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7624B1 - 부잔교에 접안되는 보트의 리프팅 장치 - Google Patents

부잔교에 접안되는 보트의 리프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7624B1
KR101127624B1 KR1020110098317A KR20110098317A KR101127624B1 KR 101127624 B1 KR101127624 B1 KR 101127624B1 KR 1020110098317 A KR1020110098317 A KR 1020110098317A KR 20110098317 A KR20110098317 A KR 20110098317A KR 101127624 B1 KR101127624 B1 KR 101127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t
fixed
lift
frame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종철
Original Assignee
(주)에이스마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스마린 filed Critical (주)에이스마린
Priority to KR1020110098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76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7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7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06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by vertical movement of vessel, i.e. by cran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CSHIP-LIFTING DEVICES OR MECHANISMS
    • E02C5/00Mechanisms for lifting ships vertically
    • E02C5/02Mechanisms for lifting ships vertically with floating chambers

Abstract

본 발명은, 부잔교에 접안되는 보트가 리프트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유동방지부에 의해 유동을 방지하여 파랑(波浪)에 의한 흔들림으로 보트와 부잔교가 서로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여 보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트를 안전하게 계류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부잔교에 접안되는 보트의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잔교에 접안되는 보트의 리프팅 장치{Lifting devices for the boat docked floating platform}
본 발명은, 보트가 접안되는 부잔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잔교에 접안되는 보트가 리프트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유동방지부에 의해 유동을 방지하여 파랑(波浪)에 의한 흔들림으로 보트와 부잔교가 서로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여 보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트를 안전하게 계류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부잔교에 접안되는 보트의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호수, 댐 등과 같은 물가에 고정체와 고리를 로프로 연결하여 보트의 접안 및 계류시키기 위해 접안시설인 부잔교(浮棧橋)가 설치되는데, 상기 부잔교는, 상자형의 부체인 폰툰(pontoon)을 물에 띄우고, 그 위에 철근콘크리트, 강판, 목재로 바닥판을 깔아 여객의 승,하선시설로 활용된다.
상기 부잔교 내부에 보트가 접안되는 접안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접안공간으로 보트가 접안된 상태에서 보트의 밧줄을 부잔교에 고정된 윈치부재에 고정한 후, 윈치부재의 작동으로 밧줄에 텐션을 유지하면서 계류시킨다.
그러나 상기 부잔교의 접안공간에 계류중인 보트가 파랑에 의해 흔들리면서 보트가 부잔교와 부딪침이 발생함에 따라 부잔교 및 보트가 변형되거나 파손되어 유지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보트의 흔들림에 따라 발생하는 안전상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잔교의 접안공간에 계류중인 보트의 저면이 수면과 근접되게 위치함으로써, 파랑에 의한 보트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부잔교에 접안되는 보트의 리프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랑에 의한 보트 및 부잔교의 파손을 방지하여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부잔교에 접안되는 보트의 리프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부잔교에 접안되는 보트의 리프팅 장치는,
부잔교에 형성된 접안공간과;
상기 접안공간의 부잔교에 고정되어 리프트부로 이동한 보트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와;
상기 유동방지부에 고정되어 접안공간으로 진입하는 보트의 충격을 흡수하면서 보트의 저면이 수면과 근접하도록 승강시키는 리프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잔교의 접안공간에 계류중인 보트의 저면이 수면과 근접되게 위치함으로써, 파랑에 의한 보트의 유동을 방지하여 안정감있게 계류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파랑에 의한 보트 및 부잔교의 파손을 방지함으로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구성도
도 3은 도 1의 측면구성도
도 4는 도 3의 확대도
도 5는 도 1의 정면구성도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의 측면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1의 정면구성도이다.
본 발명 부잔교에 접안되는 보트의 리프팅 장치(100)는, 부잔교(10)에 형성된 접안공간(110)이 구성되고, 상기 접안공간(110)의 부잔교(10)에 고정되어 보트(20)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120)가 구성되며, 상기 유동방지부(120)에 고정되어 리프트부(130)로 이동한 접안공간(110)으로 진입하는 보트(20)의 충격을 흡수하면서 보트(20)의 저면이 수면과 근접하도록 승강시키는 리프트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유동방지부(120)는, 상기 접안공간(110)이 형성된 부잔교(10)의 내측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고정되는 브라켓(121)이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121)에 수직선상으로 고정되는 이동봉(122)이 구비되며, 상기 이동봉(122)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하면서 폰툰(124)이 내장되도록 공간(123')이 격자형으로 형성되는 프레임(123)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123)의 격자형 공간(123')에 설치되어 부력을 발생하는 폰툰(124)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브라켓(121)은, 'ㄴ', 'ㄷ'자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123)은, 상기 이동봉(122)에 결합되도록 통공이 관통되는 플레이트(123a')가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하부프레임(123a)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프레임(123a)의 양단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각각 고정되어 폰툰(124)이 내장되는 공간(123')을 형성하는 수직프레임(123b)이 구비되며, 상기 공간(123')에 내장된 폰툰(124)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수직프레임(123b)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상부프레임(123c)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리프트부(130)는, 상기 접안공간(110)으로 진입하는 보트(20)의 충격을 흡수하도록 유동방지부(120)의 하단부에 일정높이 이격되게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격흡수부(131)가 구비되고, 상기 충격흡수부(131)에서 충격이 흡수된 보트(2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유동방지부(12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이동안내부(132)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안내부(132)를 따라 이동하는 보트(20)의 선단으로부터 던져지는 밧줄을 감도록 부잔교(10)에 고정되는 윈치부재(13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충격흡수부(131)는, 상기 유동방지부(120)에 구비된 프레임(123)에 고정되어 보트(20)의 이동을 안내하는 고정리프트(131a)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리프트(131a)와 완충리프트(131c)를 연결하면서 고정리프트(131a)의 선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연결프레임(131b)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프레임(131b)에 고정되어 접안공간(110)으로 진입하는 보트(20)의 선단 저면에 밀착되는 완충리프트(131c)가 구비되며, 상기 완충리프트(131c)로 전달되는 보트(20)의 충격을 흡수하여 복원시키는 충격흡수부재(131d)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충격흡수부재(131d)는, 상기 유동방지부(120)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완충리프트(131a)(131c)에 상기 보트(20)의 이동을 안내하는 로울러(131e)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연결프레임(131b)은, 상기 고정리프트(131a)와 힌지부재(134)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이동안내부(132)는, 상기 유동방지부(120)에 구비된 프레임(123)에 고정되어 보트(20)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리프트(132a)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리프트(132a)에 보트(20)의 이동을 안내하는 로울러(132b)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설치 및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접안공간(110)이 형성되는 부잔교(10)를 통상의 방법으로 형성하고, 상기 접안공간(110)에 위치하도록 프레임(123)을 성형하는데, 상기 프레임(123)은, 통공이 관통되는 플레이트(123a')가 돌출된 하부프레임(123a)을 직사각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직사각형상의 하부프레임(123a) 내부에는 별도의 지지프레임(미도시)가 일정간격으로 고정되어 하부프레임(123a)에 안착되는 폰툰(124)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하부프레임(123a)의 양단에 수직프레임(123b)을 일정간격 이격되게 각각 고정하여 공간(123')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123')에 폰툰(124)을 장착시켜 하부프레임(123a)에 안착시킨 후,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의 수직프레임(123b)을 상부프레임(123c)으로 고정하여 폰툰(124)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며, 상기 하부프레임(123a)의 플레이트(123a')에 관통된 통공(미도시)으로 이동봉(122)을 결합한다.
상기 이동봉(122)의 양단부는 'ㄴ', 'ㄷ' 자 중 어느 하나의 브라켓(121)에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121)은 접안공간(110)이 형성된 부잔교(10) 내측면 상,하부 모서리에 고정된다.
또한, 양단에 고정된 폰툰(124) 사이의 프레임(123) 선단에 후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하나 이상의 충격흡수부(131)를 고정하는데, 상기 충격흡수부(131)는, 상기 프레임(123)에 고정리프트(131a)를 고정하고, 상기 고정리프트(131a)의 리브(미도시)에 연결프레임(131b)을 힌지부재(134)로 연결하며, 상기 연결프레임(131b) 선단을 완충프레임(131c)으로 연결한 후, 유동방지부(120)에 고정된 충격흡수부재(131d)가 상기 완충프레임(131c) 저면에 구비된다.
상기 충격흡수부(131)보다 높도록 프레임(123)의 후단에 이동안내부(132)의 이동리프트(132a)를 고정한 후, 상기 접안공간(110)과 근접된 부잔교(10) 일측에 윈치부재(133)를 고정하면 보트의 리프팅 장치(100)의 제작이 완료되며, 이를 강이나 호수, 댐 등과 같은 물가에 고정체와 고리를 로프로 연결하고 발판을 연결하면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부잔교(10)의 접안공간(110)에 보트(20)를 계류시키려고, 상기 접안공간(110)으로 보트(20)가 진입하면,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트(20)의 선단부 저면이 충격흡수부(131)의 완충리프트(131c)에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완충리프트(131c)는 보트(20)의 하중에 의해 연결프레임(131b)과 함께 힌지부재(134)를 중심으로 하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완충리프트(131c)가 하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완충리프트(131c)로 전달되는 보트(20)의 충격은, 유동방지부(120)에 고정된 충격흡수부재(131d)에서 1차로 흡수함으로써, 리프팅 장치(100)의 충격을 완화시키게 되고, 상기 충격흡수부재(131d)의 복원력으로 보트(20)를 탄력있게 지지한 상태에서 완충리프트(131c)를 통과한 보트(20)의 선단부 저면은, 고정리프트(131a)로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리프트(131a)와 완충리프트(131c)로 이동하는 보트(20)의 저면이 로울러(131e)에 밀착된 상태이므로, 보트(2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유동방지부(120)의 프레임(123) 선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다수의 충격흡수부(131)를 통과하면서 보트(2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충격흡수부재(131d)에서 흡수함과 동시에 충격흡수부재(131d)의 복원력으로 보트(20)의 저면을 탄력있게 지지한 상태에서 보트(20)의 선단부 저면이 이동안내부(132)의 이동리프트(132a)로 이동하여 로울러(132b)의 회전으로 보트(20)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트(20)가 리프트부(130)로 진입되면서 보트(20)의 하중에 의해 유동방지부(120)가 이동봉(122)을 따라 프레임(123)의 플레이트(123a')가 하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유동방지부(120)의 상면은 폰툰(124)의 부력으로 수면에 근접하거나 수면보다 낮은 위치로 가라앉게 되나, 유동방지부(120)는, 폰툰(124)에 의해 부력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폰툰(124)에 의해 부력을 유지하는 유동방지부(120)에 의해 보트(20)가 리프트부(130)로 이동하면서 보트(20)의 저면이 리프트부(130)에 안착되어 접안공간(110)에 접안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트(20)에서 밧줄을 부잔교(10)에 고정된 수동위치(133)에 고정한 후, 윈치부재(133)를 회전시켜 밧줄을 감으면서 보트(20)를 리프트부(130)의 후단으로 더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윈치부재(133)로 밧줄을 감음에 따라 텐션이 유지되는 밧줄과, 유동방지부(120)의 폰툰(124)의 부력으로 접안공간(110)에 접안된 보트(20)가 파랑에 의해서도 흔들리지 않음으로 보트(20)와 부잔교(10)의 부딪침을 방지하면서 계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보트의 리프팅 장치 110: 접안공간
120:유동방지부 121: 브라켓
122: 이동봉 123: 프레임
124: 폰툰 130: 리프트부
131: 충격흡수부 132: 이동안내부
133: 윈치부재 134: 힌지부재

Claims (10)

  1. 부잔교(10)에 형성된 접안공간(110)과;
    상기 접안공간(110)의 부잔교(10)에 고정되어 리프트(130)부로 이동한 보트(20)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120)와;
    상기 유동방지부(120)에 고정되어 접안공간(110)으로 진입하는 보트(20)의 충격을 흡수하도록 유동방지부(120)의 하단부에 일정높이 이격되게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격흡수부(131)가 구비되고, 상기 충격흡수부(131)에서 충격이 흡수된 보트(2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유동방지부(12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이동안내부(132)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안내부(132)를 따라 이동하는 보트(20)의 선단으로부터 던져지는 밧줄을 감도록 부잔교(10)에 고정되는 윈치부재(133)가 구비된 리프트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잔교에 접안되는 보트의 리프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유동방지부(120)는,
    상기 접안공간(110)이 형성된 부잔교(10)의 내측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고정되는 브라켓(121)과;
    상기 브라켓(121)에 수직선상으로 고정되는 이동봉(122)과;
    상기 이동봉(122)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하면서 폰툰(124)이 내장되도록 공간(123')이 격자형으로 형성되는 프레임(123)과;
    상기 프레임(123)의 격자형 공간(123')에 설치되어 부력을 발생하는 폰툰(124)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잔교에 접안되는 보트의 리프팅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21)은, 'ㄴ', 'ㄷ'자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잔교에 접안되는 보트의 리프팅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프레임(123)은,
    상기 이동봉(122)에 결합되도록 통공이 관통되는 플레이트(123a')가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하부프레임(123a)과;
    상기 하부프레임(123a)의 양단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각각 고정되어 폰툰(124)이 내장되는 공간(123')을 형성하는 수직프레임(123b)과;
    상기 공간(123')에 내장된 폰툰(124)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수직프레임(123b)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상부프레임(123c)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잔교에 접안되는 보트의 리프팅 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충격흡수부(131)는,
    상기 유동방지부(120)에 구비된 프레임(123)에 고정되어 보트(20)의 이동을 안내하는 고정리프트(131a)와;
    상기 고정리프트(131a)와 완충리프트(131c)를 연결하면서 고정리프트(131a)의 선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연결프레임(131b)과;
    상기 연결프레임(131b)에 고정되어 접안공간(110)으로 진입하는 보트(20)의 선단 저면에 밀착되는 완충리프트(131c)와;
    상기 완충리프트(131c)로 전달되는 보트(20)의 충격을 흡수하여 복원시키는 충격흡수부재(131d)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잔교에 접안되는 보트의 리프팅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재(131d)는, 상기 유동방지부(12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잔교에 접안되는 보트의 리프팅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완충리프트(131a)(131c)에 상기 보트(20)의 이동을 안내하는 로울러(131e)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잔교에 접안되는 보트의 리프팅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131b)은, 상기 고정리프트(131a)와 힌지부재(134)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잔교에 접안되는 보트의 리프팅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이동안내부(132)는,
    상기 유동방지부(120)에 구비된 프레임(123)에 고정되어 보트(20)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리프트(132a)와;
    상기 이동리프트(132a)에 보트(20)의 이동을 안내하는 로울러(132b)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잔교에 접안되는 보트의 리프팅 장치.
KR1020110098317A 2011-09-28 2011-09-28 부잔교에 접안되는 보트의 리프팅 장치 KR101127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317A KR101127624B1 (ko) 2011-09-28 2011-09-28 부잔교에 접안되는 보트의 리프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317A KR101127624B1 (ko) 2011-09-28 2011-09-28 부잔교에 접안되는 보트의 리프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7624B1 true KR101127624B1 (ko) 2012-03-23

Family

ID=46142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317A KR101127624B1 (ko) 2011-09-28 2011-09-28 부잔교에 접안되는 보트의 리프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76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6743A1 (en) * 2013-01-03 2014-07-10 Marine Ip Limited Floating dock
CN107795840A (zh) * 2017-09-04 2018-03-13 浙江大学 一种升船机安全保护系统
KR20200001943A (ko) 2018-06-28 2020-01-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계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계류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3288A (ja) * 1993-04-05 1994-10-21 Mitsubishi Heavy Ind Ltd 船体包み込み型動揺抑制装置
US5641242A (en) * 1995-08-04 1997-06-24 Riviere; Rhett C. Apparatus for storing a boat
US20040018054A1 (en) 2002-07-26 2004-01-29 David Rueckert Shadowless floating dock
JP2005313813A (ja) 2004-04-30 2005-11-10 Kesanori Watanabe 簡易マリーナ装置及び船舶の管理方法
KR20070040112A (ko) * 2005-10-11 2007-04-16 김임만 레저 선박용 정박시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3288A (ja) * 1993-04-05 1994-10-21 Mitsubishi Heavy Ind Ltd 船体包み込み型動揺抑制装置
US5641242A (en) * 1995-08-04 1997-06-24 Riviere; Rhett C. Apparatus for storing a boat
US20040018054A1 (en) 2002-07-26 2004-01-29 David Rueckert Shadowless floating dock
JP2005313813A (ja) 2004-04-30 2005-11-10 Kesanori Watanabe 簡易マリーナ装置及び船舶の管理方法
KR20070040112A (ko) * 2005-10-11 2007-04-16 김임만 레저 선박용 정박시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6743A1 (en) * 2013-01-03 2014-07-10 Marine Ip Limited Floating dock
US9487274B2 (en) 2013-01-03 2016-11-08 Marine Ip Limited Floating dock
CN107795840A (zh) * 2017-09-04 2018-03-13 浙江大学 一种升船机安全保护系统
CN107795840B (zh) * 2017-09-04 2020-04-14 浙江大学 一种升船机安全保护系统
KR20200001943A (ko) 2018-06-28 2020-01-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계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계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03746B (zh) 具有用于干式停靠船只的可动潜式平台的半潜式平台
KR20130124207A (ko) 선박과 해양 구조물 간의 이송을 촉진시키기 위한 도킹 장치
KR101127624B1 (ko) 부잔교에 접안되는 보트의 리프팅 장치
KR101555362B1 (ko) 부유 구조물
KR101384115B1 (ko) 수상 계류 및 다목적 보호 장치
KR20130124743A (ko) 자동 높이 조절형 선박 접근 통로를 갖는 타워
KR101383796B1 (ko) 가동식 커튼부재가 장착된 잔교식 안벽
KR101149318B1 (ko) 선박 계류시설
KR20150021305A (ko) 슬라이딩 타입 부유식 발전 플랜트 계류 장치
WO2021017483A1 (zh) 一种弦式系泊系统
KR20160061648A (ko) 접안용 펜더
CN105821807A (zh) 一种可升降的桥墩防撞保护装置
KR102188615B1 (ko) 승강 고정식 부잔교 시설물
KR101793231B1 (ko) 파력저항이 저감된 이동형 수상 구조물
CN104420453A (zh) 一种自升式钻井平台悬臂梁整体合拢方法
KR101658615B1 (ko) 재해예방을 위한 도교 인양 장치
JP6838261B2 (ja) 浮体の係留装置
JP4084651B2 (ja) 浮桟橋装置及び浮桟橋の退避方法
CN106379495A (zh) 一种具有自航能力的码头桩基水下维修作业装置
CN105539739A (zh) 一种码头登船梯
KR20160029473A (ko) 부유식 구조물
KR20150104734A (ko) 도르래를 이용한 선박 계류장치
KR101792481B1 (ko) 선체 외벽 유지보수장비
CN217579997U (zh) 一种码头移动式护舷结构
KR20100129978A (ko) 구조물의 연결 가이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