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8296B1 - 외력흡수형 부잔교 - Google Patents

외력흡수형 부잔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8296B1
KR102048296B1 KR1020190076752A KR20190076752A KR102048296B1 KR 102048296 B1 KR102048296 B1 KR 102048296B1 KR 1020190076752 A KR1020190076752 A KR 1020190076752A KR 20190076752 A KR20190076752 A KR 20190076752A KR 102048296 B1 KR102048296 B1 KR 102048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force
coupled
deck
bridge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척
최정묵
Original Assignee
(주) 씨플렉스코리아
신상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씨플렉스코리아, 신상척 filed Critical (주) 씨플렉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90076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2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02B3/064Floating landing-st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0Adaptations of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or of parts thereof
    • B63B2021/203Mooring cables or ropes, hawsers, or the like; Adaptation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지지체 프레임과 그 상부에 결합된 데크모듈을 포함하는 데크부재; 상기 데크부재의 하부에 결합되어 위치하며 해상에 부유하는 복수 개의 부유부재; 완만히 굽어진 굴곡의 수직단면을 구비하는 판형으로, 일측 상부면은 상기 데크부재와 결합되고 타측 하부면은 상기 부유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데크부재 또는 상기 부유부재에 가해지는 유동 또는 외력을 흡수하거나 분산시키는 완충부재; 및 상기 데크부재와 연결되어 해저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력흡수형 부잔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외력흡수형 부잔교{A floating pier of external force absorbing}
본 발명은 외력흡수용 부잔교에 대한 것으로 선박의 계류 또는 외력에 의해 발생한 롤링 및 피칭으로 인한 유동으로부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외력흡수형 부잔교에 관한 것이다.
부잔교는 물에 뜨는 성질을 갖는 부유체를 이용하여 그 상부에 철근콘크리트, 강판, 목재 등으로 이루어진 상판데크를 조립하여 여객의 승하선과 화물의 적재에 편리하도록 만든 구조물이다. 부잔교는 수위에 따라 함께 상하로 이동하기 때문에 조석간만의 차이가 큰 곳이나 그 밖의 수위변화가 많은 곳에서 주로 사용할 수 있다.
부잔교를 필요로 하는 특정 장소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강관말뚝, 싱커체인, 탄성로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강관말뚝을 이용하여 부잔교를 고정시키는 것은 부잔교에 별도의 가이드를 설치하여 수평 이동은 제한하면서 수직으로만 이동시키는 방식이다. 또한, 싱커체인이나 탄성로프를 이용하여 부잔교를 고정시키는 방식은 부잔교에 별도의 계선주를 설치하여 수중 고정 구조물과 싱커체인 또는 탄성로프를 연결함으로써, 수평 이동은 제한하면서 수직으로만 이동시키는 것이다.
탄성로프를 이용하는 부잔교의 경우 부잔교를 계류시키기 위해서는 수중 고정 구조물과 결박로프 사이에 탄성로프를 연결하여 계선주에 결박함으로써 부잔교를 설치할 수 있다.
선박의 계류와 외력으로 인해 발생한 롤링 및 피칭은 상기와 같은 부잔교에 유동을 일으킬 수 있다. 즉, 외력이 부잔교에 전달되면 부잔교는 유동하여 주요 구성이 파손되거나 부잔교 전체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외력에 의한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롤링 및 피칭을 제한하고 높은 파고에도 이용자가 안전하게 선박에 승하선할 수 있도록 부잔교의 건현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서, 선박 견인력 및 충돌 외력에도 부잔교가 안전하게 계류할 수 있도록 부잔교와 계류장치와의 연결이 어떠한 상황에서도 안전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하며, 조립 및 해체가 간편하여 비상시에 계류장치와의 분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져서 안전한 곳으로 대피함으로써 시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814708호(등록일: 2017. 12. 27.) 일본등록특허 제 6220034호(등록일: 2017. 10. 06.)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부잔교에 가해지는 유동 또는 외력을 흡수하거나 분산시킴으로써 부잔교 전체의 균형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외력흡수형 부잔교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재 하중의 변화에도 상관없도록 부잔교의 건현을 변경 또는 유지할 수 있는 외력흡수형 부잔교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나아가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해저 지형의 형태에 따라 계류력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외력흡수형 부잔교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외력에도 부잔교가 안전하게 계류할 수 있도록 부잔교와 계류장치와의 연결이 안전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외력흡수형 부잔교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지체 프레임과 그 상부에 결합된 데크모듈을 포함하는 데크부재; 상기 데크부재의 하부에 결합되어 위치하며 해상에 부유하는 복수 개의 부유부재; 완만히 굽어진 굴곡의 수직단면을 구비하는 판형으로, 일측 상부면은 상기 데크부재와 결합되고 타측 하부면은 상기 부유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데크부재 또는 상기 부유부재에 가해지는 유동 또는 외력을 흡수하거나 분산시키는 완충부재; 및 상기 데크부재와 연결되어 해저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력흡수형 부잔교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외력흡수형 부잔교는, 상기 데크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결합되는 장력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력부재는, 상기 데크부재와 결합되는 연결로프와 상기 고정부재와 결합되는 탄성로프가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데크부재는, 하부면에 하나 이상의 각도조절소켓을 구비하고, 상기 각도조절소켓은 상기 장력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해저면에 고정된 고정부재와 상기 장력부재의 연결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소켓은 상기 데크부재의 하부면에 일측이 고정결합된 소켓고정부와, 상기 소켓고정부의 하측부와 결합되는 일단과 회전하는 타단으로 이루어지는 회전부와, 상기 소켓고정부와 회전부 사이의 결합각을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데크부재는, 상기 완충부재와 결합되는 영역 사이에 개재된 건현 높이조절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크부재는, 상기 지지체 프레임 일측부에 형성된 슬라이딩 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을 따라 수평이동하는 슬라이딩 브라켓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브라켓은 상기 외력흡수형 부잔교와 소정의 거리에 위치한 육상에 설치된 육상계선주와 육상연결로프에 의해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외력흡수형 부잔교는, 상기 지지체 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서로 대응하여 형성된 복원유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복원유지장치는 상기 부유부재의 외측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복원유지장치는, 상기 지지체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 내부에 위치하는 스프링과, 해상의 외력 또는 롤링 현상에 따라 상기 고정부 내부를 상하 이동하여 상기 스프링을 가압 또는 이완시키는 삽입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력흡수형 부잔교는 완충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부잔교에 가해지는 유동 또는 외력을 흡수하거나 분산시킬 수 있으며, 복원유지장치를 구비하여 부잔교 전체의 균형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건현높이 조절구를 구비하여 상재 하중의 변화에도 상관없이 부잔교의 건현을 변경 또는 유지할 수 있으며, 각도조절소켓을 이용하여 해저 지형의 형태에 관계없이 계류력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외력에도 부잔교가 안전하게 계류할 수 있으며, 부잔교와 계류장치와의 연결이 안전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력흡수형 부잔교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력흡수형 부잔교의 완충부재 및 건현 높이조절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력흡수형 부잔교의 해상 설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력흡수형 부잔교의 데크부재 및 완충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력흡수형 부잔교의 복원유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력흡수형 부잔교의 육상 연결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의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력흡수형 부잔교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력흡수형 부잔교의 완충부재 및 건현 높이조절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력흡수형 부잔교의 해상 설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력흡수형 부잔교의 데크부재 및 완충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력흡수형 부잔교의 복원유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력흡수형 부잔교의 육상 연결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력흡수형 부잔교(1)는 지지체 프레임(11)과 그 상부에 결합된 데크모듈(13)을 포함하는 데크부재(10)와, 상기 데크부재의 하부에 결합되어 위치하는 부유부재(20)와, 일측 상부면(30a)은 상기 데크부재(10)와 결합되고 타측 하부면(30b)은 상기 부유부재(20)와 결합되는 완충부재(30) 및 상기 데크부재(10)와 연결되어 해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데크부재(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위치하며 해상에 부유하는 복수 개의 부유부재(20)는 콘크리트 재질의 콘크리트 몸체(23)가 폴리스티렌(polystyrene) 등으로 제조된 부유체(21)를 감싸는 형태로 제공되어 해상에 부유될 수 있다.
상기 데크부재(10)와 부유부재(20) 사이에 위치하는 완충부재(30)는 일측 상부면(30a)은 상기 데크부재(10)와 결합되고 타측 하부면(30b)은 상기 부유부재(20)와 결합되며 완만히 굽어진 굴곡의 수직단면을 구비하여 수직 방향으로 탄성을 가진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완만히 굽어진 굴곡으로 인해 수직 방향의 탄성을 가지게 됨으로써 데크부재(10) 또는 부유부재(20)에 가해지는 유동 또는 외력을 흡수하거나 분산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썰물과 같은 수위변화로 인해 외력흡수형 부잔교(1)가 해저면(SB)에 닿게 되는 경우 해저면(SB)은 높이 및 평활도가 균일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외력흡수형 부잔교(1)는 수평 또는 수직의 뒤틀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완충부재(30)가 해저면(SB)과 접하는 위치에 따라 굴곡이 변화되어 외력을 흡수하며, 그로 인해 뒤틀림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외력흡수형 부잔교(1) 전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여줄 수 있다.
상기 데크부재(10)는 상기 완충부재(30)와 결합되는 영역 사이에 개재된 건현 높이조절판(1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과 같이 필요에 따라 복수 개의 결합으로 건현 높이조절판(18a)이 형성되거나, 단층의 건현 높이조절판(18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파고가 높은 지역이나, 상재 하중이 높아 도 7과 같은 표준형의 외력흡수형 부잔교의 활용이 어려워질 경우, 외력흡수형 부잔교의 주요 구조의 변경 없이 데크부재(10)와 부유부재(20) 사이에 건현 높이조절판(18)의 설치만으로도 간편하게 부잔교의 건현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건현 높이조절판(18)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인해 구조 변경을 최소화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시공이 간편하므로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상기 데크부재(10)와 연결되어 해저면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고정부재(40)는 각각 앵커블록(41), 앵커핀(43), 앵커고리(4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앵커블록(41)은 직육면체 형태 등의 콘크리트 재질로 제조되어 해저면에 안착될 수 있고, 앵커핀(43)은 앵커블록(41)의 상하부를 관통하여 앵커블록(41)을 해저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앵커고리(45)는 앵커블록(41)의 상부에 구비되어 장력부재(5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외력흡수형 부잔교(1)는 상기 데크부재(10)와 상기 고정부재(40) 사이에 결합되는 장력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데크부재(10) 및 고정부재(40)를 상호 연결하는 장력부재(50)는 상기 데크부재(10)와 결합되는 연결로프(53)와 상기 고정부재(40)와 결합되는 탄성로프(51)가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장력부재(50)는 데크부재(10)의 유동을 억제하도록 탄성로프(51)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탄성로프(51) 및 연결로프(53) 이외에 장력조절로드, 래칫휠, 풀림방지클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장력부재(50)를 통해서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유동과 조수간만 차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장력부재(50)의 탄성로프(51)는 고무 재질의 탄성체로 제조되어 일정한 장력을 가하는 경우 부잔교를 일정한 힘으로 항상 당길 수 있다. 탄성로프(51)는 고정부재(40)의 앵커고리(45)에 결합 연결되면서 그 일단부는 연결로프(53)의 타단부와 결합 연결될 수 있고, 연결로프(53)의 일단부는 데크부재(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데크부재(10)는 하부면에 하나 이상의 각도조절소켓(15)을 구비하고, 상기 각도조절소켓(15)은 상기 장력부재(50)와 연결되며 해저면(SB)에 고정된 고정부재(40)와 상기 장력부재(50)의 연결 각도(θ1, θ2)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소켓(15)은 상기 데크부재(10)의 하부면에 일측이 고정결합된 소켓고정부(152)와, 상기 소켓고정부(152)의 하측부와 결합되는 일단과 회전하는 타단으로 이루어지는 회전부(154)와, 상기 소켓고정부(152)와 회전부(154) 사이의 결합각을 조절하는 각도조절부(156)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와 같이 고정부재(40) 각각이 위치한 해저면(SB)이 수평을 이룰 경우, 탄성부재(50) 또한 각각 탄성력이 유사하여 계류력이 서로 동일해지므로 외력흡수형 부잔교는 안정적으로 해상에 위치할 수 있다. 하지만, 도 5와 같이 고정부재(40) 각각이 위치한 해저면이 서로 다른 경사를 갖는 경우, 데크부재(10)에 대하여 고정부재(40)와 장력부재(50)의 연결 각도(θ1, θ2)는 서로 다르게 되어 계류력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각도조절소켓(15)을 구비함으로써 데크부재(10)에 대한 고정부재(40)와 장력부재(50)의 연결 각도(θ1, θ2)가 각각 다르더라도 각각의 각도조절소켓(15A, 15B)의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데크부재(10)의 설치 위치에 대한 계류력 차이가 최소화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고정부재(40)가 경사진 해저면에 고정되더라도 외력흡수형 부잔교는 안정적으로 수평하게 해상에 위치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외력흡수형 부잔교(1)는 상기 지지체 프레임(11)의 하부 양측에 서로 대응하여 형성된 복원유지장치(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원유지장치(60)는 상기 부유부재(20)의 외측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복원유지장치(60)는 상기 지지체 프레임(11)으로부터 돌출된 고정부(61)와, 상기 고정부(61) 내부에 위치하는 스프링(SP)과, 해상의 외력 또는 롤링 현상에 따라 상기 고정부(61) 내부를 상하 이동하여 상기 스프링(SP)을 가압 또는 이완시키는 삽입부(6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SP)의 위치와 효과적인 가압을 위해 삽입부(63)는 스프링 안착부(632)를 포함할 수 있다. 파도 또는 바람과 같은 외력에 의해 롤링 현상이 발생하면 외력흡수형 부잔교가 기울어지면서 수평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복원유지장치(60)를 구비함으로써 외력이 데크부재(10)에 가해지더라도 스프링(SP)의 탄성력과 복원력을 이용하여 데크부재(10)의 수평 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이용자의 안정성에 더욱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데크부재(10)는 상기 지지체 프레임(11) 일측부에 형성된 슬라이딩 프레임(17)과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17)을 따라 수평이동하는 슬라이딩 브라켓(174)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17)은 슬라이딩 몸체(172)와 슬라이딩 홈(172h)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슬라이딩 홈(172h)이 구비됨으로써 슬라이딩 브라켓(174)은 슬라이딩 몸체(172)에 대해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브라켓(174)은 도 10과 같이, 해상(S)에 설치된 외력흡수형 부잔교(1)와 소정의 거리에 위치한 육상(E)에 설치된 육상계선주(100)와 육상연결로프(102)에 의해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외력흡수형 부잔교(1)를 육상계선주(100)와 육상연결로프(102)로 연결할 때 슬라이딩 브라켓(174)이 슬라이딩 몸체(172)의 슬라이딩 홈(172h)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므로, 육상계선주(100)의 어느 위치나 관계없이 시공 장소마다 위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을 높여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력흡수형 부잔교(1)는 완충부재(30)를 구비함으로써 부잔교에 가해지는 유동 또는 외력을 흡수하거나 분산시킬 수 있으며, 복원유지장치(60)를 구비하여 부잔교 전체의 균형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건현 높이 조절판(18)을 구비하여 상재 하중의 변화에도 상관없이 부잔교의 건현을 변경 또는 유지할 수 있으며, 각도조절소켓(15)을 이용하여 해저 지형의 형태에 관계없이 계류력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서 슬라이딩 프레임(17)과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17)을 따라 수평이동하는 슬라이딩 브라켓(174)을 이용하여 육상계선주(100)와 연결함으로써 위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시공성을 높여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외력에도 부잔교가 안전하게 계류할 수 있으며, 부잔교와 계류장치와의 연결이 안전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데크부재
11; 지지체 프레임
15; 각도조절소켓
17; 슬라이딩 프레임
174; 슬라이딩 브라켓
18; 건현 높이조절판
20; 부유부재
30; 완충부재
40; 고정부재
50; 장력부재
60; 복원유지장치
100; 육상계선주

Claims (10)

  1. 지지체 프레임과, 그 상부에 결합된 데크모듈과, 하부면에 하나 이상의 각도조절소켓을 구비하는 데크부재;
    상기 데크부재의 하부에 결합되어 위치하며 해상에 부유하는 복수 개의 부유부재;
    완만히 굽어진 굴곡의 수직단면을 구비하는 판형으로, 일측 상부면은 상기 데크부재와 결합되고 타측 하부면은 상기 부유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데크부재 또는 상기 부유부재에 가해지는 유동 또는 외력을 흡수하거나 분산시키는 완충부재;
    상기 데크부재와 연결되어 해저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부재; 및
    상기 데크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결합되는 장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데크부재의 하부면에 일측이 고정결합된 소켓고정부와, 상기 소켓고정부의 하측부와 결합되는 일단과 회전하는 타단으로 이루어지는 회전부와, 상기 소켓고정부와 회전부 사이의 결합각을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로 이루어지는 상기 각도조절소켓은, 상기 장력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해저면에 고정된 고정부재와 상기 장력부재의 연결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력흡수형 부잔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부재는, 상기 데크부재와 결합되는 연결로프와 상기 고정부재와 결합되는 탄성로프가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력흡수형 부잔교.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부재는, 상기 완충부재와 결합되는 영역 사이에 개재된 건현 높이조절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력흡수형 부잔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부재는, 상기 지지체 프레임 일측부에 형성된 슬라이딩 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을 따라 수평이동하는 슬라이딩 브라켓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력흡수형 부잔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브라켓은 상기 외력흡수형 부잔교와 소정의 거리에 위치한 육상에 설치된 육상계선주와 육상연결로프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력흡수형 부잔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흡수형 부잔교는, 상기 지지체 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서로 대응하여 형성된 복원유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복원유지장치는 상기 부유부재의 외측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력흡수형 부잔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유지장치는, 상기 지지체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 내부에 위치하는 스프링과, 해상의 외력 또는 롤링 현상에 따라 상기 고정부 내부를 상하 이동하여 상기 스프링을 가압 또는 이완시키는 삽입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력흡수형 부잔교.



KR1020190076752A 2019-06-27 2019-06-27 외력흡수형 부잔교 KR102048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752A KR102048296B1 (ko) 2019-06-27 2019-06-27 외력흡수형 부잔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752A KR102048296B1 (ko) 2019-06-27 2019-06-27 외력흡수형 부잔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8296B1 true KR102048296B1 (ko) 2019-11-25

Family

ID=68730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752A KR102048296B1 (ko) 2019-06-27 2019-06-27 외력흡수형 부잔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829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400B1 (ko) * 2021-03-19 2021-07-12 (주)네오테크 파랑 영향 감쇄형 부잔교
KR20220120389A (ko) * 2021-02-23 2022-08-30 주식회사 에스디산업기술 동요량 저감식 부잔교
KR102490231B1 (ko) * 2022-08-29 2023-01-19 주식회사 대성에프앤비 충격 완충장치가 형성된 부유식 수상구조물
CN117566567A (zh) * 2023-11-16 2024-02-20 九力绳缆有限公司 深海系泊用组合索具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0034A (ja) 1985-07-19 1987-01-28 Fujitsu Ltd プログラム状態語切換制御方式
KR101001491B1 (ko) * 2008-05-29 2010-12-1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충격 계류장력 완충장치
KR20110031402A (ko) * 2009-09-20 2011-03-28 홍문표 수상구조물의 수평과 부력조절의 자동화장치
KR101241711B1 (ko) * 2011-11-08 2013-03-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스프링패드를 구비한 해치
KR101561411B1 (ko) * 2015-04-20 2015-10-16 아진기공 주식회사 높이조절이 가능한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된 수상부유구조물
KR101814708B1 (ko) 2016-10-04 2018-01-30 주식회사 유경시스템 부유체 계류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0034A (ja) 1985-07-19 1987-01-28 Fujitsu Ltd プログラム状態語切換制御方式
KR101001491B1 (ko) * 2008-05-29 2010-12-1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충격 계류장력 완충장치
KR20110031402A (ko) * 2009-09-20 2011-03-28 홍문표 수상구조물의 수평과 부력조절의 자동화장치
KR101241711B1 (ko) * 2011-11-08 2013-03-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스프링패드를 구비한 해치
KR101561411B1 (ko) * 2015-04-20 2015-10-16 아진기공 주식회사 높이조절이 가능한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된 수상부유구조물
KR101814708B1 (ko) 2016-10-04 2018-01-30 주식회사 유경시스템 부유체 계류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0389A (ko) * 2021-02-23 2022-08-30 주식회사 에스디산업기술 동요량 저감식 부잔교
KR102536790B1 (ko) * 2021-02-23 2023-06-20 주식회사 에스디산업기술 동요량 저감식 부잔교
KR102275400B1 (ko) * 2021-03-19 2021-07-12 (주)네오테크 파랑 영향 감쇄형 부잔교
KR102490231B1 (ko) * 2022-08-29 2023-01-19 주식회사 대성에프앤비 충격 완충장치가 형성된 부유식 수상구조물
CN117566567A (zh) * 2023-11-16 2024-02-20 九力绳缆有限公司 深海系泊用组合索具
CN117566567B (zh) * 2023-11-16 2024-05-24 九力绳缆有限公司 深海系泊用组合索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8296B1 (ko) 외력흡수형 부잔교
US6431107B1 (en) Tendon-based floating structure
US6652192B1 (en) Heave suppressed offshore drilling and production platform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4813815A (en) Buoyant, elastically tethered articulated marine platform
US7854570B2 (en) Pontoonless tension leg platform
AU2005317295B2 (en) Soft quay mooring system
JP2006525189A (ja) 船舶係泊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384115B1 (ko) 수상 계류 및 다목적 보호 장치
US7594836B2 (en) Floating structure
KR101671260B1 (ko) 해수면 높이에 따른 유동식 방충재
US7461611B2 (en) Floating pontoon berthing facility for ferries and ships
KR20230151547A (ko) 부유식 설비를 위한 반잠수식 서비스 선박 및 그 방법
US20070022934A1 (en) Shallow water mooring system using synthetic mooring lines
US9517820B2 (en) Device for securing floating bodies
US20120057938A1 (en) Tide self tuning modular wharf resilient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US10988905B2 (en) Harbour plant and method for mooring a floating body in a harbour plant
US4625673A (en) Motion compensation means for a floating production system
CN115071892B (zh) 一种沉管运输船的支墩及沉管运输船
JPH07101379A (ja) 浮揚構造物の係留構造
JPS58146610A (ja) 浮揚式防舷装置
KR20190130223A (ko) 부유식 구조물
US20020067956A1 (en) Offshore platform for hydrocarbon production and storage
JPH0234498A (ja) 浮遊式海洋構造物の多点係留方式
KR20240133102A (ko) 풍압 감소 장치
CN116254807A (zh) 一种浮式风电平台码头靠泊隔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