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9473A - 부유식 구조물 - Google Patents

부유식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9473A
KR20160029473A KR1020140119064A KR20140119064A KR20160029473A KR 20160029473 A KR20160029473 A KR 20160029473A KR 1020140119064 A KR1020140119064 A KR 1020140119064A KR 20140119064 A KR20140119064 A KR 20140119064A KR 20160029473 A KR20160029473 A KR 20160029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cord
pinion gear
main body
rack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9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신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9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9473A/ko
Publication of KR20160029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4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18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017Means for protecting offshore constructions
    • E02B17/003Fe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42Elastomeric materials
    • B63B2231/44Rubb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56Platforms with supporting l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해양에서 항해 모드와 잭업 모드로 운용되는 부유식 구조물에 있어서, 물에 부유할 수 있는 본체; 상기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코드 및 상기 코드의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랙 기어를 포함하는 레그; 상기 레그를 지지하며, 상기 본체와 상기 레그를 상하 방향으로 상대 운동시키는 레그 지지부; 및 상기 레그와 상기 해양에서 부유하는 부유물과의 직접적인 충돌을 방지하는 방호 유닛을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부유식 구조물{FLOATING STRUCTURE}
본 발명은 부유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잭업 플랫폼(Jack-up Platform), MODU(Mobile Offshore Drilling Unit,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WTIV,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등과 같은 부유식 구조물은 항해 모드(Transit Mode)와 잭업 모드(Jack-up Mode)로 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유식 구조물은 시추 또는 해양 설비 설치 등을 위해 시추 지점 또는 설치 지점까지 항해 모드로 이동한다. 항해 모드에서 레그는 해수에 의한 저항을 줄이고자 본체의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 후, 부유식 구조물은 잭업 모드로 전환하여 레그를 내려 해저에 박은 후, 본체가 해수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될 수 있도록 본체를 레그를 따라 들어올린다. 본체가 일정 위치에 다다르게 되면, 부유식 구조물은 본체의 이동을 중지하고 시추 또는 설치 작업을 수행하며, 작업이 완료되면 위의 순서의 역순으로 진행하여 다음 목적 지점까지 이동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부유식 구조물은 본체가 해수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작업을 장시간 동안 수행한다. 부유식 구조물의 본체가 해수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작업하는 동안, 레그의 일부는 장시간 동안 수중에 잠겨 있는 상태가 되며, 이 경우 부유식 구조물에 접근하는 다른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과 충돌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레그와 다른 선박 등이 충돌할 경우, 레그의 파손으로 인해 부유식 구조물이 전복되어 승선원의 인명 피해가 발생될 수 있으며, 부유식 구조물의 파손으로 인한 기름 유출 등으로 인해 해양 오염이 발생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4-0008591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레그와 다른 부유물 간의 충돌로 인한 레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부유식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해양에서 항해 모드와 잭업 모드로 운용되는 부유식 구조물에 있어서, 물에 부유할 수 있는 본체; 상기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코드 및 상기 코드의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랙 기어를 포함하는 레그; 상기 레그를 지지하며, 상기 본체와 상기 레그를 상하 방향으로 상대 운동시키는 레그 지지부; 및 상기 레그와 상기 해양에서 부유하는 부유물과의 직접적인 충돌을 방지하는 방호 유닛을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호 유닛은, 상기 레그의 코드 외측 부분을 감쌀 수 있는 몸체; 상기 몸체에 장착되고 상기 코드의 외측 부분과 상기 부유물이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드; 및 상기 레그 상에서의 상기 몸체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부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드는, 상기 몸체의 최 외측에 장착되고, 상기 부유물과의 충돌로 인한 충격을 1차적으로 흡수하는 방호 부재; 및 상기 방호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방호 부재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2차적으로 흡수하는 완충 부재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호 부재는 형태 변형 또는 형태 복원성을 갖는 합성 수지 또는 에어 백이고, 상기 완충 부재는 탄성 스프링 또는 댐퍼 또는 고무인 부유식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에는 가이드볼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방호 부재는 상기 가이드볼 장착홈에 움직일 수 있게 장착되는 구 형상의 가이드볼을 포함하며, 상기 방호 부재는 상기 가이드볼에 의해 여러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상기 몸체에 장착되는 부유식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랙 기어와 맞물려서 이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의 위치를 상기 랙 기어의 어느 한 지점에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피니언 기어를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위치는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의해 조절되는 부유식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본체와 연결된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를 권양시키는 윈치를 더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레그와 다른 부유물 간의 충돌로 인한 레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부유식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레그에 방호 유닛이 제공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레그에 방호 유닛이 제공된 모습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방호 유닛이 랙 기어와 맞물려 승강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방호 유닛이 랙 기어에 고정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방호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방호 유닛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기술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기술 사상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1)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레그(20)에 방호 유닛(100)이 제공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레그(20)에 방호 유닛(100)이 제공된 모습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방호 유닛(100)이 랙 기어(21)와 맞물려 승강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1)은 해상에 부유할 수 있는 본체(10), 본체(1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레그(Leg, 20), 레그(20)와 본체(10)를 상하 방향으로 상대 운동시키며 레그(20)를 지지하는 레그 가이드부(30)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10)는 블레이드와 나셀, 타워 등을 운반하여 해상 풍력 발전기를 설치할 수 있는 크레인(40) 또는 해저를 시추하는 파이프를 설치하는 데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부유식 구조물(1)은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거나 시추 작업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해상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는 크레인(40)이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본체(10)는 부유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평면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레그웰(50)을 포함할 수 있다. 레그웰(50)은 레그 가이드부(30)에서 레그(20)가 삽입되어 통과되는 공간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레그(20)는 본체(10)의 레그웰(50)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본체(10)의 하방으로 이동하여 해수면(S)을 지나 해저(B)에 고정됨으로써 본체(10)를 지지할 수 있다. 레그(20)는 사각 트러스 구조, 삼각 트러스 구조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그(20)가 삼각 트러스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레그(20)가 삼각 트러스 구조로 형성될 경우, 기둥의 역할을 하는 코드(22)와, 코드(22)의 양측으로 쌍을 이루면서 돌출되게 코드(22)에 결합되며 코드(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랙 기어(2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레그(20)는 복수 개의 코드(22)를 연결하는 브레이스(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드(22)는 브레이스(23)가 구성하는 삼각 형상의 꼭지점을 형성할 수 있다.
레그 가이드부(30)는 레그(20)가 통과할 수 있도록 레그웰(50)에 레그(20)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레그(20)와 본체(10)가 상하 방향으로 상대 운동할 수 있도록 레그(20)를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레그 가이드부(30)는 모터 등의 구동장치를 구비하며, 구동장치의 작동에 의해 레그(20)를 본체(1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본체(10)를 레그(2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레그 가이드부(30)에는 피니언기어(미도시) 및 모터가 설치되고, 레그(20)에는 랙 기어(21)가 형성되어, 피니언 기어와 랙 기어(21)의 연동에 의해 레그(20)와 본체(10)의 상하 방향의 상대 운동이 이뤄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레그(20)와 본체(10)의 "상하 방향의 상대 운동"은 레그(20)가 본체(1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본체(10)가 레그(2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레그 가이드부(30)는 본체(10)의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체(10)의 내측에 매설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전술된 구조를 갖는 부유식 구조물(1)의 레그(20)에는 레그(20)와 다른 부유물(2)과의 직접적인 충돌을 방지하는 방호 유닛(100)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부유물(2)은 부유식 구조물(1)이 부유하는 해상에서 운항하는 선박, 기타 구조물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부유물(2)은 부유식 구조물(1)이 잭업 모드로 해상의 일 지점에 고정되어 있을 때 부유식 구조물(1)에 접근하여 레그(20)와 충돌할 수 있는 물체이다. 또한, 부유물(2)은 무생물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레그(20)와 충돌할 수 있는 해양 생물도 포함될 수 있다.
방호 유닛(100)은 몸체(110), 가드(120) 및 위치 조절부(130)를 포함하며, 각각의 방호 유닛(100)은 레그(20)를 구성하는 각각의 코드(22)에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코드(22)의 외측은 세 개의 브레이스(23)가 형성하는 삼각형상의 외측에 위치한 부분을 의미하며, 코드(22)의 내측은 브레이스(23)가 형성하는 삼각 형상의 내측에 위치한 부분을 의미한다.
몸체(110)는 코드(22)의 외측 일부를 둘러쌀 수 있으며, 몸체(110)에는 가드(120) 및 위치 조절부(130)가 장착될 수 있다. 몸체(110)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기둥 형태일 수 있으며, 몸체(110)가 코드(22)와 마주보는 일면은 코드(22)의 외측 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원호 형상으로 함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몸체(110)의 내측면에는 랙 기어(21)의 길이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장착 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장착 홈(111)에는 랙 기어(21)가 삽입될 수 있으며, 위치 조절부(130)의 피니언 기어(131)가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랙 기어(21)와 피니언 기어(131)는 장착 홈(111) 내에서 맞물려질 수 있다.
또한, 몸체(110)에는 후술되는 가이드볼(125)이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볼(125)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가이드볼 장착홈(11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10)의 상측에는 윈치(미도시)와 몸체(110)를 연결시키는 와이어(135)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가드(120)는 레그(20)와 다른 부유물(2)과의 직접적인 충돌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몸체(110)의 외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가드(120)는 레그(20)와 부유물(2)의 충돌이 발생될 수 있는 지점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형태로 몸체(110)에 장착될 수 있다.
가드(120)는 방호 부재(121) 및 완충 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방호 부재(121)는 형태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합성 수지 또는 에어 백(Air Bag) 등일 수 있다. 방호 부재(121)의 형태는 도시된 것과 같이 곡면을 갖는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방호 부재(121)의 배면에는 완충 부재(122)가 장착될 수 있다. 즉, 방호 부재(121)는 완충 부재(122)에 의해 몸체(110)와 연결될 수 있다. 완충 부재(122)는 탄성을 갖는 스프링일 수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오일 등에 의해충격을 흡수하는 댐퍼, 고무 등일 수도 있다. 완충 부재(122)는 방호 부재(121)에 한 개 또는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완충 부재(122)는 몸체(110)와 방호 부재(121) 사이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코드(22)의 정면을 향해 접근하여 충돌하는 부유물(2)로 인한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그리고 완충 부재(122)가 장착된 부분의 양측에는 차단판(112)이 장착될 수 있으며, 차단판(112)이 장착됨에 따라 이물질이 완충 부재(122)에 부착되어 완충 부재(122)에 손상을 입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차단판(112)은 완충 부재(122)의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하도록 길이가 연장될 수 있는 재질일 수 있으며, 일 예로 벨로우즈(bellows)일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차단판(112)은 완충 부재(122)가 장착된 부분의 상측과 하측에도 제공될 수 있다.
한편, 가드(120)는 방호 부재(121)를 움직일 수 있게 지지할 수 있는 가이드볼(1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볼(125)은 방호 부재(121)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고, 전술된 몸체(110)의 가이드볼 장착홈(113)에 장착될 수 있으며, 구 형태를 가져서 가이드볼 장착홈(113) 상에서 구를(rolling) 수 있다. 따라서 방호 부재(121)는 가이드볼(125)에 의해 몸체(110)와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여러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방호 유닛(100)이 랙 기어(21)에 고정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위치 조절부(130)는 몸체(110)를 레그(20)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시키고, 몸체(110)를 이송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갖는다.일 예로, 위치 조절부(130)는 랙 기어(21)와 맞물려 질 수 있는 피니언 기어(131), 고정 부재(132), 및 몸체(110)를 승강시키는 와이어(13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와이어(135)는 본체(10)에 장착된 윈치(미도시) 등에 의해 권양될 수 있다.
피니언 기어(131)는 몸체(110)의 장착 홈(111)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될 수 있으며, 위치 조절부(130)는 피니언 기어(131)이외에도 랙 기어(21)와 치합되어 이동될 수 있는 다양한 기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피니언 기어(131)는 랙 기어(21)와 맞물려 이동되기 위해 레그(2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이하 '수평 방향'이라 한다)으로 일정 거리만큼 왕복 이동될 수 있다.
고정 부재(132)는 피니언 기어(131)를 랙 기어(21) 상의 일 지점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일 예로 유압실린더일 수 있으며, 고정 부재(132)의 작동핀이 피니언 기어(131)의 일단과 연결됨으로써, 피니언 기어(131)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즉, 고정 부재(132)는 피니언 기어(131)와 랙 기어(2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피니언 기어(131)가 랙 기어(21)와 연동되거나 또는 피니언 기어(131)가 랙 기어(21)의 일정 지점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위치 조절부(130)는 윈치 및 와이어(135)에 의해 이동되지 않고 자체적인 구동력을 가질 수 있으며, 일 예로 구동 모터와 피니언 기어(131)가 연결되어 피니언 기어(131)가 회전 또는 정지함에 따라 몸체(110)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방호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가드(120)는 방호 부재(121)와 완충 부재(122')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재(123)는 방호 부재(121)와 연결되는 부분이 여러 갈래로 분기된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도시된 것과 같이 3개로 분기된 형태일 수 있다. 연결 부재(123)가 여러 갈래로 분기된 형태를 가짐에 따라 방호 부재(121)를 여러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완충 부재(122')는 일단이 연결 부재(123)와 연결되고 타단이 몸체(1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방호 부재(121)와 몸체(110) 사이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방향과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완충 부재(122')는 코드(22)의 정면에서 비스듬한 방향(A 또는 B 방향)으로 충돌하는 부유물(2)로 인한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도 3의 방호 유닛(100)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부유식 구조물(1)은 해상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거나 시추 작업을 하고자 하는 위치까지 항해 모드로 이동될 수 있다. 부유식 구조물(1)은 목적 위치까지 이동한 후, 잭업 모드로 전환하여 레그(20)를 해저(B)에 박는다. 이 과정에서, 레그(20)는 중력 및 레그 가이드부(30)의 구동장치에 의해 본체(10)의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레그(20)가 완전히 잭업 모드로 전환되면, 위치 조절부(130)를 이용하여 방호 유닛(100)을 방호하고자 하는 레그(20)의 지점까지 하강시킬 수 있다. 즉, 본체(10)에 장착된 윈치를 구동시켜 몸체(110)와 연결된 와이어(135)를 인출시키면, 방호 유닛(100)의 하중에 의해 몸체(110)는 하측으로 이송될 수 있으며, 이 때 위치 조절부(130)의 피니언 기어(131)가 랙 기어(21)와 맞물려지므로 몸체(110)는 레그(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하강될 수 있다.
방호 유닛(100)이 적정 지점에 도달하면, 와이어(135)는 더 이상 인출되지 않으며, 방호 유닛(100)은 일정 위치에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위치 조절부(130)의 고정 부재(132)는 작동핀을 연장시켜 피니언 기어(131)를 랙 기어(21) 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피니언 기어(131)는 랙 기어(21)의 함몰된 부분에 밀착될 수 있으며, 방호 유닛(100)은 레그(20)에 고정될 수 있다.
그 후, 부유물(2)이 부유식 구조물(1)의 레그(20)에 접근할 경우, 코드(22)의 최 외각에 위치한 방호 유닛(100)과 충돌하게 된다. 즉, 레그(20)의 꼭지점에 위치하는 코드(22)에 방호 유닛(100)이 장착됨으로써, 방호 유닛(100)이 레그(20)의 최 외각에 배치되게 되며, 이에 따라 부유물(2)은 레그(20)의 다른 지점이 아닌 방호 유닛(100)과 충돌하게 된다. 또한, 부유식 구조물(10)의 전체 폭과 대비하였을 때, 레그(20)의 폭은 상대적으로 매우 가늘고 긴 형태를 가지므로, 방호 유닛(100)을 레그(20) 전체 둘레가 아닌 코드(22)의 외측에만 장착하여도 레그(20) 전체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부유물(2)이 방호 유닛(100)과 충돌할 경우, 1차적으로 방호 부재(121)가 그 충격을 흡수하게 되며, 완충 부재(122)가 2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레그(20)로 전달되는 충격량은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방호 부재(121)는 가이드볼(125)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되, 다양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부유물(2)이 다양한 방향에서 충돌하여도 그 충격을 모두 흡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유물(2)이 방호 부재(121)의 정면에서 충돌할 경우, 방호 부재(121) 및 완충 부재(122)는 도 7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수축함으로써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부유물(2)이 방호 부재(121)의 측면에서 충돌할 경우, 방호 부재(121)는 가이드볼(125)을 중심으로 충돌된 방향을 향해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방호 부재(121)와 완충 부재(122)는 충격을 보다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132)에 의해 레그(20) 상에서의 몸체(11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므로, 부유물(2)과의 충돌이 발생하여도 그 충격에 의해 몸체(100)가 하측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므로 추후에 연속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2차 충돌 시에도 레그(20)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방호 유닛(100)은 부유물(2)과의 충돌뿐만 아니라 파랑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레그(20)를 보호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기술 사상의 일부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기술 사상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고, 그와 같은 실시는 모두 본 기술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 부유식 구조물 10: 본체
20: 레그 21: 랙 기어
22: 코드 30: 레그 가이드부
50: 레그웰 100: 방호 유닛
110: 몸체 120: 가드
121: 방호 부재 122: 완충 부재
130: 위치 조절부재 131: 피니언 기어
132: 고정 부재

Claims (8)

  1. 해양에서 항해 모드와 잭업 모드로 운용되는 부유식 구조물에 있어서,
    물에 부유할 수 있는 본체;
    상기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코드 및 상기 코드의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랙 기어를 포함하는 레그;
    상기 레그를 지지하며, 상기 본체와 상기 레그를 상하 방향으로 상대 운동시키는 레그 지지부; 및
    상기 레그와 상기 해양에서 부유하는 부유물과의 직접적인 충돌을 방지하는 방호 유닛을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 유닛은,
    상기 레그의 코드 외측 부분을 감쌀 수 있는 몸체;
    상기 몸체에 장착되고 상기 코드의 외측 부분과 상기 부유물이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드; 및
    상기 레그 상에서의 상기 몸체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부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는,
    상기 몸체의 최 외측에 장착되고, 상기 부유물과의 충돌로 인한 충격을 1차적으로 흡수하는 방호 부재; 및
    상기 방호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방호 부재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2차적으로 흡수하는 완충 부재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 부재는 형태 변형 또는 형태 복원성을 갖는 합성 수지 또는 에어 백이고,
    상기 완충 부재는 탄성 스프링 또는 댐퍼 또는 고무인 부유식 구조물.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가이드볼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방호 부재는 상기 가이드볼 장착홈에 움직일 수 있게 장착되는 구 형상의 가이드볼을 포함하며, 상기 방호 부재는 상기 가이드볼에 의해 여러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상기 몸체에 장착되는 부유식 구조물.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랙 기어와 맞물려서 이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의 위치를 상기 랙 기어의 어느 한 지점에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피니언 기어를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위치는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의해 조절되는 부유식 구조물.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본체와 연결된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를 권양시키는 윈치를 더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KR1020140119064A 2014-09-05 2014-09-05 부유식 구조물 KR201600294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064A KR20160029473A (ko) 2014-09-05 2014-09-05 부유식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064A KR20160029473A (ko) 2014-09-05 2014-09-05 부유식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473A true KR20160029473A (ko) 2016-03-15

Family

ID=55542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9064A KR20160029473A (ko) 2014-09-05 2014-09-05 부유식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947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8160A (zh) * 2020-07-27 2020-09-01 鲁东大学 一种安全性能好的海洋观测用观测平台
CN112722167A (zh) * 2020-12-28 2021-04-30 赵洁 一种具有防护功能的海洋工程监测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8591A (ko) 2012-07-09 2014-01-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8591A (ko) 2012-07-09 2014-01-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8160A (zh) * 2020-07-27 2020-09-01 鲁东大学 一种安全性能好的海洋观测用观测平台
CN112722167A (zh) * 2020-12-28 2021-04-30 赵洁 一种具有防护功能的海洋工程监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60976B2 (ja) 浮体式風力発電装置及び該装置の部品搬送方法
KR101205344B1 (ko) 부유식 구조물
KR101380649B1 (ko) 해상 타워 접안시설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 타워
CN102433861B (zh) 一种针对水中悬漂物或航行物的拦截装置
CN104234008B (zh) 能自动升降的桥墩防撞消能装置
RU2680232C2 (ru) Плавучая конструкция
TW201814992A (zh) 電纜布設結構及風力發電系統
KR101284438B1 (ko) 선박 접안용 방충재
KR20140015949A (ko) 부유식 구조물
US10065709B2 (en) Cradle assembly for boats
KR20160029473A (ko) 부유식 구조물
KR102284699B1 (ko) 해상 태양광 발전장치의 가드 펜스
KR101411517B1 (ko)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프로텍터
KR101662391B1 (ko) 부유식 해상공항
CN102900019A (zh) 一种桥梁防撞装置
KR20090124351A (ko) 부침식 연직막체 방파제
KR101803373B1 (ko) 해양구조물
KR102268277B1 (ko) 해상 태양광 발전장치의 부력체
KR102086155B1 (ko) 해상 풍력발전장치
KR102438695B1 (ko) 레그 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KR101681257B1 (ko) 가변중량탱크를 갖는 부유식 구조물
KR101635060B1 (ko) 부유식 구조물
KR102106498B1 (ko) 해상풍력발전장치의 하부구조물 설치선박 및 설치방법
KR102006909B1 (ko) 부유식 구조물의 크레인 시스템
KR101616826B1 (ko) 계류 장치를 포함한 부유식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