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4616A - 전시용 선박의 정박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전시용 선박의 정박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4616A
KR20160144616A KR1020150080980A KR20150080980A KR20160144616A KR 20160144616 A KR20160144616 A KR 20160144616A KR 1020150080980 A KR1020150080980 A KR 1020150080980A KR 20150080980 A KR20150080980 A KR 20150080980A KR 20160144616 A KR20160144616 A KR 20160144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mooring
bridge
vessel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랜드
Priority to KR1020150080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4616A/ko
Publication of KR20160144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6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ramps, gangways or outboard ladders ; Pilot lif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시용 선박이 수위 변화 등에 의해 원래의 정해진 정박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계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박을 안벽에 계류하기 위해 안벽과 마주하는 선박의 한쪽 측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된 제1 및 제2무어링 로프과, 한쪽이 선박의 앞부분 양측이나 뒷부분 양측과 힌지 이음으로 연결되고, 반대쪽이 선박의 앞부분이나 뒷부분과 일정 거리를 두고 수저에 박힌 앵커 블록에 힌지 이음으로 연결되어 선박의 정박 위치를 유지시키면서 수위 변화에 따라 선박이 수평 상태로 부상 및 하강하도록 지지하는 트러스와, 선박과 안벽 간의 연결을 위해 안벽과 마주하는 선박의 한쪽 측면에 힌지 이음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터브릿지 및 상기 인터브릿지를 선박 쪽으로 그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들어올리거나 안벽에 대해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위치를 유지시키는 윈치를 포함하는 전시용 선박의 계류장치를 제시한다.

Description

전시용 선박의 계류장치{MOORING DEVICE OF DISPLAY SHIP}
본 발명은 강이나 호수와 같은 수상에 정박하는 전시용 선박의 계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이나 호수의 수위 변화 등에 따른 전시용 선박의 거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원래의 정해진 정박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시용 선박의 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화물의 하역이나 승객의 승하선을 위해 안벽에 접안하게 되는데, 이때 계류장치에 의해 안벽에 계류된다. 선박의 계류장치는 앵커 케이블을 감기 위한 윈들러스(windlass)나 무어링 로프(mooring rope)를 감기 위한 무어링 윈치(mooring winch) 등을 갖는다.
종래의 선박 계류장치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34129호에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계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부유식 해상구조물과 이에 병렬 계류되는 선박을 연결하는 계류삭과, 상기 계류삭이 통과하도록 상기 부유식 해상구조물에 설치되되, 자신과 상기 선박 사이의 계류삭이 상기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나 상기 선박의 길이방향에 60°내지 90°의 각도를 이루도록 하는 페어리드를 포함한다.
한편, 최근 북한의 국지적인 군사도발과 동북아 정세의 긴장감 고조 등 급변하는 안보상황으로 인해 정부나 지자체별로 통일·안보교육을 강화하고 있고,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노후화로 인하여 위험이 예상되거나 심각한 결함으로 수리가 불가능하거나 신장비 또는 신기술 도입으로 인하여 사용의 필요성이 없어진 군함이나 함선과 같은 불용선박 중 일부를 강이나 호수에 정박시켜 전시용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전시용 선박은 종래의 계류장치를 이용한 계류 방식뿐만 아니라, 그 구조나 전시특성에 따라 다양한 계류 방식을 채용할 수 있는데, 주로 안벽에 무어링 로프(mooring rope)나 스틸바(steel bar)를 이용하여 계류시키거나 독(dock) 안에 넣어서 계류시키는 방식을 채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그런데 안벽에 무어링 로프(mooring rope)나 스틸바(steel bar)로 계류시키는 방식은 선박이 부유 상태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므로 물의 흐름이나 바람, 파랑 및 조류 등에 의한 환경하중이 가해질 경우 혹은 수위 변화에 따라 일정한 위치에 정지해 있기 어렵기 때문에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다.
즉, 강이나 호수의 수위 변화에 의해 선박이 수저에 대하여 부상하였다가 다시 하강할 때 물의 흐름이나 바람의 영향 및 파랑, 파압, 파고, 조류의 영향 등으로 인해 원래의 정해진 위치로 하강하지 못하게 되고, 이렇게 되면 선박과 육상을 연결하는 다리나 발판 등의 고정위치가 불안정한 상태로 변동되면서 사람이나 장비 등이 드나드는 데에 상당한 불편함이 따를 수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중대한 안전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독(dock)을 만들어서 계류시키는 방식은 일정 범위 내에서 정박 위치를 유지시키는 장점이 있으나 경제적으로 비용이 많이 들고 수명도 짧은 문제점이 있다.
KR 공개특허 10-2011-0034129 A(2011.04.06) KR 공개특허 10-2015-0048167 A(2015.05.06) KR 등록특허 10-1507486 B1(2015.03.25)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존의 계류장치가 갖는 한계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수위 변화에 따른 전시용 선박의 부상 및 하강에 유연하게 대응함은 물론 물의 흐름이나 바람의 영향 및 파랑, 파압, 파고, 조류 등에 의한 거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원래의 정해진 정박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계류장치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전시용 선박이 수위 변화에 의해 원래의 정해진 정박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계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의 해결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양태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선박을 안벽에 계류하기 위해 안벽과 마주하는 선박의 한쪽 측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된 제1 및 제2무어링 로프과, 한쪽이 상기 선박의 앞부분이나 뒷부분 양측과 힌지 이음으로 연결되고, 그 한쪽의 반대쪽이 상기 선박의 앞부분이나 뒷부분과 일정 거리를 두고 수저에 박힌 앵커 블록과 힌지 이음으로 연결되어 상기 선박의 정박 위치를 유지시키면서 수위 변화에 따라 상기 선박이 수평 상태로 부상 및 하강하도록 지지하는 트러스와, 상기 선박과 상기 안벽 간의 연결을 위해 안벽과 마주하는 선박의 한쪽 측면에 힌지 이음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터브릿지 및 상기 인터브릿지와 연결된 로프를 감거나 풀어서 상기 인터브릿지를 상기 선박 쪽으로 그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들어올리거나 상기 안벽에 대해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위치를 유지시키는 윈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선박의 계류장치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전시용 선박이 수위 변화에 의해 부상 및 하강하는 과정에서 원래의 정해진 정박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선박의 앞부분과 상기 제1 및 제2무어링 로프가 구비된 쪽과 반대쪽 측면에 계류용으로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앵커 및 상기 선박에 상기 제1 및 제2무어링 로프의 한쪽 단부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각각 연결하되, 상기 선박에 고정되어 상하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제1 및 제2무어링 로프와 연결된 슬라이더로 이루어진 커넥터를 더 포함함으로써 수위 변화에 대응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부상 및 하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트러스는 상기 선박을 향해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트러스와 상기 선박의 양측 사이에 펜더가 구비되며, 상기 인터브릿지는 상기 윈치에 의해 들어올리도록 일측이 상기 선박에 힌지 이음으로 연결된 제1브릿지와, 일측이 상기 안벽에 힌지 이음으로 연결된 제2브릿지와, 상기 제1 및 제2브릿지 사이에 위치되어 부력을 가지며 일측에 상기 제1브릿지의 단부가 수평을 이루면서 밀착되도록 밀착부가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제2브릿지와 힌지 이음으로 연결된 폰툰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진동을 흡수하는 안정성과 관람객의 이동 및 승하선 편의성을 도모함은 물론 수위 변화에 따른 인터브릿지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의 해결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실시 양태는, 전시용 선박이 제1 및 제2무어링 로프와 트러스에 의해 수상에 계류되어 있기 때문에 물의 흐름이나 바람의 영향 및 파랑, 파압, 파고, 조류 등에 의해 흔들리거나 그 정박 위치가 하류 등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수위가 상승 및 하강할 경우 전시용 선박을 수평 상태로 일정 범위 내에서 부상 및 하강하도록 안내 및 지지함으로써 원래의 정해진 정박 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시용 선박과 육상의 안벽을 연결하는 인터브릿지가 수위의 상승 후 하강에도 원래의 정해진 위치에서 손상 없이 바르게 부유함으로써 육상과의 연결 상태를 더욱 안전하고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시용 선박의 계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상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시용 선박의 계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상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시용 선박의 계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상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시용 선박의 계류장치 중 제1 및 제2무어링 로프와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시용 선박의 계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수위 상승 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시용 선박의 계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수위 상승 시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시용 선박의 계류장치는 크게 제1 및 제2무어링 로프(10)(20), 트러스(30), 인터브릿지(40) 및 윈치(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앵커(60) 및 커넥터(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무어링 로프(10)(20)는 선박(S)을 안벽(W)에 계류하기 위해 안벽(W)과 마주하는 선박(S)의 한쪽 측면에 일정 거리를 두고 구비되어 있다.
즉, 선박(S)은 안벽(W)에 고정된 제1 및 제2무어링 로프(10)(20)에 의해 수상에서 안벽(W)과 특정 거리 및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무어링 로프(10)(20)는 예를 들어 체인(chain)이나 강선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외에도 선박(S)의 계류로 인한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구조나 재질의 케이블 또는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트러스(30)는 선박(S)의 정박 위치를 유지시키면서 수위 변화에 따라 선박(S)이 수평 상태로 부상 및 하강하도록 지지 및 결박하기 위해 한쪽이 선박(S)의 앞부분(선두) 양측이나 뒷부분(선미) 양측과 힌지(H) 이음(또는 핀 이음)으로 연결되어 있고, 그 한쪽의 반대쪽이 선박(S)의 앞부분이나 뒷부분과 일정 거리를 두고 수저에 박힌 앵커 블록(31)과 힌지(H) 이음(또는 핀 이음)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트러스(30)는 선박(S)의 뱃머리 부분의 삼면을 감싸듯이 배치된 채로 선박(S)의 외부로 돌출된 힌지 부재와 힌지 이음으로 연결되는 바람직하고, 이를 통해 수위가 일정 범위를 유지할 경우 바람이나 물의 흐름, 파랑에 대하여 안정적인 지지력을 확보함으로써 선박(S)의 수평 및 밸런스를 잡아주고 움직임, 흔들림 및 롤링(rolling)을 방지하여 정박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트러스(30)는 예를 들어 빔이나 강관파이프 등을 이용하여 하중을 효과적으로 견딜 수 있도록 삼각형을 기본 형태로 짜여지거나 강성과 진동 및 피로를 고려한 골조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아울러 자중이나 선박(S)과의 연결에 의해 선박(S)과 인접하는 쪽이 처지는 현상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선박(S)을 향해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앵커 블록(31)은 트러스(30)가 외력에 의해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중력식 블록일 수 있고, 또는 부력과 물의 흐름에 저항하기 위해 수저에 구축한 싱크(sinker)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일 수도 있다.
인터브릿지(40)는 선박(S)과 안벽(W) 간을 연결하여 관람객의 승하선 및 이동이 편리하고 안전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이 안벽(W)과 마주하는 선박(S)의 한쪽 측면과 힌지 이음으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인터브릿지(40)는 관람객의 승하선 및 이동 편의성을 도모함은 물론 수위 변화에 따른 연결 부분의 손상 등을 막기 위해 윈치(50)로 한쪽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즉, 인터브릿지(40)는 일측이 선박(S)과 힌지 이음(hinged joint)으로 연결된 제1브릿지(41)와, 일측이 안벽(W)과 힌지 이음(hinged joint)으로 연결된 제2브릿지(42)와, 제1 및 제2브릿지(41)(42) 사이에 위치되어 부력을 가지며 일측에 제1브릿지(41)의 단부가 수평을 이루면서 밀착되도록 밀착부(44)가 형성되고, 타측이 제2브릿지(42)와 힌지 이음(hinged joint)으로 연결된 폰툰(43)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폰툰(43)은 파랑, 파압 및 충격하중과 같은 심한 수상환경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므로 파랑에 의한 휨 모멘트와 충격하중에 의한 전단력 등에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고, 사용기간 중 반영구적으로 손상이 없으며, 구조물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국부 손상하에서 외부의 충격 에너지와 변형을 적절히 흡수하도록 충분한 연성을 지니는 것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폰툰(43)은 충분한 위치 에너지를 갖도록 하기 위해 적절한 크기의 질량과 함께 일정 하중 이상을 부상시킬 수 있는 적절한 부력을 가져야 하므로, 위치 에너지와 부력 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내부의 밀폐된 공간을 다수로 분할 및 구획하고, 그 공간에 물을 흡수하지 아니하면서 물보다 비중이 낮아 수중에서 부상하는 부력재가 충전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부분적인 파손에 의해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부력과 위치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윈치(50)는 인터브릿지(40)와 연결된 로프를 감거나 풀어서 인터브릿지(40)를 선박(S) 쪽으로 그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들어올리거나 안벽(W)에 대해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위치를 유지시켜 인터브릿지(40)를 안벽(W)과 연결하기 위해 안벽과 마주하는 선박의 측면 부분에 인터브릿지(40)와 동일한 개수로 설치되어 있다.
즉, 윈치(50)는 로프를 감아서 인터브릿지(40)를 선박(S)의 상측으로 끌어올리어 안벽(W)과의 연결을 단절할 수 있고, 또는 로프를 풀어서 인터브릿지(40)가 안벽(W)과 수평을 이루도록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윈치(50)는 전동모터나 유압모터 등으로 이루어진 구동부와, 이 구동부에 의해 정방향이나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원통형 드럼과 감속장치 및 제동장치 그리고 로프가 드럼에 원활하게 감기거나 풀리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할 수 있고, 드럼이 구동부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로프를 감아 인터브릿지(40)를 들어올리거나 끌어당기도록 하며, 인터브릿지(40)를 안벽(W)과 연결할 경우 드럼은 자유로이 회전하면서 로프를 푸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앵커(60)는 선박(S)을 수상에 계류하기 위해 선박 앞부분과 제1 및 제2무어링 로프(10)(20)가 구비된 쪽과 반대쪽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있다.
즉, 앵커(60)는 자중에 의해 수저(수중 바닥)에 각각 박히거나 꽂혀서 선박(S)의 정박 위치를 고정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어 있고, 또 윈들러스(windlass) 등으로 감거나 풀어서 길이 및 계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커넥터(70)는 선박(S)에 제1 및 제2무어링 로프(10)(20)의 한쪽 단부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각각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즉, 커넥터(7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S)에 고정되어 상하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71)과, 이 가이드 레일(71)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제1 및 제2무어링 로프(10)(20)와 연결된 슬라이더(72)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가이드 레일(71)은 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그 일부 또는 전부가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커넥터(70)는 그 형태 및 종류에 제한이 없으며, 제1 및 제2무어링 로프(10)(20)가 선박(S)의 부상 및 하강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선박(S)이 안벽(W)과 특정 거리 및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안내 및 지지하는 구성이면 족하다.
한편, 선박(S)이 트러스(30)와 접촉 시 충격을 완화하고 서로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트러스(30)와 선박(S)의 양측 사이에 목재, 합성수지 및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 펜더(미도시)를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선박(S)은 전시용으로 활용하기 위한 불용선박을 지칭하나 그 종류는 한정하지 않으며, 예컨대 선상식당이나 부유식 구조물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시용 선박의 계류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선박(S)은 강이나 호수 등과 같은 정박장소의 수위 변화에 따라 부상 및 하강하도록 물 위에 떠 있고, 트러스(30)에 의해 수평으로 그 정박 위치를 유지한다. 이때,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가 평상시 어떤 기준면 혹은 육지 수준 기점에서 측정한 수면의 높이(이하, '기준수위'라고 총칭함)일 경우 제1 및 제2무어링 로프(10)(20)는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고, 아울러 인터브릿지(40)는 관람객이 드나들 수 있도록 선박(S)과 안벽(W)을 안정적으로 연결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기습 폭우 및 집중호우 또는 상류에서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양의 물을 방류함으로 인해 수위가 일시적으로 높아지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S)은 자체 부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부상하고, 이와 동시에 선박(S) 및 앵커 블록(31)과 각각 힌지(H) 이음으로 연결되어 있는 트러스(30)의 한쪽이 세워진다. 이때, 선박(S)은 트러스(30)의 회전반경에 의해 원래의 정해진 정박 위치(정위치)보다 트러스(30) 쪽으로 약간 이동하고, 인터브릿지(40) 중 폰툰(43)은 자체 부력에 의해 부상하고, 안벽(W) 및 폰툰(43)과 힌지 이음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2브릿지(42)는 폰툰(43)에 의해 비스듬히 기울어진 상태를 이루게 된다.
아울러 제1 및 제2무어링 로프(10)(20)의 선박(S)과 연결 부분은 커넥터(70)의 가이드 레일(71)과 슬라이더(72)에 의해 선박(S)의 부상 높이만큼 아래쪽으로 자연스럽게 위치가 이동되므로 제1 및 제2무어링 로프(10)(20)는 선박(S)의 부상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팽팽하게 긴장되어 안벽(W)에 대한 선박(S)의 계류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후, 수위가 천천히 낮아져서 기준수위가 되면,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S)은 트러스(30)에 의해 원래의 정해진 정박 위치로 하강하고, 이와 동시에 인터브릿지(40) 중 폰툰(43)과 제2브릿지(42)는 원래의 수평 상태를 이루게 된다.
아울러 제1 및 제2무어링 로프(10)(20)의 선박(S)과 연결 부분은 커넥터(70)의 가이드 레일(71)과 슬라이더(72)에 의해 선박(S)의 하강 높이만큼 위쪽으로 자연스럽게 위치가 이동되므로 제1 및 제2무어링 로프(10)(20)는 선박(S)의 하강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팽팽하게 긴장되어 안벽(W)에 대한 선박(S)의 계류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시용 선박의 계류장치는 기준수위 시 선박(S)을 수상에 견고하게 계류시키기 때문에 물의 흐름이나 바람의 영향 및 파랑, 파압, 파고, 조류 등에 의해 선박(S)의 정박 위치가 하류 등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너울이나 파도 등의 물결파와의 충돌간섭 또는 육상으로 오르내릴 때 발생되는 흔들림을 저항력으로 줄여 안전성을 확보는 물론 안정적인 정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수위가 상승 후 하강할 경우 전시용 선박(S)을 수평 상태로 부상 및 하강하도록 지지할 뿐만 아니라 외력에 의해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함으로써 원래의 정해진 정박 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막고, 인터브릿지(40)가 원래의 정해진 위치에서 선박(S)과 안벽(W)을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기습 폭우 및 집중호우 또는 상류에서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양의 물을 방류함으로 인해 선박(S)의 정박 장소 수위가 일시적으로 높아졌다가 낮아지더라도 선박(S)과 육상의 안벽(W)은 원래의 정해진 위치대로 자연스럽고 안전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유지관리 비용의 절감은 물론 관람 또는 이용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제1무어링 로프 20: 제2무어링 로프
30: 트러스 31: 앵커 블록
40: 인터브릿지 41: 제1브릿지
42: 제2브릿지 43: 폰툰
44: 밀착부 50: 윈치
60: 앵커 70: 커넥터
71: 가이드 레일 72: 슬라이더
80: 펜더

Claims (3)

  1. 선박을 안벽에 계류하기 위해 안벽과 마주하는 선박의 한쪽 측면에 구비된 제1 및 제2무어링 로프;
    한쪽이 선박의 앞부분 양측이나 뒷부분 양측과 힌지 이음으로 연결되고, 반대쪽이 선박의 앞부분이나 뒷부분과 일정 거리를 두고 수저에 박힌 앵커 블록과 힌지 이음으로 연결되어 선박의 정박 위치를 유지시키면서 수위 변화에 따라 선박이 수평 상태로 부상 및 하강하도록 지지하는 트러스;
    선박과 안벽 간의 연결을 위해 안벽과 마주하는 선박의 한쪽 측면과 힌지 이음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터브릿지; 및
    상기 인터브릿지와 연결된 로프를 감거나 풀어서 상기 인터브릿지를 선박 쪽으로 그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들어올리거나 안벽에 대해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위치를 유지시키는 윈치;
    를 포함하는 전시용 선박의 계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선박의 앞부분과 상기 제1 및 제2무어링 로프가 구비된 쪽과 반대쪽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계류용으로 구비된 앵커; 및
    선박에 상기 제1 및 제2무어링 로프의 한쪽 단부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각각 연결하되, 선박에 고정되어 상하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제1 및 제2무어링 로프와 연결된 슬라이더로 이루어진 커넥터;
    를 더 포함하는 전시용 선박의 계류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는 선박을 향해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트러스와 선박의 양측 사이에 펜더가 구비되며,
    상기 인터브릿지는 상기 윈치로 들어올리도록 일측이 선박과 힌지 이음으로 연결된 제1브릿지와, 일측이 안벽과 힌지 이음으로 연결된 제2브릿지와, 상기 제1 및 제2브릿지 사이에 위치되어 부력을 가지며 일측에 상기 제1브릿지의 단부가 수평을 이루면서 밀착되도록 밀착부가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제2브릿지와 힌지 이음으로 연결된 폰툰으로 이루어진 전시용 선박의 계류장치.
KR1020150080980A 2015-06-09 2015-06-09 전시용 선박의 정박 고정장치 KR201601446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980A KR20160144616A (ko) 2015-06-09 2015-06-09 전시용 선박의 정박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980A KR20160144616A (ko) 2015-06-09 2015-06-09 전시용 선박의 정박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616A true KR20160144616A (ko) 2016-12-19

Family

ID=57735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980A KR20160144616A (ko) 2015-06-09 2015-06-09 전시용 선박의 정박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4616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4129A (ko) 2009-09-28 2011-04-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계류장치 및 계류방법
KR101507486B1 (ko) 2013-11-29 2015-04-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계류 시스템
KR20150048167A (ko) 2012-08-24 2015-05-06 스테나 레데리 에이비 선박의 계류 방법 및 그 방법을 성취하기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4129A (ko) 2009-09-28 2011-04-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계류장치 및 계류방법
KR20150048167A (ko) 2012-08-24 2015-05-06 스테나 레데리 에이비 선박의 계류 방법 및 그 방법을 성취하기 위한 장치
KR101507486B1 (ko) 2013-11-29 2015-04-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계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5362B1 (ko) 부유 구조물
US7854570B2 (en) Pontoonless tension leg platform
KR20140105519A (ko)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US5501625A (en) Floating terminal
JP2006525189A (ja) 船舶係泊方法及びシステム
CN104203746B (zh) 具有用于干式停靠船只的可动潜式平台的半潜式平台
KR20130143190A (ko) 해상 타워 접안시설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 타워
EP3810500B1 (en) Method and vessel for deploying heavy objects
KR101127624B1 (ko) 부잔교에 접안되는 보트의 리프팅 장치
KR102111988B1 (ko) 이동식 계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CN113235394A (zh) 可水平开启的浮桥
US4414911A (en) Berth for mooring supply ship to an offshore platform and for transferring personnel between them
WO2015136086A1 (en) A quay structure, a quay arrangement and a method of installing such structure
KR101567871B1 (ko) 선박용 앵커링 장치
KR101358312B1 (ko) 선박
AU2011101650A4 (en) Self installing tension leg platform and subsea storage tank
KR101415488B1 (ko) 부유식 발전설비의 해상 정박장치
KR20160144616A (ko) 전시용 선박의 정박 고정장치
KR102188615B1 (ko) 승강 고정식 부잔교 시설물
KR20150104734A (ko) 도르래를 이용한 선박 계류장치
US4359011A (en) Boat mooring system for a platform structure
JPH07101379A (ja) 浮揚構造物の係留構造
US2924946A (en) Submersible barge for off-shore drilling
KR101658615B1 (ko) 재해예방을 위한 도교 인양 장치
KR20220026931A (ko) 부유식 안벽 계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