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5137A - 어소 및 옹벽겸용블럭과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어소 및 옹벽겸용블럭과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5137A
KR20050105137A KR1020050096707A KR20050096707A KR20050105137A KR 20050105137 A KR20050105137 A KR 20050105137A KR 1020050096707 A KR1020050096707 A KR 1020050096707A KR 20050096707 A KR20050096707 A KR 20050096707A KR 20050105137 A KR20050105137 A KR 20050105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ar body
present
retaining wall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6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1453B1 (ko
Inventor
최석주
Original Assignee
(주)신우씨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우씨엔씨 filed Critical (주)신우씨엔씨
Priority to KR1020050096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1453B1/ko
Publication of KR20050105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5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1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14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이나 강의 저수호안, 제방 및 저수지상류, 유수지 등의 법면 절토지에 설치하여 인공어소를 형성하여 하천에 서식하는 각종 소 어류의 서식과 산란장소를 제공하고 하천의 법면을 보호할 수 있는 옹벽기능이 보강된 어소옹벽겸용블록과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면으로 어소를 형성하는 두 개의 날개부(10)와 옹벽역할을 하는 뒤 몸체(11)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블록 본체와 상기 두 개의 날개부 상부에 돌출된 각각의 돌기(12)와 뒤 몸체 좌우 상부에 돌출된 두 개의 돌기(13)가 형성되고 뒤 몸체 상부 뒤 모서리에 호안블록 연결사면(15)을 형성한 블록으로서, 블록을 좌우로 연결설치하고 상하로 적층시켜 일정한 어소공간(14)을 형성케 하고 또한 상하의 어소 공간이 서로 관통되어 소 어류의 활동을 원활하게 하고 일정한 어소 단 위부터 동 블록의 뒤 몸체가 앞을 향하게 하여 밑단의 날개부 상부 돌기(12)에 밀착시키면서 좌우 연결시공하고 그 상단은 동 블록을 같은 방법으로 뒤 몸체가 앞을 향하게 하고 밑단의 뒤 몸체 좌우 돌기에 밀착되게 설치하고 좌우 연결 시공하는 방법(도7)으로서 동 블록으로서 어소블록과 법면옹벽블록으로 사용하고 또한 어소블록 시공 후 일반 호안블록(16)을 연결사용할 수 있도록 동 블록의 뒤 몸체 모서리에 사면(15)을 형성함으로서 호안 블록과의 결합력을 키워 법면의 안정성을 증대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소옹벽겸용블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어소 및 옹벽겸용블럭과 그 시공방법{Embankment Block}
본 발명은 하천이나 강의 저수호안, 제방 및 저수지상류, 유수지 등의 법면 절토지에 설치하여 하천에 서식하는 각종의 어류나 생물에 서식처를 제공하고 돌출된 날개벽에 의해 소류력을 저감시키고 하천수질을 개선하도록 하면서 토사의 흘러내림이나 호우시에 붕괴 또는 유실을 방지하는 법면옹벽 기능을 특징으로 하는 어소옹벽겸용블록과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해예방을 위해 쌓는 제방은 토사의 안식각을 가지며 경사지게 형성하는데, 빗물에 의해 사면의 토사가 씻겨 내려가 제방이 붕괴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호안 블록을 부착 설치하여 왔다. 또한 하천 주변의 토지 이용밀도가 높은 도시하천의 경우 홍수 소통의 치수 목적으로 저수로와 둔치의 정비, 하도의 선형정비 및 하천제방의 축조 등으로 하천 환경이 변화되었다. 더욱이 저수로는 직강화 되고 단순화되면서 수생어류와 추이대(ecotone)에 서식하는 각종의 생태구조가 변화하고 파괴되기에 이르렀다.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0344555호에 따르면 오목한 부분과 볼록한 부분을 연속하여 시공하면서 어소공간을 형성하고 횡방향이나 종방향으로 블록을 적층하면서 고정핀을 사용하여 블록의 고정과 밀림을 방지하고 있으며, 국내 신용신안등록 제0192064호에 의하면 블록을 다공성으로 제작하고 블록의 중앙에 홈을 두어 어소기능을 두고, 블록을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지그재그로 시공하면서 고정핀을 사용하여 상층의 블록을 전면으로 밀리지 않도록 고안하였다. 그리고 통상적인 하천옹벽과 도로 절개지의 옹벽 시공방법으로 깬돌이나 석축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고안이나 공법은 자체 결속기능이 없어 별도의 고정핀을 사용하여야 하고, 전면과 후면이 통공이 되어 법면과 물이 맞닿아 옹벽기능이 불가하고, 어소공간이 좁아 각종의 어류 등에게 충분한 서식장소나 산란장소를 제공치 못할 뿐만 아니라, 블록의 강도와 크기가 작아 소류력에 약하고 어소블록과 연결되는 법면에 별도의 호안블록이나 옹벽블록을 사용함으로써 구조적으로 연결성이 약하고 생산과 제조단가, 운반비가 상승하고 시공 및 보수에 번거로움과 작업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깬돌이나 석축을 사용하는 하천의 옹벽은 저수로 부분과 법면에 전혀 생태적 공간을 제공치 못할 뿐만 아니라 타 지역의 자연을 무분별하게 파괴하여 자재를 수급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저소호안에 설치하여 각종의 수생어류에 충분한 서식처나 산란처를 제공하고, 단일 동 제품으로 법면 옹벽이나 호안블록으로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호안의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고 제품의 제작비용과 운반비를 절감하고, 시공과 보수작업의 번거러움을 해소하고자 어소옹벽겸용블록과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면으로 어소를 형성하는 두 개의 날개벽(10)과 옹벽역할을 하는 뒤 몸체(11)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블럭본체와 상기 두 개의 날개벽 상부에 돌출된 각각의 돌기(12)와 뒤 몸체 좌우 상부에 돌출된 두 개의 돌기(13)가 형성되고 뒤 몸체 상부 뒤 모서리에 호안블록연결사면(15)을 형성한 블록으로서 블록을 좌우로 연결설치하고 상하로 적층시켜 일정한 어소공간(14)을 형성케 하고 또한 상하의 어소 공간이 서로 관통되어 소 어류의 활동을 원활하게 하고 일정한 어소 단 위부터 동 블록의 뒤 몸체가 앞을 향하게 하여 밑단의 날개벽 상부 돌기에 밀착시키면서 좌우 연결시공하고 그 상단은 동 블록을 같은 방법으로 뒤 몸체가 앞을 향하게 하고 밑단의 뒤 몸체 좌우 돌기에 밀착되게 설치하고 좌우 연결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동 블록으로서 어소블록과 법면옹벽블록(도 5)으로 사용하고 또한 어소블록 시공 후 일반 호안블록(16)을 연결사용할 수 있도록(도 7) 동 블록의 뒤 몸체 호안블록 연결사면(15)을 형성함으로써 호안 블록과의 결합력을 키워 법면의 안정성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소옹벽겸용블록과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어소옹벽겸용블록은 전체적으로 ㅠ자 형상으로 전면으로 두 개의 날개부(10)가 형성되고 날개부를 잡고 있는 뒤 몸체(11)가 형성되어; 상기 블록의 날개부 사이에 일정한 크기로 관통 형성된 어소공간(14)과 어족출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블록 뒤 몸체의 상부면 좌우에 밀림방지용 돌기(13)가 두 개 형성되고; 상기 두 개의 날개부 상부표면에 각각의 밀림방지용 돌기(12)가 형성되고; 뒤 몸체 상부 뒤 모서리가 호안블록 연결사면(1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어소옹벽겸용블록을 이용한 시공방법은 어소옹벽겸용블록을 최 하단(기초콘크리트(19) 위) 설치 블록을 상기블록의 날개부(10)가 전면(하천)을 향하게 하여 하천의 횡방향으로 연속하여 거치하는 단계; 상기 처음 단 위에 두 번째 단을 하단에 대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적층함에 있어 상단의 어소공간 중앙 뒤 부분이 하단의 뒤 몸체 밀림방지용 돌기(13)에 밀착되도록 설치하는 단계; 상기의 블록을 뒤 몸체가 앞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의 두 번째 단이나 그 이상의 설치 단에 하천의 횡방향으로 연속하여 거치하면서 상단의 뒤 몸체 앞부분 벽면이 하단의 날개부 밀림방지용 돌기(12) 안쪽에 밀착되도록 설치하는 단계; 상기의 방법으로 뒤 몸체가 앞을 향하고 하단의 뒤 몸체 상부 밀림방지돌기(13)에 뒤 몸체 앞부분이 밀착되도록 횡방향으로 연속하여 설치하는 단계; 상기의 두 번째 단이나 그이상의 설치 단을 어소용으로 설치하고 그 이상의 법면을 보호하기 위해 타 블록을 상기블록의 뒤 몸체 호안블럭 연결사면(15)에 맞대어 설치하는 방법(도10)을 공급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소옹벽겸용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소옹벽겸용블록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소옹벽겸용블록을 도시한 배면도 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소옹벽겸용블록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어소옹벽겸용블록을 어소 및 옹벽블록으로 연결 시공을 도시한 예시도 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어소옹벽겸용블록의 저수호안에 어소용으로 시공을 도시한 예시도 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어소옹벽겸용블록과 호안블록을 연결시공을 도시한 예시도 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어소옹벽겸용블록의 어소용 시공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어소옹벽겸용블록의 어소 및 옹벽용으로 연결시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어소옹벽겸용블록은 어소공간을 형성하는 두 개의 날개부(10)와 날개부를 잡고 있는 뒤 몸체(11)와; 상기 블록 날개부 중앙과 연결부분에 형성된 어소 공간 및 출입구(14)와; 상기 블록 뒤 몸체(11)의 상부 뒤 모서리에 형성된 호안블록 연결사면(15)과 날개부 상부 밀림방지 돌기(12)와; 뒤 몸체 상부 밀림방지용 돌기(13)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어소옹벽겸용블록을 이용한 하천법면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어소옹벽겸용블록을 이용한 시공방법은 전체적으로 법면 옹벽블록 시공 방법으로 최 하단(기초콘크리트(19) 위단) 설치 블록을 상기블록의 날개부(10)가 전면(하천)을 향하게 하여 하천의 횡방향으로 연속하여 거치하는 단계; 상기 처음 단 위에 두 번째 단을 하단에 대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적층함에 있어 상단의 어소공간(14) 중앙 뒤 부분이 하단의 뒤 몸체 밀림방지용 돌기(13)에 밀착되도록 설치하는 단계(도 8); 상기의 블록을 뒤 몸체가 앞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의 두 번째 단이나 그 이상의 설치 단에 하천의 횡방향으로 연속하여 거치하면서 상단의 뒤 몸체 앞부분 벽면이 하단의 날개부 밀림방지용 돌기(12) 안쪽에 밀착되도록 설치하는 단계(도 9); 상기의 방법으로 뒤 몸체가 앞을 향하고 하단의 뒤 몸체 상부 밀림방지용 돌기(13)에 뒤 몸체 앞부분이 밀착되도록 횡방향으로 연속하여 설치하는 단계(도 5); 상기의 두 번째 단이나 그 이상을 어소용으로 설치하고 그 이상의 법면을 보호하기 위해 타 호안블록(16)을 본 고안의 어소옹벽겸용블록 뒤 몸체 호안블록 연결사면(15)에 맞대어 설치하는 방법(도 7)을 공급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시공방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최하단은 어소용 그 이상은 옹벽블록으로 하천의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연속하여 시공함으로서 어소기능과 법면보호용 옹벽블록으로 동시에 사용하는 방법(도 5), 본 발명의 어소옹벽겸용블록을 저수호안에 다수의 줄로 연속하여 시공하여 어소용 블록으로 사용하는 방법(도 6), 본 발명의 어소옹벽겸용블록을 소정단까지 설치하고 그 이상의 법면보호를 위해 타 호안블록을 연속하여 시공하는 방법(도 7)을 제공한다. 이때 도 5, 도 6,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어소옹벽겸용블록을 세로방향(종방향)으로 쌍아 올린 예를 보인 것으로 아래쪽 어소옹벽겸용블록 열과 위쪽 어소옹벽겸용블록 열은 벽돌을 쌓듯이 지그재그 교차하게 쌓아 올린 것이다(도 8, 도 9). 이렇게 시공함으로써 상단의 어소옹벽겸용블록의 어소공간(14) 부분과 하단의 좌우 어소옹벽겸용블록 밀림방지용 돌기가 록킹되는 역할로 종단과 횡단을 고정시켜 법면의 안정화를 이루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한 예에 대해서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술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어소옹벽겸용블럭은 다양한 시공방법과 별도의 재료가 필요 없이 어소용과 옹벽블록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법면의 안정성을 높이고 시공성을 향상시켜 다양한 현장에 적용이 가능하고, 생산과 운반을 용이하게 함으로서 불필요한 경비를 절감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어소 공간이 크고 많아 하천에 서식하는 어족의 서식처를 제공하고 산란기 어족의 생존 번식 환경을 조성하고, 날개부의 돌기에 의하여 유속의 흐름을 감소시키고 수류에 기포를 발생시키는 작용으로 오염된 수질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소옹벽겸용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소옹벽겸용블록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소옹벽겸용블록을 도시한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소옹벽겸용블록을 도시한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소옹벽겸용블록을 어소 및 옹벽 연결시공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어소옹벽겸용블록을 어소용으로 시공을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어소옹벽겸용블록을 호안블록과 연결시공을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어소옹벽겸용블록의 어소용 시공을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어소옹벽겸용블록의 어소 및 옹벽연결시공을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날개부 11 : 뒤 몸체 12 : 날개부 상부 밀림방지용 돌기
13 : 뒤 몸체 상부 밀림방지용 돌기 14 : 어소 공간 15 : 뒤 몸체 호안블록 연결사면 16 : 호안블록 17 : 어소용 18 : 옹벽용 19 : 기초콘크리트

Claims (2)

  1. 본 발명에 따른 어소옹벽겸용블록은 전체적으로 ㅠ자 형상으로 어소공간을 형성하는 두 개의 날개부(10)와 날개부를 잡고 있는 뒤 몸체(11)와; 상기 블록 날개부 중앙과 연결부분에 형성된 어소 공간 및 출입구(14)와; 상기 블록 뒤 몸체(11)의 상부 뒤 모서리에 형성된 호안블록 연결사면(15)과 날개부 상부 밀림방지용 돌기(12)와; 뒤 몸체 상부 밀림방지용 돌기(1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소옹벽겸용블록.
  2. 청구항 1에 있어서, 최 하단(기초 위) 설치 블록을 본 고안에 따른 어소옹벽겸용블록의 날개부(10)가 전면(하천)을 향하게 하여 하천의 횡방향으로 연속하여 거치하고, 두 번째 단을 하단에 대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적층함에 있어 상단의 어소공간(14) 중앙 뒤 부분이 하단의 뒤 몸체 밀림방지용 돌기(13)에 밀착되도록 설치하는 단계(도 8); 상기의 블록을 뒤 몸체가 앞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의 두 번째 단이나 그 이상의 설치 단에 하천의 횡방향으로 연속하여 지그재그로 거치하면서 상단의 뒤 몸체(11) 앞부분 벽면이 하단의 날개부 밀림방지용 돌기(12) 안쪽에 밀착되도록 설치하는 옹벽용(18) 설치 단계(도 9); 상기의 옹벽용(18) 상단에 뒤 몸체(11)가 앞을 향하고 하단의 뒤 몸체 상부 밀림방지돌기(13)에 뒤 몸체 앞부분이 밀착되도록 횡방향으로 연속하여 지그재그로 설치하는 단계(도 5); 상기의 두 번째 단이나 그 이상을 어소용(17)으로 설치하고 그 이상의 법면을 보호하기 위해 타 호안블록(16)을 본 고안의 어소옹벽겸용블록 뒤 몸체 호안블럭 연결사면(15)에 맞대어 설치하는 방법(도 7)을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소옹벽겸용블록 시공방법.
KR1020050096707A 2005-10-13 2005-10-13 어소 옹벽 겸용블럭 및 그 시공방법 KR100721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6707A KR100721453B1 (ko) 2005-10-13 2005-10-13 어소 옹벽 겸용블럭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6707A KR100721453B1 (ko) 2005-10-13 2005-10-13 어소 옹벽 겸용블럭 및 그 시공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181 Division 2005-10-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5137A true KR20050105137A (ko) 2005-11-03
KR100721453B1 KR100721453B1 (ko) 2007-05-23

Family

ID=37282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6707A KR100721453B1 (ko) 2005-10-13 2005-10-13 어소 옹벽 겸용블럭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14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0812A (zh) * 2018-11-23 2019-03-08 宁波市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挡土墙结构及其构筑方法
CN112627205A (zh) * 2020-12-29 2021-04-09 河南大学 一种膨胀土边坡的镂空护坡结构及其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548B1 (ko) * 2009-05-27 2012-04-16 송도희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
KR101881800B1 (ko) 2017-12-21 2018-07-25 김윤동 옹벽용 펜스블럭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834B1 (en) * 2002-09-16 2003-07-16 Wooil Eco River Sustem Co Ltd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vegetation retaining wall thereby
KR100515136B1 (ko) * 2002-11-26 2005-09-15 이근희 식생 블럭 및 그를 이용한 식생 옹벽 및 호안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0812A (zh) * 2018-11-23 2019-03-08 宁波市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挡土墙结构及其构筑方法
CN112627205A (zh) * 2020-12-29 2021-04-09 河南大学 一种膨胀土边坡的镂空护坡结构及其施工方法
CN112627205B (zh) * 2020-12-29 2022-04-19 河南大学 一种膨胀土边坡的镂空护坡结构及其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1453B1 (ko) 200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105137A (ko) 어소 및 옹벽겸용블럭과 그 시공방법
KR20100065450A (ko) 환경친화형 호안블록을 이용한 법면 시공방법
JP4758882B2 (ja) 魚道付き護岸ブロック及びこれを用いた魚道付き護岸面の構築方法
KR200389264Y1 (ko) 생태옹벽블록
KR20120000137A (ko) 생태하천의 친환경적 호안 구조
KR200420315Y1 (ko) 어소 및 옹벽 겸용블록
KR100914394B1 (ko) 식생 옹벽블록
KR101185998B1 (ko) 해수유통구가 형성된 호안블럭의 시공방법
CN207436004U (zh) 一种三维立体自嵌套式岸滩生态守护构件
CN201574397U (zh) 直立挡墙式生态护坡
KR200284980Y1 (ko)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조립부비노출형호안블록
KR100406812B1 (ko) 격자형 망태블럭
KR200447621Y1 (ko) 어소용 호안 블록
KR200327399Y1 (ko) 조립식 호안블록
KR100478156B1 (ko) 환경친화적 호안블록
KR200247956Y1 (ko) 지지홀을 가지는 호안블록의 구조
KR20110005277U (ko) 식생옹벽블록
KR102184423B1 (ko) 다양한 소파블록으로 구성되는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
KR200163472Y1 (ko) 자연형호안블럭
KR100478158B1 (ko) 에코투인박스
KR20040098434A (ko) 조립식 호안블록
KR101387168B1 (ko) 하상용 세굴방지블록
JP2500358B2 (ja) 護岸ブロック及び護岸構造物
KR200356142Y1 (ko) 어소를 갖는 호안블록
KR20110098883A (ko) 식생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