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4527A - 잠수함용 방충재 - Google Patents

잠수함용 방충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4527A
KR20190084527A KR1020180002379A KR20180002379A KR20190084527A KR 20190084527 A KR20190084527 A KR 20190084527A KR 1020180002379 A KR1020180002379 A KR 1020180002379A KR 20180002379 A KR20180002379 A KR 20180002379A KR 20190084527 A KR20190084527 A KR 20190084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hollow tube
submarine
present
fe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존
Priority to KR1020180002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4527A/ko
Publication of KR20190084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5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6Fen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수함용 방충재에 관한 것으로, 방충재의 내부에 무게추가 내장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현장설치가 용이하고 무게추의 결합력을 높이고, 방충재에 일체화된 무게추의 결합구조를 통해 충돌과정에서 무게추에 의해 선체훼손을 방지하고자 한 잠수함용 방충재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중공관과, 상기 중공관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부력을 갖는 완충부재와, 상기 중공관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중공관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지지대의 상부에 지지되는 형태로 결합되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잠수함용 방충재{Submarine Fender}
본 발명은 잠수함용 방충재에 관한 것으로, 방충재의 내부에 무게추가 내장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현장설치가 용이하고 무게추의 결합력을 높이고, 방충재에 일체화된 무게추의 결합구조를 통해 충돌과정에서 무게추에 의해 선체훼손을 방지하고자 한 잠수함용 방충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충재(Fender)는 선박을 부두 안벽에 접안(接岸)할 때 선박 및 부두를 보호하기 위해 부두의 안벽에 설치되는 접안 시설물로서, 설치형태는 크게 로프와 앵커 볼트로 고정되는 부유형 방충재와 패널형태로 구비되어 안벽에 고정되는 부착형 방충재가 사용된다.
상기 부유형 방충재의 완충방식으로는 튜브 내부에 압축공기를 채워 넣은 공기식 방충재나 발포성 수지시트를 감아서 형성한 방식의 방충재가 사용되고 있으며, 부착형 방충재의 경우는 통상의 고무재질로 구성되어 완충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부착형 방충재의 경우 선박의 크기 또는 수위변동을 고려하여 안벽에 일정간격으로 다시 배열되는 형태로 넓은 면적에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 시간 및 비용 문제와 방충재의 노후에 따른 교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을 때 부유식 방충재가 효율성이 좋기 때문에 최근에는 부유식 방충재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아울러, 일반적인 선박이 아닌 잠수함의 경우, 일반 선박의 접안 높이보다 더 깊은 위치에 접안시설이 필요하기 때문에 잠수함용 방충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부유형 방충재의 하부에 무게추를 추가로 설치하여 방충재가 일정깊이만큼 물속에 강제로 잠기게 하는 형태로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잠수함용 방충재는 자체의 부력이 너무 크기 때문에 방충재를 일정 깊이까지 잠기게 하려면 큰 규격의 무게추를 설치해야만 가능하다.
이와 같은 사항으로 인해 종래의 잠수함용 방충재는 접안과정에서 잠수함의 선체와 방충재에 큰 충격이 발생할 경우 충격에 의해 방충재가 찌그러지게 되는데, 이때 방충재가 찌그러지는 과정에서 잠수함의 선체가 큰 규격의 무게추가 있는 위치까지 진행되면서 잠수함의 선체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잠수함용 방충재는 무게추가 로프 또는 체인에 의해 매달리는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선체 충돌시 흔들리는 무게추에 의해 방충재의 하부를 타격하거나 접안과정에서 선체를 타격하는 등의 구조적 문제점이 있었다.
부착형 방충재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는 특허 제10-1312289호(방충재 설치용 앵커 및 이를 포함하는 방충재 설치구조)가 있고, 부유형 방충재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는 특허 제10-0935649호(공기식 폴리우레아 방충재의 제조방법), 특허 제10-1284438호(선박 접안용 방충재), 특허 제10-1382300호(상하 이동식 가변형 방충재), 특허 제10-1671260호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 모두 일반 선박용 방충재에 관한 것으로, 잠수함용 방충재에 적합하지 못하며, 이 중에서 특허 제10-1382300호, 특허 제10-1671260호와 같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수직축 선상에 방충재가 설치되는 경우, 선체와 방충재의 충격에 의해 수직축 자체가 휘어질 경우 방충재의 상,하운동에 지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는 방충재의 하단부에 무게추를 설치하기 곤란한 점이 있고, 부력조절 또한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228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564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443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230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126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방충재의 하부에 별도의 무게추를 매다는 형태로 구성하지 않고, 방충재 내부에 무게추가 내장되는 형태로 구성하여 현장설치가 용이하고 무게추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고, 무게추가 방충재에 일체로 결합된 구조가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체 충돌과정에서 무게추의 위치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여 선체훼손을 방지하고자 한 잠수함용 방충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중공관과, 상기 중공관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부력을 갖는 완충부재와, 상기 중공관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중공관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지지대의 상부에 지지되는 형태로 결합되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게추는 외주면에 지지돌부가 돌출 형성되어 지지대와 서로 맞닿아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게추는 중공관의 하단부보다 하부방향으로 더 돌출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게추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통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채워지는 중량부재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덮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량부재는 폐기용 체인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공관 내부에 무게추가 차지하지 않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의 내부로 해수가 더 채워지는 형태로 방충재의 부력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무게추를 중공관 내부로 삽입하는 형태만으로 무게추의 결합이 완료되기 때문에, 현장설치가 용이하고 이미 설치된 방충재의 무게추 변경이 간편한 구조적 이점을 갖는다.
또한 무게추가 방충재에 일체화된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종래의 무게추를 매다는 방식에 비해 선체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잠수함용 방충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잠수함용 방충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무게추의 결합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무게추의 돌출길이를 다르게 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잠수함용 방충재 내부에 해수가 채워져 부력조절이 이루어지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실시예에서 무게추의 돌출길이를 다르게 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무게추 결합부위에 패킹부재가 더 구비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잠수함용 방충재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선박용 방충재보다 더 깊은 물속에 잠기는 형태로 설치되는 기술이다. 종래의 잠수함용 방충재는 단순히 부유형 방충재 하단부에 무게추를 설치한 형태로 되어 있지만 이러한 구조는 무게추가 방충재의 많은 부력을 감당해야되기 때문에 큰 규격의 무게추를 설치해야만 했다. 따라서, 큰 규격의 무게추로 인해 선체충격시 방충재가 찌그러지는 과정에서 선체가 큰 규모의 무게추와 부딪혀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의 잠수함용 방충재를 통해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잠수함용 방충재는 도 1 내지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중공관(10)과, 상기 중공관(10)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부력을 갖는 완충부재(20)와, 상기 중공관(10)의 내측에 돌출형성되는 지지대(15)와, 상기 중공관(1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지지대(15)의 상부에 올려지는 형태로 결합되는 무게추(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공관(10)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방충재의 중앙을 수직으로 지나는 형태로 설치되며, 하단부는 개방되어 있고 상단부는 별도의 상단덮개(11)가 결합되어 막혀있는 구조가 된다. 이때 상단덮개(11)에는 로프나 체인이 결속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방충재가 부두 안벽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중공관(10)은 스틸과 같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공관(10)의 크기는 내부에 무게추(30)가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전체 방충재의 단면 폭을 기준으로 1/3 내지 1/2 을 차지하는 것이 좋다.
상기 완충부재(20)는 중공관(10)의 외부에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중공관(10)이 방충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부력 및 완충작용이 함께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완충부재(20)의 바람직한 예로는 일반적인 튜브에 공기만 채워지는 형식이 아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관(10)의 외면에 PE재질의 발포테이프를 열융착 방식으로 감은 발포수지층(21)을 구성하고, 그 외부에는 다수의 보강사로 권취한 보강층(22), 상기 보강층(22)의 외부에는 폴리우레아 수지를 도포한 외피층(23)으로 구성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중공관(10)의 내부에 지지대(15)가 돌출형성되어 무게추(30)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즉, 무게추(30)가 중공관(10)의 하부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구성에 해당하며 지지면적으로 높이기 위해 원형의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무게추(30)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무게추(30)의 외경은 중공관(1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중공관(10) 내부로 삽입 설치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무게추(30)의 외주면에는 지지돌부(40)가 더 돌출형성되어 중공관(10)의 지지대(15)에 맞닿아 지지되는 형태로 결합되는데, 이때 지지돌부(40)의 형상은 지지대(15)와 대응되도록 원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방충재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게추(30)를 중공관(10) 내부로 삽입하는 형태만으로 무게추(30)의 결합이 완료되기 때문에, 현장설치가 용이하고 이미 설치된 방충재의 무게추(30) 변경이 간편한 구조적 이점을 갖는다.
아울러 상기 무게추(30)는 자체 중량에 의해 지지대(15)에 지지되는 형태로 결합이 완료될 수 있지만, 현장상황에 따라 지지돌부(40)와 지지대(15)를 관통하는 형태의 볼트결합을 통해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무게추(30)는 중공관(10)의 하단부보다 하부방향으로 더 돌출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좋은데, 이와 같이 구성하는 이유는 무게추(30)의 무게중심이 완충부재(20)보다 아래쪽에 오도록 하여 방충재가 안정적으로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무게추(30)가 종공관의 하단부보다 하부방향으로 더 돌출시키기 위해서는 무게추(30)의 길이를 중공관(10)의 길이보다 더 길게 하는 방법이 있지만, 바람직하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게추(30)와 중공관(10)의 길이는 서로 비슷한 수준으로 구성하며 지지대(15)는 중공관(10)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지지돌부(40)가 무게추(30)의 중간위치에 형성되는 구조로 구성하여, 지지돌부(40)가 지지대(15)에 맞닿아 지지되었을 때 무게추(30)는 자연적으로 중공관(10)의 하단부에서 더 돌출되는 것이다.
아울러 무게추(30)를 좀 더 돌출시키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돌부(40)가 무게추(30)의 상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무게추(30)의 대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게추(30)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통형의 본체(31)와, 상기 본체(31) 내부에 채워지는 중량부재(32)와, 상기 본체(31)의 상단에 결합되는 덮개부(33);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중량부재(32)는 높은 중량을 갖는 금속 폐기물로 적용되는 것이 좋은데, 바람직하게는 폐기용 체인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게추(30)의 본체(31) 내부에 버려지는 재료로 이루어진 중량부재(32)를 채워 넣음으로써 폐기물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33)의 상단에는 운반고리(33-1)가 일체로 형성되어 중공관(10) 내부로 무게추(30)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에 의한 잠수함용 방충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중공관(10) 내부에 무게추(30)가 차지하지 않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의 내부로 해수(W)가 더 채워지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공간부에 채워지는 해수(W)의 양에 따라 방충재의 부력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15)와 지지돌부(40) 사이에 패킹부재(50)가 더 구비될 경우, 밀폐력을 보강하여 지지돌부(40)와 패킹부재(50) 사이로 해수(W)가 더 이상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중공관 11 : 상단덮개
15 : 지지대 20 : 완충부재
21 : 발포수지층 22 : 보강층
23 : 외피층 30 : 무게추
31 : 본체 32 : 중량부재
33 : 덮개부 33-1 : 운반고리
40 : 지지돌부 50 : 패킹부재
W : 해수

Claims (6)

  1.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중공관(10);
    상기 중공관(10)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부력을 갖는 완충부재(20);
    상기 중공관(10)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대(15);
    상기 중공관(1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지지대(15)의 상부에 지지되는 형태로 결합되는 무게추(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용 방충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30)는 외주면에 지지돌부(40)가 돌출 형성되어 지지대(15)와 서로 맞닿아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용 방충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30)는 중공관(10)의 하단부보다 하부방향으로 더 돌출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용 방충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3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통형의 본체(31)와,
    상기 본체(31) 내부에 채워지는 중량부재(32)와,
    상기 본체(31)의 상단에 결합되는 덮개부(3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용 방충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재(32)는 폐기용 체인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용 방충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관(10) 내부에 무게추(30)가 차지하지 않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의 내부로 해수(W)가 더 채워지는 형태로 방충재의 부력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용 방충재
KR1020180002379A 2018-01-08 2018-01-08 잠수함용 방충재 KR201900845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379A KR20190084527A (ko) 2018-01-08 2018-01-08 잠수함용 방충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379A KR20190084527A (ko) 2018-01-08 2018-01-08 잠수함용 방충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527A true KR20190084527A (ko) 2019-07-17

Family

ID=67512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379A KR20190084527A (ko) 2018-01-08 2018-01-08 잠수함용 방충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4527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649B1 (ko) 2007-11-26 2010-01-07 주식회사 일청엔지니어링 공기식 폴리우레아 방충재의 제조방법
KR101284438B1 (ko) 2012-12-07 2013-07-12 주식회사 씨존 선박 접안용 방충재
KR101312289B1 (ko) 2013-02-06 2013-09-27 일진인터내셔날 (주) 방충재 설치용 앵커 및 이를 포함하는 방충재 설치구조
KR101382300B1 (ko) 2012-07-25 2014-04-07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상하 이동식 가변형 방충재
KR101671260B1 (ko) 2016-05-04 2016-11-16 이신원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649B1 (ko) 2007-11-26 2010-01-07 주식회사 일청엔지니어링 공기식 폴리우레아 방충재의 제조방법
KR101382300B1 (ko) 2012-07-25 2014-04-07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상하 이동식 가변형 방충재
KR101284438B1 (ko) 2012-12-07 2013-07-12 주식회사 씨존 선박 접안용 방충재
KR101312289B1 (ko) 2013-02-06 2013-09-27 일진인터내셔날 (주) 방충재 설치용 앵커 및 이를 포함하는 방충재 설치구조
KR101671260B1 (ko) 2016-05-04 2016-11-16 이신원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2203B2 (en) Device for damping and scattering hydrosound in a liquid
JP5691202B2 (ja) スロッシング抑制装置
JP6686028B2 (ja) 騒音低減装置
RU272121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подвод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JP2015513022A (ja) 水中地盤層に基礎要素を据え付け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4233497B2 (ja) スロッシング抑制装置
KR101284438B1 (ko) 선박 접안용 방충재
AU2015251291B2 (en) Device for reducing underwater sound
KR20190084527A (ko) 잠수함용 방충재
US2350883A (en) Method for the storage of goods
US3835653A (en) Underwater storage device
JP2008213886A (ja) 浮き屋根式液体貯蔵タンク
US3675427A (en) Underwater storage device
JP6327451B2 (ja) 浮上式フェンス
KR20190046584A (ko) 잠수함용 방충재
KR20090124351A (ko) 부침식 연직막체 방파제
JP6681225B2 (ja) 重力式構造物の水底への設置方法
US509822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amping low frequency perturbations of marine structures
KR101701907B1 (ko) 앵커링 시스템의 체인로커
JP6728523B2 (ja) 波力発電装置および波力発電装置の設置方法
US3713415A (en) Ship mooring arrangement and a submerged oil storage tank
JP2016033346A (ja) 波力発電装置
JP4121474B2 (ja) スロッシング抑制装置および方法
KR101524816B1 (ko) 선박 접안 장치
JP2005207220A (ja) 津波防波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