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8695B1 - 레그 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 Google Patents

레그 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8695B1
KR102438695B1 KR1020180126073A KR20180126073A KR102438695B1 KR 102438695 B1 KR102438695 B1 KR 102438695B1 KR 1020180126073 A KR1020180126073 A KR 1020180126073A KR 20180126073 A KR20180126073 A KR 20180126073A KR 102438695 B1 KR102438695 B1 KR 102438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leg
hull
support device
movab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5243A (ko
Inventor
박주신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6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695B1/ko
Publication of KR20200045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5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03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ansporting very large loads, e.g. offshore structure modu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4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2B17/08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for raising or low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dampers and springs in combi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와 잭 케이스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레그 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이 소개된다.
이 중에서 레그 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은 잭업 모드로 운용가능한 선체와 선체를 해저에 고정하기 위해 선체에 제공되는 레그와 레그를 지지하도록 상기 선체에 설치되는 잭 케이스와 레그와 잭 케이스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레그 지지 장치를 포함하되 레그 지지 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잭 케이스에 제공되는 스토퍼와, 레그의 적어도 일면을 지지하는 댐퍼 유닛과,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스토퍼에 장착되고 댐퍼 유닛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이동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그 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FLOATING STRUCTURE HAVING APPARATUS FOR SUPPORTING LEG}
본 발명은 레그 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해상 풍력 발전기는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부품을 몇 개의 유닛으로 나누어 육상에서 제작한 후, 제작된 유닛을 해상으로 옮겨 조립하는 방법으로 설치되고 있다. 육상에서 제작된 해상 풍력 발전기의 유닛을 해상으로 옮기고, 해상에서 해상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는 부유식 구조물을 일반적으로 풍력 발전기 설치 부유식 구조물(WTIV,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이라고 한다.
풍력 발전기 설치 부유식 구조물은 작업 특성상, 항해 모드(Transit Mode)와 잭업 모드(Jackup Mode)로 운용될 수 있다. 예컨대, 풍력 발전기 설치 부유식 구조물은 해상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까지 항해 모드로 이동한다. 항해 모드에서 레그는 해수에 의한 저항을 줄이고자 선체의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 후, 풍력 발전기 설치 부유식 구조물은 잭업 모드로 전환하여 레그를 내려 스퍼드캔을 해저에 박아 고정한다.
그런데, 종래 부유식 구조물의 경우, 스퍼드캔이 해저면에 관입되면, 해저면의 토양 특성 및 토질 구성에 따라 레그에 기울어짐이 발생될 수 있고, 이 기울어짐이 허용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레그와 선체의 잭 케이스 간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레그와 선체의 잭 케이스 간 간섭이 발생하는 순간에 작업을 하게 되면, 이들 구조물에 구조적인 손상에 발생될 수 있고, 구조물을 감싸는 장비에도 연쇄적인 파손이 발생될 수 있다는 등의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특허문헌: 국내 등록특허 10-1399934호 (2014. 05. 21.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레그와 잭 케이스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레그 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레그 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은, 잭업 모드로 운용가능한 선체; 상기 선체를 해저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선체에 제공되는 레그; 상기 레그를 지지하도록 상기 선체에 설치되는 잭 케이스; 및 상기 레그와 상기 잭 케이스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레그 지지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레그 지지 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잭 케이스에 제공되는 스토퍼; 상기 레그의 적어도 일면을 지지하는 댐퍼 유닛;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스토퍼에 장착되고, 상기 댐퍼 유닛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이동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레그의 기울임 정도를 측정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레그의 기울임 정도가 기 설정된 기울임 기준에 부합하도록 상기 이동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 유닛은 댐퍼 빔; 상기 댐퍼 빔의 일단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레그의 상측을 지지하는 제 1 댐퍼; 상기 댐퍼 빔의 타단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레그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 2 댐퍼; 상기 댐퍼 빔 및 상기 제 1 댐퍼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제 1 탄성 스프링; 및 상기 댐퍼 빔 및 상기 제 2 댐퍼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제 2 탄성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 유닛은 상기 이동체 및 상기 댐퍼 빔 사이를 승강 가능하게 연결하는 승강 빔; 및 상기 이동체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이동체 및 상기 댐퍼 빔 사이에 설치되는 댐퍼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체는 바디; 상기 바디에 장착되는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휠; 및 상기 이동휠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레그의 기울어짐이 허용치를 초과할 때, 레그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레그와 잭 케이스 간의 간섭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레그 지지 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 지지 장치의 댐퍼 유닛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 지지 장치의 제어 로직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레그 지지 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1)은, 잭업 모드로 운용 가능한 선체(20)와, 선체(20)에 마련되는 레그(30)와, 레그(30)를 지지하기 위해 선체(20)에 마련되는 잭 케이스(40)와, 레그(30)의 기울임을 방지하기 위한 레그 지지 장치(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체(20)는 부유 가능한 직사각형 형태의 평면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일반적인 상선(예: 컨테이너선)에 비해 폭이 넓고 높이가 낮으며 길이가 짧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선체(20)는 레그(30) 및 잭 케이스(40)가 설치될 수 있는 임의의 입체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선체(20)에는 블레이드와 나셀, 타워 등의 피적재물이 적재될 수 있고, 해상 풍력 발전기를 설치할 수 있는 크레인이 제공될 수 있다.
이 선체(20)는 항해 모드(Transit Mode)와 잭업 모드(Jackup Mode)로 운용 가능한 풍력 발전기 설치 부유식 구조물의 선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선체(20)는 해상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까지 항해 모드로 이동한 후, 잭업 모드로 전환하여 스퍼드캔을 통해 레그(30)를 해저에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선체(20)는 풍력 발전기 설치 부유식 구조물의 선체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선체(20)는 잭업 모드를 갖는 부유식 구조물의 선체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부유식 구조물은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WTIV,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또는 잭업 플랫폼(Jackup Platfor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할 잭업 모드를 갖는 부유식 구조물은 모두 본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레그(30)는 잭업 모드로 운용가능한 선체(20)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스퍼드캔을 통해 선체(20)를 해저에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레그(30)는 선체(20)에 이격 설치되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그(30)는 선체(20)에 이격 형성된 복수의 레그웰에 복수가 설치될 수 있고, 복수의 레그(30)는 선체(20)의 레그웰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잭 케이스(40)는 레그(30)가 통과할 수 있도록 선체(20)의 레그웰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호 관통하게 설치되는 일종의 레그 지지부일 수 있다. 잭 케이스(40)는 레그(30)에 승하강력을 제공함으로써, 선체(20)의 잭업 이동에 필요한 승하강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 지지 장치의 댐퍼 유닛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 지지 장치의 제어 로직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 지지 장치(10)는 레그(30)와 잭 케이스(40)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레그 지지 장치(10)는 스토퍼(100), 댐퍼 유닛(200), 이동체(300), 감지센서(400) 및 컨트롤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00)는 댐퍼 유닛(200) 및 이동체(300)를 장착하기 위한 고정 지지체로, 잭 케이스(40)에 설치될 수 있다. 스토퍼(100)에는 이동체(30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110)이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10)은 스토퍼(100)의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므로, 이동체(300)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100)는 잭 케이스(40)의 상부에 설치되지만, 잭 케이스(40)의 상부 이외에도, 잭 케이스(40)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스토퍼(100)는 잭 케이스(40)의 중간부에 설치되거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댐퍼 유닛(200)은 레그(30)의 적어도 일면을 지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퍼 유닛(200)은 레그(30)의 일면 및 타면을 지지하기 위해, 잭 케이스(40)의 내측면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댐퍼 유닛(200)은 레그(30)의 상측 또는 하측을 지지하기 위해, 잭 케이스(4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는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댐퍼 유닛(200)은 이동체(300)의 일단에 힌지 연결되는 제 1 댐퍼 유닛(200a)과, 이동체(300)의 타단에 힌지 연결되는 제 2 댐퍼 유닛(20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제 1 댐퍼 유닛(200a) 및 제 2 댐퍼 유닛(200b)은 이동체(300)의 단부에 시소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댐퍼 유닛(200)은, 일 예로, 제 2 댐퍼 유닛(200b)은 도 3에서 보듯이, 댐퍼 빔(250), 제 1 댐퍼(211), 제 2 댐퍼(212), 제 1 탄성 스프링(221), 제 2 탄성 스프링(222), 승강 빔(230) 및 댐퍼 스프링(2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댐퍼 빔(250)의 양단에는 제 1 댐퍼(211) 및 제 2 댐퍼(212)가 승강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댐퍼(211)는 레그(30)의 상측을 지지하도록 댐퍼 빔(250)의 일단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제 2 댐퍼(212)는 레그(30)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댐퍼 빔(250)의 타단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들 제 1 댐퍼(211) 및 제 2 댐퍼(212)는 길이 가변이 가능한 실린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댐퍼 빔(250) 및 제 1 댐퍼(211) 사이에는 제 1 탄성 스프링(221)이 설치될 수 있고, 댐퍼 빔(250) 및 제 2 댐퍼(212) 사이에는 제 2 탄성 스프링(222)이 설치될 수 있다. 제 1 탄성 스프링(221) 및 제 2 탄성 스프링(222)은, 댐퍼 빔(250) 및 제 1 댐퍼(211) 사이와 댐퍼 빔(250) 및 제 2 댐퍼(212) 사이를 각각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승강 빔(230)은 이동체(300) 및 댐퍼 빔(250) 사이를 승강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 승강 빔(230)은 이동체(300)의 양단에 설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댐퍼 스프링(240)은 이동체(300) 및 댐퍼 빔(25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댐퍼 스프링(240)은 이동체(300)를 탄성 지지함으로써, 댐퍼(제 1 댐퍼(211) 및 제 2 댐퍼(212))와 레그(30) 간의 접촉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이동체(300)는 스토퍼(100)의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스토퍼(100)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2를 참조하면, 이동체(300)는 양단부에 댐퍼 유닛(200)의 댐퍼 빔(250)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디(310)와, 스토퍼(100)의 가이드 레일(110)에 맞물려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바디(310)의 저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이동휠(320)과, 이동휠(32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33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레일(110)과 이동휠(320)은 일 예로 자력을 통해 서로 부착된 상태에서 이동휠(320)이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구름 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가이드 레일(110) 및 이동휠(320) 중 어느 하나는 자석으로, 다른 하나는 금속 등의 강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이동휠(320)이 가이드 레일(11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상태에서 이동 가능한 주지의 기술 수단이 얼마든지 적용될 수 있다.
감지센서(400)는 레그(30)의 기울임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각도 감지 센서일 수 있다. 이 감지센서(400)는 레그(30)의 기울임 정도를 측정한 후, 레일의 기울임 정도에 대한 정보를 컨트롤러(500)에 인가할 수 있다.
컨트롤러(500)는 레그(30)의 기울임 정도에 대한 정보를 감지센서(400)로부터 인가받을 수 있고, 인가받은 기울임 정도에 대한 정보가 기 설정된 기울임 기준에 부합하도록 이동체(30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센서(400)에서 측정된 기울임 정도가 기 설정된 기울임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컨트롤러(500)는 레그(30)를 지지하도록 이동체(300)를 레그(30)가 기울어진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이 항해 모드로 이동한 후 해상 풍력 발전기의 설치 지점에 도달하면, 부유식 구조물은 잭업 모드로 전환하여 레그(30)를 해저로 하강시킨다. 이때, 레그 지지 장치(10)는 레그(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레그(30)와 잭 케이스(40)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감지센서(400)가 레그(30)의 기울임 정도를 측정한 후, 감지센서(400)에서 측정된 기울임 정도가 기 설정된 기울임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컨트롤러(500)는 레그(30)가 기울어진 위치로 이동체(300)를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신호를 이동체(300)의 구동 모터(330)에 인가할 수 있다.
이동체(300)가 레그(30)가 기울어진 위치로 이동되면, 이동체(300)의 제 1 댐퍼(211) 및 제 2 댐퍼(212)는 레그(30)의 일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제 1 댐퍼(211) 및 제 2 댐퍼(212)는 댐퍼 빔(250)에 시소 형태로 연결되므로, 레그(30)의 상부 및 하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레그의 기울어짐이 허용치를 초과할 때, 레그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레그와 잭 케이스 간의 간섭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스토퍼 200 :댐퍼 유닛
211 :제 1 댐퍼 212 :제 2 댐퍼
221 :제 1 탄성 스프링 222 :제 2 탄성 스프링
230 :승강 빔 240 :댐퍼 스프링
300 :이동체 310 :바디
320 :이동휠 330 :구동 모터

Claims (5)

  1. 잭업 모드로 운용가능한 선체;
    상기 선체를 해저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선체에 제공되는 레그;
    상기 레그를 지지하도록 상기 선체에 설치되는 잭 케이스; 및
    상기 레그와 상기 잭 케이스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레그 지지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레그 지지 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잭 케이스에 제공되는 스토퍼;
    상기 레그의 적어도 일면을 지지하는 댐퍼 유닛;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스토퍼에 장착되고, 상기 댐퍼 유닛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이동체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 유닛은
    댐퍼 빔;
    상기 이동체 및 상기 댐퍼 빔 사이를 승강 가능하게 연결하는 승강 빔; 및
    상기 이동체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이동체 및 상기 댐퍼 빔 사이에 설치되는 댐퍼 스프링을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의 기울임 정도를 측정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레그의 기울임 정도가 기 설정된 기울임 기준에 부합되도록 상기 이동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레그 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유닛은
    상기 댐퍼 빔의 일단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레그의 상측을 지지하는 제 1 댐퍼;
    상기 댐퍼 빔의 타단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레그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 2 댐퍼;
    상기 댐퍼 빔 및 상기 제 1 댐퍼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제 1 탄성 스프링; 및
    상기 댐퍼 빔 및 상기 제 2 댐퍼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제 2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는 레그 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바디;
    상기 바디에 장착되는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휠; 및
    상기 이동휠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레그 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KR1020180126073A 2018-10-22 2018-10-22 레그 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KR102438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073A KR102438695B1 (ko) 2018-10-22 2018-10-22 레그 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073A KR102438695B1 (ko) 2018-10-22 2018-10-22 레그 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243A KR20200045243A (ko) 2020-05-04
KR102438695B1 true KR102438695B1 (ko) 2022-08-31

Family

ID=70732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073A KR102438695B1 (ko) 2018-10-22 2018-10-22 레그 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6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27817B1 (en) * 2021-03-23 2022-10-07 Itrec Bv Pile holding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592A (ja) * 1996-07-15 1998-02-03 Penta Ocean Constr Co Ltd 浮体減揺装置
KR101359654B1 (ko) * 2012-06-29 2014-02-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및 그 레그 조립방법
KR101399934B1 (ko) * 2012-06-29 2014-05-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KR101750889B1 (ko) * 2015-08-27 2017-06-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243A (ko) 2020-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9934B1 (ko) 부유식 구조물
US10941023B2 (en) Wave-induced motion compensating crane for use on an offshore vessel, vessel and load transferring method
KR101368872B1 (ko) 부유식 구조물 및 그 제어 방법
KR101359654B1 (ko) 부유식 구조물 및 그 레그 조립방법
KR102438695B1 (ko) 레그 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KR101454379B1 (ko) 부유식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35658A (ko) 해양 작업 설치선의 레그 시스템
KR101662709B1 (ko) 부유식 구조물
KR101864144B1 (ko) 해양구조물 설치선박
GB2363814A (en) Support construction for a ballastable topsides transporter
KR102474069B1 (ko) 레그 위치 조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KR101803373B1 (ko) 해양구조물
KR102629057B1 (ko) 파일 계류 장치
CN113423891B (zh) 用于稳定自升式平台单元的方法
KR102438697B1 (ko) 잭킹하우스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KR20200069022A (ko) 지반침하 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KR101626332B1 (ko) 그린워터 유입 방지 장치 및 제어방법
KR20160029473A (ko) 부유식 구조물
KR101954842B1 (ko) 상층 데크가 구비된 부유식 구조물
KR101955386B1 (ko) 바지선을 이용한 해상 크레인
KR20220138728A (ko) 블레이드 적재 장치를 포함하는 선박
KR102438693B1 (ko)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
KR102474058B1 (ko)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
KR20210001292A (ko) 횡동요 방지용 레그가 구비된 부유식 구조물
KR20230120813A (ko) 부유식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