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2439B1 -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수상정 회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수상정 회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2439B1
KR102282439B1 KR1020210024749A KR20210024749A KR102282439B1 KR 102282439 B1 KR102282439 B1 KR 102282439B1 KR 1020210024749 A KR1020210024749 A KR 1020210024749A KR 20210024749 A KR20210024749 A KR 20210024749A KR 102282439 B1 KR102282439 B1 KR 102282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inlet
guard
unmanned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관
진택성
오경원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4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4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floating carg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K5/541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t least one Si—O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8Anti-corrosive pa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되, 길이 방향으로 연장 가능한 한 쌍의 가드부 및 한 쌍의 가드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유입부를 포함하고, 한 쌍의 유입부는 틸팅 가능하도록 구현되며, 상호 반대 방향으로 틸팅되어 무인수상정이 한 쌍의 가드부 사이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를 제시한다.

Description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수상정 회수 시스템{CAGE FOR RECOVERY OF UNMANNED WATERCRAFT AND SYSTEM FOR RECOVERY OF UNMANNED WATERCRAFT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수상정 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무인수상정 회수 시 이동 반경을 제한하는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선박의 무인화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대잠전, 기뢰 대함전, 감시, 정찰, 해양 정보 조사, 정보 작전 등 다양한 군사 작전에 활용될 수 있으며, 해양조사, 해양정찰감시, 해양사고 대응 및 다양한 작업 분야를 수행하기 위해 무인수상정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종래에는 무인수상정을 해양에서 운용할 시, 무인수상정을 모선에 탑재하고 다니면서 필요할 때, 무인수상정을 진수하여 작업을 수행하고, 작업 종료 후 무인수상정을 모선에 다시 회수하는 LARS(Launch & Recovery System)라 불리는 진회수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대빗(Davit) 방식과 선미 경사로(Stern Ramp)를 이용한 방식이 가장 보편적으로 이루어지며, 2천톤급 이상 함정은 Mission Bay 방식까지 고려하기도 한다.
전술한 방법은 무인수상정을 건조 후 모선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모선에서 해양으로 이동시키는 시간 또한 줄일 수 있다.
무인수상정의 진회수 작업에 있어서, 진수보다는 회수에 어려움을 겪는 것이 일반적이다. 무인수상정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회수과정에서 무인수상정의 이동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무인수상정의 이동이 자유롭게 된다면, 회수과정에서 무인수상정의 흔들림으로 인해 무인수상정의 파손, 회수 인력의 부상 등 여러 문제가 발생되며, 작업 환경의 특성 상 파고가 높거나, 풍속이 강하기 때문에 위와 같은 문제들이 다수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Davit 방식을 통한 무인수상정의 회수 과정을 도식화한 것이다. 모선(1)에는 크레인(2)이 형성되어 있고, 크레인(2)은 메인 와이어(4)를 통해 무인수상정(3)과 연결된다. 또한, 모선(1)의 전방에는 무인수상정(3)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기 위해 무인수상정(3)의 선두와 모선(1)을 잇는 보조 와이어(5)가 형성된다. 종래의 무인수상정 회수는 무인수상정(3)의 선두를 고정하여 회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지만, 와이어 결합의 한계로 인해 근본적으로 무인수상정(3)의 이동을 제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순간적으로 무인수상정(3)이 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무인수상정(3)이 뒤집어 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무인수상정의 이동 반경을 제한할 수 있는 발명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0-1965846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인수상정 회수 시 이동 반경을 제한하여 케이지로 인해 회수 안정성 및 회수 효율을 증대시키는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를 구현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되, 길이 방향으로 연장 가능한 한 쌍의 가드부; 및 상기 한 쌍의 가드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유입부는 틸팅 가능하도록 구현되며, 상호 반대 방향으로 틸팅되어 무인수상정이 상기 한 쌍의 가드부 사이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를 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가드부와 상기 한 쌍의 유입부를 각각 잇는 한 쌍의 힌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유입부는 상기 한 쌍의 힌지부를 중심으로 틸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가드부 및 상기 한 쌍의 유입부는 수상에서 부유 가능하도록 구현되며. 상기 한 쌍의 유입부는 길이가 연장 가능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한 쌍의 가드부로부터 멀어질수록 길이 방향의 간격이 증대되어 상기 한 쌍의 가드부와 연결되는 지점으로 갈수록 상기 길이 방향의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유입부는, 상기 한 쌍의 가드부와 한 쌍의 힌지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틸팅 동작을 수행하는 복수의 유입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유입판은 하면이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선상이 배치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유입판은, 상기 힌지부와 연결되는 제1 유입판의 내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길이가 연장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2 유입판이 삽입되고,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유입판이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유입부는, 상기 무인수상정이 유입 시 상기 힌지부와 연결되는 제1 유입판에 의해 상기 한 쌍의 가드부와 연결되는 지점으로 갈수록 상기 길이 방향의 폭이 좁아지도록 틸팅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유입판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길이가 연장되며, 상기 무인수상정이 상기 한 쌍의 가드부 내로 진입 시 상기 제1 유입판에 의해 상기 가드부와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유입판이 상기 제1 유입판 내로 삽입되도록 슬라이딩 방식으로 길이가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가드부를 잇는 복수의 프레임부; 및 상기 복수의 프레임부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무인수상정을 회수하는 모선에 연결되는 와이어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부는, 상기 한 쌍의 가드부를 잇는 제1 프레임부; 상기 제1 프레임부와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상기 한 쌍의 가드부를 잇는 제2 프레임부; 및 상기 제1 프레임부 및 상기 제2 프레임부를 잇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3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부는 상기 일단이 상기 제3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가드부 및 상기 한 쌍의 유입부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코팅 조성물은 실록산계 화합물, 유기 용매, 금속 화합물 및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록산계 화합물은, 후술하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수면 내에서 운용되는 무인수상정을 진회수하는 모선; 및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되, 길이 방향으로 연장 가능한 한 쌍의 가드부 및 상기 한 쌍의 가드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유입부를 포함하는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유입부는 틸팅 가능하도록 구현되며, 상호 반대 방향으로 틸팅되어 상기 무인수상정이 상기 한 쌍의 가드부 사이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수상정 회수 시스템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는, 상기 한 쌍의 가드부와 상기 한 쌍의 유입부를 각각 잇는 한 쌍의 힌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가드부와 한 쌍의 힌지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틸팅 동작을 수행하는 복수의 유입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유입판은 하면이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선상이 배치되도록 구현되고, 상기 힌지부와 연결되는 제1 유입판의 내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길이가 연장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2 유입판이 삽입되고,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유입판이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는, 상기 한 쌍의 가드부를 잇는 복수의 프레임부; 및 상기 복수의 프레임부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무인수상정을 회수하는 모선에 연결되는 와이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프레임부는, 상기 한 쌍의 가드부를 잇는 제1 프레임부; 상기 제1 프레임부와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상기 한 쌍의 가드부를 잇는 제2 프레임부; 및 상기 제1 프레임부 및 상기 제2 프레임부를 잇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3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부는 상기 일단이 상기 제3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무인수상정 회수 작업의 안정성 향상, 회수 시간의 단축 등으로 인한 회수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 환경에 따라 작업자가 적절한 유입부의 길이를 선택하여 작업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Davit 방식을 통한 무인수상정의 회수 과정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입부에 무인수상정이 유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입부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입부의 측면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및 무인수상정 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10)는 무인수상정(20) 회수 시 이동 반경을 제한하는 케이지로서, 회수 안정성 및 회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에 관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의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10)는 가드부(100), 유입부(200), 프레임부(300) 및 와이어부(400)를 포함한다.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10)는 도 2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길이 방향'이라 함은 도 2를 기준으로 가로 방향이고, '폭 방향'이라 함은 도 2를 기준으로 세로 방향이다. '수직 방향'이라 함은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이 이루는 면과 수직되는 방향이다. 이하에서는 지정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가드부(100)는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되, 길이 방향으로 연장 가능한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드부(10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가드부(100)는 일 예로 직육면체 형상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드부(100)는 수상에서 부유하며, 최초에는 모선 내에 위치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10)는 회수 작업 전에는 모선 내에 위치되어 있다가, 크레인 등으로 인해 회수 과정에서 수상에서 부유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드부(100)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다. 수상에 부유 시 균형성 향상을 위해 한 쌍의 가드부(100)는 동일한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폭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가드부(100) 사이의 공간에 무인수상정(20)이 유입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폭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가드부(100) 사이의 공간은 무인수상정(20)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으며, 무인수상정(20)이 진회수 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가드부(100)는 수상에 부유하는 무인수상정(20)이 한 쌍의 가드부(100) 내로 유입되는 경우 무인수상정(20)의 이동 반경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무인수상정(20)의 회수 안정성이 향상되며, 회수 시간이 단축되어 회수 효율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유입부(200)는 가드부(100)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입부(200)는 가드부(100)에 연결되어 결합된다. 유입부(200)는 도 2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 직육면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입부(200)는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한 쌍의 가드부(100)에 각각 연결되어 결합된다. 또한, 유입부(200)는 가드부(100)와 마찬가지로 수상에 부유할 수 있다.
유입부(200)는 틸팅 가능하도록 구현되며, 상호 반대 방향으로 틸팅되어 무인수상정(20)이 한 쌍의 가드부(100) 사이로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틸팅은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나타낸다.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10)는 가드부(100)와 유입부(200)를 각각 잇는 한 쌍의 힌지부(H)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입부(200)는 힌지부(H)를 중심으로 틸팅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드부(100)와 유입부(200)는 힌지부(H)를 통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유입부(200)는 가드부(100)를 중심으로 틸팅이 가능하다. 또한, 틸팅되는 한 쌍의 유입부(200)는 가드부(100)를 기준으로 틸팅 시(가드부(100)와 평행하지 않을 때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한 쌍의 유입부(200) 간의 길이 방향의 간격은 한 쌍의 가드부(100)로부터 멀어질수록 증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무인수상정(20)의 회수 과정에서 유입부(200)가 틸팅되면, 유입부(200)가 최초 시작되는 지점에서 가드부(100)가 시작되는 지점으로 갈수록 길이 방향의 폭이 좁아지는 형상이 구현된다. 미도시 되었지만, 이러한 틸팅 동작은 전자적 제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공지된 제어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유입부(200)가 최초 시작되는 지점은 무인수상정(20) 회수 시 유입부(200)와 최초로 만나는 지점으로 가드부(100)와 결합된 반대 끝단을 나타낼 수 있다.
유입부(200)는 틸팅 가능하도록 구현되며, 상호 반대 방향으로 틸팅되어 무인수상정(20)이 한 쌍의 가드부(100) 사이로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틸팅은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나타낸다.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10)는 가드부(100)와 유입부(200)를 각각 잇는 한 쌍의 힌지부(H)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입부(200)는 힌지부(H)를 중심으로 틸팅 가능할 수 있다.
유입부(200)는 길이가 연장 가능하도록 구현되고, 한 쌍의 가드부(100)로부터 멀어질수록 길이 방향의 간격이 증대되어 한 쌍의 가드부(100)와 연결되는 지점으로 갈수록 길이 방향의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유입부(200)는 한 쌍의 가드부(100)와 한 쌍의 힌지부(H)에 의해 연결되어 한 쌍의 힌지부(H)를 중심으로 틸팅 동작을 수행하는 복수의 유입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유입판은 하면이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선상이 배치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유입판은 힌지부(H)와 연결되는 제1 유입판의 내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길이가 연장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2 유입판이 삽입되고,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2 유입판이 신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3을 참조하면, 제1 유입판은 가드부(100)와 힌지부(H)에 의해 연결되는 부분(210)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유입판은 상술한 제1 유입판(21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길이가 연장 가능한 부분(220, 230)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2 유입판은 제2 유입판(220) 및 제3 유입판(230)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입부(200)는 무인수상정(20)이 유입 시 힌지부(H)와 연결되는 제1 유입판(210)에 의해 한 쌍의 가드부(100)와 연결되는 지점으로 갈수록 길이 방향의 폭이 좁아지도록 틸팅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유입판(220, 230)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유입부(200)는 무인수상정(20)이 한 쌍의 가드부(100) 내로 진입 시 제1 유입판(210)에 의해 가드부(100)와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선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유입판(220, 230)이 제1 유입판(210) 내로 삽입되도록 슬라이딩 방식으로 길이가 축소될 수 있다.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10)는 수상에 부유하는 무인수상정(20)을 한 쌍의 가드부(100) 내로 유입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유입부(200)의 형상으로 인해, 한 쌍의 가드부(100) 내로 무인수상정(20)을 유도하는 유로 역할을 유입부(200)가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유입부(200)가 소위 '깔때기' 형상으로 인해, 이동 목적지로 갈수록 폭 방향의 간격이 좁아져 무인수상정(20)이 가드부(100) 내로 유입될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 이로 인해, 무인수상정(20)의 회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작업 효율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가드부(100) 및 유입부(200)는 수상에서 부유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가드부(100) 및 유입부(200)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코팅 조성물은 실록산계 화합물, 유기 용매, 금속 화합물 및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실록산계 화합물은 머캅토기를 치환기로 포함할 수 있다.
유기 용매는 메틸에틸케톤(MEK), 톨루엔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금속 화합물의 입자 크기는 0.1 내지 10㎛로 구현될 수 있다.
아민 화합물은 변성 지방족 아민 또는 제3급 아민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300)는 한 쌍의 가드부(100)를 잇도록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부(300)는 제1 프레임부(310), 제2 프레임부(320) 및 제3 프레임부(330)를 포함한다. 프레임부(300)는 도 2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부(310)는 한 쌍의 가드부(100)를 이을 수 있다.
제2 프레임부(320)는 제1 프레임부(310)와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한 쌍의 가드부(100)를 이을 수 있다.
제3 프레임부(330)는 제1 프레임부(310) 및 제2 프레임부(320)를 잇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프레임부(310) 및 제2 프레임부(320)는 한 쌍의 가드부(100)를 잇는다. 제1 프레임부(310) 및 제2 프레임부(320)는 가드부(100) 및 유입부(200)의 자세 안정성을 위해 'ㄷ'자 형상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프레임부(310)와 제2 프레임부(320)는 동일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프레임부(310) 및 제2 프레임부(320)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3 프레임부(330)는 제1 프레임부(310) 및 제2 프레임부(320)를 잇는다. 또한,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프레임부(330)는 제1 프레임부(310)와 제2 프레임부(320)의 폭 방향의 중심에서 제1 프레임부(310) 및 제2 프레임부(32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10)의 자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와이어부(400)는 프레임부(300)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무인수상정(20)을 회수하는 모선(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모선은 수면 내에서 운용되는 무인수상정(20)을 진회수하는 선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선은 무인수상정(20)을 해양에서 운용할 시, 무인수상정(20)을 탑재하고 다니면서 필요할 때, 무인수상정(20)을 진수하여 작업을 수행하고, 작업 종료 후 무인수상정(20)을 다시 회수할 수 있다.
와이어부(400)는 일단이 제3 프레임부(330)에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부(400)는 제3 프레임부(330)와 연결된다.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10)의 자세 안정성을 위해 제3 프레임부(330)의 길이 방향의 중심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부(400)의 일단은 제3 프레임부(330)와 결합되고, 타단은 미도시된 모선과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부(400)의 구성으로 인해, 모선 내의 크레인의 조절로 본 발명에 따른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10) 전체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무인수상정(20)의 회수 전 본 발명에 따른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10)를 모선 측방에 위치시킨 뒤, 무인수상정(20)을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10)의 가드부(100) 내로 유도하여 무인수상정(20)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후, 무인수상정(20)의 회수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로 인해, 회수 작업의 안정성의 향상, 회수 시간의 단축으로 인한 회수 효율성 증대 등의 효과가 발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입부에 무인수상정이 유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유입부(200)가 연장 가능한 형태라면, 무인수상정(20)이 가드부(100) 내부로의 유입을 유도하는 유로의 길이를 확대하여 유입 가능성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입부(200)의 폭 방향의 간격은 도면부호 'd1'이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입부(200)의 폭 방향의 간격은 도면부호 'd2'이다.
구체적으로, d1은 유입부(200)가 연장되지 않았을 경우의 유입부(200)의 폭 방향의 간격을 나타내며, 유입부(200)는 일정 각도 틸팅되어 있다. 또한, d2는 유입부(200)가 최대로 연장되었을 경우의 일정 각도 틸팅된 상태에서 유입부(200)의 끝단에서의 폭 방향의 간격을 나타낼 수 있으며, 최대 간격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유입부(20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작업 환경에 따라 작업자가 길이 선택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유입부(200)의 길이가 늘어날수록 수상의 저항을 받아 에너지 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작업 환경에 따라 작업자가 적절하게 유입부(200)의 길이를 선택하여 작업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입부(200)는 틸팅 각도에 따라 유입부(200)가 늘어나는 길이를 설정하여 전자적 제어에 의해 길이가 늘어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이는 작업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10)는 틸팅 각도에 따라 유입부(200)가 늘어나는 길이를 미리 설정하고, 무인수상정(20) 회수 시 유입부(200)가 틸팅 각도를 작업자가 설정하면, 설정된 틸팅 각도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유입부(200)가 늘어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유입부(200)는 틸팅이 가능하므로, 가드부(100) 내부로 무인수상정(20)이 진입하였을 때는, 전자적 제어에 의해 유입부(200)를 다시 원복하여, 가드부(100)와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선상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가드부(100)의 유입된 무인수상정(20)의 퇴로의 간격을 최소화하여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10)로부터의 이탈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드부(100) 내부로 무인수상정(20)이 진입하였을 때 폭 간격이 d2보다 d1이 더 크도록 유입부(200)를 틸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인수상정(20)이 가드부(100)의 외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통로를 막을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유입부(200)는 가드부(100)와 연결되는 힌지부(H)가 마주보는 외끝단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힌지부(H)는 유입부(200)와 가드부(100)를 연결하는 중심에 구비되어 유입부(200)가 바깥쪽으로 틸팅될뿐만 아니라 안쪽으로 틸팅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유입부(200)와 가드부(100)를 연결하는 위치에 따라 틸팅 범위, 틸팅되는 위치 등이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입부(200)는 가드부(100)와 연결되는 반대 끝단에 무인수상정(20)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입부(200)는 센서를 통해 무인수상정(20)의 위치를 판단하여 무인수상정(20)이 가드부(100) 내로 진입하는 경우, 늘어나는 길이 및 틸팅 각도와 이를 조절하는 속도를 무인수상정(20)과의 거리 및 무인수상정(20)의 속도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입부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입부(200)는 3단으로 구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입부(200)는 복수의 유입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유입판(210), 제2 유입판(220) 및 제3 유입판(230)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유입판(220) 및 제3 유입판(230)는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며, 각각 제1 유입판(210) 및 제2 유입판(220) 내부로 삽입 가능한 형태이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제1 유입판(210)의 내부에 제2 유입판(220) 및 제3 유입판(230)이 삽입되고, 제2 유입판(220)의 내부에 제3 유입판(230)이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전자적 제어로 인해 유입부(200)의 연장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는 제2 유입판(220) 및 제3 유입판(230)이 미도시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하며, 도 4와 같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입부(200)의 길이를 증대시키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입부의 측면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입부(20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 되어 유입부(200) 전체의 길이 방향으로의 조절이 가능하다.
이때, 유입부(200)는 제1 유입판(210), 제2 유입판(220) 및 제3 유입판(230)의 하면이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선상에 배치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유입판(210)은 높이가 h1, 제2 유입판(220)은 높이가 h2, 제3 유입판(230)은 높이가 h3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h1은 h2와 h3 보다 더 높게 구현될 수 있으며, h2는 h3 보다 더 높게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유입판(210)의 내부에 제2 유입판(220) 및 제3 유입판(230)이 삽입되어 구비되어 연장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2 유입판(220) 및 제3 유입판(230)이 각각 슬라이딩되어 제1 유입판(210)의 내측을 따라 도 5와 같이 연장될 수 있다.
유입부(200)는 수상에 부유되고 있으므로 유입부(200)와 수상과의 저항을 최소로 하여야 유입부(200)의 흔들림을 최소로 할 수 있다. 이 때, 제1 유입판(210), 제2 유입판(220) 및 제3 유입판(230)의 하면이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선상에 배치되므로, 수상과 맞닿는 유입부(200)의 하면이 플랫하여 수상과의 저항을 최소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작업 안정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드부(100) 및 유입부(200)에는 부식 방지용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미도시)은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되는 것으로, 상기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코팅층은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층에 의해 가드부(100) 및 유입부(200)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가드부(100) 및 유입부(200)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고, 가드부(100) 및 유입부(200)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을 포함하고 있어, 가드부(100) 및 유입부(20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유기 용매, 금속 화합물 및 아민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21022342718-pat00001
화학식 1에서,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가드부(100) 및 유입부(200)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 가드부(100) 및 유입부(200)와의 접착력이 우수하여, 외력에 의해 쉽게 코팅층이 벗겨지지 않고, 가드부(100) 및 유입부(200)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 화합물을 포함함에 따라, 우수한 부식 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록산계 화합물은 머캅토기를 치환기로 포함하고 있어, 가드부(100) 및 유입부(200)와의 우수한 접착력을 나타낼 뿐 아니라, 코팅 조성물의 점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여 성형성을 높이고,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금속 화합물은 수분, 염분 또는 산소와 접하는 것을 차단하는 침식 및 부식억제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금속 화합물은 침식 및 부식 억제제의 역할을 하기 위하여 철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아연(Zn) 등의 금속 또는 합금을 이용할 수 있고, 주로 아연(Zn)이 많이 사용된다.
상기 금속화합물의 입자 크기는 0.1 내지 10㎛일 수 있다. 금속화합물의 입자가 0.1㎛ 이상이면 금속화합물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금속화합물의 입자가 10㎛ 이하이면 금속 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메틸에틸케톤(MEK), 톨루엔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메틸에틸케톤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아민 화합물은 변성 지방족 아민 또는 제3급 아민류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트리메틸아민 또는 아닐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민 화합물은 코팅 조성물 내 포함되어, 코팅막의 균열 또는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코팅층의 접착력을 높여, 사용에 따른 코팅막의 균열 또는 박리를 방지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기타 첨가제로 안정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안정화제는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 조성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유기 용매, 금속 화합물 및 아민 화합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유기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40 내지 60 중량부, 금속 화합물 20 내지 40 중량부 및 아민 화합물 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구성 성분의 상호 작용에 의한 발수 효과가 임계적 의의가 있는 정도의 상승효과가 발현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승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거의 없게 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팅 조성물의 점도는 1500 내지 1800cP이며, 상기 점도가 1500cP 미만인 경우에는 렌즈 표면에 도포하면, 흘러내려 코팅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1800cP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제조예 1: 코팅층의 제조]
1. 코팅 조성물의 제조
메틸에틸케톤에 상술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아연 및 트리메틸아민를 혼합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1에서,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상기 코팅 조성물의 보다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TX1 TX2 TX3 TX4 TX5
유기용매 100 100 100 100 100
폴리실록산 30 40 50 60 70
금속 화합물 10 20 30 40 50
아민 화합물 1 5 10 15 20
(단위: 중량부)
2. 코팅층의 제조
대표적으로 부식이 쉽게 일어나는 금속 소재인 알루미늄을 가드부(100) 및 유입부(200) 대신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10Х10cm의 알루미늄 일면에 상기 DX1 내지 DX5의 코팅 조성물을 도포 후, 경화시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실험예
1. 표면 외관에 대한 평가
코팅 조성물의 점도 차이로 인해, 코팅층을 제조한 이후, 균일한 표면이 형성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균일한 코팅층을 형성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고, 하기와 같은 기준에 의해 평가를 진행하였다.
○: 균일한 코팅층 형성
×: 불균일한 코팅층의 형성
TX1 TX2 TX3 TX4 TX5
관능 평가 × ×
코팅층을 형성할 때, 일정 점도 미만인 경우에는 가드부(100)의 표면에서 흐름이 발생하여, 경화 공정 이후,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어려운 경우가 다수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생산 수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점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도, 조성물의 균일 도포가 어려워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불가하였다.
2. 부식 특성의 측정
부식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대조군으로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알루미늄 판을 사용하고, TX1 내지 TX5의 코팅층이 형성된 알루미늄 판을 이용하여 내부식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10 중량%의 CuCl2 수용액이 담긴 비커에 상기 알루미늄 판을 담궈놓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부식 정도를 확인하였다.
수소 기체의 발생이 육안으로 확인되는 경우, 부식이 발생함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며, 24시간 경과 시까지 부식 발생 여부를 확인하였다.
○: 부식 발생
×: 부식 발생하지 않음
TX1 TX2 TX3 TX4 TX5 대조군
부식 발생 × × × ×
상기 실험의 진행 결과, 대조군인 알루미늄판은 비커에 담고 얼마 지나지 않아 수소 기체가 발생하고, 1시간 미만으로 구리가 석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TX1의 경우 3시간 경과 시점에서 수소 기체가 발생하고, 6시간 경과 시점에 구리 석출이 확인되었다.
그 외의 코팅층의 경우에는 24시간 경과 시점에도 부식이 발생하지 않아, 부식 방지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20: 무인수상정
100: 가드부
200: 유입부
300: 복수의 프레임부
310: 제1 프레임부
320: 제2 프레임부
330: 제3 프레임부
400: 와이어부

Claims (13)

  1.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되, 길이 방향으로 연장 가능한 한 쌍의 가드부; 및
    상기 한 쌍의 가드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유입부는 틸팅 가능하도록 구현되며, 상호 반대 방향으로 틸팅되어 무인수상정이 상기 한 쌍의 가드부 사이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며,
    상기 한 쌍의 가드부 및 상기 한 쌍의 유입부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층이 형성되고,
    상기 코팅 조성물은 실록산계 화합물, 유기 용매, 금속 화합물 및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실록산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화학식 1]
    Figure 112021068899366-pat00008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드부 및 상기 한 쌍의 유입부는 수상에서 부유 가능하도록 구현되며,
    상기 한 쌍의 유입부는 길이가 연장 가능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한 쌍의 가드부로부터 멀어질수록 길이 방향의 간격이 증대되어 상기 한 쌍의 가드부와 연결되는 지점으로 갈수록 상기 길이 방향의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드부와 상기 한 쌍의 유입부를 각각 잇는 한 쌍의 힌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유입부는 상기 한 쌍의 힌지부를 중심으로 틸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유입부는,
    상기 한 쌍의 가드부와 상기 한 쌍의 힌지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힌지부를 중심으로 틸팅 동작을 수행하는 복수의 유입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유입판은 하면이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선상이 배치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입판은,
    상기 힌지부와 연결되는 제1 유입판의 내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길이가 연장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2 유입판이 삽입되고,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유입판이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유입부는,
    상기 무인수상정이 유입 시 상기 힌지부와 연결되는 제1 유입판에 의해 상기 한 쌍의 가드부와 연결되는 지점으로 갈수록 상기 길이 방향의 폭이 좁아지도록 틸팅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유입판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길이가 연장되며,
    상기 무인수상정이 상기 한 쌍의 가드부 내로 진입 시 상기 제1 유입판에 의해 상기 가드부와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유입판이 상기 제1 유입판 내로 삽입되도록 슬라이딩 방식으로 길이가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드부를 잇는 복수의 프레임부; 및
    상기 복수의 프레임부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무인수상정을 회수하는 모선에 연결되는 와이어부를 더 포함하는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레임부는,
    상기 한 쌍의 가드부를 잇는 제1 프레임부;
    상기 제1 프레임부와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상기 한 쌍의 가드부를 잇는 제2 프레임부; 및
    상기 제1 프레임부 및 상기 제2 프레임부를 잇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3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부는 상기 일단이 상기 제3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9. 삭제
  10. 삭제
  11. 수면 내에서 운용되는 무인수상정을 진회수하는 모선; 및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되, 길이 방향으로 연장 가능한 한 쌍의 가드부 및 상기 한 쌍의 가드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유입부를 포함하는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유입부는 틸팅 가능하도록 구현되며, 상호 반대 방향으로 틸팅되어 상기 무인수상정이 상기 한 쌍의 가드부 사이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며,
    상기 한 쌍의 가드부 및 상기 한 쌍의 유입부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층이 형성되고,
    상기 코팅 조성물은 실록산계 화합물, 유기 용매, 금속 화합물 및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실록산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수상정 회수 시스템.
    [화학식 1]
    Figure 112021068899366-pat00009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는,
    상기 한 쌍의 가드부와 상기 한 쌍의 유입부를 각각 잇는 한 쌍의 힌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가드부와 상기 한 쌍의 힌지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힌지부를 중심으로 틸팅 동작을 수행하는 복수의 유입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유입판은 하면이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선상이 배치되도록 구현되고, 상기 힌지부와 연결되는 제1 유입판의 내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길이가 연장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2 유입판이 삽입되고,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유입판이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수상정 회수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는,
    상기 한 쌍의 가드부를 잇는 복수의 프레임부; 및
    상기 복수의 프레임부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무인수상정을 회수하는 모선에 연결되는 와이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프레임부는,
    상기 한 쌍의 가드부를 잇는 제1 프레임부;
    상기 제1 프레임부와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상기 한 쌍의 가드부를 잇는 제2 프레임부; 및
    상기 제1 프레임부 및 상기 제2 프레임부를 잇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3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부는 상기 일단이 상기 제3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수상정 회수 시스템.
KR1020210024749A 2021-02-24 2021-02-24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수상정 회수 시스템 KR102282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749A KR102282439B1 (ko) 2021-02-24 2021-02-24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수상정 회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749A KR102282439B1 (ko) 2021-02-24 2021-02-24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수상정 회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2439B1 true KR102282439B1 (ko) 2021-07-27

Family

ID=77125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749A KR102282439B1 (ko) 2021-02-24 2021-02-24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수상정 회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243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566A (ko) * 1996-04-22 2000-02-15 얀 그뢴스트란트 보트의 진수 및 양육 장치
KR101569281B1 (ko) * 2014-06-19 2015-11-16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중 이동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수중 이동 장치를 구비한 선박, 수중 이동 로봇 및 도킹 스테이션
KR20160027317A (ko) * 2014-08-28 2016-03-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해양 구조물
KR20160139902A (ko) * 2015-05-29 2016-12-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에 부착된 다층형 필름
KR101965846B1 (ko) 2018-10-01 2019-04-0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무인 잠수정 회수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196850B1 (ko) * 2020-10-22 2020-12-30 (주)금하네이벌텍 잠수정의 진수 및 회수가 가능한 선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566A (ko) * 1996-04-22 2000-02-15 얀 그뢴스트란트 보트의 진수 및 양육 장치
KR101569281B1 (ko) * 2014-06-19 2015-11-16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중 이동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수중 이동 장치를 구비한 선박, 수중 이동 로봇 및 도킹 스테이션
KR20160027317A (ko) * 2014-08-28 2016-03-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해양 구조물
KR20160139902A (ko) * 2015-05-29 2016-12-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에 부착된 다층형 필름
KR101965846B1 (ko) 2018-10-01 2019-04-0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무인 잠수정 회수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196850B1 (ko) * 2020-10-22 2020-12-30 (주)금하네이벌텍 잠수정의 진수 및 회수가 가능한 선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6254B1 (en) Unmanned vehicle launch and recovery system
KR102398693B1 (ko) 무인잠수정 회수용 케이지
KR102282439B1 (ko)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수상정 회수 시스템
CN102079379A (zh) 多用途抗攻击航潜母舰
US9199699B1 (en) Hull-mount launch and recovery of watercraft
KR102246112B1 (ko) 이동 제한성능이 향상된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수상정 회수 시스템
KR102282440B1 (ko)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수상정 회수 시스템
US3368510A (en) Minelaying submarine
EP2855258B1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for inverting a submersible craft
KR102479706B1 (ko) 연료 공급 장치
KR102398691B1 (ko) 모선과 무인수상정 결합 장치
KR102039557B1 (ko) 침수방지부가 구비된 선박
KR102342960B1 (ko) 모선과 무인수상정 결합 장치
RU130578U1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корабль
KR200430736Y1 (ko) 육지 선박 플로팅 도크 진수장치
KR102342959B1 (ko) 모선과 무인수상정 결합 장치
KR102479707B1 (ko) 연료 공급 장치
KR102398692B1 (ko) 수중탐사정 케이지
US10486776B2 (en) Amphibious deployment system and method
RU2201377C2 (ru) Тяжелый подводный крейсер-"касатка"
US10364008B2 (en) Watercraft immobilizing apparatus and system
Konstam British Destroyers 1939–45: Pre-war classes
RU2000125577A (ru) Тяжелый авианесущий крейсер - "цунами"
Scott et al. Relieving the SSGN Fleet: Capitalizing on the Columbia SSBN to Design SSGN (X)
KR20190109792A (ko) 침수방지부가 구비된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