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615B1 - 승강 고정식 부잔교 시설물 - Google Patents

승강 고정식 부잔교 시설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8615B1
KR102188615B1 KR1020200075544A KR20200075544A KR102188615B1 KR 102188615 B1 KR102188615 B1 KR 102188615B1 KR 1020200075544 A KR1020200075544 A KR 1020200075544A KR 20200075544 A KR20200075544 A KR 20200075544A KR 102188615 B1 KR102188615 B1 KR 102188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r
floating
casing
floating pi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5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형석
Original Assignee
윤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형석 filed Critical 윤형석
Priority to KR1020200075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6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06Bascule bridges; Roller bascule bridges, e.g. of Scherzer type
    • E01D15/08Draw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 고정식 부잔교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부유체를 케이싱에 담아 부잔교 시공의 편의성을 높이고, 간조시에도 부잔교가 해저 바닥에 닿는일 없이 지지수단에 수평으로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부잔교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승강 고정식 부잔교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해상에 부상(浮上)한 상태로 수위에 따라 승강되면서 선박의 정박을 유도할 수 있도록 제공된 부잔교와, 육상과 상기 부잔교 사이에 설치되어 사람이나 운반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제공된 도교를 부잔교 시설물에 있어서, 상기 부잔교의 양측으로 해저 바닥에 박혀 시공되며, 가이드수단을 포함하는 지주를 포함하고, 상기 부잔교는, 상기 가이드수단에 연결되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메시 형태의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수용공간에 배치된 복수의 부유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의 하단부 사이를 연결하며, 간조(干潮)시 상기 부잔교가 해저 바닥에 닿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수단은 지주의 하단부 사이를 교차하여 연결된 와이어로 제공되며, 상기 지주의 상단부에는 걸림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걸림홈부에 걸려 지주를 따라 지주의 하단부에 위치된 가이드바 및 상기 가이드바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지주를 감싸고 있는 고정링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고정링 사이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고정식 부잔교 시설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승강 고정식 부잔교 시설물{An elevating fixing type floating platform facility}
본 발명은 승강 고정식 부잔교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잔교 시공 편의성을 높이고, 간조시에도 부잔교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승강 고정식 부잔교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대형 컨테이너선과 같은 선박의 선적 및 하역, 그리고 크루즈선과 같은 대형 여객선의 승선 및 하선을 위해 선박은 항구에 접안 후 정박을 하게 된다. 이때, 항구에는 콘크리트를 기반으로 하는 전용부두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설된다. 하지만, 콘크리트 시설물인 전용부두(10)는 요트나 보트, 소형 여객선 등의 소형 선박은 접안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가 있다. 물론, 선박의 크기에 관계없이 모든 선박들이 부두에 자유롭게 정박할 수 있도록 부두를 확장한다면 문제가 없겠지만, 접안시설을 갖춘 부두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많은 부지를 확보해야하고 건설비용과 건설기간이 상당하게 소요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부두 확장은 쉽게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이다. 이 외에도, 대규모 부두를 건설함에 있어서, 갯벌의 훼손과 같은 환경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바, 건설 비용 및 여타의 제반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소형 선박이 접안할 수 있는 접안시설물이 요구되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소형 선박 접안시설의 예로써, 바다나 강 또는 호수의 해안인근이나 수역내에 일정한 이동로나 공간부를 제공하면서, 소형 선박을 접안시킬 수 있는 해상부유구조물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해상부유구조물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를 접안시키기 위해 물가에 만들어진 계선시설인 부잔교(棧橋)(20)와, 육지와 잔교(20)를 연결하는 도교(渡橋)(30)로 구성된다. 이러한 부잔교는 조수간만의 차가 많은 해상에서 해수면의 변동에 관계없이 선박의 접안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예컨대 부유교량, 부유도크, 요트 계류장, 부두 선착장 등의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때, 부잔교(20)의 하부에는 물에 뜨는 부력체(21)가 설치되는데, 부력체(21)는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에 의해 고정된다. 고정수단은 브라켓 또는 지지대 등으로 제공되며, 브라켓 또는 지지대 등은 상호 여러개 조립되어 소정 크기의 부유구조체를 이룬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부잔교(20) 부유체(21)는 복수로 제공되고, 부유체 간에 고정수단을 통해 연결됨으로써 작업성이 떨어질 뿐만아니라, 파랑(波浪) 등에 의해 부유체(21)가 유동되는 과정에서 고정수단이 파손되어 유지 보수에 대한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부잔교(20) 부유체(21)는 간조(干潮)시에 해저 바닥에 닿기 때문에 파손의 우려가 높고, 고르지 않은 해저 바닥으로 인해 부유체(21) 역시 기울어 제공되므로 안전사고 등을 이유로 인해 사람의 접근이 금지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부잔교(20) 활용도를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310915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부유체를 연결없이 케이싱안에 수용하여 부잔교를 제공함으로써 부잔교 시공의 편의성을 높이고, 그 부잔교는 지주를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하되 부잔교의 높이 최저점에서는 지지수단을 통해 수평하게 지지되도록 제공됨으로써, 부잔교 파손을 방지하고 부잔교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승강 고정식 부잔교 시설물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해상에 부상(浮上)한 상태로 수위에 따라 승강되면서 선박의 정박을 유도할 수 있도록 제공된 부잔교와, 육상과 상기 부잔교 사이에 설치되어 사람이나 운반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제공된 도교를 부잔교 시설물에 있어서, 상기 부잔교의 양측으로 해저 바닥에 박혀 시공되며, 가이드수단을 포함하는 지주를 포함하고, 상기 부잔교는, 상기 가이드수단에 연결되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메시 형태의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수용공간에 배치된 복수의 부유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의 하단부 사이를 연결하며, 간조(干潮)시 상기 부잔교가 해저 바닥에 닿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수단은 지주의 하단부 사이를 교차하여 연결된 와이어로 제공되며, 상기 지주의 상단부에는 걸림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걸림홈부에 걸려 지주를 따라 지주의 하단부에 위치된 가이드바 및 상기 가이드바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지주를 감싸고 있는 고정링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고정링 사이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고정식 부잔교 시설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케이싱과 상기 지주 사이에는 케이싱의 수평 움직임에 따른 지주와의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는 탄성수단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이때, 상기 가이드바는 지주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가 제공되고, 상기 가이드바 중 상기 케이싱에 대응되는 가이드바에는 지주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홈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승강홈을 따라 구를 수 있는 승강롤러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고정식 부잔교 시설물은 복수의 부유체가 케이싱안에 수용되어 부잔교를 구성함으로써, 별개의 고정수단 및 앵커 등을 이용해 부유체를 서로 연결하지 않더라도 부유체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수단에 대한 유지 보수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으며, 부유체 서로를 일일이 연결하는 작업이 소요되지 않으므로 부잔교 시공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잔교가 지주를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부잔교의 위치가 최저점에서는 지지수단을 통해 부잔교가 해저 바닥에 닿지 않도록 제공됨으로써, 부잔교가 해저 바닥과의 충돌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해저 바닥의 평탄도에 관계없이 부잔교가 수평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간조시에도 부잔교 사용을 가능케 할 수 있으므로, 바다로의 접근이 가능함에 따라 관광 등 부잔교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콘크리트 시설물인 전용부두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소형 선박 접안을 위한 접안시설물인 부잔교 및 도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 고정식 부잔교 시설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 고정식 부잔교 시설물의 부잔교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 고정식 부잔교 시설물의 지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A"방향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 고정식 부잔교 시설물의 부잔교가 지지수단에 지지된 상태를 평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 고정식 부잔교 시설물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승강 고정식 부잔교 시설물은 시공의 편의성을 높였으며, 간조시에 부잔교가 해저 바닥에 닿는 것을 방지하여 조수간만에 관계없이 부잔교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승강 고정식 부잔교 시설물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0)와 부잔교(200)와, 가이드수단(300)과, 지지수단(400)을 포함한다.
지주(100)는 부잔교(200)의 위치를 가이드하고, 조수간만에 따른 수위변화에 대응될 수 있도록 부잔교(200) 승강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지주(100)는 해저 바닥에 박힌 말뚝 형태로 제공되며, 부잔교(200)의 양측에 복수로 파일링(piling)됨이 바람직하다. 지주(100)의 상단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부(110)가 형성되고, 그 걸림홈부(110)에는 걸림홈부(110)를 차폐하는 차폐캡(120)이 마련된다. 걸림홈부(110)는 후술하는 가이드수단(300)이 설치되기 위한 구성으로써, 상방을 향해 개구된 형태로 제공된다.
부잔교(200)는 해상에 부상(浮上)한 상태로 수위에 따라 승강되면서 선박의 정박을 유도하거나 사람이나 화물이 바다로 접근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부잔교(2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210)과, 부유체(220)와, 탄성수단(230)과, 승강롤러(240)를 포함한다.
부잔교(200)의 케이싱(210)은 부유체(220)를 수용하며, 내부에는 부유체(22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케이싱(210)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0) 사이에 위치되며, 후술하는 가이드수단(300)을 통해 지주(100)를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케이싱(210)의 형태는 특정하게 제한되지 않지만, 선박 접안의 효율성 및 공간의 효율성을 위해 직육면체임이 바람직하다. 케이싱(210)은 부유체(220)의 부력 효율성을 위해, 내외부가 통하는 메시(mesh) 형태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케이싱(210)은 몸체(211)와 이 몸체(211)에 탈착 가능한 덮개(212)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케이싱(210)은 덮개(212)의 탈부착을 통해 관리자가 부유체(220)를 수용공간에 넣거나 부유체(22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케이싱(210)의 구성을 통해 부유체(220)가 복수로 마련되더라도 부유체(220)끼리 서로 결속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부잔교(200) 시공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덮개(212)는 상기한 바와 같이 메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양측이 막힌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부잔교(200)의 부유체(220)는 부력을 발생하며, 복수로 제공된다. 부유체(220)는 케이싱(210)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부유체(220)의 구성은 공지된 기술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이때, 복수의 부유체(220)는 서로 결속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결속을 위한 고정수단 등의 구성이 생략될 수 있으며, 부유체(220)간 서로 밀착할 수 있으므로, 케이싱(210)의 수용공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부유체(220)는 케이싱(210)의 형태에 대응됨이 바람직하며, 케이싱(210)이 육면체로 제공되므로 부유체(220) 역시 육면체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부잔교(200)의 탄성수단(230)은 지주(100) 사이에 설치된 부잔교(200)의 승강시, 특히 파랑에 의해 부잔교(200)가 지주(100) 사이에서 유동될 때, 지주(100)와 부잔교(200)의 충돌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탄성수단(230)은 스프링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210)의 양측면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부잔교(200)의 승강롤러(240)는 조수간만에 따른 케이싱(210)의 승강을 유연하게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며, 지주(100)를 따라 구름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승강롤러(2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수단에(230)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가이드수단(300)은 부잔교(200)의 케이싱(210) 승강을 가이드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바(310)와 고정링(320)을 포함한다. 가이드바(310)는 후술하는 지지수단(400)을 지주(100)의 하단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역할도 겸하며, 복수로 제공된다. 가이드바(300)는 지주(100)의 높이 방향으로 제공되며, 지주(100)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로 제공된다. 가이드바(300)는 지주(100)의 걸림홈부(110)에 걸려 결합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를 위해, 가이드바(300)의 상단부는 걸림홈부(110)를 향해 절곡된 걸림후크(311)를 형성한다. 한편 복수의 가이드바(310) 중, 케이싱(210)에 대향되는 가이드바(310)에는 가이드바(310)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홈(312)이 형성된다. 승강홈(312)은 승강롤러(240)가 구름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고정링(320)은 지지수단(400)을 지주(100)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써, 지주(100)의 하단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고정링(320)은 명칭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지주(100)를 감싸는 링(ring)형태로 제공되며, 가이드바(310)의 하단부에 설치된다. 고정링(320)은 복수의 가이드바(310) 하단부에 설치되므로, 복수의 가이드바(310)를 일체화시키는 역할을 겸한다. 이때, 고정링(320)은 결합수단을 통해 가이드바(310)의 하단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가이드바(310)의 단부에 용접을 통해 고정될 수도 있다.
지지수단(400)은 간조시에 부잔교(200)의 케이싱(210)을 케이싱(210)의 하방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도 3,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0) 사이에 설치된다. 지지수단(400)은 간조시 물이 완전히 빠졌을 때 부잔교(200)가 하강되더라도 해저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한 것이다. 즉, 지지수단(400)은 부잔교(200)가 해저 바닥에 접촉되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외에도 지지수단(400)은 하강된 부잔교(200)를 지지하면서 부잔교(200)를 수평하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지지수단(400) 없이 부잔교(200)가 해저 바닥에 닿을 경우, 고르지 못한 해적 바닥을 따라 부잔교(200)가 기울어져 있는 등, 미관을 해칠 뿐만아니라 안전사고의 이유로 사람의 접근이 통제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지지수단(400)을 통해 부잔교(200)가 수평하게 제공될 수 있으므로, 부잔교(200)의 미관을 해치지 않을 뿐만아니라 사람의 통행이 가능하므로 바닷가로의 접근을 통해 부잔교(200)를 관광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등, 간조시에도 부잔교(200)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지지수단(400)은 와이어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며, 강성을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0) 사이에서 교차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지지수단(400)은 장력조절의 편의성을 위해 턴버클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승강 고정식 부잔교 시설물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만조시의 부잔교(200) 상태로써, 부잔교(200)에 소형 선박이 접안될 수 있으며, 도교를 통해 사람 또는 화물이 부잔교(200)로 오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물이 점점 빠지는 경우에, 수위 변화에 따라 부잔교(200)의 케이싱(210)은 하강을 한게 된다. 이때, 케이싱(210)에 설치된 승강롤러(240)는 가이드바(310)의 승강홈(312)을 따라 구르면서 케이싱(210)의 하강을 유연하게 가이드한다. 이후, 물이 모두 빠진 간조시에 케이싱(210)은 하강하다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수단(400)인 와이어에 안착이 된다. 즉, 케이싱(210)은 해저 바닥에 닿기 전에 와이어(400)에 안착됨에 따라, 부잔교(20))는 와이어(400) 위에서 수평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인 것이다.
이와 같이 해저 바닥에 부잔교(200)가 닿지 않고 수평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부잔교(200)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부잔교(200)를 통해 바닷가로의 사람 접근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간조시에도 부잔교(200)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고정식 부잔교 시설물은 부잔교(200)에 복수의 부유체(220)를 마련하되 메시 형태의 케이싱(210)을 통해 부유체(2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잔교(200) 시공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부잔교(200) 하강시에 지지수단(400)에 부잔교(200)가 수평으로 지지될 수 있으므로 간조시에도 부잔교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지주 110 : 걸림홈부
120 : 차폐캡 200 : 부잔교
210 : 케이싱 211 : 몸체
212 : 덮개 220 : 부유체
230 : 탄성수단 240 : 승강롤러
300 : 가이드수단 310 : 가이드바
311 : 걸림후크 312 : 승강홈
320 : 고정링 400 : 지지수단(와이어)

Claims (5)

  1. 해상에 부상(浮上)한 상태로 수위에 따라 승강되면서 선박의 정박을 유도할 수 있도록 제공된 부잔교와, 육상과 상기 부잔교 사이에 설치되어 사람이나 운반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제공된 도교를 부잔교 시설물에 있어서,
    상기 부잔교의 양측으로 해저 바닥에 박혀 시공되며, 가이드수단을 포함하는 지주를 포함하고,
    상기 부잔교는,
    상기 가이드수단에 연결되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메시 형태의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수용공간에 배치된 복수의 부유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의 하단부 사이를 연결하며, 간조(干潮)시 상기 부잔교가 해저 바닥에 닿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수단은 지주의 하단부 사이를 교차하여 연결된 와이어로 제공되며,
    상기 지주의 상단부에는 걸림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걸림홈부에 걸려 지주를 따라 지주의 하단부에 위치된 가이드바 및 상기 가이드바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지주를 감싸고 있는 고정링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고정링 사이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고정식 부잔교 시설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과 상기 지주 사이에는 케이싱의 수평 움직임에 따른 지주와의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는 탄성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고정식 부잔교 시설물.
  3. 삭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는 지주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가 제공되고, 상기 가이드바 중 상기 케이싱에 대응되는 가이드바에는 지주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홈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승강홈을 따라 구를 수 있는 승강롤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고정식 부잔교 시설물.



KR1020200075544A 2020-06-22 2020-06-22 승강 고정식 부잔교 시설물 KR102188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544A KR102188615B1 (ko) 2020-06-22 2020-06-22 승강 고정식 부잔교 시설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544A KR102188615B1 (ko) 2020-06-22 2020-06-22 승강 고정식 부잔교 시설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8615B1 true KR102188615B1 (ko) 2020-12-08

Family

ID=73779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544A KR102188615B1 (ko) 2020-06-22 2020-06-22 승강 고정식 부잔교 시설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6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9837B1 (ko) 2023-06-23 2024-01-29 주식회사 빌드윈 높이 조절형 알루미늄 부잔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7217A (ko) * 2009-12-14 2011-06-22 (주)에이스마린 수상 계류시설
KR101310915B1 (ko) 2011-12-05 2013-09-25 권태규 소형 선박용 부유 타입 접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7217A (ko) * 2009-12-14 2011-06-22 (주)에이스마린 수상 계류시설
KR101310915B1 (ko) 2011-12-05 2013-09-25 권태규 소형 선박용 부유 타입 접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9837B1 (ko) 2023-06-23 2024-01-29 주식회사 빌드윈 높이 조절형 알루미늄 부잔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19645C1 (ru) Базовое основание, опирающееся на морское дно, и способ его установки
CA2637358C (en) Mooring system
CN101356092A (zh) 系泊系统
KR101384115B1 (ko) 수상 계류 및 다목적 보호 장치
KR102188615B1 (ko) 승강 고정식 부잔교 시설물
KR20150046054A (ko) 반잠수식 통합 항구
KR101127624B1 (ko) 부잔교에 접안되는 보트의 리프팅 장치
KR102309460B1 (ko) 항만 플랜트 및 항만 플랜트에 플로팅 바디를 계류시키기 위한 방법
KR101322088B1 (ko) 물양장용 부함
JP6133701B2 (ja) 浮体の係留装置
RU2603340C1 (ru) Морская технологическая ледостойкая платформа
TW201945622A (zh) 海港設施以及在該海港設施停泊浮體的方法
CN104326064A (zh) 一种水上码头
CN209603039U (zh) 一种新型避风锚地墩台排结构
WO2013134815A1 (en) Submersible docking apparatus
KR20160144616A (ko) 전시용 선박의 정박 고정장치
NO172138B (no) Lastoverfoeringsutstyr for en oppbygning til hav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