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000B1 -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항만 구조물 - Google Patents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항만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000B1
KR101359000B1 KR1020130052012A KR20130052012A KR101359000B1 KR 101359000 B1 KR101359000 B1 KR 101359000B1 KR 1020130052012 A KR1020130052012 A KR 1020130052012A KR 20130052012 A KR20130052012 A KR 20130052012A KR 101359000 B1 KR101359000 B1 KR 101359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ofa
concrete
inclined surface
sofa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2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오진
Original Assignee
이오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오진 filed Critical 이오진
Priority to KR1020130052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0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몸체와 후방몸체를 연결하는 돌출부가 이중으로 절곡되어 경사면을 형성하므로 경사면을 하나로 절곡되어 형성할 때보다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여 돌출부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돌출부로 유입되는 해수는 경사면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해수의 파랑이나 파압을 감쇄시켜 소파되도록 함과 아울러 측면이 면접촉되도록 연접되는 소파블록에 의해 캡콘크리트 타설시 바닥에 별도의 거푸집을 설치하지 않음으로 작업공정을 단축시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항만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항만 구조물{Dissipating block its using the harbor structure}
본 발명은, 소파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몸체와 후방몸체를 연결하는 돌출부가 이중으로 절곡되어 경사면을 형성하므로 경사면을 하나로 절곡되어 형성할 때보다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여 돌출부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돌출부로 유입되는 해수는 경사면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해수의 파랑이나 파압을 감쇄시켜 소파되도록 함과 아울러 측면이 면접촉되도록 연접되는 소파블록에 의해 캡콘크리트 타설시 바닥에 별도의 거푸집을 설치하지 않음으로 작업공정을 단축시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항만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파블록은, 항만의 정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항만의 설계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되고 있는 항만 구조물의 하나로서, 해측에서 형성된 파도의 파압을 감소시키기 위해 해측에 소파원리를 적용한 소파블록을 조적하여 해측에서 형성되고 안측으로 진행되는 파도가 지니고 있는 에너지를 저감시키기 위해 다양한 소파원리를 이용하는 블록을 말하고, 이 소파블록을 적용함으로써 파고를 낮추고 각종 항만의 정온도를 높이기 위한 항만 구조물을 말한다.
상기 소파블록의 종래구성은, 수직방향으로 진동하는 파랑이 지니고 있는 파압을 감소하기 위하여 공극률을 높게 한 전방벽을 비롯하여 측벽을 이용 중심부위로 파랑을 유입하여 회전시켜 파압을 감소시키는 구성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소파블록은, 소파 기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블록을 크게 제작하거나 단순하게 파랑이나 해수의 유통 방향만을 전환시킴으로써, 파랑이 지니고 있는 큰 에너지를 충분히 감소시키지 못함은 물론 월파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블록을 크게 제작하여야 하므로 제조원가가 상승하여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건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09016호로 경사면을 갖는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항만 구조물을 등록받은 바 있다.
선 등록된 특허는, 파랑이나 해수가 경사면을 타고 올라가 경사면 뒤의 공극으로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파압을 감소시키게 된다.
그러나 선 등록된 특허의 경사면이 절곡되게 형성되어 파랑이나 해수의 집중도가 심해 파쇄되므로 구조적으로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고, 요홈과 돌출부가 형성되어 조립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제조가 어려워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접된 소파블록에 캡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소파블록의 공극을 폐쇄시키는 거푸집을 별도로 설치해야 하므로 작업공정이 복잡하면서 작업능률이 떨어져 공기가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방몸체와 후방몸체를 연결하는 돌출부가 이중으로 절곡되어 경사면을 형성하므로 경사면을 하나로 절곡되어 형성할 때보다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돌출부로 해수가 유입되어 경사면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해수의 파랑이나 파압을 보다 용이하게 감쇄시켜 소파되도록 하는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항만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측면이 면접촉되도록 상부 소파블록이 하부 소파블록에 지그재그로 조적되므로 캡콘크리트 타설시, 바닥에 별도의 거푸집을 설치하지 않아도 됨으로 작업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항만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요홈과 돌출부를 형성하지 않아 하부 소파블록에 상부 소파블록의 설치가 간편함은 물론 제조의 간소화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항만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소파블록은, 전면이 만곡되면서 상면에 수평안내면이 형성된 전방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전방몸체 후방에 전면이 경사진 전면경사면이 형성된 후방몸체가 구비되며, 상기 전방몸체의 수평안내면 후단에 전방낙하홈이 형성되도록 전방몸체보다 좁은 폭으로 상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해수의 파압을 감쇄시키는 전방경사면이 구비되고, 상기 전방경사면 후방에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면이 구비되며, 상기 수평연장면과 후방몸체 선단을 후방몸체보다 좁은 폭으로 후방낙하홈이 형성되도록 하향으로 경사지게 연결하는 후방경사면이 구비된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전,후방몸체 상면의 요입된 공간에 걸고리가 구비되며, 상기 전,후방몸체와 돌출부를 보강하도록 철근을 "┌┐"자 형상으로 배근하여 연접되는 다수의 하부 소파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소파블록은, 하부 소파블록 또는 콘크리트블록에 지그재그로 조적되도록 전면이 만곡되면서 상면에 수평안내면이 형성된 전방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전방몸체 후방에 전면이 경사진 전면경사면이 형성된 후방몸체가 구비되며, 상기 전방몸체의 수평안내면 후단에 전방몸체와 동일한 폭으로 상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전방경사면이 구비되고, 상기 전방경사면과 동일한 폭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면이 구비되며, 상기 수평연장면과 후방몸체 선단을 후방몸체와 동일한 폭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결하는 후방경사면이 구비되어 캡콘크리트를 형성하도록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지지하는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전,후방몸체 상면의 요입된 공간에 걸고리가 구비되면서 상기 전,후방몸체와 돌출부를 보강하도록 철근을 "┌┐"자 형상으로 배근하여 연접되는 다수의 상부 소파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소파블록은, 전면이 만곡되면서 상면에 수평안내면이 형성된 전방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전방몸체 후방에 전면이 경사진 전면경사면이 형성된 후방몸체가 구비되며, 상기 전방몸체의 수평안내면 후단에 전방낙하홈이 형성되도록 전방몸체보다 좁은 폭으로 상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해수의 파압을 감쇄시키는 전방경사면이 구비되고, 상기 전방경사면 후방에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면이 구비되며, 상기 수평연장면과 후방몸체 선단을 후방몸체보다 좁은 폭으로 후방낙하홈이 형성되도록 하향으로 경사지게 연결하는 후방경사면이 구비된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전,후방몸체 상면의 요입된 공간에 걸고리가 구비되며, 상기 전,후방몸체와 돌출부를 보강하도록 철근을 "┌┐"자 형상으로 배근하여 연접되는 다수의 하부 소파블록과;
하부 소파블록 또는 콘크리트블록에 지그재그로 조적되도록 전면이 만곡되면서 상면에 수평안내면이 형성된 전방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전방몸체 후방에 전면이 경사진 전면경사면이 형성된 후방몸체가 구비되며, 상기 전방몸체의 수평안내면 후단에 전방몸체와 동일한 폭으로 상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전방경사면이 구비되고, 상기 전방경사면과 동일한 폭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면이 구비되며, 상기 수평연장면과 후방몸체 선단을 후방몸체와 동일한 폭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결하는 후방경사면이 구비되어 캡콘크리트를 형성하도록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지지하는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전,후방몸체 상면의 요입된 공간에 걸고리가 구비되면서 상기 전,후방몸체와 돌출부를 보강하도록 철근을 "┌┐"자 형상으로 배근하여 연접되는 다수의 상부 소파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 소파블록을 이용한 항만 구조물은,
항만 구조물이 설치될 해저면 상면에 수평으로 포설되는 기초사석과;
상기 기초사석에 적어도 1단 이상 설치되는 콘크리트블록과;
상기 콘크리트블록 최상층 상면에 연접되면서 지그재그로 1단 이상 조적되도록 하는 하부 소파블록과;
상기 하부 소파블록 최상층 상면에 연접되면서 지그재그로 조적되도록 하는 상부 소파블록과;
상기 상부 소파블록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는 캡콘크리트와;
상기 해저면에서 형성된 기초사석과 콘크리트블록, 하,상부 소파블록 및 캡콘크리트 후단에 채워지는 뒤채움 사석과;
상기 뒤채움 사석에 채워지는 필터 사석과;
상기 필터 사석에 안착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필터매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방몸체와 후방몸체를 연결하는 돌출부가 이중으로 절곡되어 경사면을 형성하므로 경사면을 하나로 절곡되어 형성할 때보다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여 돌출부의 손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돌출부로 해수가 유입되어 경사면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해수의 파랑이나 파압을 보다 용이하게 감쇄시켜 소파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측면이 면접촉되도록 상부 소파블록이 하부 소파블록에 지그재그로 조적되므로 캡콘크리트 타설시, 바닥에 별도의 거푸집을 설치하지 않아도 됨으로 작업공정을 단축시킴과 아울러 구조의 간소화로 생산성이 증대되어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하부 소파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구성도
도 3은 도 1의 측단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상부 소파블록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평면구성도
도 6은 도 4의 측단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연접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파랑의 진행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하부 소파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의 측단면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상부 소파블록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평면구성도이고, 도 6은 도 4의 측단면구성도이다.
본 발명 소파블록(100)은, 전면이 만곡되면서 상면에 수평안내면(111a)이 형성된 전방몸체(111)가 구비되고, 상기 전방몸체(111) 후방에 전면이 경사진 전면경사면(112a)이 형성된 후방몸체(112)가 구비되며, 상기 전방몸체(111)의 수평안내면(111a) 후단에 전방낙하홈(113a')이 형성되도록 전방몸체(111)보다 좁은 폭으로 상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해수의 파압을 감쇄시키는 전방경사면(113a)이 구비되고, 상기 전방경사면(113a) 후방에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면(113b)이 구비되며, 상기 수평연장면(113b)과 후방몸체(112) 선단을 후방몸체(112)보다 좁은 폭으로 후방낙하홈(113c')이 형성되도록 하향으로 경사지게 연결하는 후방경사면(113c)이 구비된 돌출부(113)가 구비되고, 상기 전,후방몸체(111)(112) 상면의 요입된 공간에 걸고리(114)가 구비되며, 상기 전,후방몸체(111)(112)와 돌출부(113)를 보강하도록 철근을 "┌┐"자 형상으로 배근하여 연접되는 다수의 하부 소파블록(110)이 구성되며, 하부 소파블록(110) 또는 콘크리트블록(220)에 지그재그로 조적되도록 전면이 만곡되면서 상면에 수평안내면(121a)이 형성된 전방몸체(121)가 구비되고, 상기 전방몸체(121) 후방에 전면이 경사진 전면경사면(122a)이 형성된 후방몸체(122)가 구비되며, 상기 전방몸체(121)의 수평안내면(121a) 후단에 전방몸체(121)와 동일한 폭으로 상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전방경사면(123a)이 구비되고, 상기 전방경사면(123a)과 동일한 폭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면(123b)이 구비되며, 상기 수평연장면(123b)과 후방몸체(122) 선단을 후방몸체(122)와 동일한 폭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결하는 후방경사면(123c)이 구비되어 캡콘크리트(230)를 형성하도록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지지하는 돌출부(123)가 구비되고, 상기 전,후방몸체(121)(122) 상면의 요입된 공간에 걸고리(124)가 구비되면서 상기 전,후방몸체(121)(122)와 돌출부(123)를 보강하도록 철근을 "┌┐"자 형상으로 배근하여 연접되는 다수의 상부 소파블록(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삭제
삭제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시공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소파블록(100)의 하부 소파블록(110)과 상부 소파블록(120)을 각각 형성하는 거푸집을 제작하고, 상기 하부 소파블록(110)을 형성하는 거푸집에는 전,후방몸체(111)(112)와 돌출부(113)를 연결보강하는 철근을 "┌┐"자 형상으로 배근한 후, 하부 소파블록(110)을 형성하도록 제작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돌출부(113)가 돌출되는 하부 소파블록(110)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소파블록(120)을 형성하는 거푸집에는 전,후방몸체(121)(122)와 돌출부(123)를 연결보강하는 철근을 "┌┐"자 형상으로 배근한 후, 상부 소파블록(120)을 형성하도록 제작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돌출부(123)가 돌출되는 상부 소파블록(120)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시 하부 소파블록(110)의 후방몸체(112)보다 상부 소파블록(120)의 후방몸체(122)를 더 작게 형성하여 콘크리트의 사용량을 줄여 생산성 및 제조원가의 절감으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상부 소파블록(110)(120)을 항만 구조물(200)이 설치될 해저면의 기초사석(210)에 설치되어 지지하도록 하,상부 소파블록(110)(120)보다 크게 형성하도록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콘크리트블록(220)을 형성한다.
상기의 과정으로 하,상부 소파블록(110)(120) 및 콘크리트블록(220)이 형성되면, 상기 블록들을 설치현장으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만 구조물(200)이 설치될 해저면에 기초사석(210)을 수평으로 포설한다.
상기 해저면에 수평으로 포설된 기초사석(210)에 인양장비(미도시)의 작동으로 콘크리트블록(220)을 적어도 1단 이상 조적하는데, 상기 콘크리트블록(220)은 하부의 콘크리트블록 단부에 상부의 콘크리트블록이 중첩되면서 연접되도록 지그재그로 조적한다.
상기 해저면(210)에 콘크리트블록(220)이 연접되면서 중첩되도록 지그재그 조적되면, 조적된 콘크리트블록(220)의 최상층 상면에 인양장비(미도시)의 작동으로 소파블록(100)의 하부 소파블록(110)을 조적하는데, 상기 하부 소파블록(110)의 걸고리(114)에 인양장비의 인양고리를 걸은 후, 인양 및 안착시켜 중첩되면서 연접되도록 1단 이상 지그재그로 조적한다.
또한, 상기 하부 소파블록(110)의 최상층 상면에 인양장비(미도시)의 작동으로 소파블록(100)의 상부 소파블록(120)을 조적하는데, 상기 상부 소파블록(120)의 걸고리(124)에 인양장비의 인양고리를 걸은 후, 인양 및 하부 소파블록(110)에 중첩되면서 연접되도록 지그재그로 조적한다.
이때, 상기 하,상부 소파블록(110)(120)의 전방몸체(111)(121)와 후방몸체(112)(122) 단부를 모따기 함으로써, 하,상부 소파블록(110)(120)의 조적이 허용오차 범위 즉 1~2cm 범위내에서 용이하게 조적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의 향상으로 작업시간의 단축은 물론 정밀한 시공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과정으로 콘크리트블록(220)에 소파블록(100)이 조적되면, 상기 소파블록(110)의 상부 소파블록(120)에 캡콘크리트(230)를 형성하는데, 상기 상부 소파블록(120)이 연접되어 측면이 면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부 소파블록(120)에는 별도의 바닥거푸집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상부 소파블록(120)의 측면에만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캡콘크리트(230)를 형성한다.
상기 콘크리트블록(220)과 소파블록(100) 및 캡콘크리트(230)가 형성되면, 상기 콘크리트블록(220)과 소파블록(100) 및 캡콘크리트(230)의 후단에 뒤채움 사석(240)을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뒤채움 사석(240)에 필터 사석(250) 및 필터매트(260)를 안착시킨 후, 모래와 자갈을 다지고 아스콘으로 캡콘크리트(230)와 동일 선상으로 포장하면서 항만 구조물(200)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기초사석(210) 전단에 피복석(270)을 채워 기초사석(2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캡콘크리트(230) 전면에 방충재(280)를 가설하여 선박과의 충격을 완화시킴으로 항만 구조물(200) 및 선박의 손상을 방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의 과정으로 항만 구조물(200)이 형성된 상태에서 선박의 이동 및 해수가 소파블록(100)의 하,상부 소파블록(110)(120)으로 이동되는데, 상기 하부 소파블록(110)으로 이동되는 해수는 연접된 하부 소파블록(110)의 전방몸체(111) 사이에 형성된 공동구(110')로 유입됨과 동시에 돌출부(113) 하부를 통해 후방몸체(112)로 이동되어 전면경사면(112a)에 부딪힘과 동시에 전면경사면(112a)에서 부딪혀 반사되는 해수와 공동구(110')로 유입되는 해수가 부딪히면서 해수의 파압이 상쇄된다.
또한, 상부 소파블록(120)으로 이동되는 해수는 연접된 상부 소파블록(120)의 전방몸체(121) 사이에 형성된 공동구(120')로 유입됨과 동시에 해수의 일부는 돌출부(123) 하부를 통해 후방몸체(122)로 이동되면서 전면경사면(122a)에 부딪힘과 동시에 전면경사면(122a)에서 부딪혀 반사되는 해수와 공동구(120')로 유입되는 해수가 부딪히면서 해수의 파압이 상쇄된다.
상기 공동구(120')로 유입되는 해수의 일부는 하부 소파블록(110)의 전방몸체(111)에 형성된 수평안내면(111a)을 따라 돌출부(113)로 이동함과 동시에 돌출부(113)의 전방경사면(113a)을 따라 상향으로 오르면서 해수의 파랑이 지니고 있는 에너지를 소실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전방경사면(113a)으로 이동하는 해수의 일부는 인접된 하부 소파블록(110)의 전방경사면(113a) 사이에 형성된 전방낙하홈(113a')으로 낙하되면서 해수의 파랑이 지니고 있는 에너지가 소실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경사면(113a)으로 이동하는 해수의 일부는 수평연장면(113b)을 따라 후방경사면(113c)으로 이동되면서 인접된 하부 소파블록(110)의 후방경사면(113c) 사이에 형성된 후방낙하홈(113c')으로 낙하되면서 해수의 파랑이 지니고 있는 에너지가 소실됨과 동시에 후방경사면(113c)으로 이동되는 해수의 일부는 상부 소파블록(120)의 후방몸체(122)의 전면경사면(122a)에 부딪히면서 해수의 파랑이 상쇄된다.
상기 전방경사면(113a)으로 이동하는 해수의 일부는 전방경사면(113a)을 따라 상향으로 이동하면서 공간부(120')로 유입되는 해수와 부딪혀 해수의 파랑이 상쇄됨은 물론 상기 상부 소파블록(120)의 돌출부(123) 즉, 전,후방경사면(123a)(123c)과 수평연장면(123b)에 부딪힘과 아울러 부딪혀 반사되는 해수와 충돌하면서 해수의 파랑이 상쇄되어 파압이 감소된다.
상기 해수가 돌출부(113)(123)로 이동할 때, 상기 돌출부(113)(123)는 전,후방경사면(113a)(123a)(113c)(123c)과 수평연장면(113b)(123b)이 연결되면서 이중으로 절곡되어 있으므로 보다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과정으로 항만 구조물(200)에 선박이 접안될 때, 선박의 이동으로 인한 해수의 파랑 및 파압을 소파블록(100)에서 감쇄시킴은 물론 선박이 방충재(280)에 밀착되면서 선박 및 항만 구조물(2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소파블록 110: 하부 소파블록
111: 전방몸체 112: 후방몸체
113: 돌출부 114: 걸고리
120: 상부 소파블록 121: 전방몸체
122: 후방몸체 123: 돌출부
124: 걸고리

Claims (9)

  1. 전면이 만곡되면서 상면에 수평안내면(111a)이 형성된 전방몸체(111)가 구비되고, 상기 전방몸체(111) 후방에 전면이 경사진 전면경사면(112a)이 형성된 후방몸체(112)가 구비되며, 상기 전방몸체(111)의 수평안내면(111a) 후단에 전방낙하홈(113a')이 형성되도록 전방몸체(111)보다 좁은 폭으로 상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해수의 파압을 감쇄시키는 전방경사면(113a)이 구비되고, 상기 전방경사면(113a) 후방에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면(113b)이 구비되며, 상기 수평연장면(113b)과 후방몸체(112) 선단을 후방몸체(112)보다 좁은 폭으로 후방낙하홈(113c')이 형성되도록 하향으로 경사지게 연결하는 후방경사면(113c)이 구비된 돌출부(113)가 구비되고, 상기 전,후방몸체(111)(112) 상면의 요입된 공간에 걸고리(114)가 구비되며, 상기 전,후방몸체(111)(112)와 돌출부(113)를 보강하도록 철근을 "┌┐"자 형상으로 배근하여 연접되는 다수의 하부 소파블록(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록.
  2. 하부 소파블록(110) 또는 콘크리트블록(220)에 지그재그로 조적되도록 전면이 만곡되면서 상면에 수평안내면(121a)이 형성된 전방몸체(121)가 구비되고, 상기 전방몸체(121) 후방에 전면이 경사진 전면경사면(122a)이 형성된 후방몸체(122)가 구비되며, 상기 전방몸체(121)의 수평안내면(121a) 후단에 전방몸체(121)와 동일한 폭으로 상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전방경사면(123a)이 구비되고, 상기 전방경사면(123a)과 동일한 폭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면(123b)이 구비되며, 상기 수평연장면(123b)과 후방몸체(122) 선단을 후방몸체(122)와 동일한 폭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결하는 후방경사면(123c)이 구비되어 캡콘크리트(230)를 형성하도록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지지하는 돌출부(123)가 구비되고, 상기 전,후방몸체(121)(122) 상면의 요입된 공간에 걸고리(124)가 구비되면서 상기 전,후방몸체(121)(122)와 돌출부(123)를 보강하도록 철근을 "┌┐"자 형상으로 배근하여 연접되는 다수의 상부 소파블록(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록.
  3. 전면이 만곡되면서 상면에 수평안내면(111a)이 형성된 전방몸체(111)가 구비되고, 상기 전방몸체(111) 후방에 전면이 경사진 전면경사면(112a)이 형성된 후방몸체(112)가 구비되며, 상기 전방몸체(111)의 수평안내면(111a) 후단에 전방낙하홈(113a')이 형성되도록 전방몸체(111)보다 좁은 폭으로 상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해수의 파압을 감쇄시키는 전방경사면(113a)이 구비되고, 상기 전방경사면(113a) 후방에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면(113b)이 구비되며, 상기 수평연장면(113b)과 후방몸체(112) 선단을 후방몸체(112)보다 좁은 폭으로 후방낙하홈(113c')이 형성되도록 하향으로 경사지게 연결하는 후방경사면(113c)이 구비된 돌출부(113)가 구비되고, 상기 전,후방몸체(111)(112) 상면의 요입된 공간에 걸고리(114)가 구비되며, 상기 전,후방몸체(111)(112)와 돌출부(113)를 보강하도록 철근을 "┌┐"자 형상으로 배근하여 연접되는 다수의 하부 소파블록(110)과;
    하부 소파블록(110) 또는 콘크리트블록(220)에 지그재그로 조적되도록 전면이 만곡되면서 상면에 수평안내면(121a)이 형성된 전방몸체(121)가 구비되고, 상기 전방몸체(121) 후방에 전면이 경사진 전면경사면(122a)이 형성된 후방몸체(122)가 구비되며, 상기 전방몸체(121)의 수평안내면(121a) 후단에 전방몸체(121)와 동일한 폭으로 상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전방경사면(123a)이 구비되고, 상기 전방경사면(123a)과 동일한 폭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면(123b)이 구비되며, 상기 수평연장면(123b)과 후방몸체(122) 선단을 후방몸체(122)와 동일한 폭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결하는 후방경사면(123c)이 구비되어 캡콘크리트(230)를 형성하도록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지지하는 돌출부(123)가 구비되고, 상기 전,후방몸체(121)(122) 상면의 요입된 공간에 걸고리(124)가 구비되면서 상기 전,후방몸체(121)(122)와 돌출부(123)를 보강하도록 철근을 "┌┐"자 형상으로 배근하여 연접되는 다수의 상부 소파블록(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록.
  4. 삭제
  5. 삭제
  6. 항만 구조물(200)이 설치될 해저면 상면에 수평으로 포설되는 기초사석(210)과;
    상기 기초사석(210)에 적어도 1단 이상 설치되는 콘크리트블록(220)과;
    상기 콘크리트블록(220) 최상층 상면에 연접되면서 지그재그로 1단 이상 조적되도록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하부 소파블록(110)과;
    상기 하부 소파블록(110) 최상층 상면에 연접되면서 지그재그로 조적되도록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상부 소파블록(120)과;
    상기 상부 소파블록(120)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는 캡콘크리트(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록을 이용한 항만 구조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해저면에서 형성된 기초사석(210)과 콘크리트블록(220), 하,상부 소파블록(110)(120) 및 캡콘크리트(230) 후단에 채워지는 뒤채움 사석(240)과;
    상기 뒤채움 사석(240)에 채워지는 필터 사석(250)과;
    상기 필터 사석(250)에 안착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필터매트(2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록을 이용한 항만 구조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기초사석(210) 전단에 기초사석(21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채워지는 피복석(2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록을 이용한 항만 구조물.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캡콘크리트(230) 전면에 선박과의 충격을 완화하여 선박 및 항만 구조물(200)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가설되는 방충재(2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록을 이용한 항만 구조물.
KR1020130052012A 2013-05-08 2013-05-08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항만 구조물 KR101359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012A KR101359000B1 (ko) 2013-05-08 2013-05-08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항만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012A KR101359000B1 (ko) 2013-05-08 2013-05-08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항만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9000B1 true KR101359000B1 (ko) 2014-02-06

Family

ID=50269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2012A KR101359000B1 (ko) 2013-05-08 2013-05-08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항만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0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0714B1 (ko) * 2021-06-07 2021-07-21 이희구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KR102569126B1 (ko) 2023-04-13 2023-08-21 현경민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항만구조물
KR102605664B1 (ko) * 2023-04-04 2023-11-22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직립식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0011A (ja) 2004-09-24 2006-04-06 Nishimatsu Constr Co Ltd 消波ブロック
KR100583595B1 (ko) 2005-11-01 2006-05-26 상원개발산업주식회사 소파방재용 블록
KR100609016B1 (ko) * 2006-02-08 2006-08-03 (유) 이도건설 경사면을 갖는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KR100637589B1 (ko) 2004-08-05 2006-10-23 상원개발산업주식회사 접안시설 구축 및 방파용 소파블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7589B1 (ko) 2004-08-05 2006-10-23 상원개발산업주식회사 접안시설 구축 및 방파용 소파블록
JP2006090011A (ja) 2004-09-24 2006-04-06 Nishimatsu Constr Co Ltd 消波ブロック
KR100583595B1 (ko) 2005-11-01 2006-05-26 상원개발산업주식회사 소파방재용 블록
KR100609016B1 (ko) * 2006-02-08 2006-08-03 (유) 이도건설 경사면을 갖는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0714B1 (ko) * 2021-06-07 2021-07-21 이희구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KR102605664B1 (ko) * 2023-04-04 2023-11-22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직립식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KR102569126B1 (ko) 2023-04-13 2023-08-21 현경민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항만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53493B (zh) 基于3d打印的混凝土剪力墙结构及其施工方法
CN104453014B (zh) 3d打印填充墙体与构造柱的连接方法和连接结构
CN104213565B (zh) 一种适用于大型深槽坑陡坡面垫层的支模体系及其支模浇捣施工方法
KR101359000B1 (ko)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항만 구조물
CN104594203B (zh) 一种梁体下方的上垫石施工工艺
CN106164380B (zh) 风力发电机预制基座
CN104358275A (zh) 较深电梯井或集水井施工方法
KR101145393B1 (ko) 대형 블록식 보강토 옹벽
CN103615007B (zh) 一种同时浇筑地下室外墙和底板的施工方法
CN209907429U (zh) 一种工业化密肋板式挡墙
KR101234042B1 (ko) 마찰력을 증대시킨 케이슨 제조방법 및 그 케이슨
JP5681827B2 (ja) 立坑構築方法
KR100998502B1 (ko) 전단키와 강관을 구비한 중력식 프리캐스트 옹벽
KR101120588B1 (ko) 콘크리트 일체성을 향상시키는 수직조인트 부재
JP5681988B2 (ja) 防波堤の補強方法及び補強防波堤
AU2016200205B2 (en) Concrete Block Mat Installation by Gravity Flow
AU2009203120A1 (en) Swimming Pool Construction
CN210288447U (zh) 一种预制基础与地基的连接结构
JP6453165B2 (ja) 底版構築方法および底版構造
CN210086193U (zh) 一种基于混凝土桩支撑的堆石坝溢洪道
CN206859541U (zh) 一种空心现浇钢筋混凝土阶梯
JP2002227167A (ja) 防波構造物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04218348A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布設方法
KR101104957B1 (ko) 블록
CN205604749U (zh) 用于控制后增结构柱竖向变形的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