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7237B1 - 슬라이딩 록 케이슨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록 케이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7237B1
KR102277237B1 KR1020210031728A KR20210031728A KR102277237B1 KR 102277237 B1 KR102277237 B1 KR 102277237B1 KR 1020210031728 A KR1020210031728 A KR 1020210031728A KR 20210031728 A KR20210031728 A KR 20210031728A KR 102277237 B1 KR102277237 B1 KR 102277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aisson
protrusion
caisson body
coupl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1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문
Original Assignee
김석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문 filed Critical 김석문
Priority to KR1020210031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2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Caissons; Construction or placing of caissons
    • E02D23/16Jointing caissons to the foundation soil, specially to uneven foundation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록 케이슨은, 내부에 하나 이상의 셀이 형성되며, 기 설정된 블록 형태로 형성되는 케이슨 본체, 상기 케이슨 본체의 일측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영역의 상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함몰된 결합홈을 포함하는 제1연결돌출부 및 상기 케이슨 본체의 타측으로 돌출되되, 다른 케이슨 의 케이슨 본체 일측에 형성된 제1연결돌출부에 대응되는 반대 형상으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며, 돌출된 영역의 하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됨에 따라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제2연결돌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슬라이딩 록 케이슨 {Sliding lock type Caisson}
본 발명은 케이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케이슨 본체가 서로 대응되는 경사면 형태의 연결돌출부에 의해 안정적으로 연결되어 지지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딩 결합식 케이슨 에 관한 것이다.
케이슨(Caisson)은 수중 구조물이나 기초를 구축하기 위하여 육상 또는 수상에서 만들어진 중공형태의 구조물을 일컫는다.
특히, 수중에 설치되는 케이슨은 외부의 파도로부터 내부의 시설물 등을 지키기 위해 건설되는데, 물리적으로 파도의 위력을 점차 감쇄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종래의 방파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구조물로서 테트라포드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테트라포드가 얽혀 구축된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배열하 파도의 위력을 감쇄시키는 구조물 역시 다수 존재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형태의 종래의 방파구조물은 단순히 소정의 형태를 가지는 구조물이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따라서 유기적인 구조를 형성하지 못해 자체의 목적을 온전하게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내부가 비어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의 케이슨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케이슨은 자체의 하중으로 외력에 저항하여 안정을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복수 개의 단위 구조를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거치하는 방식으로 시공된다.
하지만, 종래의 케이슨은 단위 구조 간의 연결 방식이 부실한 경우가 많아, 일정 이상의 외력이 작용할 경우 그 연결 구조가 쉽게 분리되어 본래의 역할을 온전하게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57049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각각의 케이슨 본체를 서로 유기적이고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 결합 방식의 케이슨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 록 케이슨은, 내부에 하나 이상의 셀이 형성되며, 기 설정된 블록 형태로 형성되는 케이슨 본체, 상기 케이슨 본체의 일측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영역의 상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함몰된 결합홈을 포함하는 제1연결돌출부 및 상기 케이슨 본체의 타측으로 돌출되되, 다른 케이슨 의 케이슨 본체 일측에 형성된 제1연결돌출부에 대응되는 반대 형상으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며, 돌출된 영역의 하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됨에 따라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제2연결돌출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결합홈은, 상기 케이슨 본체가 바다 측을 향하는 전면의 반대 방향인 후면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상기 케이슨 본체의 후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결합면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1결합면에 대응되는 경사도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면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제1대응결합면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결합홈은, 상기 제1결합면의 전방에서 상기 케이슨 본체가 바다 측을 향하는 전면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수직하게 형성된 제2결합면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2결합면에 대응되도록 수직하게 형성되어 면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제2대응결합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돌출부는 복수 개가 상기 케이슨 본체의 일측면으로부터 다단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돌출부는 상기 케이슨 본체의 타측면으로부터 제1연결돌출부에 대응되는 반대 형상으로 복수 개가 다단으로 돌출되어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돌출부의 돌출된 영역 상면에는 기 설정된 깊이의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돌출부의 돌출된 영역에는 상기 고정홈에 대응되고, 상기 제2연결돌출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케이슨 본체 중 어느 하나의 케이슨 본체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홈과, 다른 하나의 케이슨 본체에 형성되는 상기 관통홀에 걸쳐 삽입됨에 따라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케이슨 본체를 상호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 록 케이슨은, 케이슨 본체의 양측 방향으로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맞물리도록 돌출되는 제1연결돌출부 및 제2연결돌출부를 포함하며, 제1연결돌출부에 구비되는 결합홈과 제2연결돌출부에 구비되는 결합돌기 간의 결합을 통해 각각의 케이슨 본체를 서로 유기적이고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지지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록 케이슨이 서로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록 케이슨을 일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록 케이슨을 타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록 케이슨에 있어서, 결합홈과 결합돌기의 결합 구조를 자세히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록 케이슨에 있어서, 결합홈과 결합돌기의 결합 구조를 자세히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록 케이슨에 있어서, 결합홈과 결합돌기의 결합 구조를 자세히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록 케이슨을 일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록 케이슨을 타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록 케이슨을 나타낸 도면; 및
도 10 내지 도 19는 종래 케이슨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록 케이슨(100)이 서로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록 케이슨 (100)을 일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록 케이슨(100)을 타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록 케이슨(100)은 케이슨 본체(110)와, 제1연결돌출부(120, 130)와, 제2연결돌출부(140, 150)를 포함한다.
케이슨 본체(110)는 내부에 사석 등의 채움재가 채워지는 하나 이상의 셀(111)이 형성되며, 기 설정된 블록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케이슨 본체(110)의 전체적인 형상을 비롯하여 셀(111)의 개수 및 형태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나타난 형태로만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제1연결돌출부(120, 130)는 케이슨 본체(110)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영역이며, 돌출된 영역의 상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함몰된 결합홈(121, 131)을 포함한다.
또한 제2연결돌출부(140, 150)는 케이슨 본체(110)의 타측으로 돌출되되, 다른 케이슨 의 케이슨 본체(110) 일측에 형성된 제1연결돌출부(120, 130)에 대응되는 반대 형상으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영역이다.
그리고 제2연결돌출부(140, 150)는 돌출된 영역의 하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됨에 따라 결합홈(121, 131)에 삽입되는 결합돌기(141, 151)를 포함한다.
특히 제1연결돌출부(120, 130)는 복수 개가 케이슨 본체(110)의 일측면으로부터 다단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제2연결돌출부(140, 150) 역시 케이슨 본체(110)의 타측면으로부터 제1연결돌출부(120, 130)에 대응되는 반대 형상으로 복수 개가 다단으로 돌출되어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연결돌출부(120, 130) 및 제2연결돌출부(140, 150)는 총 2개소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제1연결돌출부(120, 130)는 케이슨 본체(110)의 일측면으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는 제1-1연결돌출부(120)와, 제1-1연결돌출부(120)로부터 추가적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는 제1-2연결돌출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제2연결돌출부(140, 150)는 케이슨 본체(110)의 타측면으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는 제2-1연결돌출부(140)와, 제2-1연결돌출부(140)로부터 추가적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는 제2-2연결돌출부(150)를 포함한다.
이때 제2-1연결돌출부(140)는 제1-1연결돌출부(120)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며, 제2-2연결돌출부(150)는 제1-2연결돌출부(130)와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제1-1연결돌출부(120), 제1-2연결돌출부(130)에는 각각 결합홈(121, 131)이 하나 이상 형성되며, 제2-1연결돌출부(140), 제2-2연결돌출부(150)에는 각각 결합돌기(141, 151)가 결합홈(121, 131)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록 케이슨(100)에 있어서, 결합홈(121)과 결합돌기(141)의 결합 구조를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는 제1-1연결돌출부(120)에 형성된 결합홈(121)과 제2-1연결돌출부(140)에 형성된 결합돌기(141)를 대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하 설명될 사항은 다른 결합홈(131) 및 결합돌기(151)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121)은 케이슨 본체(110)가 바다 측을 향하는 반대 방향인 후면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상기 케이슨 본체(110)의 전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결합면(121a)과, 제1결합면(121a)의 전방에서 케이슨 본체(110)가 바다 측을 향하는 전면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수직하게 형성된 제2결합면(121b)과, 제1결합면(121a) 및 제2결합면(121b)을 서로 수평하게 연결하는 제3결합면(121c)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돌기(141)는 이와 같은 제1결합면(121a)에 대응되는 경사도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면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제1대응결합면(141a)과, 제2결합면(121b)에 대응되도록 수직하게 형성되어 면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제2대응결합면(141b)과, 제3결합면(121c)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제1대응결합면(141a) 및 제2대응결합면(141b)을 수평하게 연결하는 제3대응결합면(141c)을 포함하여, 결합홈(121)에 맞물리는 사다리꼴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본 실시예는 어느 하나의 케이슨 본체(110)에 형성된 결합홈(121)에 다른 하나의 케이슨 본체(110)의 결합돌기(141)가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결합면(121a)과 제1대응결합면(141a)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결합홈(121)과 결합돌기(141)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전후 길이가 점차 줄어드는 형상을 가지므로, 정밀한 위치 설정 없이도 결합 과정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외력이 작용하는 면(해양에 설치되는 경우바다를 향한 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외력이 경사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분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외력의 충격을 작용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3대응결합면(141c)의 전후 방향 길이는 제3결합면(121c)의 전후 방향 길이보다 다소 작게 형성되어 소정의 유격을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결합돌기(141)가 결합홈(121)에 타이트하게 끼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고, 서로의 접촉으로 인한 파손을 저감시키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상과 같은 사항은 제1-2연결돌출부(130)에 형성된 결합홈(131)과 제2-2연결돌출부(150)에 형성된 결합돌기(151)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제1-2연결돌출부(130)에 형성된 결합홈(131) 역시 제1결합면(131a), 제2결합면(131b) 및 제3결합면(131c)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2연결돌출부(150)에 형성된 결합돌기(151)는 제1대응결합면(151a), 제2대응결합면(151b) 및 제3대응결합면(151c)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제1연결돌출부(120, 130)의 돌출된 영역 상면에는 기 설정된 깊이의 고정홈(122)이 형성되며, 제2연결돌출부(140, 150)의 돌출된 영역에는 고정홈(122)에 대응되고, 제2연결돌출부(140, 150)를 관통하는 관통홀(14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서로 인접하여 연결되는 한 쌍의 케이슨 본체(110) 중 어느 하나의 케이슨 본체(110)에 형성되는 고정홈(122)과, 다른 하나의 케이슨 본체(110)에 형성되는 관통홀(142)에 걸쳐 삽입됨에 따라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케이슨 본체(110)를 상호 고정시키는 고정핀(160)을 더 포함하여, 결합력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록 케이슨(100)에 있어서, 결합홈(121)과 결합돌기(141)의 결합 구조를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 역시 전술한 제1실시예와 같이 결합홈(121) 및 결합돌기(141)가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는 결합홈(121)의 제1결합면(121a)에 소정 폭을 가지며 내측으로 함몰된 보조홈(121d)이 더 형성되며, 결합돌기(141)의 제1대응결합면(141a)에는 이와 같은 보조홈(121d)에 삽입되도록 소정 폭으로 돌출된 보조돌기(141d)가 더 형성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서로 다른 케이슨 본체(110) 간의 결합력을 높이고, 서로의 측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유기적으로 구속하도록 하여 안정성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보조홈(121d) 및 보조돌기(141d)의 접촉면에는 탄성을 가지는 완충부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조홈(121d) 및 보조돌기(141d) 간의 접촉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록 케이슨(100)에 있어서, 결합홈(121)과 결합돌기(141)의 결합 구조를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 역시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같이 결합홈(121) 및 결합돌기(141)가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는 결합홈(121)의 제2결합면(121b)에 소정 폭을 가지며 내측으로 함몰된 보조홈(121e)이 더 형성되며, 결합돌기(141)의 제2대응결합면(141b)에는 이와 같은 보조홈(121e)에 삽입되도록 소정 폭으로 돌출된 보조돌기(141e)가 더 형성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록 케이슨(100)을 일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록 케이슨(100)을 타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록 케이슨(100)은, 제1-2연결돌출부(130)가 별도의 결합홈이 형성되지 않은 평탄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또한 제2-2연결돌출부(150)에는 별도의 결합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평탄한 형상으로 형성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는 제1-1연결돌출부(120)의 결합홈(121)과 제2-1연결돌출부(140)의 결합돌기(141)만을 통해 결합되는 심플한 형태를 가진다.
한편, 도 9(a) 및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록 케이슨(100)은 돌출부(120)에 복수의 유수홀(120-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인접한 슬라이딩 록 케이슨(100) 사이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유수홀(120-1)이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유수홀(120-1)은 상기 돌출부(120)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형상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유수홀(120-1)에는 복수의 지지봉(120-3)이 형성되어 유수홀(120-1)의 상하에 형성된 돌출부(120-2)을 효과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유입된 유수를 분산시키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케이슨의 일측이 육상과 맞닿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육상을 향하는 상기 유수홀(120-1)에 차단막(120-4)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상기 도 9(a) 및 9(b)의 유수홀(120-1) 구성은 앞서 살펴본 실시예 1 내지 4의 슬라이딩 록 케이슨(100)의 돌출부(120)에 적용 가능하다. 다만, 이 경우에는 해수에 의한 충격이 매우 작고 토압의 힘이 크므로 결합홈(121, 131) 및 결합돌기(141, 151)의 경사면 방향이 도 9(b)와 도시된 방향과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슬라이딩 록 케이슨
110: 케이슨 본체
111: 셀
120, 130: 제1연결돌출부
121, 131: 결합홈
122: 고정홈
140, 150: 제2연결돌출부
141, 151: 결합돌기
142: 관통홀
160: 고정핀

Claims (4)

  1. 기 설정된 블록 형태로 형성되는 케이슨 본체;
    상기 케이슨 본체의 일측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영역의 상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함몰된 결합홈을 포함하는 제1연결돌출부; 및
    상기 케이슨 본체의 타측으로 돌출되되, 다른 케이슨 방파제의 케이슨 본체 일측에 형성된 제1연결돌출부에 대응되는 반대 형상으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며, 돌출된 영역의 하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됨에 따라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제2연결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홈은,
    상기 케이슨 본체가 바다 측을 향하는 전면의 반대 방향인 후면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상기 케이슨 본체의 후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결합면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1결합면에 대응되는 경사도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면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제1대응결합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결합홈은,
    상기 제1결합면의 전방에서 상기 케이슨 본체가 바다 측을 향하는 전면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수직하게 형성된 제2결합면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2결합면에 대응되도록 수직하게 형성되어 면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제2대응결합면을 포함하고,
    한편, 상기 제1연결돌출부의 하부에는 케이슨 본체를 관통하는 복수의 유수홀이 구비되는 케이슨 방파제.
  2. 기 설정된 블록 형태로 형성되는 케이슨 본체;
    상기 케이슨 본체의 일측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영역의 상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함몰된 결합홈을 포함하는 제1연결돌출부; 및
    상기 케이슨 본체의 타측으로 돌출되되, 다른 케이슨 방파제의 케이슨 본체 일측에 형성된 제1연결돌출부에 대응되는 반대 형상으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며, 돌출된 영역의 하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됨에 따라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제2연결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홈은,
    상기 케이슨 본체가 바다 측을 향하는 전면의 반대 방향인 후면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상기 케이슨 본체의 후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결합면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1결합면에 대응되는 경사도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면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제1대응결합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결합홈은,
    상기 제1결합면의 전방에서 상기 케이슨 본체가 바다 측을 향하는 전면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수직하게 형성된 제2결합면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2결합면에 대응되도록 수직하게 형성되어 면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제2대응결합면을 포함하고,
    한편, 제1연결돌출부의 돌출된 영역의 상면에는 기 설정된 깊이의 고정홈이 형성되며, 제2연결돌출부의 돌출된 영역에는 고정홈에 대응되고, 제2연결돌출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과 관통홀에 삽입되는 고정핀이 더 포함되는 케이슨 방파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홀의 단부 중 육상을 향하는 일단부에는 차단막이 형성되는 케이슨 방파제.
  4. 삭제
KR1020210031728A 2021-03-11 2021-03-11 슬라이딩 록 케이슨 KR102277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728A KR102277237B1 (ko) 2021-03-11 2021-03-11 슬라이딩 록 케이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728A KR102277237B1 (ko) 2021-03-11 2021-03-11 슬라이딩 록 케이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7237B1 true KR102277237B1 (ko) 2021-07-13

Family

ID=76858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728A KR102277237B1 (ko) 2021-03-11 2021-03-11 슬라이딩 록 케이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72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178B1 (ko) * 2023-01-27 2023-11-17 김석문 경사유도면에 의한 슬라이드 결합 구조를 가지는 방파제 구조체
KR102613044B1 (ko) * 2022-06-21 2023-12-11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케이슨에 적용가능한 사석식 변위허용 연결장치
KR102616531B1 (ko) * 2022-08-23 2023-12-20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케이슨에 적용가능한 회전식 변위허용 연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8620A (ja) * 1991-10-04 1993-04-20 Sumio Nomachi 海洋構造物築造用コンクリートブロツク
KR20070075118A (ko) * 2006-01-12 2007-07-18 (유) 이도건설 반턱이음방식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KR20140057049A (ko) 2012-11-02 2014-05-12 주식회사 혜인이엔씨 조립식 케이슨 블록과 이를 이용한 방파제 및 안벽
KR102202567B1 (ko) * 2020-05-12 2021-01-12 김석문 블록 결합형 방파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8620A (ja) * 1991-10-04 1993-04-20 Sumio Nomachi 海洋構造物築造用コンクリートブロツク
KR20070075118A (ko) * 2006-01-12 2007-07-18 (유) 이도건설 반턱이음방식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KR20140057049A (ko) 2012-11-02 2014-05-12 주식회사 혜인이엔씨 조립식 케이슨 블록과 이를 이용한 방파제 및 안벽
KR102202567B1 (ko) * 2020-05-12 2021-01-12 김석문 블록 결합형 방파구조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3044B1 (ko) * 2022-06-21 2023-12-11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케이슨에 적용가능한 사석식 변위허용 연결장치
KR102616531B1 (ko) * 2022-08-23 2023-12-20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케이슨에 적용가능한 회전식 변위허용 연결장치
KR102604178B1 (ko) * 2023-01-27 2023-11-17 김석문 경사유도면에 의한 슬라이드 결합 구조를 가지는 방파제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7237B1 (ko) 슬라이딩 록 케이슨
US10745878B2 (en) Cover element of concrete for a breakwater or jetty construction, as well as breakwater or jetty construction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ch elements
KR101399812B1 (ko) 방파제용 소파블록
JP2019529747A5 (ko)
KR102288488B1 (ko) 곡면 접촉 결합식 슬라이딩 록 케이슨
KR102202567B1 (ko) 블록 결합형 방파구조물
KR100699700B1 (ko) 하천 양안의 옹벽구조
KR20060131713A (ko) 호안블록
KR19990083890A (ko) 전단키를 갖춘 케이슨
KR200432148Y1 (ko) 옹벽용 블럭
KR102295040B1 (ko) 소파블록
KR102037137B1 (ko) 하천 정비용 옹벽 조립체
KR100542136B1 (ko) 하천 생태계 보호를 위한 바닥블록 설치구조
KR100722167B1 (ko) 호안의 법면블록
KR102047520B1 (ko) 절토면 보강용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
KR101280330B1 (ko) 세굴방지용 기초블럭
KR102504774B1 (ko) 경사형 결합용 키에 의한 결합 구조를 가지는 방파제 구조체
KR100607235B1 (ko) 하천 제방의 친환경 조립식 매트 블록
KR102295039B1 (ko) 입사파 분산 효율 개선을 위한 소파블록
KR102228751B1 (ko) 방파제용 조립식 피복블록
KR102280714B1 (ko)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KR100514502B1 (ko) 해안 침하방지구조를 갖는 방파제 시공구조
KR100748433B1 (ko) 전면이 층을 이루고 형성된 옹벽 축조용 블록
JP6679287B2 (ja) 地中構造物の液状化対策工法
KR101133501B1 (ko) 경사면을 보호하기 위한 소파용 친수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