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2440B1 -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수상정 회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수상정 회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2440B1
KR102282440B1 KR1020210024751A KR20210024751A KR102282440B1 KR 102282440 B1 KR102282440 B1 KR 102282440B1 KR 1020210024751 A KR1020210024751 A KR 1020210024751A KR 20210024751 A KR20210024751 A KR 20210024751A KR 102282440 B1 KR102282440 B1 KR 102282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panel
parts
unmanned
gu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관
진택성
오경원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4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4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floating carg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K5/541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t least one Si—O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8Anti-corrosive pa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되, 길이 방향으로 연장 가능한 한 쌍의 가드부, 한 쌍의 가드부를 잇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한 쌍의 회전부, 한 쌍의 회전부에 각각 결합되며, 한 쌍의 회전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패널부 및 한 쌍의 가드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무인수상정을 회수하는 모선에 결합되는 와이어부를 포함하는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를 제안한다.

Description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수상정 회수 시스템{CAGE FOR RECOVERY OF UNMANNED WATERCRAFT WITH FLIP TYPE AND SYSTEM FOR RECOVERY OF UNMANNED WATERCRAFT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수상정 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무인수상정 회수 시 이동 반경을 제한하여 회수 안정성 및 회수 효율을 증대시키는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선박의 무인화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대잠전, 기뢰 대함전, 감시, 정찰, 해양 정보 조사, 정보 작전 등 다양한 군사 작전에 활용될 수 있으며, 해양조사, 해양정찰감시, 해양사고 대응 및 다양한 작업 분야를 수행하기 위해 무인수상정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종래에는 무인수상정을 해양에서 운용할 시, 무인수상정을 모선에 탑재하고 다니면서 필요할 때, 무인수상정을 진수하여 작업을 수행하고, 작업 종료 후 무인수상정을 모선에 다시 회수하는 LARS(Launch & Recovery System)라 불리는 진회수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대빗(Davit) 방식과 선미 경사로(Stern Ramp)를 이용한 방식이 가장 보편적으로 이루어지며, 2천톤급 이상 함정은 Mission Bay 방식까지 고려하기도 한다.
전술한 방법은 무인수상정을 건조 후 모선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모선에서 해양으로 이동시키는 시간 또한 줄일 수 있다.
무인수상정의 진회수 작업에 있어서, 진수보다는 회수에 어려움을 겪는 것이 일반적이다. 무인수상정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회수과정에서 무인수상정의 이동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무인수상정의 이동이 자유롭게 된다면, 회수과정에서 무인수상정의 흔들림으로 인해 무인수상정의 파손, 회수 인력의 부상 등 여러 문제가 발생되며, 작업 환경의 특성 상 파고가 높거나, 풍속이 강하기 때문에 위와 같은 문제들이 다수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Davit 방식을 통한 무인수상정의 회수 과정을 도식화한 것이다. 모선(1)에는 크레인(2)이 형성되어 있고, 크레인(2)은 메인 와이어(4)를 통해 무인수상정(3)과 연결된다. 또한, 모선(1)의 전방에는 무인수상정(3)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기 위해 무인수상정(3)의 선두와 모선(1)을 잇는 보조 와이어(5)가 형성된다. 종래의 무인수상정 회수는 무인수상정(3)의 선두를 고정하여 회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지만, 와이어 결합의 한계로 인해 근본적으로 무인수상정(3)의 이동을 제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순간적으로 무인수상정(3)이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무인수상정(3)이 뒤집어 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무인수상정의 이동 반경을 제한할 수 있는 발명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0-1965846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인수상정 회수 시 무인수상정의 이동 반경을 제한하여 회수 안정성 및 회수 효율을 증대시키는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를 구현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되, 길이 방향으로 연장 가능한 한 쌍의 가드부; 상기 한 쌍의 가드부를 잇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한 쌍의 회전부; 상기 한 쌍의 회전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회전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패널부; 및 상기 한 쌍의 가드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무인수상정을 회수하는 모선에 결합되는 와이어부를 포함하는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를 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가드부 및 상기 한 쌍의 회전부는 수상에서 부유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회전부는, 상기 무인수상정의 진입 또는 진출에 용이하도록 상기 한 쌍의 가드부의 하방에서 결합되는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패널부는, 상기 한 쌍의 회전부에 각각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 패널부 및 제2 패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널부 및 상기 제2 패널부는 동일한 형상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패널부는, 상기 무인수상정의 선두가 상기 한 쌍의 가드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패널부와 결합된 제1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패널부가 회전하며, 상기 제1 회전부를 기준으로 길이 방향으로 반대편에 위치되도록 회전하고, 상기 무인수상정이 상기 한 쌍의 가드부에 일정 부분 진입하는 경우 상기 제2 패널부와 결합된 제2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 패널부가 회전하며, 상기 제2 회전부를 기준으로 길이 방향으로 반대편에 위치되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패널부 및 상기 제2 패널부는, 상기 무인수상정이 상기 한 쌍의 가드부 내로 진입하는 경우, 회전 방향이 서로 상이하게 각각 180도 회전하며, 상기 제1 패널부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 패널부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패널부는, 물이 관통하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한 쌍의 패널부가 회전 시 물에 의해 형성되는 저항을 최소화하여 회전하는 속도를 유지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패널부는, 상기 무인수상정이 상기 한 쌍의 가드부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가드부와 소정의 경사를 지니도록 위치하여 상기 무인수상정의 전후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제1 패널부가 시계 방향으로 180도 내지 270도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회전하고, 상기 제2 패널부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180도 이상 270 이하로 회전하여 상기 소정의 경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패널부 및 상기 제2 패널부는 마주보는 단부가 라운드 형태로 구현되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벤딩되어 고리 형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가드부, 상기 한 쌍의 회전부 및 한 쌍의 패널부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코팅 조성물은 실록산계 화합물, 유기 용매, 금속 화합물 및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실록산계 화합물은 후술하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수면 내에서 운용되는 무인수상정을 진회수하는 모선; 및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되, 길이 방향으로 연장 가능한 한 쌍의 가드부; 상기 한 쌍의 가드부를 잇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한 쌍의 회전부; 상기 한 쌍의 회전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회전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패널부; 및 상기 한 쌍의 가드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무인수상정을 회수하는 모선에 결합되는 와이어부를 포함하는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를 포함하는 무인수상정 회수 시스템을 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패널부는, 상기 한 쌍의 회전부에 각각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 패널부 및 제2 패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널부 및 상기 제2 패널부가 동일한 형상으로 구현되며, 상기 무인수상정의 선두가 상기 한 쌍의 가드부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패널부와 결합된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제1 패널부와 결합된 회전부를 기준으로 길이 방향으로 반대편에 위치되도록 회전하고, 상기 무인수상정이 상기 한 쌍의 가드부에 일정 부분 진입하는 경우 상기 제2 패널부와 결합된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제2 패널부와 결합된 회전부를 기준으로 길이 방향으로 반대편에 위치되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패널부는, 물이 관통하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널부 및 상기 제2 패널부가 서로 마주보는 단부가 라운드 형태로 구현되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벤딩되어 고리 형태를 형성하여 상기 한 쌍의 패널부가 회전 시 물에 의해 형성되는 저항을 최소화하여 회전하는 속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무인수상정 회수 작업의 안정성 향상, 회수 시간의 단축 등으로 인한 회수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Davit 방식을 통한 무인수상정의 회수 과정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의 패널부의 플립 동작에 따른 케이지 내부로의 무인수상정의 이동 메커니즘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부의 형상을 자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수상정 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10)는 무인수상정(20) 회수 시 이동 반경을 제한하는 케이지로서, 회수 안정성 및 회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에 관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의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10)는 가드부(100), 회전부(200), 패널부(300) 및 와이어부(400)를 포함한다.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10)는 도 2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길이 방향'이라 함은 도 2를 기준으로 가로 방향이고, '폭 방향'이라 함은 도 2를 기준으로 세로 방향이다. '수직 방향'이라 함은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이 이루는 면과 수직되는 방향이다. 이하에서는 지정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전방'은 도 5를 기준으로 무인수상정의 앞단이 구비되는 방향이고, '후방'은 도 5를 기준으로 무인수상정의 후단이 구비되는 방향으로, 무인수상정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진입할 수 있다.
가드부(100)는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되, 길이 방향으로 연장 가능할 수 있다.
가드부(100)는 수상에서 부유하며, 최초에는 모선 내에 위치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10)는 회수 작업 전에는 모선 내에 위치되어 있다가, 크레인 등으로 인해 회수 과정에서 수상에서 부유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모선은 수면 내에서 운용되는 무인수상정(20)을 진회수하는 선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선은 무인수상정(20)을 해양에서 운용할 시, 무인수상정(20)을 탑재하고 다니면서 필요할 때, 무인수상정(20)을 진수하여 작업을 수행하고, 작업 종료 후 무인수상정(20)을 다시 회수할 수 있다.
가드부(10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가드부(100)는 일 예로 직육면체 형상이나, 반드시 이러한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가드부(100)는 수상에서 부유하며, 최초에는 모선 내에 위치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10)는 모두 회수 작업 전에는 모선 내에 위치되어 있다가, 크레인 등으로 인해 회수 과정에서 수상에서 부유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드부(100)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다. 수상에 부유 시 균형성 향상을 위해 한 쌍의 가드부(100)는 동일한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폭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가드부(100) 사이의 공간에는 무인수상정(20)이 진입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10)는 수상에 부유하는 무인수상정(20)이 한 쌍의 가드부(100) 내로 진입한다면, 무인수상정(20)의 이동 반경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무인수상정(20)의 회수 안정성이 향상되며, 회수 시간이 단축되어 회수 효율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회전부(200)는 상기 한 쌍의 가드부를 잇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될 수 있다.
회전부(200)는 무인수상정(20)의 진입 또는 진출에 용이하도록 한 쌍의 가드부(100)의 하방에서 결합될 수 있다.
회전부(200)는 한 쌍의 가드부(100)를 잇는다. 회전부(200)는 일 예로 원기둥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회전부(200)는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일단이 한 쌍의 가드부(100) 중 어느 하나의 가드부에, 타단이 한 쌍의 가드부(100) 중 다른 하나의 가드부에 결합된다. 또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회전부(200)는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다. 이때, 한 쌍의 회전부(200)는 가드부(100)의 하면 근방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무인수상정(20)이 한 쌍의 가드부(100) 사이로 진입되기 용이하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회전부(200)는 무인수상정(20)이 한 쌍의 가드부(100) 사이로 진입되는 경우, 한 쌍의 회전부(200)에 맞닿지 않도록 무인 수상정(20)이 수중 내에 위치하는 부분 보다 더 아래에서 한 쌍의 가드부(100)에 조립될 수 있다.
가드부(100) 및 회전부(200)는 수상에서 부유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패널부(300)는 한 쌍의 회전부(200)에 각각 결합되며, 한 쌍의 회전부(20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 쌍의 패널부(300)는 한 쌍의 회전부(200)에 각각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 패널부(310) 및 제2 패널부(3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패널부(300)는 한 쌍으로 형성되며, 각각 한 쌍의 회전부(200)에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한 쌍의 패널부(300)를 제1 패널부(310) 및 제2 패널부(320)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제1 패널부(310) 및 제2 패널부(320)는 동일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패널부(310) 및 제2 패널부(320)는 작동되기 전, 즉 무인수상정(20)이 아직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10) 내로 진입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도 2와 같이 한 쌍의 가드부(100)와 한 쌍의 회전부(200)가 이루는 공간 내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직육면체 형상이나,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패널부(310) 및 제2 패널부(320)는 동일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패널부(310) 및 제2 패널부(320)는 사각 형상으로 구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인수상정(2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전방과 후방을 막을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패널부(300)는 무인수상정(20)의 선두가 한 쌍의 가드부(100)의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 제1 패널부(310)와 결합된 제1 회전부(210)의 회전에 따라 제1 패널부(310)가 회전하며, 제1 패널부(310)와 결합된 제1 회전부(210)를 기준으로 길이 방향으로 반대편에 위치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패널부(300)는 무인수상정(20)이 한 쌍의 가드부(100)에 일정 부분 진입되는 경우 제2 패널부(320)와 결합된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제2 패널부(320)가 회전하며, 제2 회전부(220)를 기준으로 길이 방향으로 반대편에 위치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제1 패널부(310) 및 제2 패널부(320)는 무인수상정(20)이 한 쌍의 가드부(100) 내로 진입되는 경우, 회전 방향이 서로 상이하게 각각 180도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1 패널부(31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패널부(320)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패널부(300)는 물이 관통하는 복수의 홀(30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홀(302)은 한 쌍의 패널부(300)가 회전 시 물에 의해 형성되는 저항을 최소화하여 회전하는 속도를 유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패널부(300)는 무인수상정(20)이 한 쌍의 가드부(100)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한 쌍의 가드부(100)와 소정의 경사를 지니도록 위치하여 무인수상정(100)의 전후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때, 제1 패널부(310)가 시계 방향으로 180도 이상 270 이하로 회전하고, 제2 패널부(320)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180도 이상 270 이하로 회전하여 소정의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패널부(310) 및 제2 패널부(320)는 마주보는 단부가 라운드 형태로 구현되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벤딩되어 고리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가드부(100), 회전부(200) 및 패널부(300)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코팅 조성물은 실록산계 화합물, 유기 용매, 금속 화합물 및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실록산계 화합물은 후술하는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와이어부(400)는 한 쌍의 가드부(100)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무인수상정(20)을 회수하는 모선에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부(400)는 한 쌍의 가드부(100)에 위치하는 연결부(110)를 통해 한 쌍의 가드부(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110)는 힌지, 고리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110)는 힌지 형태로 구현되어 가드부(100)와 와이어부(400)를 연결할 수 있으며, 틸팅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연결부(110)는 바람직하게는 각 가드부(100)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총 4개로 구현되고, 각각이 복수 개의 와이어부(40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4개의 와이어부(400)가 4개의 연결부(110)에 의해 가드부(100)와 연결되는 것은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10)의 균형성을 향상하기 위함이다.
와이어부(400)는 일단이 연결부(110)에 결합되고, 타단이 모선에 결합된다. 와이어부(400)는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10)가 수상에서 부유할 수 있게 지지하는 역할 및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10)의 진수 및 회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의 패널부의 플립 동작에 따른 케이지 내부로의 무인수상정의 이동 메커니즘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이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3은 무인수상정(20)이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10)의 근방에 위치한 경우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패널부(310) 및 제2 패널부(320)는 한 쌍의 가드부(100)와 한 쌍의 회전부(200)가 형성하는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10) 공간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도록 한다. 도 4는 무인수상정(20)이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10) 내부로 최초에 진입되는 경우이다.
미도시 되었지만, 한 쌍의 회전부(200)는 전자적 제어에 의해 회전 가능하다. 다만, 이러한 회전 동작은 공지된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10)는 무인수상정(20)의 선두 부근이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10)의 후방에 위치할 때, 제1 패널부(310)와 결합된 제1 회전부(210)를 회전시킨다. 이때, 180도 회전시켜 도 4와 같이 제1 회전부(210)를 기준으로 길이 방향으로 반대편에 위치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패널부(310)의 회전은 제1 회전부(210)가 회전함에 따라 제1 회전부(210)에 고정된 제1 패널부(310)가 회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4과 같이 무인수상정(20)의 선두 부근 일부가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10)의 내부로 진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패널부(310)가 완전히 180도로 회전되기 전에 무인수상정(20)의 선두가 케이지 내부로 진입되고, 어느 정도 진입된 상태에서 제1 패널부(310)를 180도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4는 180도 회전된 후의 도면이라고 봄이 명확하다.
구체적으로, 제1 패널부(310)는 처음 패널 위치(12)에서 180도로 회전하여 도 4와 같이 이동할 수 있으며, 제1 회전부(210)를 기준으로 길이 방향으로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도록 한다. 도 5는 무인수상정(20)이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10)의 내부로 전부 진입되는 경우이다.
무인수상정(20)이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10)의 내부로 점차 이동함과 동시에, 제2 패널부(320)와 결합된 제2 회전부(220)를 회전시킨다. 이때, 제1 패널부(310)와 마찬가지로, 180도 회전시켜 도 5와 같이 제2 회전부(220)를 기준으로 길이 방향으로 반대편에 위치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제2 패널부(320)의 회전은 제2 회전부(220)가 회전함에 따라 제2 회전부(220)에 고정된 제2 패널부(320)가 회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제1 패널부(310)와 제2 패널부(320)는 각각 회전 방향이 상이하게 된다. 제1 패널부(310)는 시계 방향으로, 제2 패널부(320)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제1 패널부(310) 및 제2 패널부(320)가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10)의 내부에서 외부로 전부 회전함에 따라, 도 5와 같이 무인수상정(20) 전체가 케이지 내부로 진입될 수 있다. 이때, 무인수상정(20) 선두가 진입되는 시점과 동시에 제2 패널부(320)가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무인수상정(20)이 제2 패널부(320)에 걸려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패널부(320)는 처음 패널 위치(14)에서 180도로 회전하여 도 5와 같이 이동할 수 있으며, 제2 회전부(220)를 기준으로 길이 방향으로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6은 무인수상정(20)의 전후방 이동의 제한을 위해 제1 패널부(310) 및 제2 패널부(320)가 승강하는 방향으로 틸팅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10)의 내부로 무인수상정(20)이 위치된 뒤, 가드부(100)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경사지도록 제1 패널부(310) 및 제2 패널부(320)가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상세하게는, 원래 회전하였던 방향으로 조금 더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제1 패널부(310) 및 제2 패널부(320)는 도 6과 같이, 무인수상정(20)의 전후의 이동을 제한하는 장막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전후방이 개방되어 있다면,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10)의 내부에 위치되더라도 무인수상정(20)이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1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경우가 다수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무인수상정(20)은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10)의 전후방의 이동이 제한되어 회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회수 시간을 축소시켜 작업 효율이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회수 작업 후 제1 패널부(310) 및 제2 패널부(320)를 다시 역회전하여 원래의 상태로 위치시키는 동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패널부(310)는 한 쌍의 가드부(100) 내에서 0도인 상태로 구비되고, 무인수상정(20)이 내부로 진입되는 동안 한 쌍의 가드부(100) 외로 구비되도록 180도 회전하고, 무인수상정(20)이 한 쌍의 가드부(100) 내로 모두 진입되어 회수를 수행하기 전 무인수상정(2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180도 내지 270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패널부(310)가 0도인 상태로 구비되는 위치는 a이고, 제1 패널부(310)가 180도인 상태로 구비되는 위치는 b이며, 제1 패널부(310)가 180도 내지 270도인 상태로 구비되는 위치는 c이다. 무인수상정(20)이 진입되는 위치에 따라 제1 패널부(310)의 위치가 시계 방향으로 a에서 b에서 c로 순차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물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2 패널부(320)는 한 쌍의 가드부(100) 내에서 0도인 상태로 구비되고, 무인수상정(20)이 내부로 일부 진입되어 이동하는 동안 한 쌍의 가드부(100) 외로 구비되도록 180도 회전하고, 무인수상정(20)이 한 쌍의 가드부(100) 내로 모두 진입되어 회수를 수행하기 전 무인수상정(2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180도 내지 270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패널부(320)가 0도인 상태로 구비되는 위치는 a'이고, 제2 패널부(320)가 180도인 상태로 구비되는 위치는 b'이며, 제2 패널부(320)가 180도 내지 270도인 상태로 구비되는 위치는 c'이다. 무인수상정(20)이 진입되는 위치에 따라 제1 패널부(310)의 위치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a'에서 b'에서 c'로 순차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물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패널부(310) 및 제2 패널부(32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인수상정(20)이 내부로 진입되기 위해 한 쌍의 가드부(100)의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 제1 패널부(310)가 회전하도록 제1 회전부(210)가 동작할 수 있으며, 무인수상정(20)이 내부로 진입되면 제2 패널부(320)가 회전하도록 제2 회전부(220)가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패널부(310)는 무인수상정(20)이 한 쌍의 가드부(100)의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에 회전하고, 제2 패널부(320)는 무인수상정(20)이 제1 패널부(310)의 처음 위치(a) 내로 진입되는 경우, 회전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처음 위치(a)는 제2 패널부(320)의 처음 위치(a')의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일 실시예예 따르면, 제1 패널부(310) 및 제2 패널부(320)가 180도 내지 270도인 상태로 구비되는 위치인 c 및 c'는 225도인 상태가 가장 바람직하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10)는 별도의 센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10)는 센서부를 통해 무인수상정(20)의 위치를 판단하여 패널부(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10)는 무인수상정(20)이 한 쌍의 가드부(100) 내로 진입됨에 따라 제1 패널부(310)가 우선적으로 회전하고, 그 후 제2 패널부(320)가 회전할 수 있으며, 무인수상정(20)의 진입이 완료된 후, 무인수상정(2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제1 패널부(310) 및 제2 패널부(320)가 가드부(100)와 소정의 경사를 지니도록 회전할 수 있다.
패널부(300)가 회전하기 위한 회전부(200)의 제어는 무인수상정(20)이 진입되는 속도 및 무인수상정(20)이 위치하는 수중의 상태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수중의 상태는 외부 환경 요인의 변화하는 환경 감지부(미도시)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200)는 환경 감지부에서 감지된 변화와 무인수상정(20)이 진입되는 속도를 고려하여 회전부(200)의 속도, 회전 각도 등을 제어하여 패널부(3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10)는 회전부(200)가 부착된 위치가 무인수상정(20)의 하단과 맞닿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가드부(100)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가드부(100)를 따라 회전부(20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드부(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 회전부(210)가 더 밑에 위치하도록 가드부(100)의 중심 또는 제2 회전부(220)가 구비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각도를 조절하여 무인수상정(20)의 진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가드부(100)를 따라 회전부(20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무인수상정(20)의 진입 또는 진출이 용이하도록 회전부(20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부의 형상을 자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패널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쌍의 패널부(300)에는 각각 복수 개의 홀(302)이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널부(30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물의 저항을 받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회전 속도가 느려지게 되며 회전부(200)에 과부하가 걸려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10)는 패널부(300)에 형성된 홀(302)을 통해 물이 관통하게 되므로 패널부(300)가 받는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패널부(300)가 회전하게 되는 회전 속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회전부(200)의 과부화를 방지하여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1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홀(302)은 원형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따라서, 홀(302)은 패널부(30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물이 관통하도록 물이 지나가는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패널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쌍의 패널부(300)의 단부는 각각 라운드진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1 패널부(310) 및 제2 패널부(320)가 마주보는 부근의 단부가 라운드 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라운드 진 부분을 제1 휨부(312) 및 제2 휨부(322)라고 지칭하면, 제1 휨부(311) 및 제2 휨부(321)의 단부는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벤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벤딩은 아래 또는 위로 휜 형태를 나타낸다.
상술한 구조로 인해, 제1 패널부(310) 및 제2 패널부(32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물을 쓸어 올리는 고리 형태가 되므로 회전 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회전부(200)의 과부화를 방지하여 케이지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드부(100), 회전부(200) 및 패널부(300)에는 부식 방지용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미도시)은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되는 것으로, 상기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코팅층은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층에 의해 가드부(100), 회전부(200) 및 패널부(300)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가드부(100), 회전부(200) 및 패널부(300)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고, 가드부(100), 회전부(200) 및 패널부(300)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을 포함하고 있어, 가드부(100), 회전부(200) 및 패널부(30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유기 용매, 금속 화합물 및 아민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21022342910-pat00001
화학식 1에서,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가드부(100), 회전부(200) 및 패널부(300)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 가드부(100), 회전부(200) 및 패널부(300)와의 접착력이 우수하여, 외력에 의해 쉽게 코팅층이 벗겨지지 않고, 가드부(100), 회전부(200) 및 패널부(300)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 화합물을 포함함에 따라, 우수한 부식 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록산계 화합물은 머캅토기를 치환기로 포함하고 있어, 가드부(100), 회전부(200) 및 패널부(300)와의 우수한 접착력을 나타낼 뿐 아니라, 코팅 조성물의 점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여 성형성을 높이고,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금속 화합물은 수분, 염분 또는 산소와 접하는 것을 차단하는 침식 및 부식억제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금속 화합물은 침식 및 부식 억제제의 역할을 하기 위하여 철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아연(Zn) 등의 금속 또는 합금을 이용할 수 있고, 주로 아연(Zn)이 많이 사용된다.
상기 금속화합물의 입자 크기는 0.1 내지 10㎛일 수 있다. 금속화합물의 입자가 0.1㎛ 이상이면 금속화합물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금속화합물의 입자가 10㎛ 이하이면 금속 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메틸에틸케톤(MEK), 톨루엔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메틸에틸케톤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아민 화합물은 변성 지방족 아민 또는 제3급 아민류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트리메틸아민 또는 아닐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민 화합물은 코팅 조성물 내 포함되어, 코팅막의 균열 또는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코팅층의 접착력을 높여, 사용에 따른 코팅막의 균열 또는 박리를 방지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기타 첨가제로 안정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안정화제는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 조성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유기 용매, 금속 화합물 및 아민 화합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유기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40 내지 60 중량부, 금속 화합물 20 내지 40 중량부 및 아민 화합물 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구성 성분의 상호 작용에 의한 발수 효과가 임계적 의의가 있는 정도의 상승효과가 발현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승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거의 없게 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팅 조성물의 점도는 1500 내지 1800cP이며, 상기 점도가 1500cP 미만인 경우에는 렌즈 표면에 도포하면, 흘러내려 코팅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1800cP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제조예 1: 코팅층의 제조]
1. 코팅 조성물의 제조
메틸에틸케톤에 상술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아연 및 트리메틸아민를 혼합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1에서,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상기 코팅 조성물의 보다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TX1 TX2 TX3 TX4 TX5
유기용매 100 100 100 100 100
폴리실록산 30 40 50 60 70
금속 화합물 10 20 30 40 50
아민 화합물 1 5 10 15 20
(단위: 중량부)
2. 코팅층의 제조
대표적으로 부식이 쉽게 일어나는 금속 소재인 알루미늄을 가드부(100), 회전부(200) 및 패널부(300) 대신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10Х10cm의 알루미늄 일면에 상기 DX1 내지 DX5의 코팅 조성물을 도포 후, 경화시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실험예
1. 표면 외관에 대한 평가
코팅 조성물의 점도 차이로 인해, 코팅층을 제조한 이후, 균일한 표면이 형성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균일한 코팅층을 형성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고, 하기와 같은 기준에 의해 평가를 진행하였다.
○: 균일한 코팅층 형성
×: 불균일한 코팅층의 형성
TX1 TX2 TX3 TX4 TX5
관능 평가 × ×
코팅층을 형성할 때, 일정 점도 미만인 경우에는 가드부(100)의 표면에서 흐름이 발생하여, 경화 공정 이후,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어려운 경우가 다수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생산 수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점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도, 조성물의 균일 도포가 어려워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불가하였다.
2. 부식 특성의 측정
부식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대조군으로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알루미늄 판을 사용하고, TX1 내지 TX5의 코팅층이 형성된 알루미늄 판을 이용하여 내부식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10 중량%의 CuCl2 수용액이 담긴 비커에 상기 알루미늄 판을 담궈놓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부식 정도를 확인하였다.
수소 기체의 발생이 육안으로 확인되는 경우, 부식이 발생함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며, 24시간 경과 시까지 부식 발생 여부를 확인하였다.
○: 부식 발생
×: 부식 발생하지 않음
TX1 TX2 TX3 TX4 TX5 대조군
부식 발생 × × × ×
상기 실험의 진행 결과, 대조군인 알루미늄판은 비커에 담고 얼마 지나지 않아 수소 기체가 발생하고, 1시간 미만으로 구리가 석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TX1의 경우 3시간 경과 시점에서 수소 기체가 발생하고, 6시간 경과 시점에 구리 석출이 확인되었다.
그 외의 코팅층의 경우에는 24시간 경과 시점에도 부식이 발생하지 않아, 부식 방지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20: 무인수상정
100: 가드부
110: 연결부
200: 회전부
300: 패널부
400: 와이어부

Claims (13)

  1.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되, 길이 방향으로 연장 가능한 한 쌍의 가드부;
    상기 한 쌍의 가드부를 잇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한 쌍의 회전부;
    상기 한 쌍의 회전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회전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패널부; 및
    상기 한 쌍의 가드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무인수상정을 회수하는 모선에 결합되는 와이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회전부는, 상기 무인수상정의 진입 또는 진출에 용이하도록 상기 한 쌍의 가드부의 하방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드부 및 상기 한 쌍의 회전부는 수상에서 부유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패널부는,
    상기 한 쌍의 회전부에 각각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 패널부 및 제2 패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널부 및 상기 제2 패널부는 동일한 형상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패널부는,
    상기 무인수상정의 선두가 상기 한 쌍의 가드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패널부와 결합된 제1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패널부가 회전하며, 상기 제1 회전부를 기준으로 길이 방향으로 반대편에 위치되도록 회전하고,
    상기 무인수상정이 상기 한 쌍의 가드부에 일정 부분 진입되는 경우 상기 제2 패널부와 결합된 제2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 패널부가 회전하며, 상기 제2 회전부를 기준으로 길이 방향으로 반대편에 위치되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부 및 상기 제2 패널부는,
    상기 무인수상정이 상기 한 쌍의 가드부 내로 진입되는 경우, 회전 방향이 서로 상이하게 각각 180도 회전하며,
    상기 제1 패널부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 패널부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패널부는,
    물이 관통하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한 쌍의 패널부가 회전 시 물에 의해 형성되는 저항을 최소화하여 회전하는 속도를 유지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패널부는,
    상기 무인수상정이 상기 한 쌍의 가드부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가드부와 소정의 경사를 지니도록 위치하여 상기 무인수상정의 전후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제1 패널부가 시계 방향으로 180도 내지 270도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회전하고, 상기 제2 패널부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180도 내지 270도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회전하여 상기 소정의 경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부 및 상기 제2 패널부는 마주보는 단부가 라운드 형태로 구현되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벤딩되어 고리 형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드부, 상기 한 쌍의 회전부 및 상기 한 쌍의 패널부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코팅 조성물은 실록산계 화합물, 유기 용매, 금속 화합물 및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실록산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화학식 1]
    Figure 112021068906118-pat00011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11. 수면 내에서 운용되는 무인수상정을 진회수하는 모선; 및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되, 길이 방향으로 연장 가능한 한 쌍의 가드부; 상기 한 쌍의 가드부를 잇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한 쌍의 회전부; 상기 한 쌍의 회전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회전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패널부; 및 상기 한 쌍의 가드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무인수상정을 회수하는 모선에 결합되는 와이어부를 포함하는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회전부는, 상기 무인수상정의 진입 또는 진출에 용이하도록 상기 한 쌍의 가드부의 하방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수상정 회수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패널부는,
    상기 한 쌍의 회전부에 각각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 패널부 및 제2 패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널부 및 상기 제2 패널부가 동일한 형상으로 구현되며,
    상기 무인수상정의 선두가 상기 한 쌍의 가드부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패널부와 결합된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제1 패널부와 결합된 회전부를 기준으로 길이 방향으로 반대편에 위치되도록 회전하고,
    상기 무인수상정이 상기 한 쌍의 가드부에 일정 부분 진입되는 경우 상기 제2 패널부와 결합된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제2 패널부와 결합된 회전부를 기준으로 길이 방향으로 반대편에 위치되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수상정 회수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패널부는,
    물이 관통하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널부 및 상기 제2 패널부가 서로 마주보는 단부가 라운드 형태로 구현되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벤딩되어 고리 형태를 형성하여 상기 한 쌍의 패널부가 회전 시 물에 의해 형성되는 저항을 최소화하여 회전하는 속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수상정 회수 시스템.
KR1020210024751A 2021-02-24 2021-02-24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수상정 회수 시스템 KR102282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751A KR102282440B1 (ko) 2021-02-24 2021-02-24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수상정 회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751A KR102282440B1 (ko) 2021-02-24 2021-02-24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수상정 회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2440B1 true KR102282440B1 (ko) 2021-07-27

Family

ID=77125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751A KR102282440B1 (ko) 2021-02-24 2021-02-24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수상정 회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244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709B1 (ko) * 2014-08-18 2016-10-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KR20160139902A (ko) * 2015-05-29 2016-12-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에 부착된 다층형 필름
JP2018118545A (ja) * 2017-01-23 2018-08-02 カヤバ システム マシナリー株式会社 揚収装置
KR101965846B1 (ko) 2018-10-01 2019-04-0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무인 잠수정 회수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34174B1 (ko) * 2019-02-27 2019-11-08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수중 운동체 진수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709B1 (ko) * 2014-08-18 2016-10-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KR20160139902A (ko) * 2015-05-29 2016-12-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에 부착된 다층형 필름
JP2018118545A (ja) * 2017-01-23 2018-08-02 カヤバ システム マシナリー株式会社 揚収装置
KR101965846B1 (ko) 2018-10-01 2019-04-0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무인 잠수정 회수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34174B1 (ko) * 2019-02-27 2019-11-08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수중 운동체 진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6254B1 (en) Unmanned vehicle launch and recovery system
KR102398693B1 (ko) 무인잠수정 회수용 케이지
US7278364B2 (en) Reconfigurable attack and reconnaissance vessel I
KR102282440B1 (ko)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수상정 회수 시스템
US9199699B1 (en) Hull-mount launch and recovery of watercraft
US20080110326A1 (en) Auxiliary aiming device
KR102282439B1 (ko)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수상정 회수 시스템
KR102246112B1 (ko) 이동 제한성능이 향상된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수상정 회수 시스템
EP2855258B1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for inverting a submersible craft
KR102342960B1 (ko) 모선과 무인수상정 결합 장치
KR102398691B1 (ko) 모선과 무인수상정 결합 장치
KR101004616B1 (ko) 구명정 데비트
KR102342959B1 (ko) 모선과 무인수상정 결합 장치
US20120134657A1 (en) Floating periscope in particular for an underwater vehicle
KR102039557B1 (ko) 침수방지부가 구비된 선박
KR102398692B1 (ko) 수중탐사정 케이지
US10486776B2 (en) Amphibious deployment system and method
JP2005125985A (ja) ステルス船
KR20220048390A (ko) 연료 공급 장치
KR200484386Y1 (ko) 잠수함용 구명부이 장치
RU2353886C1 (ru) Корабельная пусковая система для оружия типа торпеды
RU2201377C2 (ru) Тяжелый подводный крейсер-"касатка"
US11541967B2 (en) Maritime automated alignment and connection system
US10364008B2 (en) Watercraft immobilizing apparatus and system
Heitman Crisis response capability: a role for South Afric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