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4438B1 - 선박 접안용 방충재 - Google Patents

선박 접안용 방충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4438B1
KR101284438B1 KR1020120141946A KR20120141946A KR101284438B1 KR 101284438 B1 KR101284438 B1 KR 101284438B1 KR 1020120141946 A KR1020120141946 A KR 1020120141946A KR 20120141946 A KR20120141946 A KR 20120141946A KR 101284438 B1 KR101284438 B1 KR 101284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ing
absorbing member
vessel
flexible guide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1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존
Priority to KR1020120141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44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4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4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6Fen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접안용 방충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부두 안벽에 설치되어 선박을 접안할 때 부두와 선박의 충격을 흡수하여 부두 또는 선박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고 수위에 따라 수직형태의 충격흡수부재가 상하로 움직여 선박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방충재의 상부에 계류 고리를 형성하여 선박계류작업이 간편한 선박 접안용 방충재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부두 안벽에 앵커로 상하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로프와, 상기 지지로프와 결합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플랙시블 안내관과, 상기 플랙시블 안내관을 따라 승강하도록 중공관이 형성되고 수면에 부유될 수 있도록 한 충격흡수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박 접안용 방충재{Foam filled fender for pier}
본 발명은 선박 접안용 방충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부두 안벽에 설치되어 선박이 접안할 때 부두와 선박의 충격을 흡수하여 부두 또는 선박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고 수위에 따라 수직형태의 충격흡수부재가 상하로 움직여 선박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방충재의 상부에 계류 고리를 형성하여 선박계류작업이 간편한 선박 접안용 방충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충재는 선박을 부두 안벽에 접안(接岸)할 때 선박 및 부두를 보호하기 위해 부두의 안벽에 설치되는 접안 시설물로서, 크게 로프와 앵커 볼트로 고정되는 부유형 방충재와 패널형태로 구비되어 안벽에 고정되는 부착형 방충재가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부착형 방충재의 경우 선박의 크기 또는 수위변동에 따른 변화에 의해 안벽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배열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 시간 및 비용 문제와 방충재의 노후에 따른 교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유형 방충재의 경우 로프와 앵커 볼트가 가로로 길게 설치되기 때문에 충격흡수 면적보다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할 뿐만 아니라 큰 폭의 수위변동에 대비하기 위해 로프가 길게 구비되어 평상시 로프가 길게 늘어져 있는 상태를 취하기 때문에 선박 접안시 물살에 의해 방충재가 자리를 잡지 못하면서 유격이 발생하고, 방충재의 형태가 가로로 수면에 부유한 상태로 선박의 높이에 비해 낮게 유지되기 때문에 선박의 상부나 큰 선박의 경우 제대로 보호해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 제 10-1003248호(착탈식 방충재 고정장치)는 항만구조물에 설치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된 가이드판 및 상기 가이드판의 전면에 고정된 충격흡수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충격흡수재가 고정된 가이드판이 안벽에 고정된 베이스플레이트와 별도 고정 없이 상부에서 수납되는 형태로 끼워지기 때문에 선박과 밀착된 상태로 물살에 의해 상하로 출렁일 경우 방충재가 상부로 들려져 외부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고 이 기술 역시 부착형 방충재에 해당하기 때문에 방충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안벽에 다수 설치해야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 제 10-1140922호(접안 시설용 방충 패널)에는 접안 시설용 방충 패널은 부두 측면에 결합되는 패널; 및 상기 패널 일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충격 흡수체; 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충격 흡수체는 상기 패널 일면에 결합되는 댐퍼; 상기 댐퍼의 일단에 삽입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체; 및 상기 연결체 일단에 결합되는 흡착판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흡착판과 댐퍼에 의한 구성이기 때문에 흡착판의 과도한 접촉으로 인해 선박의 도장면을 손상시킬 수 있고, 지속적인 공기제거의 번거로움과 공기제거가 원활하지 못한 상태에서 선박이 이동하게 되면 흡착판이 선박에 붙어있는 상태로 댐퍼에서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 기술 역시 다수의 충격흡수체를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 비용 및 유지보수에 따른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밖에 종래의 갑문,통선문과 같은 물의 높낮이 변화가 많은 곳에 선박을 묶어두기 위한 계류(繫留)용 고리가 안벽의 상단에만 설치되는데, 선박계류시 선박에 구비된 계류로프의 끝단에 무게추를 달아 사람이 직접 안벽의 상단으로 던져 올리면 제 3자가 계류로프를 계류고리를 고정시켜 계류하기 때문에 계류과정이 비효율적이고 작업인원이 적어도 2인 이상이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방충재를 구성하는 충격흡수부재가 수면에 부유한 상태로 수직으로 설치되되부두 안벽에 고정된 플랙시블 안내관을 따라 상하로 움직여 선박의 크기 또는 수위변화에도 효과적으로 완충작용을 하여 선박 또는 부두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설치 공간확보가 용이하며 수위마다 설치할 필요가 없어 설치비용을 절감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방충재의 상부에 계류 고리를 형성하여 선박계류시 선박의 계류용 로프를 선박과 가까운 위치의 방충재와 직접 고정함으로써 불필요한 작업인력을 줄이고 계류작업이 간편한 선박 접안용 방충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부두 안벽에 앵커로 상하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로프와, 상기 지지로프와 결합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플랙시블 안내관과, 상기 플랙시블 안내관을 따라 승강하도록 중공관이 형성되고 수면에 부유될 수 있도록 한 충격흡수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랙시블 안내관은 내측에 휘어질 수 있도록 한 안내줄과, 상기 안내줄의 외부를 감싸는 외층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부재의 상부에 계류고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로프상에 구형완충부가 설치되어 부두 안벽과 충격흡수부재가 일정간격이 유지되면서 탄성 완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방충재를 구성하는 충격흡수부재가 수면에 부유한 상태로 수직으로 설치되되부두 안벽에 고정된 플랙시블 안내관을 따라 상하로 움직여 선박의 크기 또는 수위변화에도 효과적으로 완충작용을 하여 선박 또는 부두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설치 공간확보가 용이하며 수위마다 설치할 필요가 없어 설치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충재의 상부에 계류 고리를 형성하여 선박계류시 선박의 계류용 로프를 선박과 가까운 위치의 방충재와 직접 고정함으로써 불필요한 작업인력을 줄이고 계류작업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접안용 방충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접안용 방충재의 구성을 나타낸 측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접안용 방충재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접안용 방충재의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충격흡수부재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접안용 방충재의 구형완충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선박 접안용 방충재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두(10) 안벽에 앵커(110)로 상하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로프(100)와, 상기 지지로프(100)와 결합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플랙시블 안내관(200)과, 상기 플랙시블 안내관(200)을 따라 승강하도록 중공관(310)이 형성되고 수면에 부유될 수 있도록 한 충격흡수부재(30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지지로프(100)는 플랙시블 안내관(200)을 수직으로 설치하기 위해 부두(10) 안벽에 고정용 앵커(110)로 상하에 각각 설치되되 지지로프(100)의 길이는 너무 길게 설치될 경우 충격흡수부재(300)가 자리를 잡지 못하고 유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충격흡수부재(300)가 수면에 부유한 상태에서 승·하강할 때 부두(10) 안벽과 직접 접촉되지 않을 정도의 길이로 설치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플랙시블 안내관(200)은 선박 접안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잘 견딜수 있도록 내측에 휘어질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안내줄(210)과, 상기 안내줄(210)의 외부를 감싸는 탄성 재질의 외층부(220)로 이루어져 하나의 관 형태를 이루며 충격흡수부재(300)의 승강시 안내작용을 한다.
상기 플랙시블 안내관(200)의 안내줄(210)은 휘어짐이 용이하도록 쇠사슬로 구비되고 외층부(220)는 고무튜브로 구비하여 상기 안내줄(210)을 보호하면서 휘어짐이 용이하도록 하고 충격흡수부재(300)의 중공관(310)과 부드럽게 마찰하여 상하이동을 용이하게 하면서 내구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진다. 이때 상기 외층부(220)는 안내줄(210)과 최대한 밀착되면서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플랙시블 안내관(200)은 상기와 같이 예를 들었지만, 휘어짐이 용이한 형태의 안내관이라면 어떤 형태로든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충격흡수부재(300)는 선박과 부두(10) 사이에 구비되어 충격을 흡수하여 선박 및 부두(10)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성으로, 수직으로 긴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수면에 부유한 상태로 중공관(310)에 삽입된 플랙시블 안내관(200)을 따라 승강하면서 선박의 크기 또는 수위변화에 대응하여 부두(10) 또는 선박의 보호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부재(300)의 중공관(310)은 내구성이 높고 견고한 금속재의 관으로 구비하고 충격흡수부재(300)의 길이방향으로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중공관(310)의 크기는 적어도 플랙시블 안내관(200)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충격흡수부재(300)가 별도의 체결 부재로 고정되지 않고 플랙시블 안내관(200)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상부에 지지로프(100)만 제거한 상태에서 충격흡수부재(300)를 상부로 빼내어 분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의 다수의 체결 부재에 의해 벽에 고정되는 방식에 비해 충격흡수부재(300)의 노후에 따른 교체가 간편하면서 부두(10)의 외벽손상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충격흡수부재(300)의 상부에 계류고리(400)를 형성할 경우, 선박계류시 선박에 구비된 계류용로프를 통해 방충재와 집적 고정하여 선박을 부두(10) 안벽에 계류함으로써 종래의 안벽 상단에 고정하는 방식에 비해 불필요한 작업인력을 줄이고 계류작업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로프(100) 상에 구형완충부(500)가 각각 상하로 설치될 경우, 부두(10) 안벽과 충격흡수부재(300)와 부두(10) 안벽간의 거리를 서로 이격시켜 충격흡수부재(300)의 승·하강시 서로 마찰되지 않도록 하여 충격흡수부재(300)의 상하 이동을 용이하게 하면서 수명을 높이고 더불어 탄성 완충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부두(10) 안벽에 일정간격으로 상·하에 고정되는 앵커(110)에 지지로프(100)를 각각 연결하고, 각각의 지지로프(100)에 플랙시블 안내관(200)의 단부가 연결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데, 이때 상부의 지지로프(100)를 연결하기 전에 충격흡수부재(300)의 중공관(310)에 플랙시블 안내관(200)을 삽입한 다음 상부의 지지로프(100)를 연결하여 부두(10) 안벽에 고정하여 설치된다.
상기 충격흡수부재(300)는 원통형으로 수직으로 길게 설치되기 때문에 종래의 가로형태의 부유식 방충재에 비해 선박과의 수직접촉면적을 많이 확보할 수 있어 소형선박 뿐만 아니라 대형선박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부유한 상태에서 플랙시블 안내관(200)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기 때문에 수위변동에도 선박의 측면에 정확히 위치하여 선박 또는 부두(10)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고, 충격흡수부재(300)의 상부에 계류고리(400)를 형성하여 선박계류시 선박에 구비된 계류용 로프를 통해 방충재와 집적 고정하여 계류작업을 간편화하고 작업인력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부두 20 : 방충재
100 : 지지로프 110 : 앵커
200 : 플랙시블 안내관 210 : 안내줄
220 : 외층부 300 : 충격흡수부재
310 : 중공관 400 : 계류고리
500 : 구형완충부

Claims (4)

  1. 부두(10) 안벽에 앵커(110)로 상하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로프(100)와,
    상기 지지로프(100)와 결합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되 내측에 휘어질 수 있도록 한 안내줄(210)이 구비되는 플랙시블 안내관(200)과,
    상기 플랙시블 안내관(200)을 따라 승강하도록 중공관(310)이 형성되고 수면에 부유될 수 있도록 한 충격흡수부재(3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접안용 방충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줄(210)은 그 외부를 탄성재질의 외층부(220)로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접안용 방충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재(300)의 상부에 계류고리(40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접안용 방충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로프(100)상에 구형완충부(500)가 설치되어 부두(10) 안벽과 충격흡수부재(300)가 일정간격이 유지되면서 탄성 완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접안용 방충재.


KR1020120141946A 2012-12-07 2012-12-07 선박 접안용 방충재 KR101284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946A KR101284438B1 (ko) 2012-12-07 2012-12-07 선박 접안용 방충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946A KR101284438B1 (ko) 2012-12-07 2012-12-07 선박 접안용 방충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4438B1 true KR101284438B1 (ko) 2013-07-12

Family

ID=48997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1946A KR101284438B1 (ko) 2012-12-07 2012-12-07 선박 접안용 방충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443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260B1 (ko) * 2016-05-04 2016-11-16 이신원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
CN108071096A (zh) * 2016-11-16 2018-05-25 赵东奇 能调节浮力的护舷
KR20190046584A (ko) 2017-12-13 2019-05-07 주식회사 씨존 잠수함용 방충재
KR20190084527A (ko) 2018-01-08 2019-07-17 주식회사 씨존 잠수함용 방충재
KR102473466B1 (ko) 2022-05-27 2022-12-02 영진산업 주식회사 친환경 방충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86448B1 (ko) 2022-05-27 2023-01-09 영진산업 주식회사 친환경 방충재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1227U (ja) * 1992-02-25 1993-09-28 横浜ゴム株式会社 防舷装置
JP2000008349A (ja) * 1998-06-22 2000-01-11 Yokohama Rubber Co Ltd:The 緩衝材
JP2005022588A (ja) * 2003-06-30 2005-01-27 Ken Matsuoka 係船索保持具
KR20120108549A (ko) * 2011-03-24 2012-10-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방현재 설치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1227U (ja) * 1992-02-25 1993-09-28 横浜ゴム株式会社 防舷装置
JP2000008349A (ja) * 1998-06-22 2000-01-11 Yokohama Rubber Co Ltd:The 緩衝材
JP2005022588A (ja) * 2003-06-30 2005-01-27 Ken Matsuoka 係船索保持具
KR20120108549A (ko) * 2011-03-24 2012-10-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방현재 설치 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260B1 (ko) * 2016-05-04 2016-11-16 이신원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
CN108071096A (zh) * 2016-11-16 2018-05-25 赵东奇 能调节浮力的护舷
KR20190046584A (ko) 2017-12-13 2019-05-07 주식회사 씨존 잠수함용 방충재
KR20190084527A (ko) 2018-01-08 2019-07-17 주식회사 씨존 잠수함용 방충재
KR102473466B1 (ko) 2022-05-27 2022-12-02 영진산업 주식회사 친환경 방충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86448B1 (ko) 2022-05-27 2023-01-09 영진산업 주식회사 친환경 방충재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4438B1 (ko) 선박 접안용 방충재
KR100934930B1 (ko) 측부에 튜브가 설치된 선박
KR101410372B1 (ko) 파일가이드용 수상시설물 계류장치
US5713710A (en) Transfer system
US8695523B2 (en) Apparatus for reducing pitching and rolling motion of vessel
KR101382300B1 (ko) 상하 이동식 가변형 방충재
US20180265173A1 (en) Adaptive observation platform device for sea surface
US10065709B2 (en) Cradle assembly for boats
KR101671260B1 (ko)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
JPH07163265A (ja) 養殖設備
KR200488813Y1 (ko) 교각 보호용 완충유닛
KR100895246B1 (ko) 선박의 항로표시장치.
KR100951177B1 (ko) 어초블록을 가진 부상장치
JP2009167685A (ja) 空気式防舷材の係留装置
KR20090124351A (ko) 부침식 연직막체 방파제
JPH0118670Y2 (ko)
KR20170002733U (ko) 잠수함의 갑판 해치용 휴대용 물막이 장치
KR20160029473A (ko) 부유식 구조물
KR200471954Y1 (ko) 부유물의 하부에 설치되어 흔들림을 감소시키는 웨이트
CN206125337U (zh) 一种新型浮标灯
KR200390423Y1 (ko) 부유형 방현재의 지지구조
JP2008273566A (ja) 浮き屋根式タンクのスロッシング抑制装置
CN218263742U (zh) 用于码头船舶防撞装置
JP6235403B2 (ja) 浮体式フラップゲート
KR101964217B1 (ko) 정박장치를 포함하는 구조물 설치용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