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123Y1 - 해안 침식방지블록 - Google Patents

해안 침식방지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123Y1
KR200436123Y1 KR2020070004305U KR20070004305U KR200436123Y1 KR 200436123 Y1 KR200436123 Y1 KR 200436123Y1 KR 2020070004305 U KR2020070004305 U KR 2020070004305U KR 20070004305 U KR20070004305 U KR 20070004305U KR 200436123 Y1 KR200436123 Y1 KR 2004361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hole
incision
erosion preven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43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종봉
Original Assignee
(주)신창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창산업 filed Critical (주)신창산업
Priority to KR20200700043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1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1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1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3Artificial seawe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해안가에 축조되는 해안 침식방지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해안가에 밀려오는 파도의 영향을 줄이고 침식을 방지하면서 어소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해안 침식방지블록에 관한 것이다.
즉, 블록을 계단형으로 다단 적층시켜 조립된 블록으로 축조되게 하되 블록의 전면하부와 후면상부는 반분 절개된 형태의 절개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후면 절개부의 중간부분에 상향 돌출시킨 받침단턱에 블록이 계단형으로 적층되게 하며 블록의 전면은 안쪽으로 해수가 유통되는 전면유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유통구멍의 전후단부는 절개부와 관통되어 상하유통구멍이 구성되게 하며 상기 전면유통구멍의 후단부 측면에 좌우로 관통된 측부유통구멍이 형성되어 블록 전면의 전면유통구멍을 통해 유입된 해수가 상하,좌우로 유통됨과 아울러 물고기가 드나들 수 있는 어소공간을 갖도록 한 해안 침식방지블록을 특징으로 한다.
블록, 전면유통구멍, 측부유통구멍, 상하유통구멍, 개구부, 해수유통공간

Description

해안 침식방지블록 { BLOCK FOR PREVENTION EROSION }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전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가-가'선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나-나'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전면 설치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 설치예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확대 측단면 예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블록을 일직선 설치한 상태 평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블록을 곡선형으로 설치한 상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블록 12.12' : 절개부
14 : 바닥면 16 : 받침단턱
20 : 전면유통구멍 22 : 경사면
30 : 상하유통구멍 40 : 측부유통구멍
50 : 주연부 52 : 결합돌부
54 : 결합요부 56 : 경사단면
본 고안은 주로 해안가에 축조되는 해안 침식방지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해안가에 밀려오는 파도의 영향을 줄이고 침식을 방지하면서 어소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해안 침식방지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안가에 축조되는 블록들은 석산 개발에 의한 채취된 자연석을 사용하거나 콘크리트 블록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해안가는 파도가 밀려오는 등 해수유통의 특성이 있기 때문에 방파제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물고기의 서식이 가능한 어소공간을 필요로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연석이나 일반적인 콘크리트 블록은 구조적으로 파도의 흡수 및 분산효과가 미흡하고 어소공간의 역할도 제재로 수행하지 못하는 등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블록을 계단형으로 다단 적층시켜 축조되는 블록의 전면에서 안쪽으로 해수가 유통됨과 아울러 블록 내부의 상하, 좌우로 해수가 유통되어 밀려오는 파도를 분산,흡수하도록 한 구성으로 블록에 가해지는 파도의 영향을 줄여 안정된 방파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해안 침식방지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기 해수가 상하,좌우로 유통되는 블록내부는 물고기의 서식이 가능한 어소공간을 충분히 제공하여 어족자원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블록을 계단형으로 다단 적층시켜 조립된 블록으로 축조되게 하되 블록의 전면하부와 후면상부는 반분 절개된 형태의 절개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후면 절개부의 중간부분에 상향 돌출시킨 받침단턱에 블록이 계단형으로 적층되게 하며 블록의 전면은 안쪽으로 해수가 유통되는 전면유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유통구멍의 전후단부는 절개부와 관통되어 상하유통구멍이 구성되게 하며 상기 전면유통구멍의 후단부 측면에 좌우로 관통된 측부유통구멍이 형성되어 블록 전면의 전면유통구멍을 통해 유입된 해수가 상하,좌우로 유통됨과 아울러 물고기가 드나들 수 있는 어소공간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블록은 평면상에서 일직선 또는 곡면으로 연결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블록(10)은 장방형으로 구성되어 이를 계단형으로 다단연결시켜 블록으로 축조되는 것으로 해안가에 주로 설치된다.
이러한 블록(10)의 전면(10a) 하부와 후면(10b) 상부는 수직방향으로 대략 반분(半分) 절개된 절개부(12)(12')가 각각 형성되어지되 후면절개부(12')는 전면절개부(12)에 비해 전후방향의 절개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후면절개부(12')의 바닥면(14) 중간 부분에 상향 돌출된 받침단턱(16)이 형성되어 후면절개부(12')의 일부분을 남겨주고 블록(10)을 계단형으로 적층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블록(10)의 전면은 안쪽으로 해수가 유통되는 전면유통구멍(20)이 적어도 하나이상 형성되어지되 전면유통구멍(20)은 전면에서 후면으로 폭이 좁아지는 경사면(22)으로 형성되어 해수 유입이 용이하게 하고 상기 전면유통구멍(20)의 전후단부는 전,후면 절개부(12)(12')와 관통되어 상하유통구멍(30)이 구성되도록 한다.
상기 전면유통구멍(20)의 후단부 측면에 좌우로 관통된 측부유통구멍(40)이 형성 되어지되 후면개구부(12')와 근접된 위치에 형성되어 해수의 상하,좌우 유통이 원할 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블록(10)은 평면상에서 좌우 양단은 결합돌부(52)와 결합요부(54)가 형성되어 연결 조립할 수 있게 하되 좌우 양단의 주연부(50)는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단면(56)으로 형성되어 블록을 일직선 또는 곡면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의 블록(1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전면 설치예시도 및 측단면 설치예시도 에서와 같이 바닷가에 계단형으로 다단연결시켜 블록으로 축조되어 방파제 역할 및 어소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이는 도 8의 확대 단면예시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블록 전방에 파도가 밀려오는 경우에 블록(10)전면에 형성된 전면유통구멍(20)으로 유입되고 전면유통구멍(20)의 후단부에 형성된 상하유통구멍(30)과 측부유통구멍(40)을 통해 해수가 유통되어 파도의 압력을 분산, 흡수하게 되므로 블록(10)에 가해지는 파도의 영향을 줄여 안정된 방파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블록(10)의 내부에 하나의 해수유통공간이 별도로 구비된 역할을 수행하여 전방에서 밀려오는 파도의 압력을 수압에 의해 지지하면서 분산,흡수가 이루어지고 블록(10)은 견고한 축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블록(10)은 다단형으로 배치된 전면유통구멍(20)을 통해 상하유통구멍(30)과 측부유통구멍(40)으로 관통된 충분한 해수유통공간을 통해 물고기(어패류 포함)의 서식 및 산란공간도 제공하고 수생식물들이 원활하게 자랄 수 있는 공간으로도 제공하여 어족자원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블록(10)을 축조할 때에도 블록(10)은 평면상에서 좌우 양단에 형성된 결합돌부(52)와 결합요부(54)로 간편하게 연결 조립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좌우 양단의 주연부(50)는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단면(56)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블록(10)을 일직선 뿐만 아니라 곡면으로도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해안 침식방지블록은 계단형으로 다단 적층시켜 축조되는 블록의 전면에서 안쪽으로 해수가 유통됨과 아울러 블록 내부의 상하,좌우로 해수가 유통되어 밀려오는 파도를 분산,흡수하도록 한 구성으로 블록에 가해지는 파도의 영향을 줄여 안정된 방파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블록내부의 해수유통공간에는 물고기 등의 서식이 가능한 어소공간을 충분히 제공하여 어족자원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고, 블록의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블록(10)을 계단형으로 다단연결시켜 조립된 블록으로 축조가 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블록(10)의 전면(10a) 하부와 후면(10b) 상부는 수직방향으로 대략 반분(半分) 절개된 절개부(12)(12')가 각각 형성되어지되 후면절개부(12')는 상면절개부(12)에 비해 전후방향의 절개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후면절개부(12')의 바닥면(14) 중간 부분에 상향 돌출된 받침단턱(16)이 형성되어 후면절개부(12')의 일부분을 남겨주고 블록(10)을 계단형으로 적층할 수 한 구성과,
    상기 블록(10)의 전면은 안쪽으로 해수가 유통되는 전면유통구멍(20)이 적어도 하나이상 형성되어지되 상기 전면유통구멍(20)은 전면에서 후면으로 폭이 좁아지는 경사면(22)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유통구멍(20)의 전,후단부는 전,후면 절개부(12)(12')와 관통되어 상하유통구멍(30)이 구성된 것과,
    상기 전면유통구멍(20)의 후단부 측면에 좌우로 관통된 측부유통구멍(40)이 형성되어지되 후면개구부(12')와 근접된 위치에 형성된 것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침식방지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10)은 평면상에서 좌우 양단은 결합돌부(52)와 결합요부(54)가 형성되어 연결 조립할 수 있게 하되 좌우 양단의 주연부(50)는 전 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단면(56)으로 형성되어 블록을 일직선 또는 곡면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침식방지블록
KR2020070004305U 2007-03-15 2007-03-15 해안 침식방지블록 KR2004361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305U KR200436123Y1 (ko) 2007-03-15 2007-03-15 해안 침식방지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305U KR200436123Y1 (ko) 2007-03-15 2007-03-15 해안 침식방지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123Y1 true KR200436123Y1 (ko) 2007-06-04

Family

ID=44479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4305U KR200436123Y1 (ko) 2007-03-15 2007-03-15 해안 침식방지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12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501B1 (ko) * 2011-08-24 2012-04-05 (주)이화기술단 경사면을 보호하기 위한 소파용 친수블럭
KR101144607B1 (ko) 2011-07-11 2012-05-11 (주) 아라기술 호안용 소파 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호안용 소파 블록 조립 구조물
KR101461654B1 (ko) * 2014-06-25 2014-11-20 주식회사 드림인테크 전층 연결 유공구조를 이용한 소파형 침식방지 친수호안블록과 이를 이용한 친수 호안 구조물 및 시공 방법
KR101549106B1 (ko) 2014-11-07 2015-09-02 (주)올리브컴인터내셔날 소파블록
KR101934342B1 (ko) * 2017-12-19 2019-03-25 손병진 해안침식과 월파 방지가 가능한 관절형 호안블록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607B1 (ko) 2011-07-11 2012-05-11 (주) 아라기술 호안용 소파 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호안용 소파 블록 조립 구조물
KR101133501B1 (ko) * 2011-08-24 2012-04-05 (주)이화기술단 경사면을 보호하기 위한 소파용 친수블럭
KR101461654B1 (ko) * 2014-06-25 2014-11-20 주식회사 드림인테크 전층 연결 유공구조를 이용한 소파형 침식방지 친수호안블록과 이를 이용한 친수 호안 구조물 및 시공 방법
KR101549106B1 (ko) 2014-11-07 2015-09-02 (주)올리브컴인터내셔날 소파블록
KR101934342B1 (ko) * 2017-12-19 2019-03-25 손병진 해안침식과 월파 방지가 가능한 관절형 호안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6123Y1 (ko) 해안 침식방지블록
KR101492188B1 (ko) 인공어초
KR100870034B1 (ko) 라운드 개비온
KR102025654B1 (ko) 잠제형 해중림 어초
KR101149035B1 (ko) 모래유실 방지블록 조립체
KR101450787B1 (ko) 침식 방호 블록들의 배치 구조
JP5097035B2 (ja) サンゴ増養殖用構造物の格子状構造物の連結具
JP2017095860A (ja) 水路の構造体および水路
KR100769940B1 (ko) 친환경성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
KR200284980Y1 (ko)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조립부비노출형호안블록
KR100570938B1 (ko) 인공어초
KR100547001B1 (ko) 친환경적인 생태형 호안 블록 구조
KR101479101B1 (ko) 인공어초
KR200447621Y1 (ko) 어소용 호안 블록
KR200436634Y1 (ko) 식생용 호안 블럭
KR100541841B1 (ko) 하천제방블록의 체결구조
KR101766182B1 (ko) 해안침식 방지용 잠제구조물
KR200410846Y1 (ko) 하천 호안 법면의 12공 탄소블록 및 그 조립구조
KR20060132233A (ko) 생태보존형 낚시용 교량 및 이의 설치방법
KR100655268B1 (ko) 하천저면의 어소블록 설치구조
KR200298530Y1 (ko) 어초블록
KR100478156B1 (ko) 환경친화적 호안블록
KR200356111Y1 (ko) 호안블록
KR102435815B1 (ko) 국지적인 해안침식을 예방하기 위한 투과성 호형 이안제
KR200284979Y1 (ko)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조립식호안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