1020210093103 A KR 1020210093103A KR 20210093103 A KR20210093103 A KR 20210093103A KR 20230012351 A KR20230012351 A KR 20230012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ion
width
connection
pair
sofa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3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구
이요섭
Original Assignee
이희구
이요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구, 이요섭 filed Critical 이희구
Priority to KR1020210093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2351A/ko
Publication of KR20230012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23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파블록과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소파블록은 소정의 폭(W)과 높이(H)와 깊이(D)를 가지고 폭(W)보다 깊이(D)가 더 긴 직육면체(9) 형상의 공간 내에 수용되는 몸체(1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0)는, 상기 소파블록(1)의 전방을 구성하는 전방몸체(13), 상기 소파블록(1)의 후방을 구성하는 후방몸체(11), 및 상기 전방몸체(13)와 후방몸체(11)를 전후방향으로 연결하며 상기 소파블록(1)의 전후방향 중앙부를 구성하는 연결몸체(15)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0)의 상면의 전방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상면전방돌기(50)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10)의 상면의 후방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상면후방돌기(70)가 마련된다. 상기 몸체(10)의 전방에는 전방돌기(30)가 마련된다. 상기 전방돌기(30)는, 상기 전면(131)의 중앙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전방으로 돌출된 전면돌기(31) 및 상기 전방상면(132)의 중앙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방으로 돌출된 상면돌기(33)를 포함한다. 상기 소파블록을 거치한 해양구조물은, 상부 단에 거치되는 소파블록의 후방각부전면(118)이, 하부 단에 거치된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상면후방돌기(70)의 후면에 접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WAVE DISSIPATING BLOCK AND OCEANAIC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소파블록과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특히 항만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소파블록은, 항만의 정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항만 구조물의 하나이다. 소파블록은 해측에서 형성된 파도의 파압을 감소시키기 위해 해측에 조적한다. 소파블록은 해측에서 육측으로 진행하는 파도의 에너지를 소산시켜 파도의 에너지를 저감시키는 소파원리가 적용된 블록이다.
종래의 소파블록은 각각의 블록이 개별적,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형태인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소파블록은 설치된 소파블록 간의 구조적 일체성이 결여되어, 결과적으로 소파블록으로서의 효과를 크게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10-2051907호 '해수의 유통성을 확보하는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소파블록 시공 방법'은,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의 양측 끝단에 형성된 결합요철 및 각 결합요철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해 소파블록간 설치 및 연결을 쉽게 하는 소파블록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결합요철이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웃하게 설치되는 소파블록 간에 결합요철이 맞물리게 하려면 소파블록을 수평방향으로 정밀하게 이동시켜야 한다. 또한, 결합요철이 맞물리게 소파블록을 설치한 한 후에 소파블록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결합요철에 형성된 결합공에 고정봉을 삽입해야 한다. 이처럼 시공이 까다로운 구조는 시공비용 및 공사기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선행기술은, 직립식으로 소파블록을 조적 거치함에 있어서, 소파블록이 적층된 해양구조물의 전후방향 깊이가 일정해야 한다. 그런데, 상부에 거치된 소파블록일수록 저항해야 하는 외력이 작아지므로, 해당 소파블록의 자중이 감소되어도 무방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부에 거치된 소파블록의 자중이 하부에 거치된 소파블록의 자중과 동일하게 구성됨은, 콘크리트와 같은 원자재의 의미 없는 낭비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시공이 매우 단순하여 시공비용과 시공기간을 저감할 수 있는 소파블록과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와 시공이 용이한 소파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후방향으로 소파블록의 깊이를 줄이면서 해양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어 원자재를 절약할 수 있는 소파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후방향으로 깊이가 서로 다른 소파블록이라 하더라도 제작이 번거롭지 않고 간단한 소파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소정의 폭(W)과 높이(H)와 깊이(D)를 가지고 폭(W)보다 깊이(D)가 더 긴 직육면체(9) 형상의 공간 내에 수용되는 몸체(10)를 포함하는 소파블록(1)을 제공한다.
상기 몸체(10)는, 상기 소파블록(1)의 전방을 구성하는 전방몸체(13), 상기 소파블록(1)의 후방을 구성하는 후방몸체(11), 및 상기 전방몸체(13)와 후방몸체(11)를 전후방향으로 연결하며 상기 소파블록(1)의 전후방향 중앙부를 구성하는 연결몸체(15)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몸체(13)의 하부에는 바닥에 닿는 전방각부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몸체(11)의 하부에는 바닥에 닿는 후방각부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몸체(15)는 바닥과 닿지 않도록 바닥으로부터 떠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즉 전방각부와 후방각부가 바닥에 놓이고 상기 연결몸체(15)는 상기 바닥으로부터 떠 있는 형태로 전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방몸체(13)는, 상기 직육면체(9)의 앞면(92)에 포함되는 전면(131), 상기 직육면체(9)의 윗면(93)에 포함되는 전방상면(132), 상기 직육면체(9)의 아랫면(94)에 포함되고, 상기 직육면체(9)의 폭(W)보다 작은 전방저면폭(133W)을 가지는 전방저면(133) 및 상기 직육면체(9)의 왼쪽면(95) 및 오른쪽면(96)에 각각 포함되는 한 쌍의 전방측면(1341)을 포함한다.
상기 전방측면(1341)은 상기 전방몸체(13)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방몸체(13)에 있어서, 상기 전방측면(1341)의 하부는 상기 전방측면(1341)보다 폭이 좁은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전방측면(1341)의 하부에는, 상기 직육면체(9)의 왼쪽면(95) 및 오른쪽면(96)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전방중앙협폭면(1342)이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전방중앙협폭면(1342)의 하부에는, 상기 직육면체(9)의 왼쪽면(95) 및 오른쪽면(96)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전방중앙협폭면(1342)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한 쌍의 전방하부광폭면(1344)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전방측면(1341)과 상기 한 쌍의 전방중앙협폭면(1342)은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한 쌍의 협폭상부연결면(1343)에 의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전방중앙협폭면(1342)과 상기 한 쌍의 전방하부광폭면(1344)은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한 쌍의 협폭하부연결면(1345)에 의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면(131)의 양 단부 모서리에는 챔퍼면(139)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챔퍼면(139)은, 상기 전면(131)의 양측단부와, 한 쌍의 상기 전방측면(1341), 협폭상부연결면(1343), 전방중앙협폭면(1342), 협폭하부연결면(1345) 및 전방하부광폭면(1344)의 전방단부가 만나는 모서리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후방몸체(11)는, 상기 직육면체(9)의 뒷면(91)에 포함되는 후면(111), 상기 직육면체(9)의 윗면(93)에 포함되는 후방상면(112), 상기 직육면체(9)의 아랫면(94)에 포함되는 후방저면(113), 및 상기 직육면체(9)의 왼쪽면(95) 및 오른쪽면(96)에 각각 포함되는 한 쌍의 후방측면(114)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몸체(15)는, 상기 직육면체(9)의 윗면(93)에 포함되는 연결상면(152), 상기 직육면체(9)의 아랫면(94)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연결저면(156), 상기 직육면체(9)의 왼쪽면(95) 및 오른쪽면(96)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연결측면(154), 및 상기 연결측면(154)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직육면체(9)의 왼쪽면(95) 및 오른쪽면(96)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연결측면(154)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한 쌍의 연결광폭면(157)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연결광폭면(157)과 상기 한 쌍의 연결측면(154)은,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한 쌍의 연결광폭하부연결면(158)에 의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방상면(132), 연결상면(152), 및 후방상면(112)은 동일한 표면을 이루는 몸체(10)의 상면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전방측면(1341)과 상기 한 쌍의 연결측면(154)은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한 쌍의 전방연결후면(137)에 의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전방중앙협폭면(1342)의 폭은 상기 한 쌍의 연결측면(154)의 폭과 대응하여, 상기 전방중앙협폭면(1342)과 상기 연결측면(154)은 매끄럽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후방측면(114)과 상기 한 쌍의 연결측면(154)은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경사진 한 쌍의 후방연결전면(117)에 의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방저면(133)과 후방저면(113)의 높이는 서로 대응하며, 상기 연결저면(156)의 높이는 상기 전방저면(133)과 후방저면(113)의 높이보다 높다.
여기서 상기 전방저면(133)과 상기 연결저면(156)은 후방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기울어진 형태의 전방각부후면(138)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저면(156)과 후방저면(113)은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기울어진 형태의 후방각부전면(118)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방연결전면(117)과 후방각부전면(118)은, 상기 후방몸체(11)의 전면인 후방전면(116)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연결측면(154)의 전방에는 일측 연결측면(154)부터 타측 연결측면(154)까지 좌우방향으로 관통된 전방 통수공(17)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측면(154)의 후방에는 일측 연결측면(154)부터 타측 연결측면(154)까지 좌우방향으로 관통된 후방 통수공(18)이 마련된다.
상기 후면(111)에는 상기 후면(111)부터 상기 후방 통수공(18)까지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후방 관통공(19)이 마련된다. 상기 후방 관통공(19)은, 중앙부보다 좌측에 배치된 후방 좌측관통공(191)과 중앙부보다 우측에 배치된 후방 우측관통공(19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상면의 전방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상면전방돌기(50)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10)의 상면의 후방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상면후방돌기(7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상면전방돌기(50)와 상면후방돌기(70)는 상기 상면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별도로 형성되어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상면전방돌기(50)와 상면후방돌기(70)는, 전후 방향으로 서로 연결된 하나의 돌기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상면전방돌기(50)와 상면후방돌기(70)가 상기 상면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별도로 형성되어 돌출된 형태인 경우, 상기 상면전방돌기(50)와 상면후방돌기(70)는 상방으로 갈수록 전후방향으로 측정되는 상면전방돌기폭(50W)과 상면후방돌기폭(70W)이 감소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상면전방돌기(50)와 상면후방돌기(70)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연결된 하나의 돌기 형태일 경우, 상기 하나의 돌기는 상방으로 갈수록 전후방향으로 측정되는 돌기폭이 감소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상면전방돌기(50)의 전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기울어진 형태일 수 있다. 이는 상기 전방각부후면(138)의 기울기와 대응하는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면후방돌기(70)의 후면은은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기울어진 형태일 수 있다. 이는 상기 후방각부전면(118)의 기울기와 대응하는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면전방돌기(50)의 전면은 폭방향의 중앙부가 양단부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비스듬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상면후방돌기(70)의 후면은 그 폭방향의 중앙부가 양단부보다 더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비스듬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전방몸체(13)에서 상기 연결저면(156)보다 하부로 돌출되는 전방각부의 전방각부후면(138)은, 그 폭방향의 중앙부가 양단부보다 더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폭방향의 중앙부가 더 돌출됨으로 인해 상기 전방각부후면(138)이 비스듬한 정도는 상기 상면전방돌기(50)가 비스듬한 정도와 대응할 수 있다.
상기 후방몸체(11)에서 상기 연결저면(156)보다 하부로 돌출되는 후방각부의 후방각부전면(118)은 그 폭방향의 중앙부가 양단부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폭방향의 중앙부가 더 돌출됨으로 인해 상기 후방각부전면(118)이 비스듬한 정도는 상기 상면후방돌기(70)가 비스듬한 정도와 대응할 수 있다.
상면전방돌기(50)의 양단부에서 몸체(10)의 전방단부까지의 거리인 양단부전방거리(50E)는, 상기 전방각부의 양단부의 전후방향 두께인 전방각부양단두께(138E)보다 크고 상기 전방각부의 중앙부의 전후방향 두께인 전방각부중심두께(138C)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전방저면폭(133W)이 직육면체(9)의 폭(W)보다 작음에서 비롯된 것이다.
상면후방돌기(70)의 중앙부에서 몸체(10)의 후방단부까지의 거리인 중앙부후방거리(70C)는, 상기 후방각부의 양단부의 전후방향 두께인 후방각부양단두께(118E)와 같거나 그보다 소정의 갭(G)만큼 더 클 수 있다.
상기 갭(G)이 없다면, 소파블록들을 상하로 적층할 때 소파블록의 깊이에 해당하는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몸체(10)의 전방에는 전방돌기(30)가 마련된다.
상기 전방돌기(30)는, 상기 전면(131)의 중앙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전방으로 돌출된 전면돌기(31) 및 상기 전방상면(132)의 중앙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방으로 돌출된 상면돌기(33)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저면폭(133W)은, 상기 직육면체(9)의 폭(W)에서 상기 상면돌기폭(33W)을 뺀 값과 같거나 그보다 더 작다.
상기 전면돌기(31)는 전방으로 갈수록 그 전면돌기폭(31W)이 점차 좁아지는 형태이고, 상기 상면돌기(33)는 상방으로 갈수록 그 상면돌기폭(33W)이 점차 좁아지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전면돌기(31)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전면돌기돌출두께(31B)는 상기 상면돌기(33)가 상방으로 돌출되는 상면돌기돌출높이(33B)와 같거나 그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전면돌기(31)의 전면돌기폭(31W)은 상기 상면돌기(33)의 상면돌기폭(33W)과 같거나 그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전면돌기(31)는 상기 전면(131)의 하단부에서 상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상면돌기(33)는 상기 전방상면(132)의 전단부에서 상기 상면전방돌기(5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면돌기(31)와 상기 상면돌기(33)는 상기 전면(131)과 전방상면(132)의 모서리에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소파블록을 거치한 해양구조물을 더 제공한다.
상기 해양구조물은 해저면에 조성되는 기초사석층과 상기 기초사석층에 놓여지는 기초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소파블록은 상기 기초블록 상에 적층될 수 있다.
상기 기초블록의 상면에는, 앞서 설명한 상면전방돌기와 후방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또, 앞서 설명한 전방돌기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해양구조물에서, 상부 단에 거치되는 소파블록의 전방저면(133)과 후방저면(113)은, 하부 단에 거치된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상면에 좌우로 걸쳐지며 거치된다.
상기 해양구조물에서, 상부 단에 거치되는 소파블록의 전방각부후면(138)이, 하부 단에 거치된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상면전방돌기(50)의 전면에 접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해양구조물에서, 상부 단에 거치되는 소파블록의 후방각부전면(118)이, 하부 단에 거치된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상면후방돌기(70)의 후면에 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부 단에 거치되는 소파블록이, 하부 단에 거치된 두 소파블록의 중앙부에 정확히 걸쳐지면서, 전후방향으로도 거치 위치가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다.
한편, 어느 한 소파블록에서, 상면후방돌기(70)의 중앙부후방거리(70C)는 후방각부양단두께(118E)보다 소정의 갭(G)만큼 더 크도록 하고, 그 바로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연결몸체(15)의 전후방향 길이를, 그보다 하부 단의 소파블록의 연결몸체(15)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상기 갭(G)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더 짧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상부 단으로 갈수록 소파블록의 전후방향 깊이가, 상기 갭(G)만큼 감소되어가도록 할 수 있으며, 해양구조물은 전면을 기준으로 소파블록이 직립된 형태를 구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해양구조물의 배후에는 뒷채움재가 채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소파블록은 연결몸체의 전후방향 길이를 달리하는 것만으로 깊이가 서로 다른 소파블록을 제작하기 쉽고, 전후방향 길이가 서로 다른 소파블록이라 하더라도 그 전방몸체와 후방몸체에 대응하는 거푸집을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파블록은, 연결몸체에 대응하는 거푸집의 길이를 단계별로 조절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어, 깊이가 서로 다른 소파블록을 제작하기 용이하다.
본 발명의 소파블록은 제작이 간편하고, 상면전방돌기, 상면후방돌기, 전방각부와 후방각부의 특유의 독특한 맞물림 형상으로 인해 거치 시공이 매우 용이하며, 이웃하는 소파블록 간의 인터록킹 효과가 뛰어나다.
본 발명의 소파블록은, 상부에 적층된 소파블록이 하부에 적층된 소파블록보다 전후방향 길이가 더 축소되도록 설계하고 시공하기 매우 용이하며, 소파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콘크리트 등의 원자재를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파블록을 거치한 해양구조물은,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전면 하부가 개방되어 있어 해양구조물 내부에 대한 해수의 유출입이 자유롭고,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상면을 통해 해수가 상하 유통 가능하며, 연결몸체 하부의 공간을 통해 해수가 좌우 유통 가능하다.
본 발명의 소파블록을 거치한 해양구조물은, 해양 구조물의 내부 공간에서 전방 통수공과 후방 통수공을 통해 좌우로 통수가 가능하고, 후방 관통공을 통해 해양구조물의 배후로도 통수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소파블록의 전방돌기는, 유수를 좌우로 분기하여 해수가 해양구조물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안내하고, 이와 더불어 상부 단에 거치되는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좌우방향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소파블록의 전면돌기는, 반사파가 중첩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준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소파블록이 형성되는 기준이 되는 가상의 직육면체를 도시한 전방 상부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각각 도 1의 직육면체에 소파블록을 매칭시켜 도시한 전방 상부 사시도, 후방 상부 사시도, 전방 하부 사시도 및 후방 하부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11은 제1실시예의 소파블록의 정면도, 배면도, 평면도, 평면 단면도, 저면도, 우측면도이다.
도 12 내지 14는 제1실시예의 소파블록을 적층 거치한 상태를 나타낸 전방 상부 사시도, 후방 상부 사시도, 전방 하부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제2실시예의 제1소파블록의 사시도, 평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19 내지 도 21은 제2실시예의 제2소파블록의 사시도, 평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22 내지 도 24는 제2실시예의 제3소파블록의 사시도, 평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25 내지 도 27는 제2실시예의 제1소파블록 내지 제3소파블록을 차례대로 적층 거치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 상부 사시도, 후면 상부 사시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28은 제2실시예의 제1실시예의 소파블록의 전방돌기를 변형한 제3실시예의 소파블록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의 전방은 외해를 바라보고, 후방은 내해를 바라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의 전방은 해측을 바라보고, 후방은 육측을 바라볼 수 있다. 본 발명의 해양구조물은, 방파제, 안벽, 물양장, 호안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제1실시예>
이하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소파블록(1)과,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1)은, 그 몸체(10)가 실질적으로 직육면체(9)의 형상과 대응할 수 있다. 즉 소파블록(1)의 전면, 후면, 상면, 저면, 좌측면 및 우측면은 각각 직육면체(9)의 앞면(92), 뒷면(91), 윗면(93) 아랫면(94), 왼쪽면(95) 및 오른쪽면(96)과 동일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파블록(1)은 직육면체의 상자를 쌓는 것처럼 거치할 수 있다(도 12 내지 도 15 참조).
직육면체(9)에 대해 상기 소파블록(1)의 저면은 전후방향의 중앙부가 직육면체(9)의 아랫면(94)으로부터 상방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것과 같은 형태일 수 있고, 직육면체(9)에 대해 상기 소파블록(1)의 전면은 중앙부가 홀쭉하고 밑단이 약간 넓어지는 절구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직육면체(9)는 소정의 폭(W)과 높이(H)와 깊이(D)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소파블록(1)의 몸체(10)의 왼쪽면(95)과 오른쪽면(96) 사이의 폭은 상기 직육면체(9)의 폭(W)과 대응하고, 상기 소파블록(1)의 상면과 저면 사이의 높이는 상기 직육면체(9)의 높이(H)와 대응하며, 상기 소파블록(1)의 좌측면과 우측면 사이의 폭은 상기 직육면체(9)의 폭(W)과 대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10)는, 상기 소파블록(1)의 전방을 구성하는 전방몸체(13), 상기 소파블록(1)의 후방을 구성하는 후방몸체(11), 및 상기 전방몸체(13)와 후방몸체(11)를 전후방향으로 연결하며 상기 소파블록(1)의 전후방향 중앙부를 구성하는 연결몸체(15)를 포함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방몸체(13)는 대략 절구 형태이고, 후방몸체(11)는 대략 넓적한 직육면체 형태이며, 연결몸체(15)는 대략 길쭉한 직육면체 형태이다.
상기 전방몸체(13)의 하부에는 바닥에 닿는 전방각부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몸체(11)의 하부에는 바닥에 닿는 후방각부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몸체(15)는 바닥과 닿지 않도록 바닥으로부터 떠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즉 전방각부와 후방각부가 바닥에 놓이고 상기 연결몸체(15)는 상기 바닥으로부터 떠 있는 형태로 전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전방몸체(13)는, 상기 직육면체(9)의 앞면(92)에 포함되는 전면(131), 상기 직육면체(9)의 윗면(93)에 포함되는 전방상면(132), 상기 직육면체(9)의 아랫면(94)에 포함되고, 상기 직육면체(9)의 폭(W)보다 작은 전방저면폭(133W)을 가지는 전방저면(133) 및 상기 직육면체(9)의 왼쪽면(95) 및 오른쪽면(96)에 각각 포함되는 한 쌍의 전방측면(1341)을 포함한다.
상기 전방측면(1341)은 상기 전방몸체(13)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측면(1341)의 하부는 상기 전방측면(1341)보다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이룬다. 즉 상기 전방측면(1341)의 하부는 상기 직육면체(9)의 폭(W)보다 좁은 폭을 가진다.
상기 한 쌍의 전방측면(1341)의 하부에는, 상기 직육면체(9)의 왼쪽면(95) 및 오른쪽면(96)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전방중앙협폭면(1342)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전방측면(1341)과 상기 한 쌍의 전방중앙협폭면(1342)은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한 쌍의 협폭상부연결면(1343)에 의해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전방중앙협폭면(1342)의 하부에는, 상기 직육면체(9)의 왼쪽면(95) 및 오른쪽면(96)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전방중앙협폭면(1342)보다는 넓은 폭을 가지는 한 쌍의 전방하부광폭면(1344)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전방중앙협폭면(1342)과 상기 한 쌍의 전방하부광폭면(1344)은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한 쌍의 협폭하부연결면(1345)에 의해 각각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방몸체(13)의 측면은, 전체적으로 절구와 같은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전면(131)의 상단부는 상기 전방상면의 전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전면(131)의 하단부는 상기 전방저면(133)의 전단부와 연결된다. 상기 전면(131)의 양측단부는, 앞서 설명한 상기 한 쌍의 전방측면(1341), 협폭상부연결면(1343), 전방중앙협폭면(1342), 협폭하부연결면(1345) 및 전방하부광폭면(1344)의 전단부와 연결된다.
상기 전면(131)의 양 단부 모서리에는 챔퍼면(139)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챔퍼면(139)은, 상기 전면(131)의 양측단부와, 한 쌍의 상기 전방측면(1341), 협폭상부연결면(1343), 전방중앙협폭면(1342), 협폭하부연결면(1345) 및 전방하부광폭면(1344)의 전방단부가 만나는 모서리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챔퍼면(139)은 모서리가 날카로워 파손됨을 방지하고, 상기 모서리에 부딪히는 다른 구성(가령 선박 등)을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하며, 후술할 해양구조물의 내부 공간으로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다.
연결몸체(15)는 상기 전방몸체(13)와 연결되며 상기 전방몸체(13)의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연결몸체(15)는, 상기 직육면체(9)의 윗면(93)에 포함되는 연결상면(152), 상기 직육면체(9)의 아랫면(94)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연결저면(156), 및 상기 직육면체(9)의 왼쪽면(95) 및 오른쪽면(96)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연결측면(154)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측면(154)은 그 상부에, 상기 연결측면(154)보다 넓은 폭을 가지되 상기 직육면체(9)의 왼쪽면(95) 및 오른쪽면(96)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연결광폭면(157)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연결광폭면(157)과 상기 한 쌍의 연결측면(154)은,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한 쌍의 연결광폭하부연결면(158)에 의해 각각 연결된다.
상기 연결상면(152)은 상기 전방상면(132)과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전방측면(1341)과 상기 한 쌍의 연결측면(154)은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한 쌍의 전방연결후면(137)에 의해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전방연결후면(137)은 전방연결좌후면(1372) 및 전방연결우후면(1374)을 포함한다. 물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연결후면(137)은 상기 연결광폭면(157)과 연결광폭하부연결면(158)에도 연결된다.
상기 한 쌍의 전방중앙협폭면(1342)의 폭은 상기 한 쌍의 연결측면(154)의 폭과 대응하여, 상기 전방중앙협폭면(1342)과 상기 연결측면(154)은 매끄럽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방중앙협폭면(1342)과 연결측면(154)은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연결저면(156)은 상기 협폭하부연결면(1345)보다 더 높게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연결저면(156)의 높이는 상기 전방저면(133)의 높이보다 높다.
여기서 상기 전방저면(133)과 상기 연결저면(156)은 후방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기울어진 형태의 전방각부후면(138)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방연결후면(137)과 상기 전방각부후면(138)은 전방몸체(13)의 후면인 전방후면(136)을 이룬다.
후방몸체(11)는 상기 연결몸체(15)와 연결되며 상기 연결몸체(15)의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후방몸체(11)는, 상기 직육면체(9)의 뒷면(91)에 포함되는 후면(111), 상기 직육면체(9)의 윗면(93)에 포함되는 후방상면(112), 상기 직육면체(9)의 아랫면(94)에 포함되는 후방저면(113), 및 상기 직육면체(9)의 왼쪽면(95) 및 오른쪽면(96)에 각각 포함되는 한 쌍의 후방측면(114)을 포함한다.
상기 후방상면(112)은 상기 연결상면(152)과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방상면(132), 연결상면(152), 및 후방상면(112)은 동일한 표면을 이루는 몸체(10)의 상면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전방저면(133)과 후방저면(113)의 높이는 서로 대응한다. 즉 상기 전방저면(133)과 후방저면(113)은 동일한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후방측면(114)과 상기 한 쌍의 연결측면(154)은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경사진 한 쌍의 후방연결전면(117)에 의해 각각 연결된다. 상기 후방연결전면(117)은 좌측에 배치되는 후방연결좌전면(1172) 및 우측에 배치되는 후방연결우전면(1174)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저면(156)과 후방저면(113)은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기울어진 형태의 후방각부전면(118)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측면이 오목한 절구 형태인 전방몸체(13)와 달리, 전후방향으로 바라본 후방몸체(11)의 단면은 직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소파블록(1)을 적층 거치하여 해양구조물을 구축하면, 배후면은 상기 소파블록(1)들의 후방몸체(11)에 의해 폐색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에 있어서, 상기 연결측면(154)의 전방에는 일측 연결측면(154)부터 타측 연결측면(154)까지 좌우방향으로 관통된 전방 통수공(17)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측면(154)의 후방에는 일측 연결측면(154)부터 타측 연결측면(154)까지 좌우방향으로 관통된 후방 통수공(18)이 마련된다. 상기 전방 통수공(17)와 후방 통수공(18)의 유동 단면은 원형일 수 있으나, 그 형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후면(111)에는 상기 후면(111)부터 상기 후방 통수공(18)까지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후방 관통공(19)이 마련된다. 상기 후방 관통공(19)은, 중앙부보다 좌측에 배치된 후방 좌측관통공(191)과 중앙부보다 우측에 배치된 후방 우측관통공(19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후방 관통공(19)은 하나 또는 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후방 관통공(19)의 유동 단면 역시 원형일 수 있으나, 그 형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배후에 뒷채움재가 채워지는 해양구조물을 구축할 경우, 상기 후면(111)에서 상기 후방 관통공(19)에 망이 설치되어, 뒷채움재가 후방 관통공(19)으로 흘러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후방 관통공(19)은 해양구조물의 전방이 외해를 이루고 해양구조물의 후방이 내해를 이룰 경우, 외해와 내해 간의 유통공의 기능을 하게 된다. 즉 외해와 내해는, 전방몸체(13)의 전방중앙협폭면(1342) 및 전방하부광폭면(1344)에 대응하는 공간, 연결측면(154)에 대응하는 공간, 후방 통수공(18) 및 후방 관통공(19)을 통해 서로 통하도록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전방하부광폭면(1344)은 전방저면폭(133W)을 어느 정도 확보하여 소파블록(1)을 거치하였을 때 몸체(10)의 전방의 거치 안정성을 더 확보한다.
한편 상기 몸체(10)의 상면의 전방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상면전방돌기(50)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10)의 상면의 후방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상면후방돌기(70)가 마련된다.
상기 상면전방돌기(50)와 상면후방돌기(70)는 상기 상면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별도로 형성되어 돌출된 형태이다.
상기 상면전방돌기(50)와 상면후방돌기(70)는 상방으로 갈수록 전후방향으로 측정되는 상면전방돌기폭(50W)과 상면후방돌기폭(70W)이 감소되는 형태이다. 즉 이들은 테이퍼진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면전방돌기(50)의 전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기울어진 형태이고, 상기 상면후방돌기(70)의 후면은은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기울어진 형태이다.
상기 상면전방돌기(50)의 전면은 상기 전방각부후면(138)의 기울기와 대응하는 기울기를 가지고, 상기 상면후방돌기(70)의 후면은 상기 후방각부전면(118)의 기울기와 대응하는 기울기를 가진다. 이에 따라 상면전방돌기(50)와 상면후방돌기(70)는, 그보다 상부에 거치되는 소파블록(1)의 전방각부 및 후방각부와 닿으며, 상부에 거치되는 소파블록(1)의 거치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상면전방돌기(50)의 전면은 폭방향의 중앙부가 양단부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비스듬한 형태이고, 상기 상면후방돌기(70)의 후면은 그 폭방향의 중앙부가 양단부보다 더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비스듬한 형태이다. 즉 평면도 상에서, 상기 상면전방돌기(50)와 상면후방돌기(70)는 각각 "<"와 ">" 형태를 이룬다.
이와 상보적으로, 상기 전방각부의 전방각부후면(138)은, 그 폭방향의 중앙부가 양단부보다 더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이고. 상기 후방각부의 후방각부전면(118)은 그 폭방향의 중앙부가 양단부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이다. 즉 상기 전방각부후면(138)은 전방각부좌후면(1382)과 전방각부우후면(1384)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각부전면(118)은 후방각부좌전면(1182)과 후방각부우전면(1184)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저면도 상에서 상기 전방각부후면(138)과 후방각부전면(118)은 각각 ">"와 "<" 형태를 이룬다.
폭방향의 중앙부가 더 돌출됨으로 인해 상기 전방각부후면(138)이 비스듬한 정도는 상기 상면전방돌기(50)가 비스듬한 정도와 대응하고, 폭방향의 중앙부가 더 돌출됨으로 인해 상기 후방각부전면(118)이 비스듬한 정도는 상기 상면후방돌기(70)가 비스듬한 정도와 대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면전방돌기(50)와 전방각부후면(138)이 "<" 및 ">" 형태를 이루고, 상면후방돌기(70)와 후방각부전면(118)이 ">" 및 "<" 형태를 이룸으로써, 상면전방돌기(50)와 상면후방돌기(70)는, 그보다 상부에 거치되는 소파블록(1)의 전방각부 및 후방각부와 닿으며, 상부에 거치되는 소파블록(1)의 거치 위치를 전후방향으로뿐만 아니라 좌우방향으로도 정확히 안내할 수 있다.
아울러 전방각부후면(138)과 후면각부전면(131)의 ">" 및 "<" 형상은, 연결저면(156)의 하부 공간으로 흐르는 해수의 유동을 안내한다. 특히 연결저면(156)의 하부 공간은, 그보다 하부에 거치된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연결측면(154)들에 의해 규정되는 공간과 연결되는바, 해양구조물 내부 공간에서 해수의 상하 유통을 더욱 원활하게 해준다.
여기서 연결몸체(15)의 연결광폭면(157)은, 상하 방향의 해수 통로를 좁혀주는 기능을 하며 소파 효과를 촉진하고, 상기 상면전방돌기(50)와 상면후방돌기(70)가 마련되는 상기 연결몸체(15)의 연결상면(152)의 면적을 확보해주는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상면전방돌기(50)와 상면후방돌기(70)의 좌우방향 폭을 더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전방저면폭(133W)은 직육면체(9)의 폭(W)보다 작기 때문에, 상면전방돌기(50)의 양단부에서 몸체(10)의 전방단부까지의 거리인 양단부전방거리(50E)는 상기 전방각부의 양단부의 전후방향 두께인 전방각부양단두께(138E)보다 크고, 상기 전방각부의 중앙부의 전후방향 두께인 전방각부중심두께(138C)보다 작게 된다.
상면후방돌기(70)의 중앙부에서 몸체(10)의 후방단부까지의 거리인 중앙부후방거리(70C)는, 상기 후방각부의 양단부의 전후방향 두께인 후방각부양단두께(118E)와 같다. 이에 따라, 소파블록들을 상하로 적층할 때, 도시된 바와 같이 소파블록의 깊이에 해당하는 길이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상면전방돌기(50)의 돌출 높이인 상면전방돌기돌출높이(50B)와, 상기 상면후방돌기(70)의 돌출 높이인 상면후방돌기돌출높이(70B)는, 상호 대응하거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이들이 상호 대응하는 형상이 예시된다.
이어서, 상기 몸체(10)의 전방에는 전방돌기(30)가 마련된다.
상기 전방돌기(30)는, 상기 전면(131)의 중앙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전방으로 돌출된 전면돌기(31) 및 상기 전방상면(132)의 중앙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방으로 돌출된 상면돌기(33)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저면폭(133W)은, 상기 직육면체(9)의 폭(W)에서 상기 상면돌기폭(33W)을 뺀 값과 같거나 그보다 더 작다. 실시예에서는 더 작은 형태가 예시된다.
상기 전면돌기(31)는 전방으로 갈수록 그 전면돌기폭(31W)이 점차 좁아지는 형태이고, 상기 상면돌기(33)는 상방으로 갈수록 그 상면돌기폭(33W)이 점차 좁아지는 형태이다. 즉 상기 전방돌기(30)는 테이퍼지며 돌출되는 형태이다.
상기 전면돌기(31)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전면돌기돌출두께(31B)는 상기 상면돌기(33)가 상방으로 돌출되는 상면돌기돌출높이(33B)와 같다. 그리고 상기 전면돌기(31)의 전면돌기폭(31W)은 상기 상면돌기(33)의 상면돌기폭(33W)과 같다.
상기 전면돌기(31)는 상기 전면(131)의 하단부에서 상단부까지 연장되고, 상기 상면돌기(33)는 상기 전방상면(132)의 전단부에서 상기 상면전방돌기(50)까지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돌기(31)와 상기 상면돌기(33)는 상기 전면(131)과 전방상면(132)의 모서리에서 상호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방돌기(30)는, "ㄱ"자와 같은 형태로 돌출되는 돌기가 된다.
상기 소파블록의 전방돌기는, 유수를 좌우로 분기하여 해수가 해양구조물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안내한다. 상기 상면돌기는 상부 단에 거치되는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좌우방향 유동을 방지하고, 상기 전면돌기는 파랑의 반사파가 중첩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준다.
이하 상기 소파블록을 거치한 해양구조물을,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같은 단 내에서, 복수 개의 소파블록들은 각각 측면이 서로 만나도록 나란히 거치된다. 그리고 그보다 상부 단에도 복수 개의 소파블록들은 각각 측면이 서로 만나도록 나란히 거치되되, 하부 단과 대비하여 폭방향으로 1/2씩 오프셋 거치된다. 물론 상기 소파블록은 좌우 대칭 형상이다.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복수 개의 소파블록은 전면이 모두 동일 평면에 배치되는 직립식으로 거치된다. 물론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의 소파블록의 후면 역시 동일 평면에 배치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소파블록은 상면전방돌기, 상면후방돌기, 전방각부와 후방각부의 특유의 독특한 맞물림 형상으로 인해 거치 시공이 매우 용이하며, 이웃하는 소파블록 간의 인터록킹 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단의 소파블록의 연결광폭면은 후방측면 및 전방측면의 폭까지 더 확장될 수 있다. 그러면, 최상단의 소파블록의 상면은 직사각형 형상을 구비하게 되고, 이웃하는 최상단 소파블록들의 상면들이 측방으로 서로 연결되어, 소파블록을 거치한 해양구조물의 최상단 상면은 막힌 형상이 된다. 이에 따라 해양구조물 상부에 상치블록을 시공하기 용이하다.
<제2실시예>
이하 도 16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과 해양구조물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2실시예에 따르면, 한 소파블록(1)에 있어서 상면후방돌기(70)의 중앙부에서 몸체(10)의 후방단부까지의 거리인 중앙부후방거리(70C)는, 상기 후방각부의 양단부의 전후방향 두께인 후방각부양단두께(118E)보다 소정의 갭(G)만큼 크다.
그리고, 상부 단에 거치되는 소파블록의 연결몸체(15)의 전후방향 길이는, 그보다 하부 단에 거치되는 소파블록의 연결몸체(15)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상기 갭(G)만큼 작다.
가령,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제1소파블록(1-1)을 참조하면, 소파블록의 전방구간(A)과 후방구간(C)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구간(B)은 B1에 해당한다. 상기 중앙구간(B)은 연결몸체(15) 구간에 포함된다. 참고로, 상기 제1소파블록(1-1)은, 앞서 제1실시예의 소파블록과 대비하여 상면후방돌기(70)의 위치가 다른 점 외의 다른 형상은 동일하다.
다음으로,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제2소파블록(1-2)을 참조하면, 소파블록의 전방구간(A)과 후방구간(C)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구간(B)은 B2에 해당한다. B2의 길이는, B1과 대비하여 상기 갭(G)만큼 짧다.
다음으로,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된 제3소파블록(1-3)을 참조하면, 소파블록의 전방구간(A)과 후방구간(C)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구간(B)은 B3에 해당한다. B2의 길이는, B1과 대비하여 상기 갭(G)만큼 짧다.
도 25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제1소파블록(1-1)은 하부에 배치된 제1단에 거치되고, 제2소파블록(1-2)은 그보다 상부에 배치된 제2단에 거치되며, 제3소파블록(1-3)은 그보다 상부에 배치된 제3단에 거치된다. 이때, 제2소파블록(1-2)의 전방각부후면(138)과 후방각부전면(118)은, 제1소파블록(1-1)의 상면전방돌기(50)의 전면 및 상면후방돌기(70)의 후면과 접하게 된다. 그리고 제3소파블록(1-3)의 전방각부후면(138)과 후방각부전면(118)은, 제2소파블록(1-2)의 상면전방돌기(50)의 전면 및 상면후방돌기(70)의 후면과 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소파블록들을 상하로 적층할 때, 도시된 바와 같이 소파블록의 전면을 직립식으로 적층되면서도, 소파블록의 후면은 점차 전방으로 더 가까워지는 계단 형태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갭(G)은 후방몸체(11)의 전후방향 두께, 즉 후방측면(114)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게 설정된다. 그러면, 도 25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파블록의 후면이 계단식으로 적층되더라도, 해양구조물의 후면이 폐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18, 도 21 및 도 24를 참조하면, 제1소파블록(1-1), 제2소파블록(1-2) 및 제3소파블록(1-3)은, 전방구간(A)과 후방구간(C)의 형상이 모두 동일하며, 단지 중앙구간(B)의 길이에만 차이가 있을 뿐이다. 또한 상면전방돌기(50)는 전방구간(A)에 포함되고, 상면후방돌기(70)는 후방구간(C)에 포함된다. 따라서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소파블록(1-1, 1-2, 1-3)을 제작함에 있어서도, 전방구간(A) 및 후방구간(C)에 해당하는 거푸집은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소파블록(1-1, 1-2, 1-3)의 중앙구간(B)도, 전후방향으로 바라본 단면 형상은 동일하고, 다만 전후방향의 길이에만 차이가 있을 뿐이며, 그 길이의 차이는 상기 갭(G)에 해당하므로, 상기 갭(G)에 해당하는 구간만큼 거푸집을 제작하여, 필요한 만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면, 서로 다른 크기의 소파블록(1-1, 1-2, 1-3)이라 하더라도, 거푸집을 모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제작이 용이함은 물론, 제작 단가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이처럼 상부 단으로 갈수록 소파블록의 전후방향 길이를 줄일 수 있어, 소파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콘크리트 등의 원자재를 절약할 수 있다.
<제3실시예>
*이하 도 2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1)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실시예의 소파블록(1)은, 제2실시예의 제1소파블록(1-1)과 동일한 형상이며, 다만 전면돌기(31)의 형상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전면돌기(31)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전면돌기돌출두께(31B)는 상기 상면돌기(33)가 상방으로 돌출되는 상면돌기돌출높이(33B)보다 작다. 그리고 상기 전면돌기(31)의 전면돌기폭(31W)은 상기 상면돌기(33)의 상면돌기폭(33W)보다 작다.
이처럼 전면돌기(31)와 상면돌기(33)의 두께와 폭을 서로 다르게 변경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소파블록은 철근을 배근하지 않는 무근 콘크리트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철근을 배근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소파블록
1-1: 제1소파블록
1-2: 제2소파블록
1-3: 제3소파블록
10: 몸체
11: 후방몸체
111: 후면
112: 후방상면
113: 후방저면
114: 후방측면
116: 후방전면
117: 후방연결전면
1172: 후방연결좌전면
1174: 후방연결우전면
118: 후방각부전면
1182: 후방각부좌전면
1184: 후방각부우전면
118E: 후방각부양단두께
13: 전방몸체
131: 전면
132: 전방상면
133: 전방저면
133W: 전방저면폭
1341: 전방측면
1342: 전방중앙협폭면
1343: 협폭상부연결면
1344: 전방하부광폭면
1345: 협폭하부연결면
136: 전방후면
137: 전방연결후면
1372: 전방연결좌후면
1374: 전방연결우후면
138: 전방각부후면
1382: 전방각부좌후면
1384: 전방각부우후면
138C: 전방각부중심두께
138E: 전방각부양단두께
139: 챔퍼면
15: 연결몸체
152: 연결상면
154: 연결측면
156: 연결저면
157: 연결광폭면
158: 연결광폭하부연결면
17: 전방 통수공
18: 후방 통수공
19: 후방 관통공
191: 후방 좌측관통공
192: 후방 우측관통공
30: 전방돌기
31: 전면돌기
31W: 전면돌기폭
31B: 전면돌기돌출두께
33: 상면돌기
33W: 상면돌기폭
33B: 상면돌기돌출높이
50: 상면전방돌기
50W: 상면전방돌기폭
50B: 상면전방돌기돌출높이
50E: 양단부전방거리
70: 상면후방돌기
70W: 상면후방돌기폭
70B: 상면후방돌기돌출높이
70C: 중앙부후방거리
A: 전방구간
B, B1, B2, B3: 중앙구간
C: 후방구간
G: 갭
9: 직육면체
91: 뒷면
92: 앞면
93: 윗면
94: 아랫면
95: 왼쪽면
96: 오른쪽면
W: 폭
H: 높이
D: 깊이

Claims (18)

  1. 소정의 폭(W)과 높이(H)와 깊이(D)를 가지고 폭(W)보다 깊이(D)가 더 긴 직육면체(9) 형상의 공간 내에 수용되는 몸체(10)를 포함하는 소파블록(1)으로서,
    상기 몸체(10)는:
    후방에 마련된 후방몸체(11);
    상기 후방몸체(11)보다 전방에 마련된 전방몸체(13); 및
    상기 후방몸체(11)와 전방몸체(13)를 전후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몸체(15);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몸체(11)는:
    상기 직육면체(9)의 뒷면(91)에 포함되는 후면(111);
    상기 직육면체(9)의 윗면(93)에 포함되는 후방상면(112);
    상기 직육면체(9)의 아랫면(94)에 포함되는 후방저면(113); 및
    상기 직육면체(9)의 왼쪽면(95) 및 오른쪽면(96)에 각각 포함되는 한 쌍의 후방측면(114);을 구비하고,
    상기 전방몸체(13)는:
    상기 직육면체(9)의 앞면(92)에 포함되는 전면(131);
    상기 직육면체(9)의 윗면(93)에 포함되는 전방상면(132);
    상기 직육면체(9)의 아랫면(94)에 포함되고, 상기 직육면체(9)의 폭(W)보다 작은 전방저면폭(133W)을 가지는 전방저면(133);
    상기 직육면체(9)의 왼쪽면(95) 및 오른쪽면(96)에 각각 포함되는 한 쌍의 전방측면(1341);
    상기 전방측면(1341)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직육면체(9)의 왼쪽면(95) 및 오른쪽면(96)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전방중앙협폭면(1342); 및
    상기 전방중앙협폭면(1342)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직육면체(9)의 왼쪽면(95) 및 오른쪽면(96)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전방중앙협폭면(1342)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한 쌍의 전방하부광폭면(1344);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몸체(15)는:
    상기 직육면체(9)의 윗면(93)에 포함되는 연결상면(152);
    상기 직육면체(9)의 아랫면(94)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연결저면(156);
    상기 직육면체(9)의 왼쪽면(95) 및 오른쪽면(96)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연결측면(154); 및
    상기 연결측면(154)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직육면체(9)의 왼쪽면(95) 및 오른쪽면(96)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연결측면(154)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한 쌍의 연결광폭면(157);을 구비하고,
    상기 후방상면(112), 전방상면(132) 및 연결상면(152)을 포함하는 몸체(10)의 상면의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상방으로 돌출된 상면전방돌기(50)와 상면후방돌기(70)가 마련되되, 상기 상면전방돌기(50)는 폭방향의 중앙부가 양단부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고, 상기 상면후방돌기(70)는 그 폭방향의 중앙부가 양단부보다 더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며,
    상기 몸체(10)의 전방에는, 상기 전면(131)의 중앙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전방으로 돌출된 전면돌기(31); 및 상기 전방상면(132)의 중앙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방으로 돌출된 상면돌기(33);를 포함하는 전방돌기(30)가 마련되며,
    상기 후방몸체(11)에서 상기 연결저면(156)보다 하부로 돌출되는 후방각부의 후방각부전면(118)은 그 폭방향의 중앙부가 양단부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되, 상기 후방각부전면(118)이 경사진 정도는 상기 상면후방돌기(70)가 경사진 정도와 대응하고,
    상기 전방몸체(13)에서 상기 연결저면(156)보다 하부로 돌출되는 전방각부의 전방각부후면(138)은 그 폭방향의 중앙부가 양단부보다 더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되, 상기 전방각부후면(138)이 경사진 정도는 상기 상면전방돌기(50)가 경사진 정도와 대응하고,
    상면후방돌기(70)의 중앙부에서 몸체(10)의 후방단부까지의 거리인 중앙부후방거리(70C)는, 상기 후방각부의 양단부의 전후방향 두께인 후방각부양단두께(118E)와 같거나 그보다 크고,
    상면전방돌기(50)의 양단부에서 몸체(10)의 전방단부까지의 거리인 양단부전방거리(50E)는, 상기 전방각부의 양단부의 전후방향 두께인 전방각부양단두께(138E)보다 크고 상기 전방각부의 중앙부의 전후방향 두께인 전방각부중심두께(138C)보다 작으며,
    상기 전방저면폭(133W)은, 상기 직육면체(9)의 폭(W)에서 상기 상면돌기(33)의 폭인 상면돌기폭(33W)을 뺀 값보다 더 작고,
    상기 연결측면(154)의 전방에는 일측 연결측면(154)부터 타측 연결측면(154)까지 좌우방향으로 관통된 전방 통수공(17)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측면(154)의 후방에는 일측 연결측면(154)부터 타측 연결측면(154)까지 좌우방향으로 관통된 후방 통수공(18)이 마련된, 소파블록.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후방측면(114)과 상기 한 쌍의 연결측면(154)은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경사진 한 쌍의 후방연결전면(117)에 의해 각각 연결되는, 소파블록.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저면(113)과 상기 연결저면(156)은 상방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기울어진 형태의 상기 후방각부전면(118)에 의해 연결되는, 소파블록.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면(131)의 양 단부 모서리에는 챔퍼면(139)이 형성된, 소파블록.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방중앙협폭면(1342)의 폭은 상기 한 쌍의 연결측면(154)의 폭과 대응하여, 상기 전방중앙협폭면(1342)과 상기 연결측면(154)은 매끄럽게 연결되는, 소파블록.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방중앙협폭면(1342)과 상기 한 쌍의 전방측면(1341)은 상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한 쌍의 협폭상부연결면(1343)에 의해 각각 연결되는, 소파블록.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방중앙협폭면(1342)과 상기 한 쌍의 전방하부광폭면(1344)은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한 쌍의 협폭하부연결면(1345)에 의해 각각 연결되는, 소파블록.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방측면(1341)과 상기 한 쌍의 연결측면(154)은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한 쌍의 전방연결후면(137)에 의해 각각 연결되는, 소파블록.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저면(133)과 상기 연결저면(156)은 상방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기울어진 형태의 상기 전방각부후면(138)에 의해 연결되는, 소파블록.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연결광폭면(157)과 상기 한 쌍의 연결측면(154)은,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한 쌍의 연결광폭하부연결면(158)에 의해 각각 연결되는, 소파블록.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면돌기(31)는 전방으로 갈수록 그 전면돌기폭(31W)이 점차 좁아지는 형태이고, 상기 상면돌기(33)는 상방으로 갈수록 그 상면돌기폭(33W)이 점차 좁아지는 형태인, 소파블록.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면돌기(31)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전면돌기돌출두께(31B)는 상기 상면돌기(33)가 상방으로 돌출되는 상면돌기돌출높이(33B)와 같거나 그보다 작고,
    상기 전면돌기(31)의 전면돌기폭(31W)은 상기 상면돌기(33)의 상면돌기폭(33W)과 같거나 그보다 큰, 소파블록.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면돌기(31)는 상기 전면(131)의 하단부에서 상단부까지 연장되고,
    상기 상면돌기(33)는 상기 전방상면(132)의 전단부에서 상기 상면전방돌기(50)까지 연장되며,
    상기 전면돌기(31)와 상기 상면돌기(33)는 상기 전면(131)과 전방상면(132)의 모서리에서 상호 연결되는, 소파블록.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면전방돌기(50)와 상면후방돌기(70)는 상기 상면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별도로 형성되어 돌출된 형태이거나, 전후 방향으로 서로 연결된 형태인, 소파블록.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면전방돌기(50)와 상면후방돌기(70)는 상방으로 갈수록 전후방향으로 측정되는 상면전방돌기폭(50W)과 상면후방돌기폭(70W)이 감소되는 형태인, 소파블록.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면(111)에는 상기 후면(111)부터 상기 후방 통수공(18)까지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후방 관통공(19)이 마련되며,
    상기 후방 관통공(19)은 중앙부보다 좌측에 배치된 후방 좌측관통공(191)과 중앙부보다 우측에 배치된 후방 우측관통공(191)을 포함하는, 소파블록.
  17. 해저면에 조성되는 기초사석층과 상기 기초사석층에 놓여지는 기초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기초불록 상에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의 소파블록을 거치한 해양구조물로서,
    상부 단에 거치되는 소파블록의 전방저면(133)과 후방저면(113)이, 하부 단에 거치된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상면에 좌우로 걸쳐져서 거치되고,
    상부 단에 거치되는 소파블록의 전방각부후면(138)이, 하부 단에 거치된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상면전방돌기(50)의 전면에 적어도 일부가 접하고,
    상부 단에 거치되는 소파블록의 후방각부전면(118)이, 하부 단에 거치된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상면후방돌기(70)의 후면에 적어도 일부가 접하는, 해양구조물.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한 소파블록에 있어서 상면후방돌기(70)의 중앙부후방거리(70C)는 후방각부양단두께(118E)보다 소정의 갭(G)만큼 더 크고,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연결몸체(15)의 전후방향 길이는, 그보다 하부 단의 소파블록의 연결몸체(15)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상기 갭(G)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더 짧은, 해양구조물.
KR1020210093103A 2021-07-15 2021-07-15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KR202300123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103A KR20230012351A (ko) 2021-07-15 2021-07-15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103A KR20230012351A (ko) 2021-07-15 2021-07-15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351A true KR20230012351A (ko) 2023-01-26

Family

ID=85110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3103A KR20230012351A (ko) 2021-07-15 2021-07-15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23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664B1 (ko) * 2023-04-04 2023-11-22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직립식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664B1 (ko) * 2023-04-04 2023-11-22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직립식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12351A (ko)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KR101254488B1 (ko) 케이슨
KR101468194B1 (ko) 해안블록 및 해안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축조 방법
KR102202567B1 (ko) 블록 결합형 방파구조물
KR102280714B1 (ko)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KR101366814B1 (ko) 해수 교환 케이슨
KR20060131713A (ko) 호안블록
KR200394203Y1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200422445Y1 (ko) 사면보호용 식생블록 구조체
KR101849210B1 (ko) 항만 방파제용 태극 요철형 케이슨
KR102605664B1 (ko) 직립식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KR20140104115A (ko) 침식 방호 블록들의 배치 구조
KR20050105137A (ko) 어소 및 옹벽겸용블럭과 그 시공방법
KR200374618Y1 (ko) 조적식 축조용 옹벽블럭
TW202022197A (zh) 砌塊
CN220888527U (zh) 一种拼接式河道护坡砖结构
KR20110005277U (ko) 식생옹벽블록
CN216865030U (zh) 一种b字形生态护滩块体及采用该块体的护滩结构
CN214116691U (zh) 一种挡墙砖
KR102254937B1 (ko) 케이슨 및 그 구조물
CN212533949U (zh) 一种用于护岸的联锁栅栏板
JP2002250043A (ja) 壁面保護ブロック
KR101133501B1 (ko) 경사면을 보호하기 위한 소파용 친수블럭
CN201751479U (zh) 墙体模块
JP4207084B2 (ja) 護岸用ブロック及びその敷設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