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2567B1 - 블록 결합형 방파구조물 - Google Patents

블록 결합형 방파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2567B1
KR102202567B1 KR1020200056462A KR20200056462A KR102202567B1 KR 102202567 B1 KR102202567 B1 KR 102202567B1 KR 1020200056462 A KR1020200056462 A KR 1020200056462A KR 20200056462 A KR20200056462 A KR 20200056462A KR 102202567 B1 KR102202567 B1 KR 102202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enter
support
coupled
cent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6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문
Original Assignee
김석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문 filed Critical 김석문
Priority to KR1020200056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25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듈 결합형 방파구조물은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센터부 및 상기 센터부 상부에 구비되는 상판을 포함하되, 상기 센터부는 복수의 센터블록이 수평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또한, 상기 센터블록은 상부에서 인접한 센터블록과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블록이 상기 홈에 삽입되어 결합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 결합형 방파구조물 {Block Assembling Type Seawall}
본 발명은 수상에 설치되는 방파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단위 블록을 결합하여 구성되는 블록 결합형 방파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파제는 외부의 파도로부터 내부의 시설물 등을 지키기 위해 건설하는 구조물로서, 물리적으로 파도의 위력을 점차 감쇄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방파제로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이 제시된 바 있다.
한편, 이와 같이 구축된 방파제에 의해 내해와 외해가 구분되고, 상기방파제에 의해 내해에 바닷물을 가두어 놓은 형태가 됨으로써, 내해와 외해 사이에 바닷물의 유출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내해 쪽의 바닷물이 오염되며, 내해에 각종 오물이 쌓이고, 심한 경우에는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방파제의 내해는 선착장으로 이용될 수 있는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선착장 본체(1)를 사석으로 구성하고 선착장으로 이용되는 내해 부분의 경사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계단(2)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방파제 경사면의 내측에 계단(2)을 형성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이에 따른 시공 품질의 저하로 파손 등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내해와 외해를 차단하는 형태의 방파제는 태풍이나 이상 파랑에 의한 월파가 발생하기 쉽고, 이러한 월파에 의해 내해에 위치한 선착장에 큰 피해를 입힐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01554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복수의 모듈형 블록을 이용하여 선착장 구성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해양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방파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듈 결합형 방파구조물은 해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센터부 및 상기 센터부 상부에 구비되는 상판을 포함하되, 상기 센터부는 복수의 센터블록이 해저면에 수평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또한, 상기 센터블록은 상부에서 인접한 센터블록과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블록이 상기 홈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터블록은 해저면 수직한 길이방향의 길이가 해저면에 평행한 좌우방향 길이보다 긴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되, 상기 센터블록의 일측면에는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터블록의 상부는 양 측면 중 일측면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 및 타측면 방향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수용부를 구비하되, 하나의 센터블록의 돌출부가 인접한 다른 하나의 센터블록의 수용부에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 및 수용부에는 각각 관통홀이 형성되고, 인접한 센터블록의 돌출부 및 수용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관통홀이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결합핀이 삽입되어 상기 인접한 센터블록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터블록의 일측면에는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되, 상기 돌기부의 돌출 높이는 상기 센터블록 상부의 돌출부의 높이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콘크리트 블록 또는 기초 사석으로 구성되되, 바다 또는 육지를 향하는 양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진 베이스부의 양측면에는 피복석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터블록 중 육지를 향한 면에는, 상기 센터블록의 상면을 향해 경사진 형태의 계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블록에는 상기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블록의 관통홀과 상기 베이스부의 홀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거나 콘크리트 블록이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지지블록을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듈 결합형 방파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제작이 매우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방파구조물은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블록을 배치하는 것에 의해 매우 쉽게 방파구조물을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선착장 구성이 매우 용이하다.
일반적으로 방파제 내측은 선착장으로 이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방파구조물은 계단을 포함하는 복수의 블록을 이용하여 방파구조물을 제조함으로써 별도의 콘크리트 타설과 같은 후속 작업 없이 선착장을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11은 종래의 방파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파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파구조물의 센터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파구조물의 센터블록 상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방파구조물의 지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6는 본 발명에 따른 방파구조물의 조립 순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결합형 방파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결합형 방파구조물은 베이스부(100), 지지부(200), 센터부(300) 및 상판(40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100)는 해저면에 설치되는데, 상부 구조물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양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에 추가적인 피복석(110)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부에는 지지부(20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200)는 복수의 직육면체 형태의 지지블록(210)이 인접하여 배치된 형태로 구성되되, 상부에 복수개의 지지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지지홈(211)은 바람직하게 단면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인접한 지지홈(211)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 및 도 13을 이용하여 센터부(300)의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 센터부(300)는 복수의 센터블록(3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터블록(310)은 직사각형 형태로 구성되되, 지지부(200)와 접하는 하면(311), 상기 하면(311)과 마주보는 상면(312), 설치시에 바다쪽을 향하는 정면(313), 육지쪽을 향하는 후면(314),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된 돌출측면(315) 및 상기 돌출측면(315)과 마주보는 평탄측면(316)을 포함한다.
상기 하면(311)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지지부(200)에 구비된 지지홈(211)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200)의 지지홈(211)에 의해 측방향으로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상면(312)은 상기 상면(312) 보다 낮게 형성되는 수용부(312-1) 및 상기 돌출측면(315) 보다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312-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312-1)와 상기 돌출부(312-2)에는 복수의 결합홀(h1, h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터부(300)는 복수의 센터블록(310)이 서로 결합되어 구성되는데, 하나의 센터블록(310)에 구비된 돌출부(312-2)가 인접한 다른 하나의 센터블록(310)의 수용부(312-1)에 위치하되, 상기 돌출부(312-2)의 결합홀(h2)과 상기 수용부(312-1)의 결합홀(h1)이 상호 연통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결합홀(h1, h2)을 모두 관통하여 결합되는 핀부재(p)에 의해 상기 인접한 센터블록(310)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312-2)의 측면(312-s)은 상부의 꼭지점(P) 위치가 평탄측면(316)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평이동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의 측면(312-s)이 전후 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부의 측면(312-s)은 상면(312)에 대해 소정각도(α) 경사지게 구성되는 것과 동시에, 평탄측면(316)에 대해 소정각도(β)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측면(312-s) 상부의 두 꼭지점(P, Q)이 동일한 거리 만큼 수평 이동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의 측면(312-s)이 좌우방향으로만 경사지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수용부(312-2)의 측면(312-s)이 전후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우, 이와 결합되는 인접 센터블록(310)의 돌출부(312-1)의 측면 형상은 상기 수용부(312-2)의 측면(312-s)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같이 수용부(312-2)의 측면(312-s)이 좌우방향과 전후방향으로 경사지게 구성됨에 따라, 상기 수용부(312-2)에 인접한 센터블록(310)의 돌출부(312-1)가 상부에서 결합되는 경우, 상기 인접한 센터블록(310)은 수용부 측면(312-s)의 좌우 및 상하 방향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인접한 센터블록(310)의 돌출부(312-1)가 정위치에 결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수용부(312-2)의 측면(312-s)이 바다에서 육지를 향하는 전후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센터블록(310)의 정면(313)에서 유입되는 불규칙한 파력에 의해 상기 센터블록(310)이 좌우로 쉽게 유동되거나 이탈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터블록(310)의 돌출측면(315)에는 상기 돌출측면(315)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소파돌기(315-1)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센터블록(310)이 인접하여 배치될 경우 상기 소파돌기(315-1)는 센터블록(310)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센터블록(310) 사이에 유입되는 파도의 위력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측면(315)에는 상기 돌출측면(315)과 상기 평탄측면(316)을 관통하는 복수의 유동홀(316-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홀(316-1)에 의해 센터블록(310) 사이의 해수가 상기 센터블록(310)들 사이로 유동하여 해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터블록(310)은 바람직하게 해저면에 수직한 방향이 수평방향보다 상대적으로 긴 직사각형 형태로 구성되나, 상기 방파구조물이 선착장으로 이용되는 경우 육지를 향한 후면(314) 일부에는 상면(312)을 향해 경사진 형태의 계단(314-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후면(314)에 계단(314-2)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계단(314-2)은 돌출측면(315)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인접하는 센터블록(310)의 계단(314-2)부와 접하도록 구성되어 연속된 계단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터블록(310)에 계단이 형성된 경우에는, 계단이 형성된 상부에서는 바다에서 육지로의 해수 흐름이 차단되나, 계단이 형성되지 않은 하부에서는 바다에서 육지 또는 육지에서 바다로의 해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 12 및 도 15를 이용하여, 상기 센터블록(310)이 상기 베이스부(100)의 지지부(200)에 형성된 지지홈(211)에 삽입되는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앞서 도 12를 통해 살펴본 지지부(200)의 지지홈(211)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홈(211)의 측면(211-s)과 지지홈의 후면(211-b)이 각각 상부를 향해 외측 방향으로 각각 소정각도(γ, σ)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지지홈(211)의 측면(211-s) 및 후면(211-b)이 경사지게 형성된 경우 상기 지지홈(211)에 삽입되는 센터블록(310) 하부의 단부는 도 1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홈(211)의 평탄면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5(f)와 같이, 지지홈(211)의 측면(211-s) 및 후면(211-f)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두 구성 모두, 상기 센터블록(310)이 상기 지지홈(21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센터블록(310)이 상기 지지홈(211)의 측면(211-s) 및 후면(211-f)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정위치에 결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판(400)의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400)은 복수의 센터블록(310)이 모두 설치된 후 상기 센터블록(310)의 상면(312)에 설치된다. 상기 상판(400)은 콘크리트를 직접 타설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콘크리트 블록을 상기 상면(312)에 설치하는 방법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6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파구조물의 제조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저면 상부에 베이스부(100)를 설치한다. 상기 베이스부(100)는 콘크리트로 제조된 블록 또는 기초 사석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부(100)는 안정성을 고려하여 양측면이 경사진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111)에 대응되는 형태의 직육면체 지지블록(210)이 결합되어 지지부(200)를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부(100)와 상기 지지블록(210) 사이에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부에 홀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블록(210)에는 상기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을 형성한 후, 상기 지지블록(210)의 관통홀과 상기 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콘크리트 블록을 삽입하여, 상기 베이스부(100)와 지지부(200)의 지지블록(210)을 고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200)를 구성하는 지지블록(210)의 상부에는 복수의 지지홈(211)이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홈(211)은 단면이 직사각형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부(100)의 경사진 양측면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홈(201)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부(100)에 지지부(200)가 구비된 이후, 상기 베이스부(100)의 경사면에 피복석(110)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피복석(110)은 상기 베이스부(100)의 경사면 및 상기 베이스부(100)에 설치된 지지블록(2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피복석(110)은 상기와 같이 지지부(200)의 형성 이후에 구성될 수 있으나, 이후 설치될 센터블록(310)이 모두 설치된 이후에 구성될 수도 있고, 센터블록(310)의 상부에 상판(400)이 모두 구성된 후 최종적으로 피복석(110)이 설치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200)의 지지블록(210)에 형성된 지지홈(211)에는 센터블록(310)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센터블록(310)은 상기 센터블록(310)의 상부에 구비된 돌출부(312-2) 및 수용부(312-1)가 인접한 센터블록(310)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200)의 어느 일측 최외각으로부터 상기 센터블록(310)을 순차적으로 결합하되, 상기 수용부(312-1)가 지지부(200)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배치를 시작한다.
이후, 도 1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00)에 결합된 센터블록(310)에 인접하여 추가적인 센터블록(310)을 결합하되, 상기 기 결합된 센터블록(310)의 수용부(312-1)에 추가적으로 결합되는 센터블록(310)의 돌출부(312-2)가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수용부(312-1)의 결합홀(h1)과 돌출부(312-2)의 결합홀(h2)이 상호 일치되도록 위치를 조정하고, 상기 체결홀들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핀부재(p)를 삽입하여 두 개의 센터블록(310)을 고정 결합한다.
계속해서 같은 방식으로 지지부(200)의 타측 최외각까지 센터블록(310)을 계속 결합해 나아간다.
센터블록(310)이 모두 설치되어 센터부(300)의 구성이 완료된 후, 상기 센터부(300)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판(400)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센터블록(310)은 하부에서 지지부(200)의 홈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에 상부에서 인접한 센터블록(310) 끼리 결합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터블록(310) 사이에 해수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보유함으로써 상기 방파구조물에 의해 구분되는 내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우수한 소파 성능을 보여줄 수 있다.
또한, 방파구조물을 선착장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도 센터블록(310)에 계단을 미리 형성한 상태에서 방파구조물을 구성함으로써 계단 형성을 위한 추가적인 콘크리트 타설 작업이 필요없어, 보다 손쉽게 작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안정성이 뛰어난 선착장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본체
100 : 베이스부
110: 피복석
111: 홈
2: 계단
200: 지지부
210: 지지블록
211: 지지홈
300: 센터부
310: 센터블록
311: 하면
312: 상면
313: 정면
314: 후면
315: 돌출측면
316: 평탄측면
400: 상판
p: 핀부재

Claims (9)

  1. 해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센터부; 및
    상기 센터부 상부에 구비되는 상판;을 포함하되,
    상기 센터부는 복수의 센터블록이 해저면에 수평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또한, 상기 센터블록은 상부에서 인접한 센터블록과 고정 결합되며,
    한편, 상기 센터블록은 해저면에 수직한 길이방향의 길이가 해저면에 평행한 좌우 방향 길이보다 긴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되,
    상기 센터블록의 일측면에는 복수의 돌출된 소파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센터블록의 상부는,
    양 측면 중 일측면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 및 타측면 방향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수용부를 구비하고,
    하나의 센터블록의 돌출부가 인접한 다른 하나의 센터블록의 수용부에 결합되어 구성되되,
    상기 돌출부의 측면은 육지에서 바다를 향한 전후방향으로만 경사지거나, 상기 전후방향에 수직한 좌우방향으로만 경사지거나 또는 상기 전후방향과 상기 좌우방향으로 동시에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돌출부의 측면 형상에 대응되어 형성되며,
    또한, 상기 지지부는 복수의 지지블록으로 구성되되,
    상기 지지블록의 상부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블록이 상기 지지블록의 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블록 결합형 방파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및 수용부에는 각각 결합홀이 형성되고,
    인접한 센터블록의 돌출부 및 수용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결합홀이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결합홀에 결합핀이 삽입되어 상기 인접한 센터블록이 고정 결합되는 블록 결합형 방파구조물.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콘크리트 블록 또는 기초 사석으로 구성되되,
    바다 또는 육지를 향하는 양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진 베이스부의 양측면에는 피복석이 추가로 구비되는 블록 결합형 방파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블록 중 육지를 향한 면에는,
    상기 센터블록의 상면을 향해 경사진 형태의 계단이 형성되는 블록 결합형 방파구조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블록에는 상기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블록의 관통홀과 상기 베이스부의 홀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거나 콘크리트 블록이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지지블록을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블록 결합형 방파구조물.

KR1020200056462A 2020-05-12 2020-05-12 블록 결합형 방파구조물 KR102202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462A KR102202567B1 (ko) 2020-05-12 2020-05-12 블록 결합형 방파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462A KR102202567B1 (ko) 2020-05-12 2020-05-12 블록 결합형 방파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2567B1 true KR102202567B1 (ko) 2021-01-12

Family

ID=74129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6462A KR102202567B1 (ko) 2020-05-12 2020-05-12 블록 결합형 방파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25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7237B1 (ko) * 2021-03-11 2021-07-13 김석문 슬라이딩 록 케이슨
KR102288488B1 (ko) * 2021-06-30 2021-08-09 김석문 곡면 접촉 결합식 슬라이딩 록 케이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9006A (en) * 1977-05-19 1978-12-12 Sylvia M. Payne Modular erosion control system
JPH0598620A (ja) * 1991-10-04 1993-04-20 Sumio Nomachi 海洋構造物築造用コンクリートブロツク
KR100320071B1 (ko) * 1999-08-13 2002-01-10 양형칠 인공어초가 구비된 조립식 직립 방파제
KR200286904Y1 (ko) * 2002-05-22 2002-08-24 김성근 폐토목건축자재를 이용한 조립식방파제
KR100401554B1 (ko) 2000-11-14 2003-10-11 한국해양연구원 파력 분산 케이슨 방파제
JP2012180669A (ja) * 2011-03-01 2012-09-20 Penta Ocean Construction Co Ltd 防波堤の補強方法及び補強防波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9006A (en) * 1977-05-19 1978-12-12 Sylvia M. Payne Modular erosion control system
JPH0598620A (ja) * 1991-10-04 1993-04-20 Sumio Nomachi 海洋構造物築造用コンクリートブロツク
KR100320071B1 (ko) * 1999-08-13 2002-01-10 양형칠 인공어초가 구비된 조립식 직립 방파제
KR100401554B1 (ko) 2000-11-14 2003-10-11 한국해양연구원 파력 분산 케이슨 방파제
KR200286904Y1 (ko) * 2002-05-22 2002-08-24 김성근 폐토목건축자재를 이용한 조립식방파제
JP2012180669A (ja) * 2011-03-01 2012-09-20 Penta Ocean Construction Co Ltd 防波堤の補強方法及び補強防波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7237B1 (ko) * 2021-03-11 2021-07-13 김석문 슬라이딩 록 케이슨
KR102288488B1 (ko) * 2021-06-30 2021-08-09 김석문 곡면 접촉 결합식 슬라이딩 록 케이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2567B1 (ko) 블록 결합형 방파구조물
KR101149035B1 (ko) 모래유실 방지블록 조립체
KR20060131713A (ko) 호안블록
KR20230012351A (ko)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US6588978B2 (en) Block assembly for protecting embankment
KR100663689B1 (ko) 적층 조립식 방파제
KR102273927B1 (ko) 소파블록, 소파블록을 이용한 항만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584665B1 (ko) 깊은 심해에 시공되는 계단식 방파제
KR200395310Y1 (ko) 세굴 방지용 어소블록
KR102280714B1 (ko)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KR101849210B1 (ko) 항만 방파제용 태극 요철형 케이슨
KR20090126438A (ko) 조립식 계단블록
JP3844895B2 (ja) 魚巣付きブロック
KR102266421B1 (ko) 소파블록
KR200217586Y1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102138679B1 (ko) 투과형 다기능 잠제블록
KR102605664B1 (ko) 직립식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KR102435813B1 (ko) 국지적인 해안침식을 저감하기 위한 투과성 호형 수중 방파제
KR102295252B1 (ko) 해양구조물 단위블록, 해양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215812Y1 (ko) 조류 소통 방파제
KR102176536B1 (ko) 모래유실 방지 구조물
KR102361308B1 (ko) 부유식 콘크리트 단위 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식 콘크리트 구조체
JP3721411B2 (ja) コンクリート空積みブロックと基礎盤
KR102228751B1 (ko) 방파제용 조립식 피복블록
KR20230135835A (ko) 해양 구조물을 포함하는 토목 구조물의 단위블록 및 이를 이용한 토목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