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621Y1 - 어소용 호안 블록 - Google Patents

어소용 호안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621Y1
KR200447621Y1 KR2020070018652U KR20070018652U KR200447621Y1 KR 200447621 Y1 KR200447621 Y1 KR 200447621Y1 KR 2020070018652 U KR2020070018652 U KR 2020070018652U KR 20070018652 U KR20070018652 U KR 20070018652U KR 200447621 Y1 KR200447621 Y1 KR 2004476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block
front member
cent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86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4953U (ko
Inventor
안보령
Original Assignee
안보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보령 filed Critical 안보령
Priority to KR20200700186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621Y1/ko
Publication of KR200900049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9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6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6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Abstract

본 고안은 호안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설치된 상태에서 하부에서 상부로 모든 통로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 어소용 호안블록을 개시한다.
본 고안의 어소용 호안블록은 모든 통로가 통해 있어 물고기가 거하는 물고기 집도 될 뿐만 아니라 물고기가 상부에서 하부로,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이 가능한 어로가 되며, 파도를 흡수하여 블록자체의 안정성 뿐만 아니라 설치된 사면의 안정성도 향상되며 결합방식이 단순하여 설치가 극히 용이한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어소용 호안 블록{Revetment block for fish}
본 고안은 호안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설치된 상태에서 하부에서 상부로 모든 통로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 어소용 호안블록을 개시한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수변부 특히 하천의 양안 사면은 치수를 목적으로 콘크리트 옹벽이나 콘크리트 호안블록으로 조성되는데, 즉 하천의 벽면에는 시멘트를 비롯하여 시트파일, 강관, 콘크리트와 시멘트 혼합물로 이루어진 방벽이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비스듬히 설치되거나, 호안블럭들이 별도로 설치되어 있어 자연친화적인 환경조성과 미감의 향상이라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그러나 최근에 치수뿐만 아니라 어류나 조류 심지어 미생물의 생태환경이 중요시됨에 따라, 콘크리트 옹벽이나 블록 외에 다양한 식생블록을 사용하여 친수공간을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면서, 수생식물이 생육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호안블록 그리고 다공성 콘크리트로 제조된 호안블록의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호안블록은 그 구조상 각각의 호안블록에 형성된 통공(즉 일정공간)이 서로 연결되지 못하므로 물고기가 상기 호안블 록에 형성된 일정공간을 통해 설치된 호안블록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것이 불가능한 구조이므로 힘이 약한 물고기들이 강물의 상부에서 하부로 또는 하부에서 상부로 올라가거나 내려가는데 호안블록이 사용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일정공간은 강물에 많은 부분이 직접적으로 노출되므로 물고기 집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 제20-356133호 실용신안은 제방의 경사면에 시공되는 호안블록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형상을 갖고 하면의 양 모서리부분을 전후방향으로 소정 깊이만큼 절개한 물고기홈을 포함하는 본체; 전면에 부착되는 자연석; 상기 본체 상하면에 좌우방향으로 소정 깊이만큼 파인 끼움블록홈; 상기 끼움블록홈에 끼워져 상기 본체를 상하 또는 좌우의 다른 본체와 연결, 고정시키는 끼움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방용 호안블록을 고안하여 등록받은바 있다.
하지만 상기 실용신안 또한 호안블록이 시공된 상태에서 호안블록에 형성된 홈들이 서로 연결되지 못하여 물고기들이 설치된 호안블록의 하부에서 상부로 또는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었다.
본 고안자는 상술한 종래기술의 호안블록이 가진 단점이 극복하고자 연구 노력한 결과 호안블록이 설치된 상태에서 설치된 모든 호안블록 내부가 통로를 통해 연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가 간편한 새로운 구조의 호안블록을 착안하여 본 고안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호안블록이 설치된 상태에서 설치된 모든 호안블록 내부가 통로를 통해 연결될 수 있어, 물고기가 거할 수 있는 물고기집도 되고 호안블록의 내부에 형성된 통로를 통해 물고기들의 이동이 가능한 구조의 호안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물결로 인해 발생하는 힘을 흡수하여 설치된 호안블록 뿐만 아니라 호안블록이 설치된 사면의 안정성까지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의 호안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결합재 또는 결합부재를 요하지 않고 호안블록 본체들끼리 서로 용이하게 결합 및 지지될 수 있는 구조의 호안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된 상태에서 요철구조를 형성하므로 하천 붕괴의 원인과 홍수의 원인이 되는 집중 호우시에 발생하는 대량의 하천 유입수의 증가된 유속의 흐름을 늦추어서 유속에 의한 제방 깍임 피해를 줄여서 홍수피해를 감소시키는 구조의 호안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강물과의 접촉 표면적을 넓게 하여 수생식물, 어류, 조류 등이 공존하면서 서식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형성하고, 치수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환경친화적 하천 조성이 가능한 구조의 호안블록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갖는 호안블록으로서, 상하좌우면의 폭이 전후면의 폭보다 좁은 육면체 형상의 후면부재, 어로형성부재 및 전면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어로형성부재는 후면부재와 전면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후면부재 및 전면부재와 면접하지 않는 4면 중 3면이 상기 후면부재와 전면부재가 양측면이 되는 홈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소용 호안블록을 제공한다.
상기 어로형성부재의 4면 중 홈부가 아닌 일면은 길이방향의 일면으로서, 상기 전면부재, 어로형성부재 및 후면부재가 형성하는 평면보다 돌출되는 끼움결합부가 상기 어로형성부재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그 중심부에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부재는 상하면의 양 모서리부분을 전후방향으로 일정깊이만큼 절개하여 모서리절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상하면의 중심부분이 상기 양 모서리절개부가 맞닿아 형성되는 공간만큼 절개되어 중심절개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절개부들은 상기 전면부재의 길이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 하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로형성부재의 4면 중 홈부가 아닌 일면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홈부는 그 깊이가 상기 절개부보다 크고 상기 전면부재 폭의 1/2보다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끼움결합부의 돌출길이는 상기 절개부의 절개깊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부재의 전면부에는 자연석이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현저한 효과를 가진다.
먼저, 본 고안에 의한 호안블록은 호안블록이 설치된 상태에서 설치된 모든 호안블록 내부가 통로를 통해 연결될 수 있어, 물고기가 거할 수 있는 물고기집도 되고 호안블록의 내부에 형성된 통로를 통해 물고기들의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호안블록은 물결로 인해 발생하는 힘을 흡수하여 설치된 호안블록 뿐만 아니라 호안블록이 설치된 사면의 안정성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호안블록은 별도의 결합재 또는 결합부재를 요하지 않고 호안블록 본체들끼리 서로 용이하게 결합 및 지지될 수 있으므로 그 설치가 매우 간편해진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호안블록은 설치된 상태에서 요철구조를 형성하므로 하천 붕괴의 원인과 홍수의 원인이 되는 집중 호우시에 발생하는 대량의 하천 유입수의 증가된 유속의 흐름을 늦추어서 유속에 의한 제방 깍임 피해를 줄여서 홍수피해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호안블록의 환경적 효과로는 강물과의 접촉 표면적을 넓게 하여 수생식물, 어류, 조류 등이 공존하면서 서식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형성하고, 치수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하천 조성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어소용 호안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어소용 호안블록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어소용 호안블록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어소용 호안블록의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호안블록이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설치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어소용 호안블록(100)은 후면부재(110), 어로형성부재(120) 및 전면부재(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어소용 호안블록(100)은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갖는 호안블록으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면부재(110), 어로형성부재(120) 및 전면부재(130)로 구분한 것으로 상기 부재들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데, 특히 어로형성부재(120)의 구조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부재(110) 및 전면부재(130)와 면접하지 않는 4면 중 3면이 상기 후면부재(110)와 전면부재(130)가 양측면이 되는 홈부(140)를 이루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후면부재(110)는 사면에 호안블록이 설치될 때 사면에 직접적으로 접하는 부분이므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전체적인 형상이 상하좌우면(상면, 하면, 좌측면, 및 우측면)의 폭 즉 상면과 하면 사이의 폭(높이: 도1에 도시된 장방형 평판의 세로길이), 좌측면과 우측면 사이의 폭(두께: 도1에 도시된 장방형 평판의 높이)이 전후면(전면 및 후면)의 폭(길이: 도1에도시된 장방형 평판의 가로길이)보다 작은 육면체로서, 그 모서리가 돌출되거나 요홈이 형성되는 등의 굴곡이 없는 직선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어로형성부재(120)는 후면부재(110)와 전면부재(130)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어로형성부재(120) 또한 그 크기가 상이할 뿐 전체적으로는 상하좌우면의 폭이 전후면의 폭보다 작은 육면체(장방형 평판)를 이루게 된다. 즉 어로형성부재(120)는 후면부재(110)와 전면부재(130)를 양측면으로 하는 홈부(140)를 형성하기 위해 후면부재(110) 및 전면부재(130)의 높이보다 그 높이는 낮고 그 가로길이 또한 후면부재(110) 및 전면부재(130)보다 작게 되어야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 중심부에서 연장 돌출되어 형성되는 장방형 평판 상의 끼움결합부(121)가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어로형성부재(120)에 끼움결합부(121)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끼움결합부(121)는 상기 어로형성부재(120)의 4면 중 홈부가 아닌 일면 즉 하면은 길이방향의 일면의 중심부에, 상기 전면부재(110), 어로형성부재(120) 및 후면부재(130)가 결합되어 형성하는 평면보다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어로형성부재(120)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어로형성부재(120)에 끼움결합부(121)가 형성되면 사면에 호안블록 설치시 하부에 설치된 호안블록의 상부홈부(141)(도5참조)에 그 위에 설치되는 다른 호안블록의 끼움결합부(121)를 삽입하여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재 또는 결합부재가 전혀 필요 없이도 간편하게 호안블록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면부재(130)는 그 크기는 후면부재(110)와 동일하고 전체적인 형상은 상하좌우면의 폭이 전후면의 폭보다 좁은 육면체를 이루게 되지만, 그 상면과 하면에 길이방향중심부(133)를 기준으로 모서리절개부(131)와 중심절개부(132)가 상하대칭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모서리절개부(131)는 상하면의 양 모서리부분을 전후방향으로 일정깊이만큼 절개하여 즉 하면 및 상면의 좌우모서리부를 전후방향의 일정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좌우모서리부 중 내부측으로 일정공간을 형성할 부분을 모두 파내어 형성되는데, 그 모양을 하면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좌우측 모서리에 형성된 모서리절개부(131)는 하부가 넓고 상부가 좁은 형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등변사다리꼴을 중심에서 절단하여 좌측모서리에는 우반부가 형성되고 우측모서리에 좌반부가 형성된 모양으로 빗변이 중심을 향하게 된다.
또한 중심절개부(132)는 하면 및 상면의 중심부에서 내부측으로 일정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중심부에서 일정공간을 형성할 부분을 모두 파내어 형성되는데, 그 모양을 하면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상기 하면의 중심부분에 하부가 넓고 상부가 좁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에 형성된 양 모서리절개부(131)가 맞닿아 형성되는 공간만큼 절개되어 형성된다.
특히 상기 중심절개부(132)가 상기 좌우측에 형성된 양 모서리절개부(131)가 맞닿아 형성되는 공간만큼 절개되어 형성된 등변사다리꼴형상으로 도시되었다.
단, 모서리절개부(131) 및 중심절개부(132)의 형상은 도시된 형상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의 변경이 가능하나, 그 전체적인 형상은 상기 길이방향중심 부(133)에 가까울수록 그 폭이 좁고 멀수록 그 폭이 넓은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그 절개된 깊이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후면부재(110), 어로형성부재(120) 및 전면부재(130)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어소용 호안블록(100)은 후면부재(110)와 전면부재(130)는 각각 그 높이 및 가로길이가 동일하고, 어로형성부재(120)는 후면부재(110) 및 전면부재(130)의 높이 및 가로길이보다 작게 되므로, 후면부재(110) 및 전면부재(130)가 양측면이 되고 어로형성부재(120)가 상기 양측면을 잇는 일면이 되는 홈부(140)가 상기 호안블록(100)의 상면 및 양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홈부(140)는 호안블록이 설치되면 어소가 될 뿐만 아니라 물고기가 이동 가능한 어로가 되는데, 특히 상부홈부(141)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로형성부재(120)의 상기 후면부재(110) 및 전면부재(130)와 접하지 않는 4면 중 홈부(140)가 아닌 일면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그 깊이가 상기 절개부(131, 132)보다 크고 상기 전면부재(130) 폭의 1/2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홈부(141)의 깊이가 절개부의 깊이보다 작게 되면 어소 및 어로가 형성되기 어렵고, 전면부재(130) 폭의 1/2보다 크게 되면 호안블록(100)의 안정성이 저해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상부홈부(141)에 끼움결합부(121)가 삽입되어 호안블록들이 결합되므로, 호안블록에 끼움결합부(121)가 형성되는 경우 그 돌출길이는 물고기가 홈부(140)로 들어갈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절개부(131,132)의 절개 깊이보다 작아야 하는데, 만약 절개깊이 보다 크게 되면 물고기들이 홈부(140)로 진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전면부재(130)의 전면부에는 자연석(150)이 더 부착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자연석(150)이 더 부착되면 호안블록이 설치된 상태에서 자연친화적이고 미려한 외관을 갖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호안블록이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설치사시도인 도6 및 호안블록이 강의 사면에 설치된 상태도인 도7를 참조하여 호안블록의 설치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 호안블록(100)들은서로 연결되어 설치되도록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쌓게 되는데 호안블록들이 지그재그 형식으로 서로 교차되게 쌓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6과 같이 호안블록들이 서로 교차되게 지그재그 형식으로 설치되어야, 상기 모서리절개부(131) 및 중심절개부(132)가 다른 호안블록의 절개부들과 서로 맞닿아 설치되어 물고기들이 홈부(140)로 들어갈 수 있는 구멍이 될 뿐만 아니라 물고기들이 머물 수 있는 일정공간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6은 끼움결합부(121)를 가진 호안블록을 예시하고 있어 별도의 결합재 또는 결합부재 없이도 호안블록의 설치가 가능하지만 끼움결합부(121)가 없는 경우에는 홈부(140)가 호안블록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결합재로 인해 막히지 않도록 유의하면서 호안블록이 설치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도7에서 볼 수 있듯이, 사면에 호안블록이 설치된 상태에서 최하부의 호안블록과 최상부의 호안블록이 모두 홈부(140)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 물고기 들이 수압을 포함하여 강물에 의해 발생하는 여러 가지 외압과 무관하게 설치된 호안블록의 홈부(140)에 의해 형성되는 어로를 통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어소용 호안블록(100)은 하천의 수변부에 있어 제방 유실 억제의 기본적인 치수기능을 기대하기 위해 중심절개부(133)로 인해 형성되는 함몰(凹)된 부분 및 그 부분의 구멍을 통해 연결되는 홈부(140)가 물고기를 포함한 수생동식물의 서식지가 될 수 있도록 하였을 뿐만 아니라, 경사지를 타고 유입되는 유수의 급속한 흐름에 완충작용을 하도록 디자인되어 블록의 안정성을 유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므로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호안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어소용 호안블록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어소용 호안블록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어소용 호안블록의 평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어소용 호안블록의 측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호안블록이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설치사시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호안블록이 강의 사면에 설치된 상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어소용 호안블록 110 : 후면부재
120 : 어로형성부재 121 : 끼움결합부
130 : 전면부재 131 : 모서리절개부
132 : 중심절개부 133 : 길이방향중심부
140 : 홈부 141 : 상부홈
142 : 측부홈 150 : 자연석

Claims (6)

  1. 상하면의 폭(높이) 및 좌우면의 폭(두께)이 전후면의 폭(길이)보다 작은 육면체 형상의 후면부재, 어로형성부재 및 전면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갖는 호안블록으로서,
    상기 후면부재는 모서리가 돌출되거나 요홈이 없는 장방형 평판이고,
    상기 전면부재는 상기 후면부재와 동일한 크기의 장방형 평판에 상하면의 양 모서리부분을 전후방향으로 일정깊이만큼 절개하여 모서리절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상하면의 중심부분이 상기 양 모서리절개부가 맞닿아 형성되는 공간만큼 절개되어 중심절개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절개부들은 상기 전면부재의 길이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 하 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어로형성부재는 상기 후면부재보다 높이 및 길이가 작은 장방형 평판으로 상기 후면부재와 전면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후면부재 및 전면부재와 면접하지 않는 4면 중 3면이 상기 후면부재와 전면부재가 양측면이 되는 홈부이며,
    상기 어로형성부재의 4면 중 홈부가 아닌 일면은 길이방향의 일면으로서, 상기 전면부재, 어로형성부재 및 후면부재가 형성하는 평면보다 돌출되는 끼움결합부가 상기 어로형성부재의 중심부에서 연장되는 상기 어로형성부재와 두께는 동일하고 길이는 짧은 장방형 평판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끼움결합부의 돌출길이는 상기 절개부의 절개깊이보다 작고,
    상기 어로형성부재의 4면 중 홈부가 아닌 일면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홈부는 그 깊이가 상기 절개부보다 크고 상기 전면부재 폭의 1/2보다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소용 호안블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재의 전면부에는 자연석이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소용 호안블록.
KR2020070018652U 2007-11-20 2007-11-20 어소용 호안 블록 KR2004476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652U KR200447621Y1 (ko) 2007-11-20 2007-11-20 어소용 호안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652U KR200447621Y1 (ko) 2007-11-20 2007-11-20 어소용 호안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953U KR20090004953U (ko) 2009-05-25
KR200447621Y1 true KR200447621Y1 (ko) 2010-02-11

Family

ID=41300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8652U KR200447621Y1 (ko) 2007-11-20 2007-11-20 어소용 호안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62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02991B (zh) * 2022-03-15 2023-06-06 珠江水利委员会珠江水利科学研究院 活枝条扦插配合木框架的鱼类栖息生境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67216U (ko) * 1978-10-31 1980-05-09
JPH078442U (ja) * 1993-06-30 1995-02-07 日本プラフォーム株式会社 積み上げブロッ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67216U (ko) * 1978-10-31 1980-05-09
JPH078442U (ja) * 1993-06-30 1995-02-07 日本プラフォーム株式会社 積み上げブロ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953U (ko) 200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3200404A1 (en) Easily-expandable wave-dissipating block having artificial fish reef function
KR200445890Y1 (ko) 어소형 식생 옹벽블록
KR102014747B1 (ko) 조립식 쉘터 유닛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쉘터 구조
KR200447621Y1 (ko) 어소용 호안 블록
KR200436123Y1 (ko) 해안 침식방지블록
KR102025654B1 (ko) 잠제형 해중림 어초
KR102144054B1 (ko)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
KR100721453B1 (ko) 어소 옹벽 겸용블럭 및 그 시공방법
KR101450787B1 (ko) 침식 방호 블록들의 배치 구조
CN214993533U (zh) 一种带有挡消浪结构的生态航道护岸
CN207436004U (zh) 一种三维立体自嵌套式岸滩生态守护构件
KR200284980Y1 (ko)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조립부비노출형호안블록
KR200367377Y1 (ko) 친환경 생태 어소 블록
KR100815290B1 (ko) 물고기집이 설치된 옹벽블럭조립체
KR101185998B1 (ko) 해수유통구가 형성된 호안블럭의 시공방법
KR200420315Y1 (ko) 어소 및 옹벽 겸용블록
KR200356111Y1 (ko) 호안블록
KR200240372Y1 (ko) 호안블록
KR200413594Y1 (ko) 환경친화적 호안블록
CN217104906U (zh) 既有易损海堤前的板桩直立墙与人工鱼礁组合式离岸海堤
JP2006125102A (ja) 海岸用ブロック
KR101133501B1 (ko) 경사면을 보호하기 위한 소파용 친수블럭
KR200284979Y1 (ko)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조립식호안블록
CN218779428U (zh) 增强岸坡稳定性的生态型护面块体
KR200257193Y1 (ko) 유속저하 기능을 구비한 호안 기초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