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570B1 -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성벽 시공방법 및 인공성벽 구조 - Google Patents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성벽 시공방법 및 인공성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7570B1
KR102247570B1 KR1020200095368A KR20200095368A KR102247570B1 KR 102247570 B1 KR102247570 B1 KR 102247570B1 KR 1020200095368 A KR1020200095368 A KR 1020200095368A KR 20200095368 A KR20200095368 A KR 20200095368A KR 102247570 B1 KR102247570 B1 KR 102247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retaining wall
hanger
lower plate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우
한승용
이양우
Original Assignee
(주)국성건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국성건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국성건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095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5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성벽 시공방법 및 인공성벽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 옹벽을 성벽과 같은 느낌으로 연출하여 볼거리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가 원활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성벽 시공방법 및 인공성벽 구조{Artificial wall construction method and artificial wall structure using artificial rock}
본 발명인 기존 옹벽을 성벽과 같은 느낌으로 연출하여 볼거리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가 원활한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성벽 시공방법 및 인공성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제방에는 홍수시 제방의 유실로 인한 붕괴 등을 방지하기 위해 콘크리트 옹벽이 설치된다.
이러한 옹벽은 소정 크기를 가지는 블록모양으로 형성되어 단순히 제방을 따라 연결되도록 시공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제조, 운반 및 시공이 용이하면서도 제방과 하천 생물을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는 하천 정비용 옹벽 조립체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037137호로 제안된 바 있다.
한편, 상기 하천의 양측에는 자전거 도로나 보행로, 체육시설 등의 고수부지가 갖추어지는데, 본 발명에서는 하천에 설치된 기존의 옹벽에 인공암을 간편하게 시공하여 자전거 도로를 주행중인 자전거 이용자, 보행로를 보행중인 보행자 및 체육시설 등을 이용하는 이용자 등에게 기존의 옹벽을 성벽과 같은 느낌으로 연출하여 볼거리를 제공할 수 있는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성벽 시공방법 및 인공성벽 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037137호
본 발명은 기존 옹벽을 성벽과 같은 느낌으로 연출하여 볼거리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가 원활한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성벽 시공방법 및 인공성벽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인공암을 성형하는 인공암 성형단계와; b) 상기 옹벽의 전측에 상기 옹벽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수직바를 상기 옹벽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설치하는 수직바 설치단계와; c) 상기 수직바의 전측에 상기 옹벽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연장되는 수평바를 상기 수직바의 상하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설치하는 수평바 설치단계와; d) 상기 수평바에 복수의 인공암을 설치하는 인공암 설치단계와; e) 복수의 상기 인공암과 상기 옹벽 사이에 모르타르를 타설 및 양생시키는 모르타르 타설 및 양생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성벽 시공방법을 제공ㅎ나다.
여기서, 상기 a) 인공암 성형단계는 a1) 거푸집을 준비하는 거푸집 준비단계와; a2) 상기 거푸집의 내측에 콘트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단계와; a3) 상기 거푸집의 내측에 타설된 콘트리트의 상부에 걸이구의 하부를 일정깊이로 삽입하는 걸이구 삽입단계와; a4) 상기 거푸집의 내측에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시켜 상기 인공암을 성형하는 콘크리트 양생단계와; a5) 상기 거푸집으로부터 성형완료된 인공암을 탈형하는 탈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a5) 탈형단계를 통해 상기 거푸집으로부터 탈형된 인공암의 후면에 복수의 상기 걸이구가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걸이구는 상기 인공암의 후면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걸이구와; 상기 인공암의 후면 하부 일측과 후면 하부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일측 걸이구 및 타측 걸이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b) 수직바 설치단계에서 상기 수직바의 후면에 상기 옹벽의 배수공과 연통되는 배수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b) 수직바 설치단계에서 상기 수직바가 상기 옹벽의 배수공과 연통되도록 상기 수직바의 후측이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b) 수직바 설치단계는 b1) 상기 옹벽의 배수공과 연통되는 배수관의 후측을 상기 옹벽에 고정하는 배수관 고정단계와; b2) 상기 배수관의 전측이 상기 수직바의 후면에 형성된 배수공을 관통하여 상기 수직바의 내측으로 일정길이로 인입된 상태로 상기 수직바를 상기 옹벽에 고정하는 수직바 고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b1) 배수관 고정단계에서 상기 배수관의 전측에 상기 배수관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배수관의 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b) 수직바 설치단계에서 상기 수직바와 연통되도록 상기 수직바의 하부에 하부배수관이 수평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d) 인공암 설치단계에서 상기 인공암의 후면에 복수의 걸이구가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걸이구는 상기 인공암의 후면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걸이구와; 상기 인공암의 후면 하부 일측과 후면 하부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일측 걸이구 및 타측걸이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d) 인공암 설치단계는 d1) 상기 인공암의 상부 걸이구를 상기 수평바의 상부에 안착시키는 걸이구 안착단계와; d2) 상기 상부걸이구의 내측에 삽입고정되는 삽입고정부를 통해 상기 인공암을 상기 수평바의 위치고정시키는 인공암 고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d2) 인공암 고정단계에서의 삽입고정부의 후측에 상기 삽입고정부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삽입고정부의 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d) 인공암 설치단계에서 상기 인공암의 후면에 복수의 걸이구가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걸이구는 상기 인공암의 후면 상부에 형성되고, 후측이 하부방향으로 절곡되는 상부 걸이구와; 상기 인공암의 후면 하부 일측과 후면 하부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일측 걸이구 및 타측걸이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 걸이구의 후측이 상기 수평바의 후측에 접하도록 상기 인공암의 상부 걸이구가 상기 수평바의 상부에 안착고정된 상태로 상기 수평바에 상기 인공암이 위치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d) 인공암 설치단계에서 상기 인공암의 상부 걸이구의 후측은 상기 상부 걸이구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상부 걸이구의 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옹벽의 전측에 상기 옹벽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옹벽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수직바와; 상기 옹벽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어 상기 수직바의 전측에 상기 수직바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에 설치되는 인공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성벽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옹벽에 설치된 수직바의 전측에 설치된 수평바에 인공암을 간편하게 시공하여 기존 옹벽 주변에 갖추어진 자전거 도로를 주행중인 자전거 이용자, 보행로를 보행중인 보행자 및 체육시설 등을 이용하는 이용자 등에게 기존의 옹벽을 성벽과 같은 느낌으로 연출하여 볼거리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가 원활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성벽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2는 일예의 거푸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거푸집의 내측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거푸집의 내측에 타설된 콘크리트에 걸이구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거푸집으로부터 성형완료된 인공암이 탈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성형완료된 인공암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배면사시도이고,
도 8은 배수공이 형성된 옹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옹벽에 수직바가 설치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2는 수직바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0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3은 옹벽에 배수관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5는 배수관의 전측에 경사면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6은 수직바의 하부에 하부배수관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고,
도 17은 수직바의 전측에 수평바가 설치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수평바에 인공암이 설치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9는 수평바로부터 인공암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8의 분리측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결합측면도이고,
도 21은 상부 걸이구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23은 인공암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D - D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5는 인공암과 옹벽 사이에 모르타르가 타설 및 양생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성벽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7은 도 26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성벽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성벽 시공방법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a) 인공암 성형단계(이하, 'a)단계'라 한다.), b) 수직바 설치단계(이하, 'b)단계'라 한다.), c) 수평바 설치단계(이하, 'c)단계'라 한다.), d) 인공암 설치단계(이하, 'd)단계'라 한다.) 및 e) 모르타르 타설 및 양생단계(이하, 'e)단계'라 한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a)단계는 인공암을 성형하는 단계로서, 일예로, 크게, a1) 거푸집 준비단계(이하, 'a1)단계'라 한다.), a2) 콘크리트 타설단계(이하, 'a2)단계'라 한다.), a3) 걸이구 삽입단계(이하, 'a3)단계'라 한다.), a4) 콘크리트 양생단계(이하, 'a4)단계'라 한다.) 및 a5) 탈형단계(이하, 'a5)단계'라 한다.)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일예의 거푸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a1)단계는 거푸집(2)을 준비하는 단계로서, 상기 거푸집(2)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예로, 하부판(21)과 측판(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판(21)의 상부 가장자리에 상기 하부판(21)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삽입홈(211)이 일정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211) 주변의 상기 하부판(21)의 상부면에는 상기 인공암의 전면에 울퉁불퉁한 굴곡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측판(22)의 내측으로 타설된 콘크리트의 일부가 유입되는 울퉁불퉁한 굴곡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판(22)은 상기 하부판(21)의 상부에 수직안착될 수 있다.
상기 측판(22)은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측판(22)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판(21)의 삽입홈(21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211)에 삽입고정되는 고정돌기(22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거푸집의 내측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a2)단계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거푸집(2)의 내측에 콘크리트(1)를 타설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거푸집(2)의 측판(22)의 고정돌기(221)가 상기 하부판(21)의 삽입홈(211)에 삽입고정됨에 따라 상기 하부판(21)의 상부 가장자리와 상기 측판(22)의 하부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상기 콘크리트(1)가 상기 거푸집(2)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거푸집의 내측에 타설된 콘크리트에 걸이구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a3)단계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거푸집(2)의 내측에 타설된 콘크리트(1)의 상부에 걸이구(5)의 하부를 일정깊이로 삽입하는 단계이다.
상기 걸이구(5)는 '┏┓'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a4)단계는 상기 거푸집(2)의 내측에 타설된 콘크리트(1)를 일정시간 동안 양생시켜 상기 인공암을 성형하는 단계이다.
도 5는 거푸집으로부터 성형완료된 인공암이 탈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a5)단계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거푸집(2)으로부터 성형완료된 상기 인공암(30)을 탈형하는 단계이다.
작업자는 상기 성형완료된 상기 인공암(30)으로부터 상기 거푸집(2)의 하부판(21)과 측판(22)을 순차적으로 분리하여 상기 거푸집(2)으로부터 상기 인공암(30)을 보다 용이하게 탈형할 수 있다.
상기 거푸집(2)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상기 거푸집(2)으로부터 상기 인공암(30)을 보다 용이하게 탈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예로, 상기 거푸집(2)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성형완료된 인공암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배면사시도이다.
상기 a5)단계를 통해 상기 거푸집(2)으로부터 탈형되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성형된 상기 인공암(30)의 전면의 반대측인 후면에 복수의 상기 걸이구(5)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걸이구(51)는 일예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부 걸이구(511), 일측 걸이구(512) 및 타측 걸이구(5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걸이구(511)는 상기 인공암(30)의 후면 상부 중간부에 상기 인공암(30)과 직교를 이루도록 상기 인공암(30)의 후면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걸이구(512)는 상기 인공암(30)의 후면 하부 일측에 상기 인공암(30)과 직교를 이루도록 상기 인공암(30)의 후면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걸이구(513)는 상기 인공암(30)의 후면 하부 타측에 상기 인공암(30)과 직교를 이루도록 상기 인공암(30)의 후면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걸이구(511)의 수평연장길이는 상기 일측 걸이구(512)의 수평연장길이 및 상기 타측 걸이구(513)의 수평연장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배수공이 형성된 옹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천(7)의 제방에는 홍수시 제방의 유실로 인한 붕괴 등을 방지하기 위한 옹벽(3)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옹벽(3)에는 빗물 등의 이물질을 상기 옹벽(3)의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복수의 배수공(31)이 매트릭스 형태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천(7)의 양측에는 자전거 도로(6)나 보행로, 체육시설 등의 고수부지가 갖추어질 수 있다.
도 10은 옹벽에 수직바가 설치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b)단계는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옹벽(3)의 전측에 상기 옹벽(3)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수직바(10)를 상기 옹벽(3)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수직바(10)는 상기 옹벽(3)의 전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는 사각파이프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b)단계에서 일예로, 상기 수직바(10)의 전면의 후면에는 상기 옹벽(3)의 배수공(31)과 연통되는 배수공(101)이 상기 수직바(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옹벽(3)의 배수공(31)을 통해 배수되는 빗물 등의 이물질은 상기 수직바(10)의 배수공(101)을 통해 상기 수직바(10)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수직바(1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지면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2는 수직바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0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수직바(10)의 내측으로 빗물 등의 이물질이 더욱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수직바(10)가 상기 옹벽(3)의 배수공(31)과 연통되도록 다른예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바(10)의 후측이 개방될 수 있고, 상기 수직바(10)의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옹벽(3)의 배수공(31) 주변의 상기 옹벽(3) 부위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는 날개판(102)이 각각 상기 수직바(10)를 따라 상하연장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옹벽에 배수관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 다른예로서, 상기 b)단계는 크게, b1) 배수관 고정단계(이하, 'b1)단계'라 한다.)와 b2) 수직바 고정단계(이하, 'b2)단계'라 한다.)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b1)단계는 상기 옹벽(3)의 배수공(31)과 연통되는 배수관(40)의 후측을 상기 옹벽(3)에 고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배수관(40)의 후측에는 도 13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옹벽(3)의 배수공(31) 주변의 상기 옹벽(3) 부위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는 환형 형상의 플랜지(4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b2)단계는 상기 배수관(40)의 전측이 상기 수직바(10)의 후면에 형성된 배수공(101)을 관통하여 상기 수직바(10)의 내측으로 일정길이로 인입된 상태로 상기 수직바(10)를 상기 옹벽(3)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옹벽(3)의 배수공(31)을 통해 배수되는 빗물 등의 이물질은 상기 배수관(40)을 통해 상기 수직바(10)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수직바(1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지면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5는 배수관의 전측에 경사면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배수관(40)의 전측이 상기 수직바(10)의 후면에 형성된 상기 배수공(101)을 보다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배수관(40)의 배수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b1)단계에서 상기 배수관(40)의 전측에 경사면(40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관(40)의 경사면(402)은 상기 배수관(4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배수관(40)의 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도 16은 수직바의 하부에 하부배수관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수직바(10)의 하부에는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바(10)와 연통되는 하부배수관(11)이 상기 옹벽(3)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된 상태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직바(10)의 내측으로 유입된 빗물 등의 이물질은 상기 하부배수관(11)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하부배수관(11)의 일측 외부방향과 타측 외부방향으로 각각 배수될 수 있다.
도 17은 수직바의 전측에 수평바가 설치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c)단계는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바(10)의 전측에 상기 옹벽(3)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연장되는 수평바(20)를 상기 수직바(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수평바(20)는 사각파이프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8은 수평바에 인공암이 설치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d)단계는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평바(20)에 복수의 상기 인공암(30)을 서로 접한 상태로 설치하는 단계이다.
도 19는 수평바로부터 인공암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8의 분리측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결합측면도이다.
상기 d)단계는 일예로, 크게, d1) 걸이구 안착단계(이하, 'd1)단계'라 한다.)와 d2) 인공암 고정단계(이하, 'd2)단계'라 한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d1)단계는 도 19 및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인공암(30)의 상부 걸이구(511)를 상기 수평바(20)의 상부에 안착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d2)단계는 상기 상부 걸이구(511)의 내측에 수직으로 삽입고정되는 삽입고정부(9)를 통해 상기 인공암(30)을 상기 수평바(20)에 위치고정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삽입고정부(9)가 상기 상부 걸이구(511)의 내측에 수직으로 삽입고정되면서 상기 삽입고정부(9)의 전측이 상기 수평바(2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에 점차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고정부(9)의 후측에 경사면(9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고정부(9)의 경사면(91)은 상기 삽입고정부(9)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삽입고정부(9)의 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도 21은 상부 걸이구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결합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삽입고정부(9)를 사용할 필요없이 상기 수평바(20)의 상부에 상기 상부 걸이구(511)를 용이하게 안착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 걸이구(511)의 다른예로서, 상기 상부 걸이구(511)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은 상기 수평바(20)의 하부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수평바(20)의 후측에 밀착된 상태로 접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수평바(20)의 후측에 밀착되는 상기 상부 걸이구(511)의 후측의 밀착세기가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상부 걸이구(511)의 후측은 상기 상부 걸이구(511)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상부 걸이구(511)의 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도 23은 인공암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D - D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5는 인공암과 옹벽 사이에 모르타르가 타설 및 양생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e)단계는 도 23 및 도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설치가 완료된 복수의 상기 인공암(30)과 상기 옹벽(3) 사이에 도 2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르타르(12)를 타설하여 일정시간 동안 양생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수평바(20)의 상부에 안착된 상기 상부 걸이구(511)와 함께 상기 수평바(2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일측 걸이구(512) 및 상기 타측 걸이구(513)는 모르타르(12)에 매설되고, 이로 인해 상기 인공암(30)이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성벽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7은 도 26의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성벽 구조는 도 26 및 도 2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수직바(10), 상기 수평바(20) 및 상기 인공암(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기존의 옹벽(3)에 설치된 상기 수직바(10)의 전측에 설치된 상기 수평바(20)에 상기 인공암(30)을 간편하게 시공하여 기존 옹벽(3) 주변에 갖추어진 자전거 도로를 주행중인 자전거 이용자, 보행로를 보행중인 보행자 및 체육시설 등을 이용하는 이용자 등에게 기존의 옹벽(3)을 성벽과 같은 느낌으로 연출하여 볼거리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가 원활한 이점이 있다.
10; 수직바, 20; 수평바,
30; 인공암.

Claims (22)

  1. a1)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상부에 수직안착되는 측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판의 상부 가장자리에 상기 하부판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삽입홈이 일정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측판의 하부에 상기 하부판의 삽입홈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하부판의 상부 가장자리와 상기 측판의 하부 사이의 틈새를 통해 콘크리트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의 상부면에 인공암의 전면에 굴곡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측판의 내측으로 타설된 콘크리트의 일부가 유입되는 굴곡홈이 형성되는 실리콘 재질의 거푸집을 준비하는 거푸집 준비단계와, a2) 상기 거푸집의 내측에 콘트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단계와, a3) 상기 거푸집의 내측에 타설된 콘트리트의 상부에 걸이구의 하부를 일정깊이로 삽입하는 걸이구 삽입단계와, a4) 상기 거푸집의 내측에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시켜 상기 인공암을 성형하는 콘크리트 양생단계와, a5) 성형완료된 인공암으로부터 상기 거푸집의 하부판과 측판을 순차적으로 분리하여 상기 거푸집으로부터 성형완료된 인공성벽을 이루는 인공암을 탈형하는 탈형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공암의 후면 상부에 상기 인공암의 후면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되는 상부 걸이구와, 상기 인공암의 후면 하부 일측과 후면 하부 타측에 각각 상기 인공암의 후면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되는 일측 걸이구 및 타측 걸이구로 구성되는 복수의 걸이구가 상기 a5) 탈형단계를 통해 상기 거푸집으로부터 탈형된 인공암의 후면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 걸이구의 수평연장길이는 상기 일측 걸이구의 수평연장길이 및 상기 타측 걸이구의 수평연장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a) 인공암 성형단계와;
    옹벽의 전측에 상기 옹벽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 및 후면에 상기 옹벽의 배수공과 연통되는 배수공이 형성되는 수직바를 상기 옹벽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설치하기 위해, b1) 상기 옹벽의 배수공과 연통되는 배수관의 후측을 상기 옹벽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배수관의 후측에 형성된 플랜지를 상기 옹벽의 배수공 주변의 상기 옹벽 부위에 고정하는 배수관 고정단계와, b2) 상기 배수관의 전측이 상기 수직바의 후면에 형성된 배수공을 관통하여 상기 수직바의 내측으로 일정길이로 인입된 상태로 상기 수직바를 상기 옹벽에 고정하는 수직바 고정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b1) 배수관 고정단계에서 상기 배수관의 전측에 상기 배수관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배수관의 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으로 인해 상기 배수관의 전측이 상기 수직바의 배수공을 용이하게 관통 및 상기 배수관의 배수효율이 향상되는 b) 수직바 설치단계와;
    상기 수직바의 전측에 상기 옹벽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연장되는 수평바를 상기 수직바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설치하는 c) 수평바 설치단계와;
    상기 수평바에 복수의 인공암을 설치하기 위해, d1) 상기 인공암의 상부 걸이구를 상기 수평바의 상부에 안착시키는 걸이구 안착단계와, d2) 상기 상부 걸이구의 내측에 삽입고정되는 삽입고정부를 통해 상기 인공암을 상기 수평바의 위치고정시키는 인공암 고정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d2) 인공암 고정단계에서의 삽입고정부의 후측에 상기 삽입고정부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삽입고정부의 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으로 인해 상기 삽입고정부의 전측이 상기 수평바의 후측에 밀착고정되는 d) 인공암 설치단계와;
    상기 상부 걸이구와 함께 상기 일측 걸이구 및 타측 걸이구가 모르타르에 매설되어 상기 인공암이 안정적으로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의 상기 인공암과 상기 옹벽 사이에 모르타르를 타설 및 양생시키는 e) 모르타르 타설 및 양생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성벽 시공방법.
  2. a1)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상부에 수직안착되는 측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판의 상부 가장자리에 상기 하부판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삽입홈이 일정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측판의 하부에 상기 하부판의 삽입홈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하부판의 상부 가장자리와 상기 측판의 하부 사이의 틈새를 통해 콘크리트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의 상부면에 인공암의 전면에 굴곡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측판의 내측으로 타설된 콘크리트의 일부가 유입되는 굴곡홈이 형성되는 실리콘 재질의 거푸집을 준비하는 거푸집 준비단계와, a2) 상기 거푸집의 내측에 콘트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단계와, a3) 상기 거푸집의 내측에 타설된 콘트리트의 상부에 걸이구의 하부를 일정깊이로 삽입하는 걸이구 삽입단계와, a4) 상기 거푸집의 내측에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시켜 상기 인공암을 성형하는 콘크리트 양생단계와, a5) 성형완료된 인공암으로부터 상기 거푸집의 하부판과 측판을 순차적으로 분리하여 상기 거푸집으로부터 성형완료된 인공성벽을 이루는 인공암을 탈형하는 탈형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공암의 후면 상부에 상기 인공암의 후면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되는 상부 걸이구와, 상기 인공암의 후면 하부 일측과 후면 하부 타측에 각각 상기 인공암의 후면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되는 일측 걸이구 및 타측 걸이구로 구성되는 복수의 걸이구가 상기 a5) 탈형단계를 통해 상기 거푸집으로부터 탈형된 인공암의 후면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 걸이구의 수평연장길이는 상기 일측 걸이구의 수평연장길이 및 상기 타측 걸이구의 수평연장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a) 인공암 성형단계와;
    옹벽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옹벽의 배수공과 연통되도록 후측이 개방되며 일측과 타측에 상기 옹벽의 배수공 주변의 상기 옹벽 부위에 고정되는 날개판이 상하연장형성되는 수직바를 상기 옹벽의 전측에 상기 옹벽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설치하는 b) 수직바 설치단계와;
    상기 수직바의 전측에 상기 옹벽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연장되는 수평바를 상기 수직바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설치하는 c) 수평바 설치단계와;
    상기 수평바에 복수의 인공암을 설치하기 위해, d1) 상기 인공암의 상부 걸이구를 상기 수평바의 상부에 안착시키는 걸이구 안착단계와, d2) 상기 상부 걸이구의 내측에 삽입고정되는 삽입고정부를 통해 상기 인공암을 상기 수평바의 위치고정시키는 인공암 고정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d2) 인공암 고정단계에서의 삽입고정부의 후측에 상기 삽입고정부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삽입고정부의 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으로 인해 상기 삽입고정부의 전측이 상기 수평바의 후측에 밀착고정되는 d) 인공암 설치단계와;
    상기 상부 걸이구와 함께 상기 일측 걸이구 및 타측 걸이구가 모르타르에 매설되어 상기 인공암이 안정적으로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의 상기 인공암과 상기 옹벽 사이에 모르타르를 타설 및 양생시키는 e) 모르타르 타설 및 양생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성벽 시공방법.
  3. a1)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상부에 수직안착되는 측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판의 상부 가장자리에 상기 하부판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삽입홈이 일정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측판의 하부에 상기 하부판의 삽입홈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하부판의 상부 가장자리와 상기 측판의 하부 사이의 틈새를 통해 콘크리트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의 상부면에 인공암의 전면에 굴곡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측판의 내측으로 타설된 콘크리트의 일부가 유입되는 굴곡홈이 형성되는 실리콘 재질의 거푸집을 준비하는 거푸집 준비단계와, a2) 상기 거푸집의 내측에 콘트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단계와, a3) 상기 거푸집의 내측에 타설된 콘트리트의 상부에 걸이구의 하부를 일정깊이로 삽입하는 걸이구 삽입단계와, a4) 상기 거푸집의 내측에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시켜 상기 인공암을 성형하는 콘크리트 양생단계와, a5) 성형완료된 인공암으로부터 상기 거푸집의 하부판과 측판을 순차적으로 분리하여 상기 거푸집으로부터 성형완료된 인공성벽을 이루는 인공암을 탈형하는 탈형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공암의 후면 상부에 상기 인공암의 후면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되는 상부 걸이구와, 상기 인공암의 후면 하부 일측과 후면 하부 타측에 각각 상기 인공암의 후면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되는 일측 걸이구 및 타측 걸이구로 구성되는 복수의 걸이구가 상기 a5) 탈형단계를 통해 상기 거푸집으로부터 탈형된 인공암의 후면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 걸이구의 수평연장길이는 상기 일측 걸이구의 수평연장길이 및 상기 타측 걸이구의 수평연장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a) 인공암 성형단계와;
    옹벽의 전측에 상기 옹벽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 및 후면에 상기 옹벽의 배수공과 연통되는 배수공이 형성되는 수직바를 상기 옹벽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설치하기 위해, b1) 상기 옹벽의 배수공과 연통되는 배수관의 후측을 상기 옹벽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배수관의 후측에 형성된 플랜지를 상기 옹벽의 배수공 주변의 상기 옹벽 부위에 고정하는 배수관 고정단계와, b2) 상기 배수관의 전측이 상기 수직바의 후면에 형성된 배수공을 관통하여 상기 수직바의 내측으로 일정길이로 인입된 상태로 상기 수직바를 상기 옹벽에 고정하는 수직바 고정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b1) 배수관 고정단계에서 상기 배수관의 전측에 상기 배수관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배수관의 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으로 인해 상기 배수관의 전측이 상기 수직바의 배수공을 용이하게 관통 및 상기 배수관의 배수효율이 향상되는 b) 수직바 설치단계와;
    상기 수직바의 전측에 상기 옹벽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연장되는 수평바를 상기 수직바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설치하는 c) 수평바 설치단계와;
    상기 수평바에 복수의 인공암을 설치하기 위해 상기 상부 걸이구의 후측이 상기 수평바의 후측에 밀착되도록 상기 인공암의 상부 걸이구가 상기 수평바의 상부에 안착고정된 상태로 상기 수평바에 상기 인공암이 위치고정되고, 상기 수평바의 후측에 밀착되는 상기 상부 걸이구의 후측의 밀착세기가 향상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걸이구의 후측이 상기 상부 걸이구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상부 걸이구의 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d) 인공암 설치단계와;
    상기 상부 걸이구와 함께 상기 일측 걸이구 및 타측 걸이구가 모르타르에 매설되어 상기 인공암이 안정적으로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의 상기 인공암과 상기 옹벽 사이에 모르타르를 타설 및 양생시키는 e) 모르타르 타설 및 양생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성벽 시공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 수직바 설치단계에서 상기 수직바와 연통되도록 상기 수직바의 하부에 하부배수관이 수평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성벽 시공방법.
  5. 옹벽의 전측에 상기 옹벽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옹벽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후면에 상기 옹벽의 배수공과 연통되는 배수공이 형성되는 수직바와;
    상기 옹벽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어 상기 수직바의 전측에 상기 수직바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에 설치되는 인공성벽을 이루는 인공암과;
    상기 인공암의 후면 상부에 상기 인공암의 후면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되어 상기 수평바의 상부에 안착고정되는 상부 걸이구와, 상기 인공암의 후면 하부 일측과 후면 하부 타측에 각각 상기 인공암의 후면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되는 일측 걸이구 및 타측 걸이구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걸이구의 수평연장길이는 상기 일측 걸이구의 수평연장길이 및 상기 타측 걸이구의 수평연장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인공암이 안정적으로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인공암과 상기 옹벽 사이에 타설 및 양생되는 모르타르에 상기 상부 걸이구와 함께 상기 일측 걸이구 및 타측 걸이구가 매설되는 복수의 걸이구와;
    상기 옹벽의 배수공과 연통되도록 상기 옹벽에 후측에 형성된 플랜지가 상기 옹벽의 배수공 주변의 상기 옹벽부위에 고정되고, 전측에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으로 인해 전측이 상기 수직바의 후면에 형성된 배수공을 용이하게 관통하여 상기 수직바의 내측으로 일정길이로 인입 및 배수효율이 향상되는 배수관과;
    상기 상부 걸이구의 내측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인공암을 상기 수평바에 위치고정시키고, 후측에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으로 인해 전측이 상기 수평바의 후측에 밀착고정되는 삽입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인공암은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상부에 수직안착되는 측판으로 구성되는 실리콘 재질의 거푸집의 측판의 내측으로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시켜 성형되며,
    상기 거푸집의 하부판의 상부 가장자리에 상기 하부판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삽입홈이 일정깊이로 형성 및 상기 측판의 하부에 상기 하부판의 삽입홈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하부판의 상부 가장자리와 상기 측판의 하부 사이의 틈새를 통해 콘크리트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의 상부면에 상기 인공암의 전면에 굴곡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측판의 내측으로 타설된 콘크리트의 일부가 유입되는 굴곡홈이 형성되며,
    성형완료된 인공암으로부터 상기 거푸집의 하부판과 측판이 순차적으로 분리되어 상기 거푸집으로부터 성형완료된 인공암이 탈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성벽 구조.
  6. 옹벽의 전측에 상기 옹벽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옹벽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옹벽의 배수공과 연통되도록 후측이 개방되는 일측과 타측에 상기 옹벽의 배수공 주변의 상기 옹벽부위에 고정되는 날개판이 상하연장형성되는 수직바와;
    상기 옹벽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어 상기 수직바의 전측에 상기 수직바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에 설치되는 인공성벽을 이루는 인공암과;
    상기 인공암의 후면 상부에 상기 인공암의 후면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되어 상기 수평바의 상부에 안착고정되는 상부 걸이구와, 상기 인공암의 후면 하부 일측과 후면 하부 타측에 각각 상기 인공암의 후면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되는 일측 걸이구 및 타측 걸이구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걸이구의 수평연장길이는 상기 일측 걸이구의 수평연장길이 및 상기 타측 걸이구의 수평연장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인공암이 안정적으로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인공암과 상기 옹벽 사이에 타설 및 양생되는 모르타르에 상기 상부 걸이구와 함께 상기 일측 걸이구 및 타측 걸이구가 매설되는 복수의 걸이구와;
    상기 상부 걸이구의 내측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인공암을 상기 수평바에 위치고정시키고, 후측에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으로 인해 전측이 상기 수평바의 후측에 밀착고정되는 삽입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인공암은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상부에 수직안착되는 측판으로 구성되는 실리콘 재질의 거푸집의 측판의 내측으로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시켜 성형되며,
    상기 거푸집의 하부판의 상부 가장자리에 상기 하부판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삽입홈이 일정깊이로 형성 및 상기 측판의 하부에 상기 하부판의 삽입홈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하부판의 상부 가장자리와 상기 측판의 하부 사이의 틈새를 통해 콘크리트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의 상부면에 상기 인공암의 전면에 굴곡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측판의 내측으로 타설된 콘크리트의 일부가 유입되는 굴곡홈이 형성되며,
    성형완료된 인공암으로부터 상기 거푸집의 하부판과 측판이 순차적으로 분리되어 상기 거푸집으로부터 성형완료된 인공암이 탈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성벽 구조.
  7. 옹벽의 전측에 상기 옹벽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옹벽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후면에 상기 옹벽의 배수공과 연통되는 배수공이 형성되는 수직바와;
    상기 옹벽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어 상기 수직바의 전측에 상기 수직바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에 설치되는 인공성벽을 이루는 인공암과;
    상기 인공암의 후면 상부에 상기 인공암의 후면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되어 상기 수평바의 상부에 안착고정되는 상부 걸이구와, 상기 인공암의 후면 하부 일측과 후면 하부 타측에 각각 상기 인공암의 후면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되는 일측 걸이구 및 타측 걸이구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걸이구의 수평연장길이는 상기 일측 걸이구의 수평연장길이 및 상기 타측 걸이구의 수평연장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 걸이구의 후측이 상기 수평바의 후측에 밀착되도록 상기 상부 걸이구의 후측이 상기 상부 걸이구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상부 걸이구의 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고, 상기 인공암이 안정적으로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인공암과 상기 옹벽 사이에 타설 및 양생되는 모르타르에 상기 상부 걸이구와 함께 상기 일측 걸이구 및 타측 걸이구가 매설되는 복수의 걸이구와;
    상기 옹벽의 배수공과 연통되도록 상기 옹벽에 후측에 형성된 플랜지가 상기 옹벽의 배수공 주변의 상기 옹벽부위에 고정되고, 전측에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으로 인해 전측이 상기 수직바의 후면에 형성된 배수공을 용이하게 관통하여 상기 수직바의 내측으로 일정길이로 인입 및 배수효율이 향상되는 배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인공암은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상부에 수직안착되는 측판으로 구성되는 실리콘 재질의 거푸집의 측판의 내측으로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시켜 성형되며,
    상기 거푸집의 하부판의 상부 가장자리에 상기 하부판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삽입홈이 일정깊이로 형성 및 상기 측판의 하부에 상기 하부판의 삽입홈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하부판의 상부 가장자리와 상기 측판의 하부 사이의 틈새를 통해 콘크리트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의 상부면에 상기 인공암의 전면에 굴곡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측판의 내측으로 타설된 콘크리트의 일부가 유입되는 굴곡홈이 형성되며,
    성형완료된 인공암으로부터 상기 거푸집의 하부판과 측판이 순차적으로 분리되어 상기 거푸집으로부터 성형완료된 인공암이 탈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성벽 구조.
  8. 제 5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와 연통되도록 상기 수직바의 하부에 하부배수관이 수평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성벽 구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200095368A 2020-07-30 2020-07-30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성벽 시공방법 및 인공성벽 구조 KR102247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368A KR102247570B1 (ko) 2020-07-30 2020-07-30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성벽 시공방법 및 인공성벽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368A KR102247570B1 (ko) 2020-07-30 2020-07-30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성벽 시공방법 및 인공성벽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7570B1 true KR102247570B1 (ko) 2021-05-03

Family

ID=75910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368A KR102247570B1 (ko) 2020-07-30 2020-07-30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성벽 시공방법 및 인공성벽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757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0746A (ja) * 2001-07-09 2003-01-24 Joji Yamashita 壁面構築兼外装用の型枠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15906B1 (ko) * 2006-06-08 2006-08-28 (주)단건축사사무소 가로등 기능과 배수 기능을 가진 주택단지내 옹벽 조립체.
KR20110057571A (ko) * 2009-11-24 2011-06-01 주식회사 세영 옹벽 보강 조립체
KR20150141264A (ko) * 2014-06-09 2015-12-18 양지개발 주식회사 뒷돌 고정식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2037137B1 (ko) 2019-07-29 2019-10-29 이건우 하천 정비용 옹벽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0746A (ja) * 2001-07-09 2003-01-24 Joji Yamashita 壁面構築兼外装用の型枠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15906B1 (ko) * 2006-06-08 2006-08-28 (주)단건축사사무소 가로등 기능과 배수 기능을 가진 주택단지내 옹벽 조립체.
KR20110057571A (ko) * 2009-11-24 2011-06-01 주식회사 세영 옹벽 보강 조립체
KR20150141264A (ko) * 2014-06-09 2015-12-18 양지개발 주식회사 뒷돌 고정식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2037137B1 (ko) 2019-07-29 2019-10-29 이건우 하천 정비용 옹벽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8445B1 (ko) 환경친화적 전주 설치 공법
CA3142651A1 (en) Precast block for housing and routing electrical power cable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using the block and a manufacturing method
MXPA03001816A (es) Zapatas integradas.
KR200455592Y1 (ko) 절토부 옹벽용 패널
KR100629722B1 (ko) 급경사 배수로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배수블록
KR101675441B1 (ko) 일체형 벽체, 일체형 벽체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및 그 제작방법
KR102247570B1 (ko)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성벽 시공방법 및 인공성벽 구조
KR102057316B1 (ko) 지중 삽입용 패널의 연결 시공방법
KR100750386B1 (ko) 댐 콘크리트 타설 공법
KR200433220Y1 (ko) 집수정 구조체
KR20100113957A (ko) 연결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구축방법
KR20150065477A (ko) 메쉬형 개구부가 형성된 산마루 측구 및 시공방법
JP5271720B2 (ja) 土間廻り部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487838B1 (ko)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895753B1 (ko) 배수가 용이한 케이블 수용 경계석
KR101065261B1 (ko) 수로구조물과 그의 시공방법
KR101978908B1 (ko) 경사 조절 구조를 갖는 배수용 수로관
KR101661884B1 (ko) 메쉬형 개구부가 형성된 산마루 측구
GB2452740A (en) Underground electrical connection apparatus having a cover trapping a pocket of air
JPH0657768A (ja) 擁壁構造とその施工方法
KR19990021988U (ko) 옹벽용블럭
CN219298075U (zh) 组合式道路隔离墩与绿化隔离带
CN216475180U (zh) 预制装配式绿色挡墙
JP3639084B2 (ja) 結合構造を有する擁壁ブロック及び該擁壁ブロックを使用した擁壁の施工方法
CN211473628U (zh) 一种多功能装配式路挡基础路基砼侧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