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3067B1 - 파일가이드용 수상시설물 계류장치 - Google Patents

파일가이드용 수상시설물 계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3067B1
KR101613067B1 KR1020140089178A KR20140089178A KR101613067B1 KR 101613067 B1 KR101613067 B1 KR 101613067B1 KR 1020140089178 A KR1020140089178 A KR 1020140089178A KR 20140089178 A KR20140089178 A KR 20140089178A KR 101613067 B1 KR101613067 B1 KR 101613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rubber block
water
hol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9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8852A (ko
Inventor
김정현
Original Assignee
(주)신화마린
김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화마린, 김정현 filed Critical (주)신화마린
Priority to KR1020140089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3067B1/ko
Publication of KR20160008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일가이드용 수상시설물 계류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의 목적은 수상시설물을 물속에 고정된 파일가이드에 승하강 가능하게 계류시키기 위한 계류장치 구조를 개선하여 수상시설물 및 파일가이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계류장치의 교체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파일가이드용 수상시설물 계류장치』에 의하면; 파일가이드(200) 외곽을 감싸며, 내측에는 파일가이드(200) 외면과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회전롤러(311)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하부에는 부력체(312)가 마련된 승강 프레임(310)과; 상기 승강 프레임(310)의 가장자리에 가로방향으로 고정 배치되며, 상단과 하단에는 제1핀홀(321)이 대향되게 천공된 지지편(322)이 절곡 형성되어 단면이 "ㄷ" 형상을 이루는 제1브래킷(320)과; 상기 제1브래킷(320)과 대향되도록 상기 수상시설물(100)의 가장자리에 가로방향으로 고정 배치되며, 상단과 하단에는 제2핀홀(331)이 대향되게 천공된 지지편(332)이 절곡 형성되어 단면이 "ㄷ"형상을 이루는 제2브래킷(330)과; 탄성 변형이 가능한 고무재로 이루어지며, 일단부는 상기 제1브래킷(320)의 지지편(322)들 사이에 끼워져 배치되며 상기 제1브래킷(320)의 제1핀홀(321)과 연통되도록 제1관통홀(341)이 천공되어 있고, 타단부는 상기 제2브래킷(330)의 지지편(332)들 사이에 끼워져 배치되며 상기 제2브래킷(330)의 제2핀홀(331)과 연통되도록 제2관통홀(342)이 천공된 고무블록(340)과; 상기 제1브래킷(320)의 제1핀홀(321)과 상기 고무블록(340)의 제1관통홀(341)을 상부에서 아래로 관통하도록 끼워져 결합되어, 상기 고무블록(340)의 일단부를 상기 제1브래킷(320)에 착탈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링크핀(350)과; 상기 제2브래킷(330)의 제2핀홀(331)과 상기 고무블록(340)의 제2관통홀(342)을 상부에서 아래로 관통하도록 끼워져 결합되어, 상기 고무블록(340)의 타단부를 상기 제2브래킷(330)에 착탈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2링크핀(3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일가이드용 수상시설물 계류장치{MOORING DEVICE FOR FACILITIES WITH BUOYANCY FUNCTION}
본 발명은 파일가이드용 수상시설물 계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이나 하천 등에 설치되는 수상시설물의 수위가 변하더라도 부력에 의해 정위치에서 부양될 수 있도록 수상시설물을 물속에 고정된 파일가이드에 승하강 가능하게 계류시키기 위한 『파일가이드용 수상시설물 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하천 등에 설치되는 수상시설물(배 승선을 위한 선착장 등과 같은 수상부유체)은 물속에 고정된 복수개의 파일가이드를 통해 수면 상부에 떠받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수상시설물은 수면보다 상당히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즉, 폭우나 상류지역의 댐에서 방출되는 수량에 의해 수위가 올라가는 경우가 빈번하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도 수상시설물을 수월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수면보다 상당히 높게 설치된다. 따라서 강이나 하천의 수위가 그리 높지 않거나 평균 이하로 낮은 경우에는 수상시설물에 별도의 보조다리 등을 부설해야만 배 승선을 할 수 있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대한민국 서울에 있는 한강의 경우 평상시에 비해 장마철에는 수위가 10m 이상 올라가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장소에 고정식 포스트를 통해 수상시설물을 설치하기에는 상당한 불편함이 있다. 즉, 수상시설물을 수면에서 너무 낮게 설치하면 장마철에 수위가 조금만 높아지더라도 물에 잠겨 사용할 수 없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너무 높게 설치하면 평상시에 항상 보조다리 등을 사용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위가 변하더라도 수상시설물이 부력에 의해 정위치에서 부양될 수 있도록 파일가이드에 승하강 가능하게 계류시키기 위한 계류장치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6541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 "수상부유체 계류를 위한 상하유동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면에 부유할 수 있도록 설치된 수상부유체(1;또는 수상시설물)와, 이 수상부유체(1)의 전방과 후방에 설치된 파일가이드(2)와, 수상부유체(1)를 물속에 고정된 파이가이드(2)에 연결하는 연결유닛(3)을 구비한다. 연결유닛(3)은 수상부유체(1)측에 고정 배치되며 파일가이드(2)를 감싸는 승강틀(3a)과, 이 승강틀(3a) 내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며 파일가이드(2) 외면과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회전롤러(3b)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수상부유체(수상시설물)는 수위가 변하더라도 제자리에서 부양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연결유닛(3)의 회전롤러(3b)들이 파일가이드(2)의 외면을 따라 접촉하면서 연결유닛(3)이 용이하게 승하강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수상부유체 계류를 위한 상하유동장치"에서는 연결유닛(3)을 통해 수상부유체(1;수상시설물)가 정위치에서 승하강되지만, 너울이나 파도가 많은 지역에서는 연결유닛(3)의 고정부위가 빈번하게 파손되는 단점이 있다. 즉, 너울이나 파도가 심한 경우 수상부유체(1)가 흔들리면서 연결유닛(3)의 고정부위에 상당한 응력이 집중 발생되며, 연결유닛(3)이 결합되는 수상부유체(1) 가장자리 부위가 파손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연결유닛(3)은 물론이며 수상부유체(1) 가장자리 부위까지 수리를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상시설물을 물속에 고정된 파일가이드에 승하강 가능하게 계류시키기 위한 계류장치 구조를 개선하여 수상시설물 및 파일가이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계류장치의 교체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파일가이드용 수상시설물 계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도(너울)가 심한 악천후 시에는 별도의 공구없이도 수상시설물에서 계류장치를 손쉽게 분해하여 수상시설물 및 계류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파일가이드용 수상시설물 계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위가 변하더라도 부력에 의해 정위치에서 부양될 수 있도록 수상시설물을 물속에 고정된 파일가이드에 승하강 가능하게 계류시키기 위한 파일가이드용 수상시설물 계류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상시설물 계류장치가; 상기 파일가이드 외곽을 감싸며, 내측에는 상기 파일가이드 외면과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회전롤러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하부에는 부력체가 마련된 승강 프레임과; 상기 승강 프레임의 가장자리에 가로방향으로 고정 배치되며, 상단과 하단에는 제1핀홀이 대향되게 천공된 지지편이 절곡 형성되어 단면이 "ㄷ" 형상을 이루는 제1브래킷과; 상기 제1브래킷과 대향되도록 상기 수상시설물의 가장자리에 가로방향으로 고정 배치되며, 상단과 하단에는 제2핀홀이 대향되게 천공된 지지편이 대향되게 절곡 형성되어 단면이 "ㄷ"형상을 이루는 제2브래킷과; 탄성 변형이 가능한 고무재로 이루어지며, 일단부는 상기 제1브래킷의 지지편들 사이에 끼워져 배치되며 상기 제1브래킷의 제1핀홀과 연통되도록 제1관통홀이 천공되어 있고, 타단부는 상기 제2브래킷의 지지편들 사이에 끼워져 배치되며 상기 제2브래킷의 제2핀홀과 연통되도록 제2관통홀이 천공된 고무블록과; 상기 제1브래킷의 제1핀홀과 상기 고무블록의 제1관통홀을 상부에서 아래로 관통하도록 끼워져 결합되어, 상기 고무블록의 일단부를 상기 제1브래킷에 착탈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링크핀과; 상기 제2브래킷의 제2핀홀과 상기 고무블록의 제2관통홀을 상부에서 아래로 관통하도록 끼워져 결합되어, 상기 고무블록의 타단부를 상기 제2브래킷에 착탈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2링크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상시설물 계류장치가 상기 고무블록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배치되며, 일단부에는 상기 고무블록의 제1관통홀과 연통되어 상기 제1링크핀이 관통하도록 제1여유홀이 천공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고무블록의 제2관통홀과 연통되어 상기 제2링크핀이 관통하도록 제2여유홀이 천공된 금속 보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금속 보강판의 제1,제2여유홀이 상기 고무블록의 제1,제2관통홀 직경에 비해 5~10mm 더 크게 천공되어, 상기 금속 보강판이 상기 고무블록의 탄성 변형 정도를 제한하면서 상기 고무블록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금속 보강판이 상기 고무블록의 상면과 하면에 대향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파일가이드용 수상시설물 계류장치』에 의하면; 수위가 변하더라도 부력에 의해 정위치에서 부양될 수 있도록 수상시설물을 물속에 고정된 파일가이드에 승하강 가능하게 계류시키는데, 파도나 너울에 의해 수상시설물이 출렁거리더라도 탄성 변형이 가능한 고무블록에 의해 충격이 완화됨으로써, 수상시설물 및 계류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공구없이도 제1링크핀과 제2링크핀을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수상시설물에서 계류장치가 완전하게 분해되어 노후화된 고무블록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파일가이드용 수상시설물 계류장치』에 의하면; 고무블록의 어느 일면에 배치된 금속 보강판에 의해 고무블록의 탄성 변형 정도가 제한되기 때문에, 수상시설물이 파도나 너울 등에 출렁거리더라도 고무블록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등록특허 제10-1026541호에 개시된 수상부유체 계류를 위한 상하유동장치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수상시설물을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가이드용 수상시설물 계류장치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상시설물 계류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상시설물 계류장치를 확대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상시설물 계류장치의 내부 연결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가이드용 수상시설물 계류장치의 동작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가이드용 수상시설물 계류장치의 구조를 보인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가이드용 수상시설물 계류장치의 동작상태를 보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일가이드용 수상시설물 계류장치의 구성 설명>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수상시설물(100)은 부력에 의해 수면으로 떠오를 수 있도록 하부가 부양체(110)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수상시설물(100)의 가장자리는 알루미늄 프레임으로 감싸여져 있다. 이러한 수상시설물(100)의 가장자리는 일정한 간격으로 물속에 고정된 파일가이드(200)들에 계류되어 있다. 부양체(110)는 부력을 가지면서 그 상부에 승선을 위한 플렛폼 등과 같은 수상시설물(100)이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다수의 밀폐된 공간부를 갖도록 이루어져 누수가 부분적으로 발생하더라도 부력이 발생되고 이를 통해 부양체 침수가 방지된다. 이러한 부양체(110)는 우수한 부력을 발휘할 수 있는 다공성 발포 스티로폼(EPS)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파일가이드(200)들은 수상시설물(100)이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요동하지 않고 상하방향(도 2의 화살표 방향 참조)으로만 승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게 가이드하는 것으로, 하단은 수중의 바닥면에 매립 고정되어 있고 수직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파일가이드용 수상시설물 계류장치(300)는 수위가 변하더라도 수상시설물(100)이 부력에 의해 정위치에서 부양될 수 있도록 수상시설물(100)을 물속 지반에 매립되어 세워져 고정된 파일가이드(200)에 승하강 가능하게 계류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일가이드(200) 외곽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승하강이 가능한 승강 프레임(310)과, 승강 프레임(310)의 가장자리에 고정 배치되는 제1브래킷(320)과, 이 제1브래킷(320)과 대향되도록 수상시설물(100)의 가장자리에 고정 배치되는 제2브래킷(330)과, 일단은 제1브래킷(320)에 끼워져 배치되고 타단은 제2브래킷(330)에 끼워져 배치되는 고무블록(340)과, 고무블록(340)의 일단을 제1브래킷(320)에 착탈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링크핀(350)과, 고무블록(340)의 타단을 제2브래킷(330)에 착탈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2링크핀(360)과, 고무블록(340)의 어느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고무블록(34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금속보강판(370)을 구비하고 있다.
승강 프레임(310)은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파일가이드(200)가 여유있게 수용될 수 있도록 철재 프레임과 판넬을 통해 제작한 것으로, 이의 내측에는 파일가이드(200) 외면과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회전롤러(311)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회전롤러(311)들은 탄성 변형이 가능한 우레탄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외력이 가해질 때 파일가이드(200) 외면과 부딪치면서 완충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승강 프레임(310)의 하부에는 수상시설물(100)과 수면에서 대략 균일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부력체(312;일명 '부력통'이라 함)가 배치되어 있다. 즉, 부력체(312)는 파일가이드(200)를 감싸도록 설치된 계류장치(300)가 자중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1브래킷(320)은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프레임(310)의 가장자리에 가로방향으로 고정 배치되며, 상단과 하단에는 한쌍의 제1핀홀(321;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핀홀 직경이 22mm로 천공됨)이 대향되게 천공된 지지편(322)이 절곡 형성되어 단면이 대략 "ㄷ"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1브래킷(320)을 승강 프레임(310)의 전면부 양측에 대향되게 배치 구성하였다.
제2브래킷(330)은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브래킷(320)과 대향되도록 수상시설물(100)의 가장자리에 가로방향으로 고정 배치되며, 상단과 하단에는 한쌍의 제2핀홀(331;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핀홀 직경이 22mm로 천공됨)이 대향되게 천공된 지지편(332)이 절곡 형성되어 단면이 대략 "ㄷ"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제1브래킷(320)과 제2브래킷(330)은 금속판을 절곡하여 구성한 것이며; 마운팅볼트(323)(333)를 통해 승강 프레임(310)과 수상시설물(100)의 가장자리에 견실하게 고정 배치된다.
고무블록(340)은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변형이 가능한 직육면체 블록 형태의 고무재로 이루어지며, 이의 일단부는 제1브래킷(320)의 지지편(322)들 사이에 끼워져 배치되고, 이의 타단부는 제2브래킷(330)의 지지편(332)들 사이에 끼워져 배치된다. 이러한 고무블록(340)의 일단부에는 제1브래킷(320)의 제1핀홀(321)과 연통되도록 제1관통홀(341)이 두께방향으로 천공되어 있고, 고무블록(340)의 타단부에도 제2브래킷(330)의 제2핀홀(331)과 연통되도록 제2관통홀(342)이 두께방향으로 천공되어 있다.{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1관통홀(341)과 제2관통홀(342)의 직경을 22mm로 천공하였음.}
제1링크핀(350)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브래킷(320)의 제1핀홀(321)과 고무블록(340)의 제1관통홀(341)을 상부에서 아래로 관통하도록 끼워져 결합되어, 고무블록(340)의 일단부를 제1브래킷(320)에 착탈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2링크핀(360)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브래킷(330)의 제2핀홀(331)과 고무블록(340)의 제2관통홀(342)을 상부에서 아래로 관통하도록 끼워져 결합되어, 고무블록(340)의 타단부를 제2브래킷(330)에 착탈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1링크핀(350)과 제2링크핀(360)을 대략 역 U 형상으로 밴딩하여 한쌍으로 이루어진 제1,제2핀홀(321)(331)을 동시에 관통 결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제1링크핀(350)과 제2링크핀(360)은 18mm 직경의 환봉을 밴딩하여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파일가이드(200) 외곽을 감싸는 승강 프레임(100)은 제1링크핀(350)과 제2링크핀(360)을 통해 고정된 고무블록(340)을 통해 수상시설물(1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따라서 파도나 너울 등에 의해 수상시설물(100)이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려는 외력을 받을 경우, 고무블록(340)이 탄성 변형(압축/인장 변형)되면서 수상시설물(100) 및 파일가이드(200)가 직접적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고무블록(340) 양단부는 별도의 공구 없이도 분해/조립이 가능한 제1링크핀(350)과 제2링크핀(360)을 통해 조립되어 있는데, 악천후가 예상되는 날씨에는 고무블록(340)을 수상시설물(100) 또는 계류장치(300)측에서 완전하게 분해하여 수상시설물(100) 및 계류장치(3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금속 보강판(370)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블록(340)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의 일단부에는 고무블록(340)의 제1관통홀(341)과 연통되어 제1링크핀(350)이 관통하는 제1여유홀(371)이 천공되고, 이의 타단부에는 고무블록(340)의 제2관통홀(342)과 연통되어 제2링크핀(360)이 관통하는 제2여유홀(372)이 천공되어 있다.{이러한 금속 보강판(370)은 부식이 발생되지 않는 금속판재(일명, 서스판재)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금속 보강판(370)의 제1,제2여유홀(371)(372) 직경을 30mm로 천공하였는데; 이것은 고무블럭(340)의 압축/인장 변형을 어느 정도 범위내로 제한하기 위함이다. 실질적으로 고무블럭(340)에 천공된 제1,제2관통홀(341)(342) 직경에 비해 금속 보강판(370)의 제1,제2여유홀(371)(372) 직경을 5~10mm 정도 더 크게 천공하여, 금속 보강판(370)이 고무블럭(340)의 압축/인장 변형을 직경 공차 범위내에서만 허용하여 고무블록(340)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금속 보강판(36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고무블록(340)의 상면과 하면에 대향되게 배치하였는데, 이에 한정하지 않고 고무블록(340)의 중간 내부 또는 고무블럭(340)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만 구성하여도 본 발명의 소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일가이드용 수상시설물 계류장치의 작동 및 효과 설명>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파일가이드용 수상시설물 계류장치의 작동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도 2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수상시설물 계류장치(300)들을 통해 계류된 수상시설물(100)은 강이 범람하거나 수위가 상승하는 경우에도 부양체(110)가 부력에 의해 수면에 떠오르며, 이와 함께 수상시설물(100)의 가장자리 역시 파일가이드(200)를 따라 승강한다(도 2의 화살표 방향 참조). 이때, 계류장치(300) 승강 프레임(310)의 회전롤러(311)들이 파일가이드(200) 외면을 따라 접촉하면서 구름 운동함으로써, 이의 승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다시 수위가 낮아지면 수상시설물(100)은 계류장치(300)와 함께 내려와 항상 정위치에서 수면에 떠오른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수상시설물(100)의 승하강 동작은 계류장치(300)를 통해 각각의 파일가이드(200)에 승하강 가능하게 계류되어 있기 때문이다.
한편, 파도나 너울 등에 의해 수상시설물(100)이 반복적으로 출렁거릴 수 있는데(도 9의 화살표 방향 참조), 이러한 경우에는 계류장치(300)의 고무블록(340)에 의해 충격이 완화되는 것은 물론이며 승강 프레임(310)이 항상 수평상태로 복원 유지되어 이의 승하강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즉, 수성시설물(100)이 파도나 바람과 같은 외부 힘에 의해 전,후 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려는 외력을 받는 경우 고무블록(340)은 탄성 변형되면서 수상시설물(100) 및 파일가이드(2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고무블록(340)은 자체의 탄성 복원력을 통해 완충효과를 발휘하면서, 승강 프레임(310)의 처짐 현상을 바로잡아 수평상태로 복원 유지시킨다.
또한, 고무블록(340)의 탄성 변형(압축/인장 변형) 정도는 고무블록(340) 제1,제2관통홀(341)(342)과 금속 보강판(370) 제1,제2여유홀(371)(372) 직경 차이만큼 허용되며, 그 이상의 탄성 변형은 금속 보강판(370)에 의해 허용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고무블록(340)의 탄성 변형 정도가 어느 정도 범위내로 제한되기 때문에 이의 손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고무블록(340)의 노후화로 이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링크핀(350)과 제2링크핀(360)을 상측으로 들어올림으로써, 금속 보강판(370)과 고무블록(340)을 손쉽게 분해한 후 교체 작업을 할 수 있다.
한편, 파도(너울)가 심한 악천후 시에도 별도의 공구없이도 수상시설물(100)에서 계류장치(300)를 손쉽게 분해하여 수상시설물(100) 및 계류장치(3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제1링크핀(350)과 제2링크핀(360)을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금속 보강판(370)과 고무블록(340)이 별도의 공구 없이도 분해됨으로써, 파일가이드(200)를 감싸도록 배치된 계류장치(300)와 수상시설물(100)이 분리된다. 이에 따라 파도(너울)가 심한 악천후 시에는 수상시설물(100)에서 계류장치(300)를 완전하게 분해하여 이들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100..수상시설물 110..부양체 200..파일가이드
300..계류장치 310..승강 프레임 311..회전롤러
312..부력체 320..제1브래킷 321..제1핀홀
322..지지편 323..마운팅볼트 330..제2브래킷
331..제2핀홀 332..지지편 333..마운팅볼트
340..고무블록 341..제1관통홀 342..제2관통홀
350..제1링크핀 360..제2링크핀 370..금속 보강판
371..제1여유홀 372..제2여유홀

Claims (4)

  1. 수위가 변하더라도 부력에 의해 정위치에서 부양될 수 있도록 수상시설물(100)을 물속에 고정된 파일가이드(200)에 승하강 가능하게 계류시키기 위한 파일가이드용 수상시설물 계류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상시설물 계류장치(300)는;
    상기 파일가이드(200) 외곽을 감싸며, 내측에는 상기 파일가이드(200) 외면과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회전롤러(311)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수상시설물(100)과 동일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부에는 부력체(312)가 마련된 승강 프레임(310)과;
    상기 승강 프레임(310)의 가장자리에 가로방향으로 복수개가 고정 배치되며, 상단과 하단에는 제1핀홀(321)이 대향되게 천공된 지지편(322)이 절곡 형성되어 단면이 "ㄷ" 형상을 이루는 제1브래킷(320)과;
    상기 제1브래킷(320)과 대향되도록 상기 수상시설물(100)의 가장자리에 가로방향으로 복수개가 고정 배치되며, 상단과 하단에는 제2핀홀(331)이 대향되게 천공된 지지편(322)이 절곡 형성되어 단면이 "ㄷ" 형상을 이루는 제2브래킷(330)과;
    탄성 변형이 가능한 고무재로 이루어지며, 일단부는 상기 제1브래킷(320)의 지지편(322)들 사이에 끼워져 배치되며 상기 제1브래킷(320)의 제1핀홀(321)과 연통되도록 제1관통홀(341)이 상하 방향으로 천공되어 있고, 타단부는 상기 제2브래킷(330)의 지지편(332)들 사이에 끼워져 배치되며 상기 제2브래킷(330)의 제2핀홀(331)과 연통되도록 제2관통홀(342)이 상하 방향으로 천공된 고무블록(340)과;
    상기 제1브래킷(320)의 제1핀홀(321)과 상기 고무블록(340)의 제1관통홀(341)을 상부에서 아래로 관통하도록 끼워져 결합되어, 상기 고무블록(340)의 일단부를 상기 제1브래킷(320)에 착탈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링크핀(350)과;
    상기 제2브래킷(330)의 제2핀홀(331)과 상기 고무블록(340)의 제2관통홀(342)을 상부에서 아래로 관통하도록 끼워져 결합되어, 상기 고무블록(340)의 타단부를 상기 제2브래킷(330)에 착탈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2링크핀(360)과;
    상기 고무블록(340)의 상면과 하면을 각각 덮도록 배치되며, 일단부에는 상기 고무블록(340)의 제1관통홀(341)과 연통되어 상기 제1링크핀(350)이 관통하도록 제1여유홀(371)이 천공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고무블록(340)의 제2관통홀(342)과 연통되어 상기 제2링크핀(360)이 관통하도록 제2여유홀(372)이 천공되되, 상기 제1,제2여유홀(371)(372)은 상기 고무블록(340)의 제1,제2관통홀(341)(342) 직경에 비해 5~10㎜ 더 크게 천공되어 상기 고무블록(340)의 탄성 변형 정도를 제한하면서 상기 고무블록(340)의 손상을 방지하는 금속 보강판(3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가이드용 수상시설물 계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40089178A 2014-07-15 2014-07-15 파일가이드용 수상시설물 계류장치 KR101613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178A KR101613067B1 (ko) 2014-07-15 2014-07-15 파일가이드용 수상시설물 계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178A KR101613067B1 (ko) 2014-07-15 2014-07-15 파일가이드용 수상시설물 계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852A KR20160008852A (ko) 2016-01-25
KR101613067B1 true KR101613067B1 (ko) 2016-04-29

Family

ID=55306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9178A KR101613067B1 (ko) 2014-07-15 2014-07-15 파일가이드용 수상시설물 계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30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698B1 (ko) * 2020-07-03 2021-03-08 한옥철 사동선 구조의 frp 해상작업대
CN112224349B (zh) * 2020-10-22 2021-06-01 山东黄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堤坝防汛抗洪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372B1 (ko) * 2014-03-31 2014-06-24 김정민 파일가이드용 수상시설물 계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3625A (ja) * 1998-04-06 1999-10-26 Sumitomo Rubber Ind Ltd 浮桟橋係留装置
KR100491129B1 (ko) * 2003-04-07 2005-05-24 박중석 도로용 가드레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372B1 (ko) * 2014-03-31 2014-06-24 김정민 파일가이드용 수상시설물 계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852A (ko) 201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0372B1 (ko) 파일가이드용 수상시설물 계류장치
WO2006030042A1 (es) Vivero sumergible perfeccionado
US9903081B2 (en) Floating flap gate
KR101613067B1 (ko) 파일가이드용 수상시설물 계류장치
KR101273537B1 (ko) 부력보강부재가 구비된 푼툰을 이용한 부유해상구조물
CN109642402B (zh) 沉箱块建造方法和沉箱块结构
KR101555362B1 (ko) 부유 구조물
KR102248621B1 (ko) 부유이송 해상지지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BR112014031667B1 (pt) Plataforma offshore flutuante, e, método de estabilizar uma plataforma offshore flutuante
KR20140063012A (ko) 방파 및 방풍장치
JP6492340B2 (ja) 非常用防護装置
KR101127624B1 (ko) 부잔교에 접안되는 보트의 리프팅 장치
US4290381A (en) Floating marina
CN105386938A (zh) 用于海上风电升压站的柔性支架装置
KR100783119B1 (ko) 부력기능을 갖는 시설물
CN210942165U (zh) 一种可用于水上光伏的浮台
CN105216971A (zh) 浮体定位桩
KR102376885B1 (ko) 스폰손을 탑재한 코퍼댐의 부력구조
GB2450875A (en) Flood prevention barrier incorporating a float member
JP2005139865A (ja) 水中仮締切り設備及びその施工方法
US20210102352A1 (en) Flood Protection
KR100802194B1 (ko) 선착장
DK2860314T3 (en) Gravity fundering
KR20200127564A (ko) 부력 보강용 에어파이프를 갖는 양식장용 부유식 구조물
KR102192138B1 (ko) 부유식 수상구조물의 수위조절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