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5698B1 - 사동선 구조의 frp 해상작업대 - Google Patents

사동선 구조의 frp 해상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5698B1
KR102225698B1 KR1020200081906A KR20200081906A KR102225698B1 KR 102225698 B1 KR102225698 B1 KR 102225698B1 KR 1020200081906 A KR1020200081906 A KR 1020200081906A KR 20200081906 A KR20200081906 A KR 20200081906A KR 102225698 B1 KR102225698 B1 KR 102225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ffshore
frp
plate
groove
workbe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옥철
Original Assignee
한옥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옥철 filed Critical 한옥철
Priority to KR1020200081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56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0/00Harvesting oysters, mussels, spong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1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 B63B1/1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 B63B1/125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comprising more than two hulls
    • B63B2001/126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comprising more than two hulls comprising more than three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52Fibre reinforced plastics materi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동선 구조의 FRP 해상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쌍동선(110)으로 구성되는 사동선(100)에 장착되어 해상 작업을 하는 사동선 구조의 FRP 해상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쌍동선(110)이 마주하는 측면 사이에 구성되되 상부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레일(210)이 구성되는 거치대(200); 상기 거치대(200)의 내부에 구성되는 모터(320)와, 상기 거치대(200)의 내부에 구성되되 모터(320)와 연결 구성되어 작동하는 체인(330)으로 구성되는 이동수단(300); 상기 사동선(100)의 상부에 구성되되, 양측에 슬라이드홀(411)이 형성되고, 상부에 다수의 탄성부재삽입홈(413)이 형성되는 하판(410)과, 상기 탄성부재삽입홈(413)에 삽입되는 탄성부재(420)와, 상기 하판(410)의 상부에 분할된 형태로 각각 형성되되 상호 대응하는 측면이 맞닿게 배치되고, 상부 가장자리에 다수의 결합홈(431)과 상부 일측에 상기 결합홈(431)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끼움홈(433)이 각각 형성되며, 양측 하단부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턱(435)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홀(411)에 각각 슬라이딩 결합되고, 하부에 상기 탄성부재삽입홈(413)과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부(437)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삽입홈(413)에 끼워져 탄성부재(420)를 눌름하는 중판(430)과, 상기 하판(410)의 상부와 중판(430)의 하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각각 배치되는 우레탄 재질의 탄성체(440)와, 하부 양측에 끼움돌기(451)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433)에 끼워져 중판(430)을 고정하는 고정부재(450)와, 상기 중판(430)의 상부에 구성되되 양측에 상기 결합홈(431)과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홈(46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461)과 결합홈(431)을 결합하는 결합부재(463)를 포함하는 FRP재질의 상판(460)으로 구성되는 작업대(400); 로 구성됨으로써, 해상작업대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배수량을 더욱 분산시켜서 조파저항을 최소화시킴과 아울러, 상부의 작업대를 결합 및 분리가능한 구조를 통한 유지보수에 탁월한 효과를 가질 수가 있고, 나아가 내부의 탄성구조에 따라 자칫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작업자들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시키며, 사동선의 내부에 다수의 공간을 형성하여 초기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가 있고, 작업대의 최상부에 해상작업 중 자칫 해상작업대의 기울어짐 등 무게중심이 맞지 않을 시, 밸런스카운터를 통해 균형유지를 시켜 작업자들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사동선 구조의 FRP 해상작업대{FRP offshore work platform}
본 발명은 사동선 구조의 FRP 해상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상작업대의 최상부(작업대)에 결합 및 분리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오랜 사용 시 파손으로부터 유지보수에 탁월한 효과를 가질 수가 있고, 하부의 사동선의 내부에 다수의 공간을 형성하고 최초 제작 시 원가 절감이 가능하며, 나아가 상부에 밸런스카운터를 통해 해상작업대의 균형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양식되는 여러 가지 해산물 중에서 멍게, 굴이나 일부 패류 들은 줄에 부착된 상태로 양식되고 있으며, 이러한 해산물은 선상 또는 지상으로 끌어올린 후 줄에서 떼어내야 하는데, 종래에는 통상 작업자가 칼을 이용하여 줄과 연결된 부분을 잘라 해산물을 채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형태로 해산물을 채취할 때에는, 작업속도가 느려 생산성이 떨어지고, 특히 숙련된 작업자의 아니면 작업이 쉽지 않아 작업에 더욱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어, 해산물 채취기를 이용하여 주로 해산물을 채휘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해산물 채취기는 단동선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 단동선이 해양의 조류를 받을 때 출렁거리게 되어 그 위에서 작업하기란 여간 힘든 게 아니었으며, 채취된 해산물을 갑판의 작업대 위에서 작업할 경우 해산물이 담긴 바구니를 사람들이 직접 들어서 옮긴 후 작업해야 하고, 또한 배에서 채취된 해산물을 지상의 다른 장소로 이동시킬 때에 배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직접 옮겨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쌍동선은 배수량을 비교적 가는 2개의 선체가 분담하도록 하여 그 두 개의 선체를 갑판 또는 그 밖의 구조물로 연결한 선박을 말하는데, 필요한 배수량을 양분하여 쌍동으로 하면 각 선체는 가늘어지기 때문에 조파저항은 줄어들어 유리하나, 두 선체를 합한 전침수 표면적은 늘어나게 되어 마찰저항에는 불리한 결과가 되어 조파저항이 큰 비율을 차지하는 고속선에서 많이 사용하기도 하지만 쌍동을 갑판으로 연결하는 관계로 단동선보다 저렴한 건조비로 넓은 갑판 면적을 얻을 수 있으며, 전체적인 배의 폭이 커지기 때문에 복원성도 좋아 여객선이나 해양 탐사선과 같이 넓은 면적이 필요한 작업선 및 조사선에 유리하다.
한편, 본 발명의 출원인과 동일한 출원인이 발명한 것으로 등록번호 10-2021170호(특)는 쌍동선 위에 FRP(Fiber Reinforced Plastics)재질의 작업대를 구비하여 해상에서 해산물을 채취하는 작업을 하는 쌍동선 구조의 FRP 해상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쌍동선의 배와 배 사이의 공간부 그리고 해수면 위인 상기 작업대의 하부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레일을 설치하되, 상기 레일은 상기 쌍동선이 마주하는 측면에 구비된 거치대의 상부에 설치되고, 해산물이 담긴 바구니의 상단부가 상기 레일에 얹혀 매달리게 하여 이동수단을 통해 전후방으로 이동되게 하는 기술이다.
상기한 기술의 쌍동선은 단순히 해상에서 작업 시 바구니의 이동이 편리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편리성이 부여되는 것을 중심적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근래에는 모든 산업분야에 걸쳐 유지보수를 통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다양한 구조 변경 및 설계를 하여 생산하는 목적에 부합되지 못하는 기술이다.
다시 말해, 쌍동선의 상부에 작업대가 하나의 플레이트 형태로 안착되어 있어, 자칫 파손이 일어날 경우 전체적인 교체를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 한 쌍의 쌍동선으로 각각 이어지게 형성하여 사동선을 구성시켜 해상작업대를 해상에 정박해둔 상태에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사동선의 상부에 작업대를 구성하되, 결합 및 분리구조를 제공하여 자칫 발생할 수 있는 파훼손, 파손 등으로부터 유지보수에 탁월한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결합 및 분리구조를 갖는 내부에는 탄성체 및 탄성부재를 구성시켜 파도 등 기타 외부 충격이 발생할 시, 그 충격을 완화시켜서 작업자로 그 전달력을 저하시킬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해상작업대의 무게중심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안전성 및 편리성을 동시에 부여할 수 있는 사동선 구조의 FRP 해상작업대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한 쌍의 쌍동선(110)으로 구성되는 사동선(100)에 장착되어 해상 작업을 하는 사동선 구조의 FRP 해상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쌍동선(110)이 마주하는 측면 사이에 구성되되 상부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레일(210)이 구성되는 거치대(200); 상기 거치대(200)의 내부에 구성되는 모터(320)와, 상기 거치대(200)의 내부에 구성되되 모터(320)와 연결 구성되어 작동하는 체인(330)으로 구성되는 이동수단(300); 상기 사동선(100)의 상부에 구성되되, 양측에 슬라이드홀(411)이 형성되고, 상부에 다수의 탄성부재삽입홈(413)이 형성되는 하판(410)과, 상기 탄성부재삽입홈(413)에 삽입되는 탄성부재(420)와, 상기 하판(410)의 상부에 분할된 형태로 각각 형성되되 상호 대응하는 측면이 맞닿게 배치되고, 상부 가장자리에 다수의 결합홈(431)과 상부 일측에 상기 결합홈(431)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끼움홈(433)이 각각 형성되며, 양측 하단부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턱(435)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홀(411)에 각각 슬라이딩 결합되고, 하부에 상기 탄성부재삽입홈(413)과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부(437)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삽입홈(413)에 끼워져 탄성부재(420)를 눌름하는 중판(430)과, 상기 하판(410)의 상부와 중판(430)의 하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각각 배치되는 우레탄 재질의 탄성체(440)와, 하부 양측에 끼움돌기(451)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433)에 끼워져 중판(430)을 고정하는 고정부재(450)와, 상기 중판(430)의 상부에 구성되되 양측에 상기 결합홈(431)과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홈(46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461)과 결합홈(431)을 결합하는 결합부재(463)를 포함하는 FRP재질의 상판(460)으로 구성되는 작업대(400); 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동선(100)의 상부 양측에는 일정간격 이격되는 다수의 고정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하판(410)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홈(120)과 대응하는 돌기(417)가 형성되어 상호 끼움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동선(100)의 내부에는 해상작업대의 전체적인 무게를 경량화시킬 수 있도록 일정간격 이격되는 다수의 공간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하판(410)의 하부는 상기 공간부(130)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끼움되거나, 별도의 밀폐부재(500)를 구성하여 상기 공간부(130)에 끼워 밀폐시키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간부(130)는 상측에 단턱부(131)가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재(500)는 상기 단턱부(131)에 안착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판(460)의 하측 중앙부에는, 상기 고정부재(450)의 상측 일부분이 인입될 수 있는 인입홈(465)이 형성되어, 상기 중판(430)과 결합 시 상호 마주하는 면이 완전히 맞닿게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판(460)의 상부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드레일(467)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레일(467)이 안착되는 밸런스카운터(469)가 구성되어, 상기 해상작업대의 무게중심이 맞지 않을 시 상기 밸런스카운터(469)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켜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레일(467)에는 상기 밸런스카운터(469)가 이동 후 고정될 수 있는 걸림턱(467a)이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동선 구조의 FRP 해상작업대에 의하면, 해상작업대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배수량을 더욱 분산시켜서 조파저항을 최소화시킴과 아울러, 상부의 작업대를 결합 및 분리가능한 구조를 통한 유지보수에 탁월한 효과를 가질 수가 있고, 나아가 내부의 탄성구조에 따라 자칫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작업자들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시키며, 사동선의 내부에 다수의 공간을 형성하여 초기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가 있고, 작업대의 최상부에 해상작업 중 자칫 해상작업대의 기울어짐 등 무게중심이 맞지 않을 시, 밸런스카운터를 통해 균형유지를 시켜 작업자들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거치대 및 이동수단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작업대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중판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동선과 작업대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사동선의 상부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상판에 구성된 밸런스카운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해상작업대의 최상부에 결합 및 분리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오랜 사용 시 파손으로부터 유지보수에 탁월한 효과를 가질 수가 있고, 하부의 사동선의 내부에 다수의 공간을 형성하고 최초 제작시 원가 절감이 가능하며, 나아가 상부에 밸런스카운터를 통해 해상작업대의 균형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사동선 구조의 FRP 해상작업대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9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해상작업대로 사용되는 것으로, 해상에서 해산물을 채취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동선(100), 거치대(200), 이동수단(300) 및 작업대(400)로 대분 구성된다.
①사동선(100)
상기 사동선(100)은 도 1, 5, 6,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쌍동선(110)으로 구성되되, 상기 한 쌍의 쌍동선(110)이 서로 연결되어 최종적으로 사동선(100)을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사동선(100)의 상부 양측에는 일정간격 이격되는 다수의 고정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하판(410)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홈(120)과 대응하는 돌기(417)가 형성되어 상호 끼움 구성되게 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사동선(100)과 작업대(400)를 결합 또는 연결함에 있어서 고정력을 높일 수가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홈(120)과 돌기(417)의 형상의 경우 상호 끼움 및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될 수가 있고, 본 발명에서는 사각형 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또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동선(100)의 내부에는 해상작업대의 전체적인 무게를 경량화시킬 수 있도록 일정간격 이격되는 다수의 공간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하판(410)의 하부는 상기 공간부(130)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끼움되거나, 별도의 밀폐부재(500)를 구성하여 상기 공간부(130)에 끼워 밀폐시키도록 하여, 해상작업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초기 제작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부(130)는 상측에 단턱부(131)가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재(500)는 상기 단턱부(131)에 안착되도록 하여, 상기 밀폐부재(500)로 공간부(130)를 밀폐시켜 분리시키지 못하는 구조가 아닌, 선택적으로 필요에 따라 분리시킨 후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가 있게 된다.
②거치대(200)
상기 거치대(200)는 도 1, 2,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쌍동선(110)이 마주하는 측면 사이에 구성되되 상부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레일(210)이 구성되도록 하여, 하기될 이동수단(300)들이 내부에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게 되고, 상부에는 상기 이동수단(300)의 일부 구성요소인 바구니(350)의 상부 양측 하단부가 안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거치대(200)는 단면이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쌍동선(110)이 마주하는 측면 사이 공간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쌍동선(110)과의 결합은 통상의 결합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질적으로 사동선(100)의 내부에 구성되어, 해상에 해상작업대가 위치 시, 바닷물과 접촉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③이동수단(300)
상기 이동수단(300)은 도 1, 2,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200)의 내부에 구성되는 모터(320)와, 상기 거치대(200)의 내부에 구성되되 모터(320)와 연결 구성되어 작동하는 체인(330)으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이동수단(300)은 종래의 해상작업대에 설치된 이동수단들과 유사한 구조 및 개념을 가진 구성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모터(320)에 의해, 상기 모터(320)와 연결된 체인(330)이 회전하면서 상부 양측하단부는 상기 거치대(200)의 레일(210)에 안착되고, 하부는 상기 체인(330)에 안착되어, 자연스레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체인(330)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무한궤도방식으로 회전하기 위해서는, 거치대(200)의 내부 일측과 타측에 축이 설치되고, 하나의 축은 모터(320)와 연결되어 회전되게 구성되며, 상기한 구성 및 구조는 통상의 회전구조를 적용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④작업대(400)
상기 작업대(400)는 본 발명의 핵심구성요소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410), 탄성부재(420), 중판(430), 탄성체(440), 고정부재(450), 상판(46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판(410)은 도 3, 5,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상기 사동선(100)의 상부에 구성되되, 양측에 상기 중판(430)의 돌출턱(435)가 인입되어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드홀(41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탄성부재(420)가 삽입되는 탄성부재삽입홈(41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홀(41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판(430)의 돌출턱(435)가 삽입되되, 상기 돌출턱(435)의 상하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중판(430)이 상, 하부로 일정부분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슬라이드홀(411)에 의해, 본 발명의 해상작업대에 외부요인으로 충격 등이 발생할 경우 각각의 구성들의 파손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삽입홈(413)은 탄성부재(420)의 상하 높이보다 더 깊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420)의 이탈을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 탄성부재(420)는 밀림성질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삽입홈(413)에 삽입되고, 일측이 상기 탄성부재삽입홈(413)에 맞닿고 타측이 상기 중판의 돌출부(437)의 하단부와 맞닿게 되어, 항상 상기 중판(430)과 하판(410)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밀림시키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420)의 가장 큰 목적은, 본 발명의 목적중 하나인 외부요인으로 해상작업대에 충격이 발생할 시, 그 충격이 해상작업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들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작업대(4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밀림성질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420)는 탄성부재삽입홈(413)의 개수에 대응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판(430)은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판(410)의 상부에 분할된 형태로 각각 형성되되 상호 대응하는 측면이 맞닿게 배치된다.
즉, 분할된 각각의 중판이 상호 맞닿게 되어 하나의 중판(430)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중판(430)의 상부 가장자리에 다수의 결합홈(431)과 상부 일측에 상기 결합홈(431)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끼움홈(433)이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홈(431)은 하기될 상판(460)과의 결합을 위한 구성이고, 상기 끼움홈(433)은 분할된 형태로 맞닿게 배치되어 완전한 고정을 이루기 위하여 하기될 고정부재(450)의 양측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중판(430)은 측면이 맞닿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450)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중판(430)의 양측 하단부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턱(435)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홀(411)에 각각 슬라이딩 결합되게 되는데, 고정부재(450)에 의해 중판(430)이 하나로 형성되기 때문에 슬라이드홀(411) 상에서 안정적인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중판(430)이 분할되게 형성되는 이유는, 중판(430)과 하판(410)을 연결함에 있어서, 중판(430)의 돌출턱(435)를 하판(410)의 슬라이드홀(411)에 끼움시키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판(430)의 각각의 돌출턱(435)를 하판(410)의 슬라이드홀(411)에 끼움시킨 후,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밀림하면 그 측면이 맞닿게 배치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끼움홈(433)에 고정부재(450)를 끼워 중판(430)을 고정시켜 하나의 중판(430)으로 구성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중판(430)의 하부에는 상기 탄성부재삽입홈(413)과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부(437)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삽입홈(413)에 끼워져 중판(430)의 무게로 인해 자연스레 탄성부재(420)를 눌름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437)은 상기 탄성부재삽입홈(413)의 개수와 대응되게 형성되, 분할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호 맞닿는 부분은 상호 맞닿는 하부각각이 합쳐서 하나의 돌출부(437)을 형성한다.
상기 탄성체(440)는 상기 하판(410)의 상부와 중판(430)의 하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각각 배치되며 그 재질은 우레탄 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체(440)는 본 발명의 하판(410)과 중판(430)을 연결할 시, 그 사이에 구조상 자연스레 공간이 마련되는데, 이 공간을 메워 상기 탄성부재(420)의 부담을 덜어주면서 더욱 안정적인 탄성작용을 통해 외부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가 있게 되며, 상기 탄성체(440)는 상기 공간을 모두 메울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일부분만 메울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본 발명에서는 모두 메워진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로써 한정짓지 아니한다.
상기 고정부재(450)는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양측에 끼움돌기(451)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433)에 끼워져 중판(430)을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앞서 설명하나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450)는 중판(430)이 분할된 것을 완벽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중판(430)이 맞닿는 부분이 벌어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가 있다.
상기 상판(460)은 상기 중판(430)의 상부에 구성되되 양측에 상기 결합홈(431)과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홈(46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461)과 결합홈(431)을 결합하는 결합부재(463)를 포함하는 FRP재질로 구성된다.
즉, 상기 연결홈(461)이 결합홈(431)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463)을 통해 상판(460)과 중판(430)을 결합하게 되며, 전체적으로 FRP재질로 형성되도록 하여 방수기능을 가질 수가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460)의 하측 중앙부에는, 상기 고정부재(450)의 상측 일부분이 인입될 수 있는 인입홈(465)이 형성되어, 상기 중판(430)과 결합 시 상호 마주하는 면이 완전히 맞닿게 형성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고정부재(450)를 단순히 무게하중 및 결합부재(463)의 결합력으로 고정지지하는 것이 아닌, 상호 끼워지도록 하며 인입홈(465)에 의해 양측이 고정됨과 동시에 결합부재(463)을 통해 상부가 눌려짐으로써, 파손, 훼손, 중판(430)의 벌어짐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460)의 상부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드레일(467)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레일(467)이 안착되는 밸런스카운터(469)가 구성되어, 상기 해상작업대의 무게중심이 맞지 않을 시 상기 밸런스카운터(469)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켜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슬라이드레일(467)과 밸런스카운터(469)는 해상작업대가 자칫 무게하중이 일측방향으로 쏠릴 경우, 해상작업대 뒤짐힘등으로 각종안전사고가 발생할 수가 있는데, 이러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도록 함과 아울러, 해상작업대의 무게중심 등 균형을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편리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획기적인 구성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동선 구조의 FRP 해상작업대에 의하면, 해상작업대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배수량을 더욱 분산시켜서 조파저항을 최소화시킴과 아울러, 상부의 작업대를 결합 및 분리가능한 구조를 통한 유지보수에 탁월한 효과를 가질 수가 있고, 나아가 내부의 탄성구조에 따라 자칫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작업자들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시키며, 사동선의 내부에 다수의 공간을 형성하여 초기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가 있고, 작업대의 최상부에 해상작업 중 자칫 해상작업대의 기울어짐 등 무게중심이 맞지 않을 시, 밸런스카운터를 통해 균형유지를 시켜 작업자들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100 : 사동선
110 : 쌍동선 120 : 고정홈 130 : 공간부 131 : 단턱부
200 : 거치대 210 : 레일
300 : 이동수단 320 : 모터 330 : 체인 350 : 바구니
400 : 작업대
410 : 하판 411 : 슬라이드홀 413 : 탄성부재삽입홈
417 : 돌기
420 : 탄성부재
430 : 중판 431 : 결합홈 433 : 끼움홈 435 : 돌출턱
437 : 돌출부
440 : 탄성체 450 : 고정부재 451 : 끼움돌기
460 : 상판 461 : 연결홈 463 : 결합부재 465 : 인입홈
467 : 슬라이드레일 467a : 걸림턱 469 : 밸런스카운터

Claims (6)

  1. 한 쌍의 쌍동선(110)으로 구성되는 사동선(100)에 장착되어 해상 작업을 하는 사동선 구조의 FRP 해상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쌍동선(110)이 마주하는 측면 사이에 구성되되 상부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레일(210)이 구성되는 거치대(200);
    상기 거치대(200)의 내부에 구성되는 모터(320)와, 상기 거치대(200)의 내부에 구성되되 모터(320)와 연결 구성되어 작동하는 체인(330)으로 구성되는 이동수단(300);
    상기 사동선(100)의 상부에 구성되되, 양측에 슬라이드홀(411)이 형성되고, 상부에 다수의 탄성부재삽입홈(413)이 형성되는 하판(410)과, 상기 탄성부재삽입홈(413)에 삽입되는 탄성부재(420)와, 상기 하판(410)의 상부에 분할된 형태로 각각 형성되되 상호 대응하는 측면이 맞닿게 배치되고, 상부 가장자리에 다수의 결합홈(431)과 상부 일측에 상기 결합홈(431)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끼움홈(433)이 각각 형성되며, 양측 하단부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턱(435)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홀(411)에 각각 슬라이딩 결합되고, 하부에 상기 탄성부재삽입홈(413)과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부(437)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삽입홈(413)에 끼워져 탄성부재(420)를 눌름하는 중판(430)과, 상기 하판(410)의 상부와 중판(430)의 하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각각 배치되는 우레탄 재질의 탄성체(440)와, 하부 양측에 끼움돌기(451)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433)에 끼워져 중판(430)을 고정하는 고정부재(450)와, 상기 중판(430)의 상부에 구성되되 양측에 상기 결합홈(431)과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홈(46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461)과 결합홈(431)을 결합하는 결합부재(463)를 포함하는 FRP재질의 상판(460)으로 구성되는 작업대(40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동선 구조의 FRP 해상작업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동선(100)의 상부 양측에는 일정간격 이격되는 다수의 고정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하판(410)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홈(120)과 대응하는 돌기(417)가 형성되어 상호 끼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동선 구조의 FRP 해상작업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동선(100)의 내부에는 해상작업대의 전체적인 무게를 경량화시킬 수 있도록 일정간격 이격되는 다수의 공간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하판(410)의 하부는 상기 공간부(130)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끼움되거나,
    별도의 밀폐부재(500)를 구성하여 상기 공간부(130)에 끼워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동선 구조의 FRP 해상작업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130)는 상측에 단턱부(131)가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재(500)는 상기 단턱부(131)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동선 구조의 FRP 해상작업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460)의 하측 중앙부에는,
    상기 고정부재(450)의 상측 일부분이 인입될 수 있는 인입홈(465)이 형성되어,
    상기 중판(430)과 결합 시 상호 마주하는 면이 완전히 맞닿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동선 구조의 FRP 해상작업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460)의 상부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드레일(467)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레일(467)이 안착되는 밸런스카운터(469)가 구성되어,
    상기 해상작업대의 무게중심이 맞지 않을 시 상기 밸런스카운터(469)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켜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동선 구조의 FRP 해상작업대.
KR1020200081906A 2020-07-03 2020-07-03 사동선 구조의 frp 해상작업대 KR102225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906A KR102225698B1 (ko) 2020-07-03 2020-07-03 사동선 구조의 frp 해상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906A KR102225698B1 (ko) 2020-07-03 2020-07-03 사동선 구조의 frp 해상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5698B1 true KR102225698B1 (ko) 2021-03-08

Family

ID=75184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906A KR102225698B1 (ko) 2020-07-03 2020-07-03 사동선 구조의 frp 해상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569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7118B2 (en) * 1996-09-30 2002-10-22 Martin Marietta Materials Modular polymeric matrix composite load bearing deck structure
KR20090124424A (ko) * 2008-05-30 2009-12-03 이향제 부유조립체
KR20110073185A (ko) * 2009-12-22 2011-06-29 한국과학기술원 컨테이너용 해상 크레인
KR20160008852A (ko) * 2014-07-15 2016-01-25 (주)신화마린 파일가이드용 수상시설물 계류장치
KR20160145247A (ko) * 2015-06-09 2016-12-20 김택렬 Frp 쌍동 바지선
KR20170138669A (ko) * 2016-06-08 2017-12-18 한옥철 쌍동선 구조의 frp 해상작업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7118B2 (en) * 1996-09-30 2002-10-22 Martin Marietta Materials Modular polymeric matrix composite load bearing deck structure
KR20090124424A (ko) * 2008-05-30 2009-12-03 이향제 부유조립체
KR20110073185A (ko) * 2009-12-22 2011-06-29 한국과학기술원 컨테이너용 해상 크레인
KR20160008852A (ko) * 2014-07-15 2016-01-25 (주)신화마린 파일가이드용 수상시설물 계류장치
KR20160145247A (ko) * 2015-06-09 2016-12-20 김택렬 Frp 쌍동 바지선
KR20170138669A (ko) * 2016-06-08 2017-12-18 한옥철 쌍동선 구조의 frp 해상작업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27979B (zh) 举升系统
DE69910840D1 (de) Schwimmende arbeitsplattform
US7314017B2 (en) Mechanical flexor drive connector system for modular causeway system
KR102225698B1 (ko) 사동선 구조의 frp 해상작업대
US20210355643A1 (en) Easily-expandable wave-dissipating block having artificial fish reef function
US7063036B2 (en) System for connecting buoyant marine bodies
JP6279292B2 (ja) 自航式重機搭載作業船
US4015552A (en) Semi-submersible drill barge
CN214451671U (zh) 港口航道工程用航标灯
CN214607996U (zh) 一种水面航行器
CN210591260U (zh) 一种腿式两栖船
JPH10280375A (ja) 分割組立式海上作業台船
KR20170138669A (ko) 쌍동선 구조의 frp 해상작업대
CN102046458B (zh) 配合
CN214216082U (zh) 一种带有重型铰支座的船舶举升装置
CN216887918U (zh) 一种开沟机配件用的收纳箱
CN211646320U (zh) 用于海上桩基定位导向和勘探的升降平台
CN117397626A (zh) 一种具有榫卯连接机构的模块化组合式人工鱼礁
CN203937825U (zh) 一种船舶钻井平台
CN211055334U (zh) 一种浮箱组装式水上移动平台
CN214301531U (zh) 一种港航工程防波堤结构
Hansen et al. Restocking the river Akerselv, Oslo with Atlantic salmon smolts Salmo salar L. of different stocks
JP4441672B2 (ja) 簡易な連結部を有するプッシャーバージ型集塵作業船
CN117230747A (zh) 一种拼接式防撞击码头结构及拼装方法
JPS6018480A (ja) 2隻のタンカを連結型運搬船兼浮ドツクに改造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