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7137B1 - 하천 정비용 옹벽 조립체 - Google Patents

하천 정비용 옹벽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7137B1
KR102037137B1 KR1020190091391A KR20190091391A KR102037137B1 KR 102037137 B1 KR102037137 B1 KR 102037137B1 KR 1020190091391 A KR1020190091391 A KR 1020190091391A KR 20190091391 A KR20190091391 A KR 20190091391A KR 102037137 B1 KR102037137 B1 KR 102037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redetermined
retaining wall
river
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우
Original Assignee
이건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건우 filed Critical 이건우
Priority to KR1020190091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1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 운반 및 시공이 용이하면서도 제방과 하천 생물을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는 하천 정비용 옹벽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천 정비용 옹벽 조립체는, 측면이 "L"자 모양이 되도록 제작되는 소정 폭의 PC옹벽; 상기 PC옹벽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면서 상하 엇갈리도록 적층되는 복수 개의 하부블록; 상기 하부블록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면서 상하 엇갈리도록 적층되는 복수 개의 상부블록; 및 상기 복수 개의 하부블록의 일측에 고정되면서 내부에 어류가 정착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정착공간이 형성된 어류정착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PC옹벽은, 수평으로 소정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소정 두께의 바닥부; 및 일단이 상기 바닥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되어 하천의 제방을 지지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에는, 하천의 바닥에 매설될 때 개방된 일측면을 통해 내부로 토사가 충전되도록 하는 소정 깊이의 세굴방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천 정비용 옹벽 조립체{Retaining Wall Assembly for River Maintenance}
본 발명은 하천 정비용 옹벽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과 제방 사이에 설치되어 홍수시 제방을 보호함과 동시에 하천 생물의 안정적인 서식과 정착을 도모하기 위한 하천 정비용 옹벽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제방에는 홍수시 제방의 유실로 인한 붕괴 등을 방지하기 위해 콘크리트 옹벽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옹벽은 소정 크기를 가지는 블록 모양으로 형성되어 단순히 제방을 따라 연결되도록 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시공된 옹벽은 장기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하천의 수위가 상승하게 됨에 따라 제방의 흙이 유실되면서 옹벽의 설치 상태가 당초 설치된 상태로 유지되지 못하고, 이에 의해 홍수시 제방이 무너져 홍수 피해가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에는 단순히 제방을 보호하기 위한 용도로 옹벽이 시공되었으나 최근에는 하천 생물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용도로 그 목적과 기능이 점차 확장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종래 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52903호의 하천 생태계 보호용 호안박스 옹벽구조(이하 '특허문헌'이라 한다)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옹벽은 상부에 계단 모양의 계단부가 구성되고, 그 하부에는 사각형 형태인 사각 박스부가 구성되며, 상기 사각 박스부는 내측에 사각 홈이 형성되고, 그 사각 홈에는 수직으로 복수 개의 파형인 형태로 길이 방향으로 유속 차단부가 설치되며, 그 한측면에는 물고기 출입홈이 구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일측면에 이음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그 반대 측면에는 이음부 홈이 형성되어 복수 개의 호안 박스 옹벽이 길이방향으로 연결되고, 상기 호안 박스 옹벽의 계단부와 사각 박스부의 사이에 직사각형 형태인 복수 개의 조경식재 박스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특허문헌에 개시된 옹벽구조는 호안박스 옹벽에 계단부와 사각 박스부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당한 크기와 무게를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호안박스 옹벽의 제조, 운반 및 시공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각 박스부를 형성하기 위해 복잡한 모양의 거푸집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제작에 오랜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해 대량 생산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제조, 운반 및 시공이 용이하면서도 제방과 하천 생물을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하천 정비용 옹벽 조립체의 개발이 요구된다.
KR 20-0352903 Y1 (2004. 06. 01.) KR 20-0361768 Y1 (2004. 09. 01.) KR 20-0367364 Y1 (2004. 11. 01.) KR 20-0367388 Y1 (2004. 11. 0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옹벽 설치구조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제조, 운반 및 시공이 용이하면서도 제방과 하천 생물을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는 하천 정비용 옹벽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천 정비용 옹벽 조립체는, 측면이 "L"자 모양이 되도록 제작되는 소정 폭의 PC옹벽; 상기 PC옹벽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면서 상하 엇갈리도록 적층되는 복수 개의 하부블록; 상기 하부블록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면서 상하 엇갈리도록 적층되는 복수 개의 상부블록; 및 상기 복수 개의 하부블록의 일측에 고정되면서 내부에 어류가 정착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정착공간이 형성된 어류정착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PC옹벽은, 수평으로 소정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소정 두께의 바닥부; 및 일단이 상기 바닥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되어 하천의 제방을 지지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에는, 하천의 바닥에 매설될 때 개방된 일측면을 통해 내부로 토사가 충전되도록 하는 소정 깊이의 세굴방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바닥부에 상기 하부블록의 설치 위치를 고정시키는 블록고정돌기가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닥부가 제방 쪽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천 바닥 쪽으로 향할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소정 각도의 기울기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는, 상단으로 갈수록 제방 쪽을 향하도록 소정 각도의 기울기가 형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상기 하부블록 및 상부블록이 소정 크기를 가지는 사각 블록 모양의 블록바디; 상기 블록바디의 상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소정 크기의 관통공; 상기 관통공의 양측 상면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는 제1, 2 끼움돌기; 상기 블록바디의 일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소정 크기의 측면결합홈; 및 상기 블록바디의 타측면을 따라 상기 측면결합홈에 대응되는 크기로 돌출 형성되는 측면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하부블록의 전방 쪽에 역"ㄴ"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걸림돌기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어류정착블록의 후방 쪽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PC옹벽, 하부블록 및 상부블록으로 이루어지는 옹벽 조립체를 이용하여 제방을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고, 또한, 하부블록에 설치되는 어류정착블록을 통해 어류의 안정적인 서식과 정착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PC옹벽이 설치된 상태에서 하부블록과 상부블록을 쉽게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더해 PC옹벽의 바닥부가 하천의 바닥에 소정 깊이 매설될 때, 바닥부의 세굴방지홈 쪽으로 소정량의 토사가 충전된 상태에서 2중 바닥의 구조로 지지되게 되고, 이에 의해 바닥부 선단의 세굴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 정비용 옹벽 조립체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PC옹벽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블록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블록이 조립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블록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블록이 조립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류정착블록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블록에 어류정착블록이 고정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어류정착블록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블록 및 상부블록에 고정핀이 설치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조립체가 하천에 시공되는 예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제조, 운반 및 시공이 용이하면서도 제방과 하천 생물을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는 하천 정비용 옹벽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옹벽(10), 하부블록(20), 상부블록(30), 어류정착블록(4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옹벽 조립체(1)의 구성을 설명할 때 제방 쪽을 향하는 방향을 '후방'으로 지칭하여 설명하고, 하천 또는 하천의 바닥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PC옹벽(10)은 하천을 따라 형성되는 소정 높이의 제방을 지지하고 홍수시 제방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러한 PC옹벽(10)은 공장 등에서 소정 크기 단위로 미리 제작된 다음, 시공 현장으로 운반되어 조립되는 프리캐스트 옹벽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측면 모양이 "L"자 모양이 되도록 수평으로 소정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소정 두께의 바닥부(11)와, 일단이 상기 바닥부(11)의 일측에 연결되어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되어 하천의 제방을 지지하는 측면부(12)를 포함한다.
이때 바닥부(11)의 전방 쪽 선단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어류정착블록(40)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정 폭(W) 전방 쪽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이에 의해 물살의 영향으로 하천의 바닥위로 돌출되는 어류정착블록(40)의 경계를 따라 그 바닥 부분에 세굴력이 작용하더라도 연장 돌출된 바닥부(11)의 상면에 세굴력이 작용하도록 유도되면서 바닥의 세굴이 효과적으로 방지되게 된다.
이에 더해 바닥부(11)의 전방 쪽 측면을 따라 내부로 소정 깊이의 세굴방지홈(11B)이 형성되고, 이에 의해 하천 바닥에 바닥부(11)가 매설될 때 세굴방지홈(11B)을 따라 소정량의 토사가 충전되게 되며, 그 결과 바닥부(11)가 소정 간격을 둔 이중 바닥의 구조를 가지게 되면서 바닥부(11)와 하천의 바닥면을 경계로 세굴력이 다소 작용하더라도 세굴방지홈(11B)을 통해 세굴력이 바닥부(11)의 선단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지 않고 수평 방향으로 분산 유도되면서 바닥부(11)의 선단을 따라 하천의 바닥면이 깊게 세굴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바닥부(11)의 상면에는 후술되는 하부블록(20)의 설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블록고정돌기(11A)가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돌출 형성되고, 이러한 블록고정돌기(11A)에 의해 하부블록(20)을 바닥부(11)의 상면에 안착시키는 것만으로 설치 위치가 쉽게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더해 바닥부(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방 쪽(후방)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천 바닥 쪽(전방)으로 향할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소정 각도의 기울기(A1)가 형성되고, 측면부(12)는 상단으로 갈수록 제방 쪽(후방)을 향하도록 소정 각도의 기울기(A2)가 형성되며, 이에 의해 하부블록(20)과 상부블록(30)이 바닥부(11)에 안착되면 자연스럽게 하부블록(20)과 상부블록(30)이 측면부(12) 쪽으로 무게가 집중되면서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된다.
또한, 측면부(12)에는 물살에 의해 PC옹벽(10)이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방 쪽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돌기(도면부호 없음)가 형성되고, 이러한 돌기는 제방에 소정 깊이 매설되도록 시공된다.
하부블록(20) 및 상부블록(30)은 PC옹벽(10)에 바닥부(11)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면서 상하 엇갈리도록 복층으로 적층되어 설치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하부블록(20) 및 상부블록(30)은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크기를 가지는 사각 블록 모양의 블록바디(21, 31)와, 상기 블록바디(21, 31)의 상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소정 크기의 관통공(22, 32)과, 상기 관통공(22, 32)의 양측 상면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는 제1, 2 끼움돌기(23A, 23B, 33A, 33B)와, 상기 블록바디(21, 31)의 일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소정 크기의 측면결합홈(24, 34); 및 상기 블록바디(21, 31)의 타측면을 따라 상기 측면결합홈(24, 34)에 대응되는 크기로 돌출 형성되는 측면결합돌기(25, 35)를 포함한다.
이에 더해 하부블록(20)의 전방 쪽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ㄴ"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걸림돌기(26)가 구비되고, 이에 의해 후술되는 어류정착블록(40)이 걸림돌기(26)를 통해 걸림 고정되어 쉽게 위치 고정되게 되며, 또한 하부블록(20)과 상부블록(30)의 후방 쪽에는 도 5, 6 및 도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부(12)의 기울기(A2)에 대응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면(21A, 31B)이 형성된다.
이때 걸림돌기(26)는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한 쌍이 설치되고, 이에 의해 후술되는 어류정착블록(40)이 걸림돌기(26)를 통해 고정될 때 하부블록(20)과 엇갈린 위치에서 걸림돌기(26)를 통해 위치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하부블록(20)과 상부블록(30)이 PC옹벽(10)에 설치될 때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바닥부(11)의 블록고정돌기(11A)가 하부블록(20)의 관통공(22)에 삽입되도록 하부블록(20)이 수평 방향으로 복수 개 배열되고, 이렇게 배열된 1열의 하부블록(20)을 기준으로 전방 쪽으로는 후술되는 어류정착블록(40)이 조립되며, 상부 쪽으로는 상부블록(30)이 안착되어 고정되게 된다.
이때 어류정착블록(40)이 상하 복수 열(복층)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이에 맞추어 하부블록(20)도 복수 열(복층)로 설치된다.
이렇게 하부블록(20)이 설치되고 나면 하부블록(20)의 상부에 복수 열로 상부블록(30)이 조립되는데, 이러한 상부블록(30)의 전방 면은 하부블록(20)과 달리 걸림돌기(26)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매끄러운 평면으로 형성되어 하천의 물살이 상부블록(30)의 전방 면과 무수히 부딪치더라도 이로 인한 와류가 쉽게 생기지 않게 된다.
어류정착블록(40)은 하부블록(20)의 전방 쪽에 고정되어 내부에 어류가 안정적으로 서식하여 정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어류정착블록(40)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크기를 가지는 사각 블록 모양을 가지면서 외측면에 전체적으로 소정 크기의 구멍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소정 크기의 틀 모양을 가지는 프레임바디(41)로 이루어진다.
이때 프레임바디(41)의 후방 쪽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블록(20)의 걸림돌기(26)가 삽입되어 어류정착블록(40)을 고정시키는 걸림부(41A)가 프레임 구조를 통해 형성되고, 이에 의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ㄴ"자 모양의 걸림부(41A) 선단이 프레임바디(41)의 정착공간(42) 쪽으로 삽입되며, 그 결과 걸림돌기(26)가 걸림부(41A)에 걸리면서 어류정착블록(40)의 위치가 쉽게 고정되게 된다.
한편, 위에서는 프레임바디(41)가 외측면을 따라 전체적으로 구멍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와 달리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바디(41)의 상면을 제외한 다른 외측면에만 구멍이 형성되고, 이에 의해 프레임바디(41)의 정착공간(42)이 위쪽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어류의 서식과 정착을 더욱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변경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블록(20)과 상부블록(30)의 제1, 2 끼움돌기(23A, 23B, 33A, 33B)에는 소정 지름의 결합공(H)이 수직 방향으로 소정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이에 의해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2개의 결합공(H)을 연결하도록 "ㄷ"자 모양의 고정핀(P)이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더해 하부블록(20)과 상부블록(30)이 적층될 때 위쪽에 적층되는 블록의 관통공(22, 32)을 통해 소정량의 모르타르가 충전되고, 이에 의해 조립되는 하부블록(20)과 상부블록(30)이 상호 강건하게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여 강한 물살에도 조립된 하부블록(20)과 상부블록(30)이 쉽게 분리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옹벽, 하부블록 및 상부블록으로 이루어지는 옹벽 조립체가 하천의 제방을 따라 양측에 설치되고, 이를 통해 홍수시 강한 물살로부터 제방이 확실하게 보호되게 되며, 또한, 하부블록에 설치되는 어류정착블록을 통해 어류의 안정적인 서식과 정착을 도모할 수 있고, 아울러 PC옹벽이 설치된 상태에서 하부블록과 상부블록을 쉽게 조립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과 도면에 나타난 구성에 도면부호와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상에 나타난 형상과 부여된 명칭에 국한되어 그 권리범위가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경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의 단순 치환은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 있음은 지극히 자명하다고 볼 것이다.
1: 옹벽 조립체 10: PC옹벽
11: 바닥부 11A: 블록고정돌기
11B: 세굴방지홈 12: 측면부
20: 하부블록 21: 블록바디
21A: 경사면부 22: 관통공
23A: 제1 끼움돌기 23B: 제2 끼움돌기
24: 측면결합홈 25: 측면결합돌기
26: 걸림돌기 30: 상부블록
31: 블록바디 31A: 경사면부
32: 관통공 33A: 제1 끼움돌기
33B: 제2 끼움돌기 34: 측면결합홈
35: 측면결합돌기 40, 40': 어류정착블록
41: 프레임바디 41A: 걸림부
42: 정착공간 A1: 바닥부의 기울기
A2: 측면부의 기울기 H: 결합공
P: 고정핀 W: 바닥부가 연장 돌출되는 폭

Claims (5)

  1. 측면이 "L"자 모양이 되도록 제작되는 소정 폭의 PC옹벽(10);
    상기 PC옹벽(10)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면서 상하 엇갈리도록 적층되는 복수 개의 하부블록(20);
    상기 하부블록(20)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면서 상하 엇갈리도록 적층되는 복수 개의 상부블록(30); 및
    상기 복수 개의 하부블록(20)의 일측에 고정되면서 내부에 어류가 정착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정착공간(42)이 형성된 어류정착블록(40);
    을 포함하고,
    상기 PC옹벽(10)은,
    수평으로 소정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소정 두께의 바닥부(11); 및
    일단이 상기 바닥부(11)의 일측에 연결되어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되어 하천의 제방을 지지하는 측면부(12);
    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11)에는,
    하천의 바닥에 매설될 때 개방된 일측면을 통해 내부로 토사가 충전되도록 하는 소정 깊이의 세굴방지홈(11B)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11)는,
    제방 쪽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천 바닥 쪽으로 향할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소정 각도의 기울기(A1)가 형성되며,
    상기 측면부(12)는,
    상단으로 갈수록 제방 쪽을 향하도록 소정 각도의 기울기(A2)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11)의 전방 쪽 선단은,
    상기 어류정착블록(40)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정 폭(W) 전방 쪽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어류정착블록(40)의 경계를 따라 바닥 부분에 세굴력이 작용하더라도 연장 돌출된 상기 바닥부(11)의 상면에 세굴력이 작용하도록 유도되어 바닥의 세굴이 방지되며,
    상기 측면부(12)에는,
    제방 쪽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제방에 소정 깊이 매설되고,
    상기 하부블록(20) 및 상부블록(30)은,
    소정 크기를 가지는 사각 블록 모양의 블록바디(21, 31);
    상기 블록바디(21, 31)의 상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소정 크기의 관통공(22, 32);
    상기 관통공(22, 32)의 양측 상면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는 제1, 2 끼움돌기(23A, 23B, 33A, 33B);
    상기 블록바디(21, 31)의 일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소정 크기의 측면결합홈(24, 34); 및
    상기 블록바디(21, 31)의 타측면을 따라 상기 측면결합홈(24, 34)에 대응되는 크기로 돌출 형성되는 측면결합돌기(25, 35);
    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블록(20)의 전방 쪽에는,
    역"ㄴ"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걸림돌기(26)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블록(20)과 상기 상부블록(30)의 후방 쪽에는,
    상기 측면부(12)의 상기 기울기(A2)에 대응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면(21A, 31A)이 형성되며,
    상기 어류정착블록(40)의 후방 쪽에는,
    상기 걸림돌기(26)가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부(41A)가 형성되고,
    상기 어류정착블록(40)은,
    상면을 제외한 다른 외측면에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정착공간(42)이 위쪽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정비용 옹벽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1)에는,
    상기 하부블록(20)의 설치 위치를 고정시키는 블록고정돌기(11A)가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정비용 옹벽 조립체.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91391A 2019-07-29 2019-07-29 하천 정비용 옹벽 조립체 KR102037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391A KR102037137B1 (ko) 2019-07-29 2019-07-29 하천 정비용 옹벽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391A KR102037137B1 (ko) 2019-07-29 2019-07-29 하천 정비용 옹벽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7137B1 true KR102037137B1 (ko) 2019-10-29

Family

ID=68423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391A KR102037137B1 (ko) 2019-07-29 2019-07-29 하천 정비용 옹벽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1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570B1 (ko) 2020-07-30 2021-05-03 (주)국성건설엔지니어링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성벽 시공방법 및 인공성벽 구조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819A (ja) * 1996-06-27 1998-01-13 Sanyu Create:Kk 魚巣用護岸ブロック
KR200352903Y1 (ko) 2004-03-08 2004-06-26 (주)신명건설기술공사 하천 생태계 보호용 호안박스 옹벽구조
KR200361768Y1 (ko) 2004-06-30 2004-09-14 김길평 생태계 보호용 하천옹벽
KR200367388Y1 (ko) 2004-08-23 2004-11-10 김길평 친환경적인 하천옹벽 설치구조
KR200367364Y1 (ko) 2004-08-19 2004-11-10 김길평 생태계 보호를 위한 하천용 옹벽
KR100696297B1 (ko) * 2006-11-13 2007-03-19 (주)피엔알시스템 도로의 친환경적인 옹벽구조물
KR101187862B1 (ko) * 2012-04-30 2012-10-08 주식회사 세광종합기술단 생태계보호용 호안시설물
KR20160148120A (ko) * 2015-06-15 2016-12-26 유한회사 삼원콘크리트 시공이 편리한 식생용 조립식 옹벽블록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819A (ja) * 1996-06-27 1998-01-13 Sanyu Create:Kk 魚巣用護岸ブロック
KR200352903Y1 (ko) 2004-03-08 2004-06-26 (주)신명건설기술공사 하천 생태계 보호용 호안박스 옹벽구조
KR200361768Y1 (ko) 2004-06-30 2004-09-14 김길평 생태계 보호용 하천옹벽
KR200367364Y1 (ko) 2004-08-19 2004-11-10 김길평 생태계 보호를 위한 하천용 옹벽
KR200367388Y1 (ko) 2004-08-23 2004-11-10 김길평 친환경적인 하천옹벽 설치구조
KR100696297B1 (ko) * 2006-11-13 2007-03-19 (주)피엔알시스템 도로의 친환경적인 옹벽구조물
KR101187862B1 (ko) * 2012-04-30 2012-10-08 주식회사 세광종합기술단 생태계보호용 호안시설물
KR20160148120A (ko) * 2015-06-15 2016-12-26 유한회사 삼원콘크리트 시공이 편리한 식생용 조립식 옹벽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570B1 (ko) 2020-07-30 2021-05-03 (주)국성건설엔지니어링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성벽 시공방법 및 인공성벽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7137B1 (ko) 하천 정비용 옹벽 조립체
KR100892421B1 (ko) 식생용 옹벽블럭
KR20090001728U (ko) 생태 옹벽축조블록
KR101280330B1 (ko) 세굴방지용 기초블럭
KR20070000622A (ko) 어도블럭
KR200437790Y1 (ko) 식생옹벽블럭
KR101308822B1 (ko) 식생용 블록 및 호안용 블록의 결속구조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57217B1 (ko) 조립식 호안블럭세트
KR100566667B1 (ko) 하천 제방의 친환경 매트 블록
JP4502268B2 (ja) 護岸ブロック及び海底面保護構造体
KR100461664B1 (ko) 식생 호안블록의 설치구조 및 시공방법.
KR200259043Y1 (ko) 우수침수용 수로
KR100547001B1 (ko) 친환경적인 생태형 호안 블록 구조
KR200408221Y1 (ko) 친환경적인 하천 호안 시설물
KR100705934B1 (ko) 식생 블록과 앵커 블록의 간격조절장치
KR100607235B1 (ko) 하천 제방의 친환경 조립식 매트 블록
KR102426108B1 (ko) 방파제용 조립식 피복블록
KR102280714B1 (ko)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JP3721411B2 (ja) コンクリート空積みブロックと基礎盤
KR100654304B1 (ko) 친환경적인 하천 호안 시설물
KR100620572B1 (ko) 식생형 축조블록
KR200247956Y1 (ko) 지지홀을 가지는 호안블록의 구조
JP2012046908A (ja) 護岸擁壁構造
KR200338758Y1 (ko) 호안구조물의 전도 방지를 위한 앵커블럭이 매설된 호안
KR100483885B1 (ko) 하구나 해안의 연약지반에서의 호안공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