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1260B1 -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 - Google Patents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71260B1 KR101671260B1 KR1020160055093A KR20160055093A KR101671260B1 KR 101671260 B1 KR101671260 B1 KR 101671260B1 KR 1020160055093 A KR1020160055093 A KR 1020160055093A KR 20160055093 A KR20160055093 A KR 20160055093A KR 101671260 B1 KR101671260 B1 KR 1016712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 cable
- floating
- lower support
- support
- sea lev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6—Fe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에 관한 것으로, 부두의 접안면 상에 설치 고정되는 상·하부 지지대와 상·하부 지지대에 탄성 가능하게 상하로 연결 설치되는 가이드 케이블 및 가이드 케이블 상에 상하로 유동되는 일정 길이의 부유식 완충재 구조의 유동식 방충재를 통해 해수면 높이에 따라 부유식 완충재가 가이드 케이블 상에서 상하로 유동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부두의 접안면에 설치되어 선박의 접안시 충격을 흡수 완화시키는 접안시설용 방충재에 있어서, 부두의 접안면 상하의 양측에 인서트되어 나사부가 접안면 외측으로 노출된 다수의 앵커볼트; 접안면 상하 양측의 앵커볼트 각각에 후단부가 체결 고정되어지되 선단부 각각에는 관통공이 상하로 형성된 상·하부 지지대; 상·하부 지지대의 관통공에 상하 양단이 각각 삽입 관통되어 상하로 설치되어지되 상·하단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가이드 케이블; 상부 지지대의 관통공 상부측과 하부 지지대의 관통공 하부측에서 가이드 케이블의 상단과 하단에 체결되어 상·하부 지지대에 가이드 케이블이 탄성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케이블 탄성지지수단; 및 가이드 케이블에 중심부가 상하로 관통되어지되 해수면의 높이에 따라 상하로 유동되어 선박의 접안시 충격을 흡수 완화시키는 타원형 형태의 부유식 완충재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에 관한 것으로, 부두의 접안면 상에 상하 일정 거리로 설치되는 상·하부 지지대 상에 탄성스프링에 의해 탄성 가능하게 가이드 케이블을 설치하되 가이드 케이블 상에 상하로 유동되는 일정 길이의 부유식 완충재를 설치하여 해수면 높이에 따라 부유식 완충재가 가이드 케이블 상에서 상하로 유동되도록 한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발전과 물류의 중요성으로 인하여 대량의 화물을 운송할 수 있는 해상운송수단이 산업화의 절대적 필요조건으로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음은 물론, 선박의 규모도 확대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또한, 장비 및 기술개발로 항만시설 구조도 대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박 접안시설로는 일반적으로 케이슨 구조가 보편화되고 있으나 조수 간만의 차가 큰 지역에서는 조수 간만의 차에 따라 케이슨 구조의 확대는 물론 선박의 접안위치도 조위에 따라 확대되므로 캡콘크리트와 케이슨 일부에도 필요시설이 부착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선박 접안시설에 선박이 정박하는 항만 부두는 선박의 접안시 선박이 통상 취성적인 콘크리트 재료로 구성되는 부두의 측면에 부딪히는 충격력으로 인하여 선박 또는 부두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한편, 전술한 선박의 접안시 충격력으로 인한 선박 또는 부두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박의 접안시 충격을 흡수 완화시키는 충격 흡수용 패드를 부두의 접안면 상에 결합 고정한 방식의 고정식 방충재나 해수면 위에 띄워서 사용하는 부유식 방충재를 사용하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정식 방충재의 경우에는 부두로 접안되는 선박과 부딪치거나 파도에 의해 접안된 선박의 유동시 충격으로 인하여 파손되는 경우가 발행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접안되는 선박과 부딪치거나 파도에 의해 접안된 선박의 유동시 충격으로 인하여 고정식 방충재의 파손이 이루어지게 되면 방충효과가 저하되어 선박의 접안시 파손이 이루어진 고정식 방충재에 의해 선박의 부분적인 파소의 우려가 있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정식 방충재의 경우에는 고정식 방충재가 말 그대로 부두의 접안면 상에 고정되어있기 때문에 조수 간만의 차 즉, 조수 간만의 차에 의한 해수면의 높이에 따라 오르락 내리락 하는 선박에 대처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부두의 접안면 상에 상하 일정 거리로 설치 고정되는 상·하부 지지대와 상·하부 지지대에 탄성 가능하게 상하로 연결 설치되는 가이드 케이블 및 가이드 케이블 상에 상하로 유동되는 일정 길이의 부유식 완충재 구조의 유동식 방충재를 통해 해수면 높이에 따라 부유식 완충재가 가이드 케이블 상에서 상하로 유동되도록 한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유동식 방충재의 구조를 조수 간만의 차이에 의한 해수면 높이에 따라 부유식 완충재가 가이드 케이블 상에서 상하로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조수 간만의 차에 따른 해수면의 높이에 따라 가이드 케이블 상에서 부유식 완충재가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해수면의 높이에 따라 상하로 유동되는 선박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또 다른 목적은 상·하부 지지대에 가이드 케이블을 연결하는 경우 탄성스프링을 통해 탄성 가능하게 연결 설치함으로써 선박의 접안시 가압되는 압력에 따라 부유식 완충재의 압축으로 인해 접안면으로 밀리는 경우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 케이블이 부유식 완충재의 밀림을 보상할 수 있도록 하여 가이드 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는 부두의 접안면에 설치되어 선박의 접안시 충격을 흡수 완화시키는 접안시설용 방충재에 있어서, 부두의 접안면 상하의 양측에 인서트되어 나사부가 접안면 외측으로 노출된 다수의 앵커볼트; 접안면 상하 양측의 앵커볼트 각각에 후단부가 체결 고정되어지되 선단부 각각에는 관통공이 상하로 형성된 상·하부 지지대; 상·하부 지지대의 관통공에 상하 양단이 각각 삽입 관통되어 상하로 설치되어지되 상·하단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가이드 케이블; 상부 지지대의 관통공 상부측과 하부 지지대의 관통공 하부측에서 가이드 케이블의 상단과 하단에 체결되어 상·하부 지지대에 가이드 케이블이 탄성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케이블 탄성지지수단; 및 가이드 케이블에 중심부가 상하로 관통되어지되 해수면의 높이에 따라 상하로 유동되어 선박의 접안시 충격을 흡수 완화시키는 타원형 형태의 부유식 완충재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상·하부 지지대는 접안면 상하 양측에 구성된 앵커볼트에 대응하는 각도로 구성되어지되 선단의 꼭지점을 이루는 부분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이등변 삼각형 형태의 삼각대; 삼각대 각각의 후단에 설치되어지되 앵커볼트가 삽입 관통되는 나사공을 형성되어 고정너트를 통해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 및 삼각대의 이등변을 연결하여 보강하는 보강대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케이블 탄성지지수단은 가이드 케이블의 상·하단부가 관통되어 상부 지지대의 관통공 상부측과 하부 지지대의 관통공 하부측에 지지되어지되 스프링 안착부가 형성된 받침링; 가이드 케이블의 상·하단부가 관통되어 받침링 각각의 스프링 안착부에 안착되는 탄성스프링; 가이드 케이블의 상·하단부 각 끝단의 나사부 상에 체결되어 탄성스프링의 지지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스프링 지지용 너트; 및 받침링과 탄성스프링 및 스프링 지지용 너트를 보호하는 보호캡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가이드 케이블의 외주면에는 해수에 함유된 각종 미생물이나 물이끼가 고착되지 않도록 고체윤활유가 코팅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부유식 완충재의 중심에는 가이드 케이블이 관통되는 가이드 파이프가 인서트된 상태로 성형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는 부유식 완충재의 일부가 해수면 아래에 일정 깊이로 잠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무게의 균형을 맞추어 주는 무게추가 부유식 완충재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부유식 완충재의 외주면에는 상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띠홈이 형성되어지되 띠홈에는 다수의 탄소섬유원사를 꼬아 만든 탄소섬유밴드가 감겨진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부두의 접안면 상에 상하 일정 거리로 설치 고정되는 상·하부 지지대와 상·하부 지지대에 탄성 가능하게 상하로 연결 설치되는 가이드 케이블 및 가이드 케이블 상에 상하로 유동되는 일정 길이의 부유식 완충재 구조의 유동식 방충재를 통해 해수면 높이에 따라 부유식 완충재가 가이드 케이블 상에서 상하로 유동되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유동식 방충재의 구조를 조수 간만의 차이에 의한 해수면 높이에 따라 부유식 완충재가 가이드 케이블 상에서 상하로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조수 간만의 차에 따른 해수면의 높이에 따라 가이드 케이블 상에서 부유식 완충재가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해수면의 높이에 따라 상하로 유동되는 선박에 대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상·하부 지지대에 가이드 케이블을 연결하는 경우 탄성스프링을 통해 탄성 가능하게 연결 설치함으로써 선박의 접안시 가압되는 압력에 따라 부유식 완충재의 압축으로 인해 접안면으로 밀리는 경우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 케이블이 부유식 완충재의 밀림을 보상할 수 있도록 하여 가이드 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를 결합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가 설치된 부두의 접안면 상태를 보인 측단면 구성도.
도 4 는 도 2 의 "A-A"선 단면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의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를 결합하여 보인 정면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의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가 간조와 만조시의 유동된 상태를 보인 정면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의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가 접압되는 선박에 가압되는 경우 탄성스프링과 가이드 케이블의 작용을 보인 측단면 구성도.
도 8 은 본 발명의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를 부두의 접안면 상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9 는 본 발명의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가 설치된 접안면에 선박이 접안되는 상태를 보인 평면 구성도.
도 10 은 본 발명의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에서 부유식 완충재의 연결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를 결합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가 설치된 부두의 접안면 상태를 보인 측단면 구성도.
도 4 는 도 2 의 "A-A"선 단면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의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를 결합하여 보인 정면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의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가 간조와 만조시의 유동된 상태를 보인 정면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의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가 접압되는 선박에 가압되는 경우 탄성스프링과 가이드 케이블의 작용을 보인 측단면 구성도.
도 8 은 본 발명의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를 부두의 접안면 상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9 는 본 발명의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가 설치된 접안면에 선박이 접안되는 상태를 보인 평면 구성도.
도 10 은 본 발명의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에서 부유식 완충재의 연결을 보인 사시 구성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에 대한 양호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를 결합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가 설치된 부두의 접안면 상태를 보인 측단면 구성도, 도 4 는 도 2 의 "A-A"선 단면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의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를 결합하여 보인 정면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의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가 간조와 만조시의 유동된 상태를 보인 정면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의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가 접압되는 선박에 가압되는 경우 탄성스프링과 가이드 케이블의 작용을 보인 측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100)는 부두(10)의 접안면(12) 상하의 양측에 인서트되어 나사부(112)가 접안면(12) 외측으로 노출된 다수의 앵커볼트(110), 접안면(12) 상하 양측의 앵커볼트(110) 각각에 후단부가 체결 고정되어지되 선단부 각각에는 관통공(120-1, 120a-1)이 상하로 형성된 상·하부 지지대(120, 120a), 상·하부 지지대(120, 120a)의 관통공(120-1, 120a-1)에 상하 양단이 각각 삽입 관통되어 상하로 설치되어지되 상·하단부에는 나사부(132)가 형성된 가이드 케이블(130), 상부 지지대(120)의 관통공(120-1) 상부측과 하부 지지대(120a)의 관통공(120a-1) 하부측에서 가이드 케이블(130)의 상단과 하단에 체결되어 상·하부 지지대(120, 120a)에 가이드 케이블(130)이 탄성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케이블 탄성지지수단(140) 및 가이드 케이블(130)에 중심부가 상하로 관통되어지되 해수면의 높이에 따라 상하로 유동되어 선박의 접안시 충격을 흡수 완화시키는 타원형 형태의 부유식 완충재(15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100)는 부유식 완충재(150)가 가이드 케이블(130) 상에 조수 간만의 차에 의한 해수면 높이에 따라 상하로 오르락 내리락 하게 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유동식 방충재(100)는 접안되는 선박의 크기에 따라 그 크기와 간격을 달리 구성하는 것을 보다 양호하다.
다시 말해서, 컨테이너선이나 LNG 선과 같이 수백미터의 길이로 이루어진 선박의 경우에는 유동식 방충재(100)의 지름이 수 미터에 이르는 크기로 함은 물론 그 간격 역시도 10∼15m의 간격으로 설치하는 반면, 연근해 어선의 경우와 같은 작은 선박의 경우에는 유동식 방충재(100)의 지름이 1미터 이하의 크기로 함은 물론 그 간격은 1∼3m의 간격으로 설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100)의 설치를 살펴보면 먼저, 부두(10)의 접안면(12) 상하의 양측에 앵커볼트(110)를 인서트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하의 앵커볼트(110)는 거리는 조수 간만의 차가 최대치인 것을 기준으로 하여 설치하는 것이 보다 양호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부두(10)의 접안면(12) 상하의 양측에 앵커볼트(110)를 인서트 설치한 다음에는 상하의 앵커볼트(110) 각각에 상부 지지대(120)와 하부지지대(120a)를 설치 고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가이드 케이블(130)을 부유식 완충재(150)의 상하 중심부로 관통시켜 가이드 케이블(130) 상에서 부유식 완충재(150)의 상하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결합한다.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케이블(130)을 부유식 완충재(150)의 상하 중심부로 관통 결합한 다음에는 가이드 케이블(130)의 상단과 하단을 상부 지지대(120)와 하부지지대(120a)의 관통공(120-1, 120a-1)으로 관통시킨다. 그리고, 케이블 탄성지지수단(140)을 통해 가이드 케이블(130)을 상·하부 지지대(120, 120a) 상에 탄성 가능하게 고정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100)는 가이드 케이블(130) 상에 부유식 완충재(150)가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해수면 상에 부유되는 부유식 완충재(150)는 도 3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수 간만의 차에 따른 해수면의 높이에 따라 가이드 케이블(130) 상에서 오르락 내리락 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100)는 가이드 케이블(130)이 케이블 탄성지지수단(140)을 통해 상·하부 지지대(120, 120a) 상에 탄성 가능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접안시 선박의 가압되는 방향으로 밀리는 경우 케이블 탄성지지수단(140)에 의해 가이드 케이블(130)이 긴장된 상태로 가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이드 케이블(13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앵커볼트(110)는 접안면(120) 상에 상·하부 지지대(120, 120a)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앵커볼트(110)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두(10)의 접안면(120) 상하의 양측에 인서트되어 나사부(112)가 접안면(120)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다수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두(10)의 접안면(120) 상하의 양측에 인서트되어 나사부(112)가 접안면(120)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다수 구성되는 앵커볼트(110)는 1기의 유동식 방충재(100)에 해당하는 군이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선박의 크기에 따라 접안면(120) 상에 좌우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하부 지지대(120, 120a)는 상하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케이블(13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상·하부 지지대(120, 120a)는 도 1, 도 2, 도 3, 도 5,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안면(12) 상하 양측의 앵커볼트(110) 각각에 후단부가 체결 고정되어지되 선단부 각각에는 관통공(120-1, 120a-1)이 상하로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하부 지지대(120, 120a)는 접안면(12) 상하 양측에 구성된 앵커볼트(110)에 대응하는 각도로 구성되어지되 선단의 꼭지점을 이루는 부분에는 관통공(120-1, 120a-1)이 형성된 이등변 삼각형 형태의 삼각대(122, 122a), 삼각대(122, 122a) 각각의 후단에 설치되어지되 앵커볼트(110)가 삽입 관통되는 나사공(124-1, 124a-1)을 형성되어 고정너트(128)를 통해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124, 124a) 및 삼각대(122, 122a)의 이등변을 연결하여 보강하는 보강대(126, 126a)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하부 지지대(120, 120a) 각각은 삼각대(122, 122a)의 이등변 각각의 후단에 구성되는 고정 브라켓(124, 124a)에 앵커볼트(110)를 결합하여 고정너트(128)를 통해 체결함으로써 접안면(12) 상하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하의 상·하부 지지대(120, 120a) 사이의 간격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수의 간조기와 만조기의 최대차를 기준으로 함이 양호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가이드 케이블(130)은 해수면에 따라 상하로 유동되는 부유식 완충재(150)를 상하로 가이드하는 것으로, 이러한 가이드 케이블(130)은 도 1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 지지대(120, 120a)의 관통공(120-1, 120a-1)에 상하 양단이 각각 삽입 관통되어 상하로 설치되어지되 상·하단부에는 나사부(132)가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가이드 케이블(130)은 상·하부 지지대(120, 120a)의 관통공(120-1, 120a-1)에 상하 양단이 각각 삽입 관통되어 케이블 탄성지지수단(140)을 통해 고정된다. 이때, 가이드 케이블(130)은 상부 지지대(120)의 관통공(120-1) 상부와 하부 지지대(120a)의 관통공(120a-1) 하부측에 설치되는 케이블 탄성지지수단(140)에 의해 상·하부 지지대(120, 120a)에 긴장된 상태로 고정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가이드 케이블(130)의 외주면에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수에 함유된 각종 미생물이나 물이끼가 고착되지 않도록 고체윤활유(134)가 코팅될 수 있다. 이때, 고체윤활유(134) 코팅은 이황화몰리브덴(MoS2)으로 코팅될 수 있다. 이외에도 가이드 케이블(130)의 외주면에는 세라믹 코팅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케이블 탄성지지수단(140)은 가이드 케이블(130)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상·하부 지지대(120, 120a)에 탄성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케이블 탄성지지수단(140)은 도 1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지지대(120)의 관통공(120-1) 상부측과 하부 지지대(120a)의 관통공(120a-1) 하부측에서 가이드 케이블(130)의 상단과 하단에 체결되어 상·하부 지지대(120, 120a)에 가이드 케이블(130)이 탄성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케이블 탄성지지수단(140)은 도 1, 도 3, 도 4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케이블(130)의 상·하단부가 관통되어 상부 지지대(120)의 관통공(120-1) 상부측과 하부 지지대(120a)의 관통공(120a-1) 하부측에 지지되어지되 스프링 안착부(142-1)가 형성된 받침링(142), 가이드 케이블(130)의 상·하단부가 관통되어 받침링(142) 각각의 스프링 안착부(142-1)에 안착되는 탄성스프링(144), 가이드 케이블(130)의 상·하단부 각 끝단의 나사부(132) 상에 체결되어 탄성스프링(144)의 지지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스프링 지지용 너트(146) 및 받침링(142)과 탄성스프링(144) 및 스프링 지지용 너트(146)를 보호하는 보호캡(148)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케이블 탄성지지수단(140)은 상부 지지대(120)의 관통공(120-1) 상부측과 하부 지지대(120a)의 관통공(120a-1) 하부측에서 탄성스프링(144)의 탄성력을 통해 가이드 케이블(130)이 긴장시키게 된다. 즉, 탄성스프링(144)이 받침링(142)에 지지된 상태로 인장되면 스프링 지지용 너트(146)를 각각 상부와 하부로 밀게 되어 가이드 케이블(130)이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스프링(144)이 받침링(142)에 지지된 상태로 인장되면 스프링 지지용 너트(146)를 각각 상부와 하부로 밀게 되어 가이드 케이블(130)이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에서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케이블(130)을 접안면(12)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스프링 지지용 너트(146)가 받침링(142)에 안착된 탄성스프링(144)을 압축하게 되어 상하의 탄성스프링(144)이 압축되는 만큼 상·하부 지지대(120, 120a) 사이의 가이드 케이블(130) 길이가 늘어나도록 한다.
따라서, 전술한 도 7 에서와 같이 선박의 접안시 부유식 완충재(150)가 선박에 의해 가압 압축되면서 접안면(12) 방향으로 가압되어지면 탄성스프링(144)이 압축되는 만큼 상·하부 지지대(120, 120a) 사이의 가이드 케이블(130) 길이가 늘어나게 되어 가이드 케이블(130)에 작용되는 선박의 가압력이 완충되어진다. 이에 따라, 가이드 케이블(130)이 단절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부유식 완충재(150)는 선박의 접안시 가압되는 충격을 흡수 완충시켜 선박의 표면이 접안면(120)에 부딪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부유식 완충제(150)는 도 1, 도 2, 도 3, 도 5,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케이블(130)에 중심부가 상하로 관통되어지되 해수면의 높이에 따라 상하로 유동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부유식 완충재(150)는 선박의 접안시 충격을 흡수 완화시키는 타원형 형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부유식 완충재(150)의 중심에는 가이드 케이블(130)이 관통되어 가이드 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파이프(152)가 인서트된 상태로 성형되어진다. 이때, 가이드 파이프(152)의 내주면에도 해수에 함유된 각종 미생물이나 물이끼가 고착되지 않도록 이황화몰리브덴(MoS2)의 고체윤활유(134)가 더 코팅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는 도 3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식 완충재(150)의 일부가 해수면 아래에 일정 깊이로 잠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무게의 균형을 맞추어 주는 무게추(160)가 부유식 완충재(15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더 구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유식 완충재(15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무게추(160)는 도 3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식 완충재(150)의 일부가 해수면 아래에 일정 깊이로 잠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도의 발생시 부유식 완충재(150)의 유동을 억제시켜 가이드 케이블(130)과 가이프 파이프(152)의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에는 도 1, 도 2, 도 3, 도 5,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식 완충재(150)의 외주면에 상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띠홈(154)이 형성되어지되 띠홈(154)에는 다수의 탄소섬유원사를 꼬아 만든 탄소섬유배드(170)가 더 감겨질 수 있다. 이러한 탄소섬유밴드(170)는 부유식 완충재(150)를 보강하는 기능과 유동식 방충재(100)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를 부두의 접안면 상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9 는 본 발명의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가 설치된 접안면에 선박이 접안되는 상태를 보인 평면 구성도이다.
도 8 및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100)는 부두(10)의 접안면(120) 상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접안되는 선박의 충격을 부유식 방충재(100)를 통해 흡수 완화시켜 선박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0 은 본 발명의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에서 부유식 완충재의 연결을 보인 사시 구성도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100)는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2∼3개의 부유식 완충재(150)를 연결 케이블을 통해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부두(10)의 접안면(12) 상에 상하 일정 거리로 설치되는 상·하부 지지대(120, 120a) 상에 탄성스프링(144)에 의해 탄성 가능하게 가이드 케이블(130)을 설치하되 가이드 케이블(130) 상에 상하로 유동되는 일정 길이의 부유식 완충재(150)를 설치함으로써 해수면 높이에 따라 부유식 완충재(150)가 가이드 케이블(130) 상에서 상하로 유동되도록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0. 부두 12. 접안면
100. 유동식 방충재 110. 앵커볼트
120. 상부 지지대 120a. 하부 지지대
122, 122a. 삼각대 124, 124a. 고정 브라켓
126, 126a. 보강대 130. 가이드 케이블
132. 나사부 134. 고체윤활유
140. 케이블 탄성지지수단 142. 받침링
144. 탄성스프링 146. 스프링 지지용 너트
148. 보호캡 150. 부유식 완충재
152. 가이드 파이프 160. 무게추
170. 탄소섬유밴드
100. 유동식 방충재 110. 앵커볼트
120. 상부 지지대 120a. 하부 지지대
122, 122a. 삼각대 124, 124a. 고정 브라켓
126, 126a. 보강대 130. 가이드 케이블
132. 나사부 134. 고체윤활유
140. 케이블 탄성지지수단 142. 받침링
144. 탄성스프링 146. 스프링 지지용 너트
148. 보호캡 150. 부유식 완충재
152. 가이드 파이프 160. 무게추
170. 탄소섬유밴드
Claims (7)
- 부두의 접안면에 설치되어 선박의 접안시 충격을 흡수 완화시키는 접안시설용 방충재에 있어서,
상기 부두의 접안면 상하의 양측에 인서트되어 나사부가 접안면 외측으로 노출된 다수의 앵커볼트;
상기 접안면 상하 양측에 구성된 상기 앵커볼트에 대응하는 각도로 구성되어지되 선단의 꼭지점을 이루는 부분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이등변 삼각형 형태의 삼각대, 상기 삼각대 각각의 후단에 설치되어지되 상기 앵커볼트가 삽입 관통되는 나사공을 형성되어 고정너트를 통해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 및 상기 삼각대의 이등변을 연결하여 보강하는 보강대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하부 지지대;
상기 상·하부 지지대의 관통공에 상하 양단이 각각 삽입 관통되어 상하로 설치되어지되 외주면에는 해수에 함유된 각종 미생물이나 물이끼가 고착되지 않도록 고체윤활유가 코팅되고 상·하단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가이드 케이블;
상기 가이드 케이블의 상·하단부가 관통되어 상기 상부 지지대의 관통공 상부측과 하부 지지대의 관통공 하부측에 지지되어지되 스프링 안착부가 형성된 받침링, 상기 가이드 케이블의 상·하단부가 관통되어 상기 받침링 각각의 스프링 안착부에 안착되는 탄성스프링, 상기 가이드 케이블의 상·하단부 각 끝단의 나사부 상에 체결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의 지지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스프링 지지용 너트 및 상기 받침링과 탄성스프링 및 스프링 지지용 너트를 보호하는 보호캡으로 이루어져 상기 상·하부 지지대에 상기 가이드 케이블이 탄성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케이블 탄성지지수단;
상기 가이드 케이블에 중심부가 상하로 관통되어지되 해수면의 높이에 따라 상하로 유동되어 상기 선박의 접안시 충격을 흡수 완화시키는 타원형 형태의 부유식 완충재; 및
상기 부유식 완충재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지되 상기 부유식 완충재의 일부가 해수면 아래에 일정 깊이로 잠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무게의 균형을 맞추어 주는 무게추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완충재의 중심에는 상기 가이드 케이블이 관통되는 가이드 파이프가 인서트된 상태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완충재의 외주면에는 상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띠홈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띠홈에는 다수의 탄소섬유원사를 꼬아 만든 탄소섬유밴드가 감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5093A KR101671260B1 (ko) | 2016-05-04 | 2016-05-04 |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5093A KR101671260B1 (ko) | 2016-05-04 | 2016-05-04 |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71260B1 true KR101671260B1 (ko) | 2016-11-16 |
Family
ID=57541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55093A KR101671260B1 (ko) | 2016-05-04 | 2016-05-04 |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71260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12039A (ko) * | 2017-07-26 | 2019-02-08 |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 교각보호대 |
KR20190046584A (ko) | 2017-12-13 | 2019-05-07 | 주식회사 씨존 | 잠수함용 방충재 |
KR20190084527A (ko) | 2018-01-08 | 2019-07-17 | 주식회사 씨존 | 잠수함용 방충재 |
KR102332650B1 (ko) | 2020-06-02 | 2021-11-30 | 유한회사 지엘산업 | 교체가 용이한 휠 구조형 부유식 완충장치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38222U (ja) * | 1992-07-10 | 1995-07-14 | 株式会社間組 | 消波装置 |
KR19990025595A (ko) | 1997-09-13 | 1999-04-06 | 전주범 | 인터넷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에서의 성인 사이트 오픈 방지 장치 |
JP2000008349A (ja) * | 1998-06-22 | 2000-01-11 | Yokohama Rubber Co Ltd:The | 緩衝材 |
KR200209725Y1 (ko) | 2000-07-31 | 2001-01-15 | 주식회사우대기술단 | 폐타어를 이용한 접안시설용 완충시트 |
KR20080025524A (ko) | 2006-09-18 | 2008-03-21 | 원 회 양 | 상ㆍ하부 조립형 선박접안시설 |
KR20100066032A (ko) | 2008-12-09 | 2010-06-17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부유식 접안시설용 선박 고정장치 |
KR101140922B1 (ko) | 2011-08-16 | 2012-05-03 | 주식회사 삼주에스엠씨 | 접안 시설용 방충 패널 |
KR101284438B1 (ko) * | 2012-12-07 | 2013-07-12 | 주식회사 씨존 | 선박 접안용 방충재 |
KR20140014727A (ko) * | 2012-07-25 | 2014-02-06 |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 상하 이동식 가변형 방충재 |
-
2016
- 2016-05-04 KR KR1020160055093A patent/KR10167126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38222U (ja) * | 1992-07-10 | 1995-07-14 | 株式会社間組 | 消波装置 |
KR19990025595A (ko) | 1997-09-13 | 1999-04-06 | 전주범 | 인터넷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에서의 성인 사이트 오픈 방지 장치 |
JP2000008349A (ja) * | 1998-06-22 | 2000-01-11 | Yokohama Rubber Co Ltd:The | 緩衝材 |
KR200209725Y1 (ko) | 2000-07-31 | 2001-01-15 | 주식회사우대기술단 | 폐타어를 이용한 접안시설용 완충시트 |
KR20080025524A (ko) | 2006-09-18 | 2008-03-21 | 원 회 양 | 상ㆍ하부 조립형 선박접안시설 |
KR20100066032A (ko) | 2008-12-09 | 2010-06-17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부유식 접안시설용 선박 고정장치 |
KR101140922B1 (ko) | 2011-08-16 | 2012-05-03 | 주식회사 삼주에스엠씨 | 접안 시설용 방충 패널 |
KR20140014727A (ko) * | 2012-07-25 | 2014-02-06 |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 상하 이동식 가변형 방충재 |
KR101284438B1 (ko) * | 2012-12-07 | 2013-07-12 | 주식회사 씨존 | 선박 접안용 방충재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12039A (ko) * | 2017-07-26 | 2019-02-08 |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 교각보호대 |
KR102093939B1 (ko) * | 2017-07-26 | 2020-03-26 |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 교각보호대 |
KR20190046584A (ko) | 2017-12-13 | 2019-05-07 | 주식회사 씨존 | 잠수함용 방충재 |
KR20190084527A (ko) | 2018-01-08 | 2019-07-17 | 주식회사 씨존 | 잠수함용 방충재 |
KR102332650B1 (ko) | 2020-06-02 | 2021-11-30 | 유한회사 지엘산업 | 교체가 용이한 휠 구조형 부유식 완충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71260B1 (ko) |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 | |
US4813815A (en) | Buoyant, elastically tethered articulated marine platform | |
US7686539B2 (en) | Water movement damper device | |
US20110274502A1 (en) | Dampening Pile Guide | |
KR102048296B1 (ko) | 외력흡수형 부잔교 | |
US5341757A (en) | Vertically adjusting mooring device | |
US5937781A (en) | Floating piling attachment device with shock absorbing capability | |
KR101284438B1 (ko) | 선박 접안용 방충재 | |
US7322307B1 (en) | Buoyant bumper system | |
RU2328589C2 (ru) |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лубоководного гибкого восходяще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 |
JP2008519731A (ja) | ソフトな埠頭の係留システム | |
US20090107384A1 (en) | Fender System for Vessels Which Allows Fenders to Self Adjust | |
US10065709B2 (en) | Cradle assembly for boats | |
CN101736688B (zh) | 桥梁带钢臂的组合式浮动防撞装置 | |
US5224800A (en) | Protective system against icebergs or floating objects | |
US4135467A (en) | Means of protection against the shocks of ships coming alongside, particularly for platforms of the off-shore type | |
JP2009167685A (ja) | 空気式防舷材の係留装置 | |
CN107972827B (zh) | 浮式码头及其浮体结构 | |
KR20230091130A (ko) | 해상 풍력 터빈의 움직임 최소화 | |
CN110241786B (zh) | 一种弦式系泊系统 | |
KR200390423Y1 (ko) | 부유형 방현재의 지지구조 | |
JPH0313363B2 (ko) | ||
US7618214B2 (en) | Containment boom guide system and method | |
US20110094429A1 (en) | Vertically varying nautical mooring device | |
US4058984A (en) | Marine cushioning un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