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7486B1 - 선박 계류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 계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486B1
KR101507486B1 KR20130147190A KR20130147190A KR101507486B1 KR 101507486 B1 KR101507486 B1 KR 101507486B1 KR 20130147190 A KR20130147190 A KR 20130147190A KR 20130147190 A KR20130147190 A KR 20130147190A KR 101507486 B1 KR101507486 B1 KR 101507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mooring
guide
guide portion
moor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47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수
김병우
도한성
유영목
조진욱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47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4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63B2021/505Methods for installation or mooring of floating offshore platforms on si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선박 계류 시스템이 제공된다. 선박 계류 시스템은 선체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 계류부, 상기 계류부와 연결된 계류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 계류 시스템{MOORING SYSTEM FOR A SHIP}
본 발명은 선박 계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선체와 같은 부유체가 파도, 바람, 조류 등의 환경하중을 견디면서 특정 위치를 유지하게 위해서는 계류 시스템이 필요하며, 예시적으로 터렛형 계류 시스템이 있다.
터렛형 계류 시스템과 같은 계류 시스템은 선체가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계류 시스템에 의해 고정된 선체는 환경 하중이 최소가 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와 같은 움직임을 웨더베이닝(weathervaning)이라고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계류 시스템의 설치 위치는 선체가 계류되는 환경에 따라 달라지며, 보다 구체적으로 계류 시스템의 위치는 파도, 바람, 조류 등에 의한 환경 하중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여기서 환경 하중이란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선체에 가해지는 외력 또는 하중을 의미한다.
예시적으로 선체가 온화한 환경을 갖는 해역(예컨대 서아프리카 지역 등)에 계류되는 경우, 선체에 가해지는 환경 하중이 상대적으로 작은 바, 계류 시스템은 웨더베이닝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선체의 선수측에 가깝게 위치하게 된다. 또한 선체가 환경 하중이 상대적으로 큰 해역(예컨대 북해 지역 등)에 계류되는 경우, 선체의 움직임에 의한 하중을 줄이기 위하여 계류 시스템은 상대적으로 선체의 중앙부에 가깝게 위치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97746호 (2012.09.05)
상술한 환경 하중은 일정하지 않고 항상 변화한다. 그러나 종래의 계류 시스템은 선체가 설치되는 지역에 따라 선체의 특정 부분에 고정 설치되는 바, 환경 하중에 따라 그 위치를 변경할 수 없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는 선박 계류 시스템을 제공하되, 환경 하중의 변화에 따라 그 위치를 변경 가능한 선박 계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계류 시스템은, 선체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 계류부 및 상기 계류부와 연결된 계류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계류 시스템은, 선체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 계류부 및 상기 계류부와 연결된 계류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계류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선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선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기후 또는 환경의 변화에 따라 계류 시스템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선박의 웨더베이닝(weathervaning)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 및 구조 보강량을 줄임으로써 건조비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 시스템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 시스템의 정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 시스템의 정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 시스템의 정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예 따른 선박 계류 시스템의 정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 시스템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 시스템은, 선체(10)의 외측에 위치하는 가이드부(30) 및 가이드부(3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 계류부(50) 및 계류부(50)와 연결된 계류라인(70)을 포함할 수 있다.
선체(10)는 부유식 구조물일 수 있으며,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예컨대 선체(10)는 원유/가스 시추 플랜트, 원유/가스 시추선, 부유식 원유생산저장설비(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FPSO), 액화천연가스 부유식 원유생산저장설비(LNG FPSO) 등일 수 있으며, 선체(10)의 상부에는 원유 또는 천연가스를 채취, 정제, 저장하는 상부 모듈(미도시)이 제공될 수도 있다.
계류라인(70)은 선체(10)를 고정하는 부분으로서, 계류부(50)와 해저에 고정된 앵커(anchor, 미도시)를 연결하는 로프, 와이어, 체인 등일 수 있으며, 계류부(50)에 다수 개가 연결될 수 있다. 선체(10)는 계류라인(70)에 연결된 상기 앵커에 의해 해상에서 특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가이드부(30)는 계류부(5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부분으로서, 선체(10)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가이드부(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10)의 하부 외측면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가이드부(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선체(10)의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도 4 및 도 5의 설명에서 후술한다.
가이드부(30)의 형상은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그 일부 또는 전부가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가이드부(30)는 선체(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선체(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는 의미는, 가이드부(30) 전체가 선체(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경우뿐 만 아니라 가이드부(30)가 연장된 방향과 선체(10)의 길이방향이 상호 예각을 이루는 경우 또는 가이드부(30)의 일부가 선체(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경우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가이드부(30)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계류부(5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구성이면 족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30)가 가이드 레일인 경우를 예시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슬롯, 랙 등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안내 수단이 본 발명의 가이드부(30)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계류부(50)는 계류라인(70)과 선체(10)를 매개하는 부분으로서, 가이드부(3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선체(10)가 파도, 바람, 조류 등의 환경하중이 상대적으로 작은, 기후가 온화한 지역에 계류되는 경우, 계류부(50)는 가이드부(30)의 가이드에 의해 선체(10)의 선수방향(또는 A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환경하중이 최소가 되는 방향으로 선체(10)가 회전하는 웨더베이닝(weathervaning)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선체(10)가 파도, 바람, 조류 등의 환경하중이 상대적으로 큰, 기후가 척박한 지역에 계류되는 경우, 계류부(50)는 기후가 온화한 지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선미방향(또는 B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선체(10)의 움직임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되어 선체(10)를 보다 안정적으로 계류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선체(10)의 움직임을 줄이기 위한 구조보강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점도 갖게 된다.
또는, 동일한 지역상에 선체(10)가 계류된 경우라 하더라도 해상 상태가 온화할 경우 계류부(50)를 가능한한 선체의 가장자리측, 예컨대 선미쪽(또는 B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웨더베이닝(weathervaning) 성능을 최대할 수도 있다. 그리고 해상 상태가 악화될 경우 계류부(50)를 가능한한 선체의 중앙부쪽(또는 A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가속도 의한 선체(10)의 관성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웨더베이닝(weathervaning)에 의한 위치유지 성능을 향상시키고 설계 가속도를 줄임으로써 선체(10)의 구조보강도 줄일 수 있다. 즉, 계류부(50)는 환경 하중에 따라 선미측에서 선체의 중앙부까지의 범위 내, 또는 선수측에서 선체의 중앙부까지의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물론, 계류부(50)의 최대 이동가능 범위는 선미측에서 선수측까지의 범위 내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선미측에서 선체의 중앙부까지의 범위 또는 선수측에서 선체의 중앙부까지의 범위로 제한될 수도 있다.
계류부(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체(10)의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도 4 및 도 5의 설명에서 후술한다.
한편, 도면에는 미도시하였으나 계류부(50) 또는 가이드부(30)에는 모터 등의 구동 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 또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계류부(50)가 이동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 시스템의 정면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체의 선수측(또는 도 1의 F방향)에서 바라본 선박 계류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31a, 31b)는 상호 이격된 한쌍의 가이드, 즉 제1가이드(31a) 및 제2가이드(31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가이드(31a) 및 제2가이드(31b)는 상호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제1가이드(31a) 및 제2가이드(31b)는 선체(10)의 외측 하부면(11) 에 위치할 수 있으며, 선체(10)의 외측 하부면(11)보다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계류부(511a, 511b, 550, 590)는 이동부(511a, 511b), 회전부(550) 및 베이링(59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선체(10)의 외측 하부면(11)보다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동부(511a, 511b)는 가이드부(31a, 31b)에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그 단면 형상은 제1가이드(31a)에 연결되는 제1이동부(511a) 및 제2가이드(31b)에 연결되는 제2이동부(5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이동부(511a) 및 제2이동부(511b)에는 제1가이드(31a) 및 제2가이드(31b)에 대응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부(31a, 31b)를 따라 미끄럼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롤러(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제1이동부(511a) 및 제2이동부(511b)는 상호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으며, 상호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부(550)는 일측이 이동부(511a, 511b)와 상호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타측이 계류라인(70)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도, 바람 등 환경하중이 선체(10)에 가해지는 경우, 선체(10)는 회전부(550)의 축(X1)을 기준으로 웨더베이닝(weathervaning)할 수 있게 된다.
회전부(550)와 이동부(511a, 511b)가 상호 상대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부(550)와 이동부(511a, 511b) 사이에는 베어링(590)이 위치할 수 있다. 베어링(590)은 구름 베어링 또는 미끄럼 베어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부(550)와 이동부(511a, 511b) 상호간의 상대적 회전을 가능케 하는 구성이면 족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 시스템의 정면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체의 선수측(또는 도 1의 F방향)에서 바라본 선박 계류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33)는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는 점에서 도 2에 도시된 가이드부(도 2의 31a, 도 2의 31b)와는 일부 상이하다. 이외 가이드부(33)는 선체(10)의 외측 하부면(11)에 위치할 수 있으며, 선체(10)의 외측 하부면(11)보다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음은 도 2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계류부(513, 550, 590)는 이동부(513), 회전부(550) 및 베이링(59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513)는 가이드(33)에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그 단면 형상이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진 점에서 도 2의 설명에서 상술한 이동부(도 2의 511a, 511b)와는 일부 상이하며, 이외 가이드(33)에 대응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는 점, 가이드부(33)를 따라 미끄럼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롤러(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는 점은 도 2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외 회전부(550)는 일측이 이동부(513)와 상호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타측이 계류라인(70)과 연결될 수 있고, 회전부(550)와 이동부(513) 사이에는 베어링(590)이 위치할 수 있음은 도 2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유사한 바, 그 구체적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 시스템의 정면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체의 선수측(또는 도 1의 F방향)에서 바라본 선박 계류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35)는 선체(10)의 외측 하부면(11)보다 하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점에서 도 3에 도시된 가이드부(도 3의 33)와는 일부 상이하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선체(10)의 하부에는 상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홈(H)이 구비될 수 있으며, 가이드부(35)는 수용홈(H)의 외측면 상에 위치함으로써, 수용홈(H)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예의 가이드부(35)는 선체(10)의 외측에 위치하는 점에서 도 3에 도시된 가이드부(도 3의 33)와는 유사하나, 수용홈(H) 내에 배치됨으로써 선체(10)의 외측 하부면(11)보다 하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점에서 도 3에 도시된 가이드부(33)와는 상이하다.
계류부(515, 550, 590)는 이동부(515), 회전부(550) 및 베이링(590)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계류부(515, 550, 590)의 일부 또는 전부는 수용홈(H)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계류부(515, 550, 590)는 선체(10)의 외측 하부면(11)보다 하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515)는 가이드부(37)에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그 형상은 가이드부(35)의 형상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35)가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진 경우, 이동부(515)의 단면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35)에 대응하여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도면에는 미도시하였으나, 가이드부(35)가 상호 분리된 복수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동부(515)의 단면구조는 복수개로 분리된 가이드부의 구조에 대응하여 적절히 변경될 수도 있다.
이외 회전부(550) 및 베어링(590)에 관한 설명은 도 2 및 도 3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구체적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 시스템의 정면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체의 선수측(또는 도 1의 F방향)에서 바라본 선박 계류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선체(10)의 하부에는 개구부(15)가 위치할 수 있으며, 개구부(15)에 의해 선체(10)의 내부는 그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개구부(15)는 선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개구부(15)에 의해 후술할 계류부(517a, 517b, 550, 590)는 적어도 일부가 선체(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선체(10)의 내측 하부면(13) 상에는 가이드부(37a, 37b)가 위치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37a, 37b)는 선체(10)의 외측 하부면(11)이 아닌 내측 하부면(13) 상에 위치하는 점에서 도 2 내지 도 4의 설명에서 상술한 가이드부와는 상이하다.
가이드부(37a, 37b)는 상호 분리된 한쌍의 가이드, 예컨대 제3가이드(37a) 및 제4가이드(37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3가이드(37a) 및 제4가이드(37b)는 상호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3가이드(37a) 와 제4가이드(37b) 사이에는 상술한 선체(10)의 개구부(15)가 위치할 수 있다.
계류부(517a, 517b, 550, 590)는 이동부(517a, 517b), 회전부(550) 및 베이링(59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선체(10)의 내측 하부면(13)상에 위치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계류부(517a, 517b, 550, 590)는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체(10)의 외측 하부면(11)보다 하측으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동부(517a, 517b)는 가이드부(37a, 37b)에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그 단면 형상은 제3가이드(37a)에 연결되는 제3이동부(517a) 및 제4가이드(37b)에 연결되는 제4이동부(517b)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이동부(517a) 및 제4이동부(517b)는 상호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으며, 상호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외 제3이동부(517a) 및 제4이동부(517b)는 가이드 홈 및 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도 2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회전부(550)는 일측이 이동부(517a, 517b)와 상호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타측이 계류라인(70)과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회전부(550)는 상술한 개구부(15)에 의해 선체(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계류라인(70)은 개구부(15)를 통해 회전부(55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외 회전부(550)와 이동부(517a, 517b) 사이에는 베어링(590)이 위치할 수 있음은 도 2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유사한 바, 그 구체적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선체
11 : 선체의 외측 하부면
13 : 선체의 내측 하부면
15 : 개구부
H : 수용홈
30, 33, 35 : 가이드부
31a, 31b, 37a, 37b : 제1, 제2, 제3, 제4 가이드
50 : 계류부
511a, 511b, 517a, 517b : 제1, 제2, 제3, 제4 이동부
513, 515 : 이동부
550 : 회전부
590 : 베어링
70 : 계류라인

Claims (15)

  1. 선체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 계류부;
    상기 계류부와 연결된 계류라인;
    을 포함하는 선박 계류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선체의 외측 하부면 상에 위치하는 선박 계류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부 및 상기 계류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수용홈의 내면에 위치하는 선박 계류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가이드 레일인 선박 계류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한 이동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이동부와 결합한 회전부;
    상기 이동부와 상기 회전부 사이에 위치하는 베어링; 을 포함하고,
    상기 계류라인은 상기 회전부와 연결된 선박 계류 시스템.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부는,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선체의 외측에 위치하는 선박 계류 시스템.
  7. 선체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 계류부;
    상기 계류부와 연결된 계류라인; 을 포함하고,
    상기 계류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선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선체 외부로 노출되는 선박 계류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선체의 하부에 위치하는 선박 계류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선박 계류 시스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선체의 내측 하부면 상에 위치하는 선박 계류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호 이격된 한쌍의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한쌍의 가이드 사이에 위치하는 선박 계류 시스템.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가이드 레일인 선박 계류 시스템.
  1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한 이동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이동부와 결합한 회전부;
    상기 이동부와 상기 회전부 사이에 위치하는 베어링; 을 포함하고,
    상기 계류라인은 상기 회전부와 연결된 선박 계류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선체 외부로 노출된 선박 계류 시스템.
  15. 제 7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부는,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선체의 내측에 위치하는 선박 계류 시스템.

KR20130147190A 2013-11-29 2013-11-29 선박 계류 시스템 KR101507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7190A KR101507486B1 (ko) 2013-11-29 2013-11-29 선박 계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7190A KR101507486B1 (ko) 2013-11-29 2013-11-29 선박 계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7486B1 true KR101507486B1 (ko) 2015-04-01

Family

ID=53032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47190A KR101507486B1 (ko) 2013-11-29 2013-11-29 선박 계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748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4616A (ko) 2015-06-09 2016-12-19 주식회사 아이랜드 전시용 선박의 정박 고정장치
KR20170030343A (ko) * 2015-09-09 2017-03-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수중 터렛 무어링 시스템
WO2022216032A1 (ko) * 2021-04-08 2022-10-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비대칭 스프레드 무어링 시스템이 적용된 부유식 해상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7296A (en) * 1977-09-20 1979-04-1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Device for anchoring marine structure
JPH05280024A (ja) * 1992-03-31 1993-10-26 Mitsubishi Heavy Ind Ltd 空気圧浮上型船用港湾施設
JPH0635904Y2 (ja) * 1990-04-03 1994-09-21 五洋建設株式会社 繋留装置
JP2010269611A (ja) 2009-05-19 2010-12-02 Ihi Marine United Inc 係留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7296A (en) * 1977-09-20 1979-04-1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Device for anchoring marine structure
JPH0635904Y2 (ja) * 1990-04-03 1994-09-21 五洋建設株式会社 繋留装置
JPH05280024A (ja) * 1992-03-31 1993-10-26 Mitsubishi Heavy Ind Ltd 空気圧浮上型船用港湾施設
JP2010269611A (ja) 2009-05-19 2010-12-02 Ihi Marine United Inc 係留方法及び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4616A (ko) 2015-06-09 2016-12-19 주식회사 아이랜드 전시용 선박의 정박 고정장치
KR20170030343A (ko) * 2015-09-09 2017-03-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수중 터렛 무어링 시스템
KR101722449B1 (ko) * 2015-09-09 2017-04-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수중 터렛 무어링 시스템
WO2022216032A1 (ko) * 2021-04-08 2022-10-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비대칭 스프레드 무어링 시스템이 적용된 부유식 해상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7486B1 (ko) 선박 계류 시스템
KR100943457B1 (ko) 시추선용 계류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시추선
KR101205344B1 (ko) 부유식 구조물
RU2009129512A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узел для швартовной цепи для плавучего сооружения
KR101731876B1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과 수송선의 병렬 계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류 방법
KR101434151B1 (ko) 터렛용 체인잠금시스템
KR101524206B1 (ko) 터렛 계류장치
KR20170056092A (ko) 부유구조물의 계류장치
KR101722197B1 (ko) 계류 장치
KR101616362B1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
KR101487510B1 (ko) 해양구조물 요잉저감장치
KR102016359B1 (ko) 계류장치
KR101784814B1 (ko) 무어링장치 및 무어링시스템
KR101540391B1 (ko) 터렛의 무어링테이블 유닛
KR20150083714A (ko) 공기저항 감소장치
KR101722449B1 (ko) 수중 터렛 무어링 시스템
KR101454638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996282B1 (ko) 해양구조물의 무어링 라인 및 그 무어링 라인 체인의 굽힘 모멘트 저감구조
KR101523736B1 (ko) 체인 연결 장치
KR20150142494A (ko) 스위블 스택
KR101498254B1 (ko) 경사진 터릿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WO2007117300A3 (en)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system with column buoy
KR102136306B1 (ko) 터렛 구조물
KR101599450B1 (ko) 터렛의 토크증가장치 및 무어링테이블 유닛
KR20180000309U (ko) Fpso 또는 flng의 선체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