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2709B1 - 부유식 구조물 - Google Patents

부유식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2709B1
KR101662709B1 KR1020140106993A KR20140106993A KR101662709B1 KR 101662709 B1 KR101662709 B1 KR 101662709B1 KR 1020140106993 A KR1020140106993 A KR 1020140106993A KR 20140106993 A KR20140106993 A KR 20140106993A KR 101662709 B1 KR101662709 B1 KR 101662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member
main body
guide rail
cylinde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6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1566A (ko
Inventor
박주신
마국열
하영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6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709B1/ko
Publication of KR20160021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1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8Control devices automatic
    • B66D1/50Control devices automatic for maintaining predetermined rope, cable, or chain tension, e.g. in ropes or cables for towing craft, in chains for anchors; Warping or mooring winch-cable tension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017Means for protecting offshore constructions
    • E02B17/003Fe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B63B2017/045Bulwar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Abstract

부유식 구조물이 개시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은, 본체 및 일측이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외측 영역에서의 회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의 상면의 수평방향 연장면, 상기 연장면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의 상면으로 유입되는 청파를 차단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유식 구조물{FLOATING STRUCTURE}
이하의 설명은 부유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잭업리그(jack-up rig)는 해양플랜트의 일종으로서, 해저의 원유나 가스 등을 시추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잭업리그(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잭업리그(10)는 본체(1), 레그(2), 거주구(3), 데릭(4), 캔틸레버(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잭업리그(10)는 항해모드(Transit Mode)와 잭업모드(Jackup Mode)로 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잭업리그(10)는 항해모드로 시추 위치까지 이동한 후, 잭업모드로 전환하여 레그(2)를 내려 해저에 박은 후, 본체(1)를 레그(2)를 따라 들어올린다. 잭업리그(10)는 본체(1)가 해수면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시추 작업을 수행하며, 시추 작업이 완료되면 위의 순서의 역순으로 진행하여 다음 시추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잭업리그(10)는 캔틸레버(5)에 의해 작업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데릭(4)이 설치된 캔틸레버(5)는 잭업리그(10)의 외측으로 이동 가능한데, 이를 통해 잭업리그(10)의 전체 위치를 바꾸지 않고도 드릴링 위치(well center)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위와 같은 잭업리그나 선박 등의 부유식 구조물은 해상에서의 운항 시(잭업리그의 경우 견인 시) 청파(green water)에 의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청파는 파도 등의 해수가 갑판 상으로 범람하여 갑판 위를 휩쓸 때의 해수를 말한다. 청파는 갑판으로부터 최소 5m 이상으로 갑판 상으로 범람할 수 있고, 청파가 유입되면 청파의 위치에너지 및 운동에너지에 의하여 갑판 및 갑판 상에 설치된 각종 의장품 내지는 구조물이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청파는 부유식 구조물의 복원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러한 경우 부유식 구조물은 전복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청파로부터 받는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갑판의 가장자리 부분에 고정식 차단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고정식 차단부재는 일종의 판 부재로서, 그 하단이 갑판 상에 용접된 채 청파를 차단하여 청파의 갑판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고정식 차단부재의 경우, 갑판 상의 각종 의장품 내지는 구조물의 배치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특히, 잭업리그의 경우 일반 선박에 비해 시추를 위한 다양한 의장품 내지는 구조물(데릭, 캔틸레버 등)을 구비하므로, 고정식 차단부재에 의해 공간 활용도 저하는 사소한 문제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잭업리그의 경우 시추 작업 시 캔틸레버가 본체 외부로 이동해야 하는데, 고정식 차단부재는 캔틸레버와 같은 이동식 구성과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잭업리그에 있어서 고정식 차단부재의 적용은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7486호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청파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부유식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은, 본체 및 일측이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외측 영역에서의 회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의 상면의 수평방향 연장면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로 유입되는 청파를 차단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연장면의 상부에서 상기 본체 측으로 최대로 회동하였을 때,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상향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판형 부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및 일단부는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길이가 신축되는 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의 타단부에 제공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유닛, 선택적으로 상기 슬라이딩유닛 내부에 내장되거나 상기 슬라이딩유닛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유닛, 상기 돌출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 및 상기 가이드레일의 적어도 일측에 상기 가이드레일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돌출유닛이 돌출될 때 상기 돌출유닛이 관통 삽입되는 걸림홀이 형성되는 가이드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가 상기 연장면의 상부에 위치할 때 상기 차단부재에 상기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의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에 연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와이어에 상기 본체의 내측 방향으로의 장력을 제공하는 윈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일단부는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선택적으로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거나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 이탈하며 길이가 신축되는 실린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와이어에 상기 본체의 내측 방향으로의 장력을 제공하는 윈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실린더에 의해 상기 연장면의 하부로부터 상기 연장면의 상부의 기설정된 지점까지 회동할 수 있으며, 상기 차단부재가 상기 기설정된 지점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와이어가 상기 차단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의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식 구조물은 잭업리그이고,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잭업리그가 항해모드일 때에는 상기 연장면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잭업리그가 잭업모드일 때에는 상기 연장면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청파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부유식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잭업리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차단부재의 작동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차단부재의 일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차단부재가 상측으로 회동하였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기술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기술 사상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부유식 구조물(100)은 그 종류가 다양할 수 있으므로 차단부재(120)가 설치되는 부유식 구조물(100)의 가장자리 부분을 위주로 도시하였다.
부유식 구조물(100)은 본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 상에는 각종 의장품 및 구조물이 배치될 수 있다. 부유식 구조물(100)이 잭업리그인 경우에는 비교적 많은 의장품 및 구조물이 본체(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청파(green water)는 본체(110)의 상면으로 유입되어 본체(110)의 상면을 휩쓸고 다니며 본체(110)의 상면뿐만 아니라 각종 의장품 및 구조물을 손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100)은 위와 같은 청파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부재(120)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판형 부재일 수 있고, 본체(1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10)의 측면에는 브라켓(111)이 설치될 수 있고, 차단부재(120)는 이러한 브라켓(111)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차단부재(120)는 힌지 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본체(110)의 외측 영역에서 회동함으로써, 선택적으로, 본체(110)의 상면의 수평방향 연장면, 상기 연장면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차단부재(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차단부재(120)는 청파 차단이 요구될 때에만 회동되어 본체(110)의 외측 영역으로 돌출될 수 있다. 청파 차단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는, 차단부재(120)는 본체(110)의 측면에 접하거나 본체(110)의 측면에 인접한 지점에 위치함으로써 부유식 구조물(100) 전체의 구조적 안정성(stability)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차단부재(120)의 회동 작동 방식에 의해, 본체(110) 상의 각종 의장품 및 구조물의 배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없을 수 있다. 특히, 부유식 구조물(100)이 잭업리그인 경우, 데릭 등을 포함한 시추설비가 추가적으로 구비되므로, 이들 의장품 및 구조물의 배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차단부재(120)의 회동 작동 방식에 의해, 본체(110) 내외로 이동하는 이동식 구성과의 간섭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부유식 구조물(100)이 잭업리그인 경우를 예로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시추 작업의 효율성을 위해 캔틸레버가 본체(110)의 외측 영역으로 돌출될 수 있는데, 이 때에는 차단부재(120)가 상기 연장면 또는 상기 연장면의 하부에 위치하여 캔틸레버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부유식 구조물(100)이 잭업리그인 경우, 차단부재(120)는 잭업모드일 때에는 상기 연장면 또는 상기 연장면의 하부에 위치하여 캔틸레버 등의 이동식 구성과의 간섭을 사전에 배제할 수 있고, 항해모드일 때에 상기 연장면의 상부에 위치하여 청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아울러, 앞서 언급한 브라켓(111)은 본체(110)의 상면이 아니라 본체(110)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라켓(111)은 본체(110)의 측면에서 본체(110)의 외측 영역으로 돌출될 수 있고, 상기 연장면의 상부에 위치하는 부분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브라켓(111)은 상기 연장면 또는 상기 연장면의 하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본체(110) 상의 각종 의장품 및 구조물의 배치 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캔틸레버 등의 이동식 구성이 본체(110) 외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이동식 구성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차단부재(120)의 각도는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청파가 본체(110)에 인접한 지점으로부터 본체(110)의 상면으로 유입되는 경우, 차단부재(120)는 본체(110)의 상면의 수평방향 연장면 또는 상기 연장면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청파가 본체(110)에서 먼 지점으로부터 본체(110)의 상면으로 유입되는 경우, 차단부재(120)는 상기 연장면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차단부재(120)는 본체(110) 측으로 최대로 회동하였을 때 본체(110)의 외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청파가 차단부재(120)를 타고 넘어 본체(110)의 상면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만, 차단부재(120)의 회동 각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차단부재(120)는 본체(110)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회동할 수도 있다.
또한, 차단부재(120)에는 복수의 관통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청파가 차단부재(120)에 강하게 부딪히는 경우에는 차단부재(120)가 손상될 위험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차단부재(120)에 관통홀(121)을 형성함으로써 청파가 차단부재(120)에 가하는 압력이 감소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단부재(1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관통홀(121)의 크기 및 개수는 본체(110) 상에 설치된 각종 의장품 및 구조물의 종류, 위치, 크기, 강도 등을 고려하여 관통홀(121)을 통해 일부 유입된 청파에 의해 각종 의장품 및 구조물이 손상되지 않는 선에서 결정될 수 있다.
도 3은 차단부재(120)의 작동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차단부재(120)의 회동은 실린더(130)에 의해 구현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실린더(130)는 길이의 신축이 가능하며 이러한 길이의 신축을 통해 차단부재(120)를 지지함과 동시에 회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린더(130)의 일단부는 본체(1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타단부는 차단부재(12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실린더(130)의 일단부는 본체(110)의 측면에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실런더(130)의 타단부는 차단부재(120)에 마련된 가이드레일(미도시)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먼저, (a)를 참조하면, 실린더(130)의 타단부는 차단부재(120)의 단부 측에 위치할 수 있고, 실린더(130)는 초기 길이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차단부재(120)는 본체(110)의 측면에 실질적으로 평행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청파의 차단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 차단부재는 (a)와 같은 상태일 수 있다.
다음으로, (b)를 참조하면, 실린더(130)의 길이가 신장되고, 실린더(130)의 일단부가 본체(110)의 측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며, 실린더(130)의 타단부가 차단부재(120)의 단부에서 중심부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통해 차단부재(120)는 본체(110)의 상면의 수평방향 연장면의 하부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c)를 참조하면, 실린더(130)의 길이가 더 신장되고, 실린더의 일단부는 본체(110)의 측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동하며, 실린더(130)의 타단부가 차단부재(120)의 중심부 측에서 다시 단부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통해 차단부재(120)는 상기 연장면의 상부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전술했던 바와 같이, 차단부재(120)는 본체(110) 측으로 최대로 회동하였을 때 본체(110)의 외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질 수 있다((c) 참조). 청파의 통상적인 유입 각도를 고려하였을 때, 차단부재(120)가 본체(110) 외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할 경우 차단부재(12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면서도 청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차단부재(120)를 타고 넘어가는 청파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는 차단부재(120)의 일면, 도 3의 (b)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에는 차단부재(120)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재(120)에는 차단부재(120)의 길이방향을 따라형성되는 가이드레일(122)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차단부재(120)의 길이방향이란 본체(110)에 연결된 차단부재(120)의 일측부부터 자유단인 차단부재(120)의 타측부까지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실린더(130)의 차단부재(120) 측 타단부에는 슬라이딩유닛(131)이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슬라이딩유닛(131)은 가이드레일(122)을 따라 구를 수 있는 구름볼인 것으로 예시한다.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린더(130)의 타단부에 제공되는 슬라이딩유닛(131)이 가이드레일(122)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것을 통해 실린더(130)의 타단부는 차단부재(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레일(122)의 적어도 일측에는 가이드레일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벽(123)이 제공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가이드벽(123)이 한 쌍으로 마련되어 가이드레일(122)의 양측에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이러한 가이드벽(123)에는 그 연장방향을 따라 복수의 걸림홀(12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슬라이딩유닛(131)에는 돌출유닛(132)이 제공될 수 있다. 돌출유닛(132)은, 선택적으로, 슬라이딩유닛(131)의 내부에 내장되거나 슬라이딩유닛(131)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와 같은 돌출유닛(132)은 핀(pin) 형태인 것으로 예시한다. 실린더(130)의 신축 및 슬라이딩유닛(131)의 가이드레일(122) 상에서의 슬라이딩에 따라 차단부재(120)가 회동한 후, 돌출유닛(132)은 슬라이딩유닛(131) 외부로 돌출되어 걸림홀(124)에 관통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실린더(130)의 슬라이딩유닛(131)의 가이드레일(122) 상에서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차단부재(120)의 추가적인 회동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돌출유닛(132)은 다시 슬라이딩유닛(131) 내부로 내장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돌출유닛(132)의 작동을 위해 도시되지 않은 제어기가 마련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겠지만, 돌출유닛(132)이 슬라이딩유닛(131) 내부로 내장되고 실린더(130)의 길이가 단축되는 것을 통해 슬라이딩유닛(131)은 가이드레일(122)로부터 이탈될 수 있고, 이로써 실린더(130)는 더 이상 차단부재(120)를 지지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차단부재(120)가 상측으로 회동하였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100)은 차단부재(120)에 본체(110) 외측 방향으로의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체(14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체(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 외측 영역으로 돌출된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차단부재(120)가 본체(110)의 상면의 수평방향 연장면의 상부에서 본체(110) 측으로 회동함에 따라 지지체(140)는 차단부재(120)에 접하여 차단부재(120)에 도 5 기준으로 오른쪽 방향의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를 기준으로, 청파는 차단부재(120)에 왼쪽 방향의 힘을 가하는바, 상기와 같은 지지체(140)를 제공함으로써 차단부재(120) 및 브라켓(11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지지체(140)에는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차단부재(120)에는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차단부재(120)가 어느 정도 회동하면 지지체(140)와 차단부재(120)가 접하면서 서로 자동으로 체결될 수도 있다. 차단부재(120)와 지지체(140)가 접하는 것은 차단부재(120)가 본체(110) 측으로 최대로 회동하였을 때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100)은 와이어(150) 및 윈치(151)를 포함할 수 있다. 윈치(151)는 본체(110)의 상면에 제공될 수 있고, 와이어(150)는 윈치(151)에 권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어(150)는 차단부재(120)에 연결될 수 있는데, 도 5에서는 와이어(150)가 차단부재(120)의 타측 단부(자유단 부분)에 형성된 고리(129)에 연결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차단부재(120)에 연결된 와이어(150)의 다른 부분은 본체(110)에 제공되는 윈치(151)에 권취될 수 있다. 상술한 지지체(140)가 제공되는 경우, 와이어(150)는 지지체(140)의 일부를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이 때 지지체(140)의 적어도 일지점에는 적어도 하나의 도르래가 제공될 수 있다.
윈치(151)는 회전함으로써 와이어(150)에 본체(110) 내측 방향으로의 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150)에 연결된 차단부재(120) 역시 본체(110) 내측 방향으로의 힘을 받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회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차단부재(120)의 회동은 앞서 설명한 실린더(130)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차단부재(120)의 회동 상태 유지는 와이어(150) 및 윈치(15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단부재(120)가 아래에서 위로 상승되는 방향으로 회동한다고 했을 때, 실린더(130)는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길이의 신장과 회동을 통해 차단부재(120)를 회동시킴과 동시에 지지할 수 있다. 차단부재(120)가 본체(110)의 상면의 수평방향 연장면의 상부에서 기설정된 지점까지 회동하면, 일단부가 윈치(151)에 권취된 와이어(150)가 차단부재(120)에 연결될 수 있고, 동시에 실린더(130)는 더 이상 차단부재(120)를 지지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돌출유닛이 슬라이딩유닛 내부로 내장되고 실린더(130)의 길이가 단축됨에 따라 슬라이딩유닛은 가이드레일로부터 이탈되어 실린더(130)는 차단부재(120)로부터 이격될 수 있는 것이다.
차단부재(120)가 상기 연장면의 상부에 위치하는 동안 실린더(130)가 계속 차단부재(120)를 지지한다면 실린더(130)에 피로가 누적될 수 있고, 이는 실린더(130)의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실린더(130)는 차단부재(120)를 회동시키는 것에만 활용하고, 차단부재(120)의 회동 상태 유지는 와이어(150)와 윈치(151)를 통해 구현하였다.
한편, 와이어(151)가 차단부재(120)에 연결되고 실린더(130)가 더 이상 차단부재(120)를 지지하지 않는 시점은 차단부재(120)와 지지체(140)가 접했을 때일 수 있다.
차단부재(120)가 실린더(130)에 의한 지지력을 더 이상 제공받지 않고 와이어(150) 및 윈치(151)에 의해 회동 상태를 유지할 때, 윈치(151)의 다소 간의 회전을 통해 와이어(150)에 작용하는 장력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상 장력을 최대로 하여 차단부재(120)가 최대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경우, 차단부재(120)에 강하게 부딪히는 청파에 의해 차단부재(120)나 브라켓(111)에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윈치(151)의 회전을 통해 상기와 같은 상태보다 다소 느슨한 장력을 와이어(150)에 부여하고, 청파가 차단부재(120)에 부딪히면 차단부재(120)가 지지체(140)에 접할 때까지 브라켓(111)을 중심으로 본체(110) 측으로 회동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차단부재(120)와 브라켓(111) 등에 일종의 유연함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차단부재(120)와 지지체(140)의 접합 지점에는 별도의 완충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기술 사상의 일부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기술 사상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고, 그와 같은 실시는 모두 본 기술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부유식 구조물 110: 본체
111: 브라켓 120: 차단부재
121: 관통홀 122: 가이드레일
123: 측벽 124: 걸림홀
130: 실린더 131: 슬라이딩유닛
132: 돌출유닛 140: 지지체
150: 와이어 151: 윈치

Claims (9)

  1.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외측 영역에서의 회동에 의해 상기 본체의 상면의 수평방향 연장면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차단부재;
    상기 차단부재에 상기 차단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가이드 레일; 및
    일단부는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차단 부재를 회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의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착탈가능하게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실린더의 길이가 신축되는 부유식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연장면의 상부에서 상기 본체 측으로 최대로 회동하였을 때,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는 부유식 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판형 부재인 부유식 구조물.
  4. 삭제
  5. 본체;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외측 영역에서의 회동에 의해 상기 본체의 상면의 수평방향 연장면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차단부재;
    상기 차단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일단부는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길이가 신축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타단부에 제공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유닛;
    선택적으로 상기 슬라이딩유닛 내부에 내장되거나 상기 슬라이딩유닛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유닛;
    상기 돌출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 및
    상기 가이드레일의 적어도 일측에 상기 가이드레일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돌출유닛이 돌출될 때 상기 돌출유닛이 관통 삽입되는 걸림홀이 형성되는 가이드벽을 더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가 상기 연장면의 상부에 위치할 때 상기 차단부재에 상기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의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에 연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와이어에 상기 본체의 내측 방향으로의 장력을 제공하는 윈치를 더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8. 본체;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외측 영역에서의 회동에 의해 상기 본체의 상면의 수평방향 연장면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차단부재;
    상기 차단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일단부는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선택적으로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거나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 이탈하며, 길이가 신축되는 실린더; 및
    와이어가 권취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와이어에 상기 본체의 내측 방향으로의 장력을 제공하는 윈치;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실린더에 의해 상기 연장면의 하부로부터 상기 연장면의 상부의 기설정된 지점까지 회동하며,
    상기 차단부재가 상기 기설정된 지점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와이어가 상기 차단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의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 이탈하는 부유식 구조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구조물은 잭업리그이고,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잭업리그가 항해모드일 때에는 상기 연장면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잭업리그가 잭업모드일 때에는 상기 연장면의 하부에 위치하는 부유식 구조물.
KR1020140106993A 2014-08-18 2014-08-18 부유식 구조물 KR101662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993A KR101662709B1 (ko) 2014-08-18 2014-08-18 부유식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993A KR101662709B1 (ko) 2014-08-18 2014-08-18 부유식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566A KR20160021566A (ko) 2016-02-26
KR101662709B1 true KR101662709B1 (ko) 2016-10-05

Family

ID=55447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6993A KR101662709B1 (ko) 2014-08-18 2014-08-18 부유식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27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85807B2 (en) * 2007-03-23 2011-12-27 Ntt Docom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 time scheduling of traffic in wireless networks
KR102282440B1 (ko) * 2021-02-24 2021-07-27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수상정 회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0798B1 (ko) * 2018-05-04 2019-12-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스토퍼가 구비된 선박용 완충장치
KR101950805B1 (ko) * 2018-11-23 2019-05-22 주식회사 삼우이엔지 부유식 해상시설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2681A (ja) * 2001-08-30 2003-03-12 Fuji Kaiji Kogyo Kk 大型ケーソン製作用浮ドック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5478A (ja) * 1995-12-22 1997-07-08 Hitachi Zosen Corp 船舶における波抑制装置
KR20120020945A (ko) * 2010-08-31 2012-03-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 구조물 운동 저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해양 구조물
KR20130110456A (ko) * 2012-03-29 2013-10-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드릴쉽의 속도성능 향상을 위한 초크 데크
KR20130117486A (ko) 2012-04-18 2013-10-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탑 사이드 데크 잭업 지지 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2681A (ja) * 2001-08-30 2003-03-12 Fuji Kaiji Kogyo Kk 大型ケーソン製作用浮ドッ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85807B2 (en) * 2007-03-23 2011-12-27 Ntt Docom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 time scheduling of traffic in wireless networks
KR102282440B1 (ko) * 2021-02-24 2021-07-27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수상정 회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566A (ko) 2016-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2709B1 (ko) 부유식 구조물
KR101205344B1 (ko) 부유식 구조물
CA2892029C (en) Structure-assisted jackup system
KR101399933B1 (ko) 부유식 구조물
KR20130053028A (ko) 시추시설의 폴딩 타입 문풀 개폐 장치
KR101422227B1 (ko) 부유식 구조물
CA2892028C (en) Structure-supported jackup system
KR101750805B1 (ko) 접안용 펜더
WO2016175657A1 (en) Cantilever system for an offshore platform
KR20140035658A (ko) 해양 작업 설치선의 레그 시스템
KR20200128723A (ko) 양상 작업 설비 및 그 제조 방법
KR101411517B1 (ko)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프로텍터
KR102038756B1 (ko) 관절식 용골 스커트를 갖는 부유식 플랫폼
KR101684369B1 (ko) 해양 구조물
WO2009008718A1 (en) Method for installing an off-shore structure
KR102438695B1 (ko) 레그 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KR102106498B1 (ko) 해상풍력발전장치의 하부구조물 설치선박 및 설치방법
KR101315190B1 (ko) 플로팅 도크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제작방법
KR20160029473A (ko) 부유식 구조물
KR20160007947A (ko)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KR20160027317A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
KR20200029795A (ko) 블럭형 스퍼드캔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602219B1 (ko) 무어링 장치
KR101549198B1 (ko) 부유식 바지선을 갖는 드라이 도크
KR101616837B1 (ko) 계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