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8723A - 양상 작업 설비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양상 작업 설비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8723A
KR20200128723A KR1020207028636A KR20207028636A KR20200128723A KR 20200128723 A KR20200128723 A KR 20200128723A KR 1020207028636 A KR1020207028636 A KR 1020207028636A KR 20207028636 A KR20207028636 A KR 20207028636A KR 20200128723 A KR20200128723 A KR 20200128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main deck
protrusion
crane
work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8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9636B1 (ko
Inventor
게이시 에다미츠
시게키 요시다
준 오오노
마사토 가와우에
데츠야 야스다
유카 기타코지
다카노리 야마구치
히로아키 마에다
겐이치 구보
고조 이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구미
재팬 마린 유나이티드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구미, 재팬 마린 유나이티드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구미
Priority to KR1020227033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972B1/ko
Publication of KR20200128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8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03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ansporting very large loads, e.g. offshore structu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2Arrangement of bulkheads, e.g. defining cargo sp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83/00Rebuilding or retrofitting vessels, e.g. retrofitting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s
    • B63B83/20Rebuilding or retrofitting vessels, e.g. retrofitting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s for conversion to a different use, e.g. for converting tankers into a FPSO-FLNG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4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2B17/08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for raising or low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10Assembly of wind motors; Arrangements for erecting wind mo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Abstract

본 발명은, 심해역에서도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하고, 또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상 작업 설비를 제공한다. 양상 작업 설비는, 3 개의 각주 (10) 와, 각주 (10) 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 덱 (20) 과, 덱 (20) 에 탑재된 크레인 (30) 을 갖는다. 덱 (20) 은, 부체 구조체로서 구성되고, 메인 덱부 (21) 와, 메인 덱부 (21) 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제 1 돌출부 (22) 를 갖는다. 크레인 (30) 은, 제 1 돌출부 (22) 에 탑재되어 있다. 양상 작업 설비는, 굴착 설비 및 캔틸레버를 철거한 잭업식 굴착 리그에 제 1 돌출부 (22) 및 크레인 (30) 을 부가함으로써 구성된다. 제 1 돌출부 (22) 는, 캔틸레버의 지지 구조를 이용하여 메인 덱부 (22) 에 부가된다.

Description

양상 작업 설비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양상 (洋上) 풍력 발전 설비 등의 양상 설비의 건설에 사용할 수 있는 양상 작업 설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연 에너지 유효 활용의 관점에서, 양상 풍력 발전이 주목받고 있다.
양상 풍력 발전 설비의 건설에는, 자기 승강식 작업 대선 (臺船) (SEP) 과 같은 양상 작업 설비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자기 승강식 작업 대선은, 통상, 복수의 각주 (脚柱) 와, 이들 각주에 자유롭게 승강할 수 있게 지지된 덱을 갖는다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덱에는 작업용의 크레인이 탑재되고, 이 크레인을 사용하여 양상 풍력 발전 설비의 조립이 실시된다. 또, 덱은, 양상 풍력 발전 설비의 각종 부품의 하역 스페이스 등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3792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215937호
최근, 양상 풍력 발전 설비로서, 예를 들어 6 MW 이상의 대출력의 양상 풍력 발전 설비가 개발되고 있고, 그것에 수반하여, 양상 풍력 발전 설비의 사이즈 자체가 대형화됨과 함께, 착상식 (着床式) 에 더하여 부체식 (浮體式) 설비가 개발·실용화되는 흐름으로 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양상 작업 설비의 덱은, 작업용의 크레인이 탑재되고, 또 각종 부품의 하역 스페이스 등으로도 이용된다. 따라서, 대형의 양상 풍력 발전 설비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보다 대형의 덱을 갖는 양상 작업 설비가 필요해진다. 또, 부체식 풍력 설비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수심이 90 m 를 넘는 해역에서도 안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양상 작업 설비가 필요해진다.
수심이 90 m 를 넘는 해역에서의 양상 시공에는, 기존의 자기 승강식 작업 대선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없기 때문에, 통상은 대형 부체식 크레인을 사용하지만, 파도에 의한 영향을 받기 쉽고, 작업 대기 기간이 발생하는 등 작업 효율 저하가 발생하기 쉽다. 한편, 대형의 덱을 갖는 양상 작업 설비는, 항만으로부터 양상 설비의 건설 현장인 해역까지의 예항 속도의 저하를 초래한다. 예항 속도의 저하는 양상 설비의 공기 (工期) 의 장기화의 원인이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심해역에서도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하고, 또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상 작업 설비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본 발명의 양상 작업 설비는,
3 개 이상의 각주와,
부체 구조물로서 구성되고, 상기 각주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 덱과,
상기 덱에 탑재된 크레인을 갖고,
상기 덱은, 상기 각주가 배치되는 메인 덱부와, 상기 메인 덱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를 갖는 양상 작업 설비로서,
상기 양상 작업 설비는, 상기 메인 덱부 및 상기 각주를 갖는 기존의 잭업식 굴착 리그에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크레인을 부가함으로써 구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기존의 잭업식 굴착 리그에 탑재되어 있는 선상 굴착 설비를 위한 캔틸레버의 지지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 덱부에 부가되고,
상기 크레인은 상기 돌출부에 탑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양상 작업 설비의 제조 방법은,
3 개 이상의 각주, 상기 각주가 배치되고, 상기 각주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 메인 덱부, 상기 메인 덱부에 지지 구조를 개재하여 지지된 캔틸레버 및 상기 캔틸레버에 배치된 굴착 설비를 갖는 잭업식 굴착 리그를 준비하는 것,
상기 잭업식 굴착 리그로부터, 상기 캔틸레버 및 상기 굴착 설비를 철거하는 것,
상기 메인 덱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를, 상기 지지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 덱부에 부가하는 것, 및
상기 돌출부에 크레인을 탑재하는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심해역이어도 안정 또한 효율적으로 작업 가능한 양상 작업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양상 작업 설비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상기 양상 작업 설비를 단기간 또한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양상 작업 설비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양상 작업 설비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A 는, 도 2 에 나타내는 양상 작업 설비에 있어서, 덱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각주로 둘러싸이는 영역 내에 크레인을 배치한 경우의 크레인의 작업 범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는, 덱을 복층 구조로 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한 양상 작업 설비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5 는, 도 1 에 나타내는 양상 작업 설비의 이용 형태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 도 3 을 참조하면, 각주 (10) 와, 각주 (10) 에 지지된 덱 (20) 과, 덱 (20) 에 탑재된 크레인 (30) 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양상 작업 설비 (1) 가 나타나 있다. 이 양상 작업 설비 (1) 는, 예를 들어 양상 풍력 발전 설비 등의 양상 설비의 건설에 사용할 수 있다. 덱 (20) 은 부체 구조체로서 구성되어 있고, 양상 작업 설비 (1) 를 사용한 양상 설비의 건설시에, 양상 작업 설비 (1) 는, 터그보트 등의 예항용 선박에 의해 양상 설비의 건설 현장인 해역까지 예항된다.
각주 (10) 는, 이 양상 작업 설비 (1) 에 의한 양상에서의 작업 중에, 덱 (20) 을 해면보다 상방에서 지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각주 (10) 는, 하단부를 해저에 착저 (着底) 시킨 상태에서, 덱 (20) 을 해면보다 상방에서 지지할 수 있는 길이를 갖고 있다. 양상 작업 설비 (1) 는, 덱 (20) 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 3 개 이상의 각주 (10) 를 갖고 있다. 각주 (10) 의 구조는, 각주 (10) 가 상기 기능을 다할 수 있는 한 임의여도 되고, 예를 들어, 양상 작업 설비 (1) 의 일종인 자기 승강식 작업 대선 혹은 잭업식 굴착 리그에 사용되는 각주의 구조 등, 공지된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각주 (10) 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90 m 를 넘는 해역에서의 시공시에도 각주 (10) 를 착저시켜 파도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시공을 실시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각주 (10) 의 단면 형상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원형이나 다각형 등 임의의 형상이어도 된다.
덱 (20) 은, 승강 기구 (도시 생략) 에 의해 각주 (10) 에 대해 자유롭게 승강할 수 있게 지지된다. 승강 기구로는, 랙 앤드 피니언 기구 등 임의의 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양상 작업 설비 (1) 의 예항시에는, 이 승강 기구를 동작시켜, 각주 (10) 가 착저하지 않도록 각주 (10) 를 덱 (20) 에 대해 상승시킨다. 덱 (20) 은 부체 구조체로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주 (10) 를 상승시킴으로써 양상 작업 설비 (1) 가 해면 상에 떠오르고, 이 상태에서 양상 작업 설비 (1) 를 예항할 수 있다.
덱 (20) 은, 천벽 (天壁) (20a), 바닥벽 (20b) 및 외주벽 (20c) 을 갖고, 이로써 덱 (20) 은 닫힌 내부 공간이 형성된 부체 구조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덱 (20) 의 내부 공간은, 강도 부재인 적어도 1 개의 격벽 (20d) 에 의해 복수의 구획으로 나누어지고, 이로써, 덱 (20) 의 상면을 작업 스페이스 및 건설하는 양상 설비의 부품 탑재용 스페이스로서 이용하는 데에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고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덱 (20) 은, 메인 덱부 (21), 제 1 돌출부 (22) 및 제 2 돌출부 (23) 를 갖고 있다. 도시한 형태에서는, 덱 (20) 은 2 개의 제 1 돌출부 (22) 및 2 개의 제 2 돌출부 (23) 를 갖고 있지만, 제 1 돌출부 (22) 의 수 및 제 2 돌출부 (23) 의 수는 임의여도 된다. 이들 메인 덱부 (21), 제 1 돌출부 (22) 및 제 2 돌출부 (23) 중, 메인 덱부 (21) 는 상방에서 보아 가장 큰 면적을 갖는 부분이며, 각주 (10) 는, 메인 덱부 (21) 의 외연부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메인 덱부 (21) 의 상면의 대부분을, 작업 스페이스 및 건설하는 양상 설비의 부품 탑재용 스페이스로서 이용할 수 있다. 양상 설비가 양상 풍력 발전 설비인 경우, 덱 (20) 은, 예를 들어, 양상 풍력 발전 설비 1 기분의 부품을 탑재할 수 있는 스페이스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덱부 (21) 의 평면 형상은 임의여도 된다.
제 1 돌출부 (22) 는, 상측에서 보아, 이웃하는 2 개의 각주 (10) 를 잇는 변에 대해 메인 덱부 (21) 로부터 볼록상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 제 1 돌출부 (22) 의 상면은, 메인 덱부 (21) 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덱 (20) 의 상면의 작업 스페이스 및 부품 탑재용 스페이스를 실질적으로 확대할 수 있다.
제 1 돌출부 (22) 에는 크레인 (30) 이 탑재된다. 크레인 (30) 은 고정식이어도 되고, 크롤러식이어도 된다. 단, 작업은 제 1 돌출부 (22) 상에서 이동을 수반하지 않고 실시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고정식의 크레인 (30) 으로 충분하다. 또, 고정식의 크레인 (30) 은, 크롤러식의 크레인과 비교하여, 덱 (20) 상에서의 점유 면적도 적고, 덱 (20) 상에 보다 큰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유리하다.
제 1 돌출부 (22) 에 크레인 (30) 을 탑재함으로써, 크레인 (30) 은, 덱 (20) 을 지지하는 모든 각주 (10) (본 형태에서는 3 개의 각주 (10)) 로 둘러싸이는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크레인 (30) 을 제 1 돌출부 (22) 에 탑재하고, 각주 (20) 로 둘러싸이는 영역의 외측에 위치시킴으로써,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레인 (30) 의 작업 범위 θ1 (크레인 (30) 의 선회 중심 O 를 중심으로 한 회전 범위) 을, 180 °를 넘는 범위까지 확대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해,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덱부 (21) 상에 크레인 (30) 을 탑재한 경우, 통상, 각주 (10) 는 메인 덱부 (21) 의 모퉁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크레인 (30) 은, 2 개의 각주 (10) 사이에 끼워진 영역에 위치하게 된다. 그 때문에, 크레인 (30) 의 작업 범위 θ2 는 180 °미만이 된다. 크레인 (30) 의 작업 범위가 확대됨으로써, 크레인 (30) 에 의한 작업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덱 (20) 전체가 부체 구조체로서 구성되어 있으면, 제 1 돌출부 (22) 자신은 부체 구조체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부체 구조체로서 구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제 1 돌출부 (22) 가 부체 구조체로서 구성되는 경우, 제 1 돌출부 (22) 는, 메인 덱 (21) 과 동일하게, 제 1 돌출부 (22) 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천벽, 바닥벽 및 외주벽을 가질 수 있다. 제 1 돌출부 (22) 는, 필요에 따라 추가로 격벽을 갖고 있어도 된다.
제 2 돌출부 (22) 는, 제 1 돌출부 (22) 와는 상이한 위치에서, 메인 덱부 (21) 의 폭원 (幅員) 을 넘지 않는 형상으로 메인 덱 (21) 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 2 돌출부 (22) 도 제 1 돌출부 (21) 와 동일하게, 상측에서 보아, 이웃하는 2 개의 각주 (10) 를 잇는 변에 대해 메인 덱부 (21) 로부터 볼록상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 제 2 돌출부 (22) 는, 부체 구조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돌출부 (22) 는, 메인 덱부 (21) 와 동일하게, 제 2 돌출부 (23) 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천벽, 바닥벽 및 외주벽을 가질 수 있다. 제 2 돌출부 (23) 는, 필요에 따라 격벽을 추가로 갖고 있어도 된다.
메인 덱부 (21) 에 제 2 돌출부 (23) 를 부가함으로써, 덱 (20) 상의 스페이스가 확대되고, 그것과 동시에, 양상 작업 설비 (1) 의 예항 중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 2 돌출부 (23) 가 메인 덱부 (21) 의 폭원을 넘지 않는 형상이기 때문에, 예항시에 저항이 커지는 것이 억제된다. 이로써, 예항 속도의 저하가 억제되는 등 양상 작업 설비 (1) 를 효율적으로 예항할 수 있다. 예항시의 저항을 보다 억제하기 위해서는, 양상 작업 설비 (1) 가 도 2A 에 나타내는 흰색 화살표 방향으로 예항되도록 구성될 때, 제 2 돌출부 (23) 를, 메인 덱부 (21) 와 제 2 돌출부 (23) 를 조합한 형상이, 선수측으로부터 선미측을 향하여 폭이 넓어지는 선형 (船形) 이 되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덱 (20) 이 단층 구조인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덱 (20) 은 복층 구조여도 된다. 도 4 에, 복층의 덱을 갖는 양상 작업 설비의 개략 측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4 에 나타내는 양상 작업 설비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이제까지 설명한 양상 작업 설비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1 등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것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에 나타내는 양상 작업 설비 (1) 에서는, 덱 (20) 은, 천벽 (20a) 의 상방에 천벽 (20a) 과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 2 천벽 (120a) 과, 제 2 천벽 (120a) 을 천벽 (20a) 과 간격을 두고 지지하는 제 2 외주벽 (120c) 및 제 2 격벽 (도시 생략) 을 갖고, 이로써 덱 (20) 은 2 층 구조로 된다. 이들 천벽 (20a), 제 2 천벽 (120a), 제 2 외주벽 (120c) 및 제 2 격벽에 의해, 천벽 (20a) 의 상방에 배치된 구조는, 복수의 구획으로 나누어진 내부 공간이 형성된 부체 구조체로서 구성된다. 따라서, 천벽 (20a) 상에 제 2 천벽 (120a), 제 2 외주벽 (120c) 및 제 2 격벽과 같은 구조물을 부가해도, 덱 (20) 은, 양상 작업 설비를 예항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필요한 부력이 확보된다.
제 2 천벽 (120a) 및 제 2 외주벽 (120c) 은, 메인 덱부 (21) (도 2 참조), 제 1 돌출부 (22) (도 2 참조) 및 제 2 돌출부 (도 2 참조) 중 적어도 메인 덱부 (21) 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즉, 덱 (20) 전체가 2 층 구조로 될 필요는 없다. 단, 덱 (20) 의 상면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메인 덱부 (21), 제 1 돌출부 (22) 및 제 2 돌출부 (23) 의 모든 영역이 2 층 구조가 되도록 제 2 천판 (120a) 및 제 2 외주벽 (120c) 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덱 (20) 을 2 층 구조로 함으로써, 덱 (20) 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덱 (20) 상에 보다 중량물을 탑재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양상 설비 건설의 시공 야드로부터 건설 현장인 해역까지의 부품의 운반시에, 보다 많은, 혹은 보다 중량이 있는 부품의 운반에 양상 작업 설비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는 덱 (20) 을 2 층 구조로 한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덱 (20) 을 3 층 이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형태의 양상 작업 설비 (1) 를 사용한 양상 설비의 건설 방법에 대해, 양상 설비가 양상 풍력 발전 설비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건설용의 시공 야드로부터 건설 현장인 해역까지, 양상 풍력 발전 설비의 풍차 부재 등 각종 부품 및 양상 작업 설비 (1) 를 이동시킨다. 양상 작업 설비 (1) 의 이동은, 각부 (10) 를 덱 (20) 에 대해 상승시키고, 덱 (20) 이 해면 상에 떠오른 상태에서 양상 작업 설비 (1) 를 예항용 선박으로 예항함으로써 실시한다. 이 때, 덱 (20) 상에 양상 풍력 발전 설비의 부품을 탑재한다. 덱 (20) 이, 양상 풍력 발전 설비 1 기분의 부품을 탑재할 수 있는 스페이스를 갖고, 또한 기계적 강도를 갖고 있으면, 양상 풍력 발전 설비의 부품의 이동에는, 부품 운반용의 선박은 필요없다.
양상 풍력 발전 설비의 부품 및 양상 작업 설비 (1) 의 이동이 완료되면, 양상 작업 설비 (1) 의 각주 (10) 를 덱 (20) 에 대해 강하시키고, 각주 (10) 를 해저에 착저시킨다. 이 때,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덱 (20) 이 해면으로부터 멀어져 상방에 위치할 때까지 각주 (10) 를 강하시킨다. 이로써, 해상 조건의 영향을 받지 않고 양상 풍력 발전 설비를 건설할 수 있다.
각주 (10) 를 해저에 착저시킨 후, 덱 (20) 상의 부품을 크레인 (30) 으로 매달고, 크레인 (30) 에 의한 양상 풍력 발전 설비의 조립을 실시한다. 크레인 (30) 은 제 1 돌출부 (22) 에 탑재되어 있고, 크레인 (30) 의 작업 범위가 보다 확대되기 때문에, 원활한 조립이 가능하다.
양상 풍력 발전 설비의 조립 후, 다시 각주 (10) 를 덱 (20) 에 대해 상승시키고, 예항용 선박에 의해 양상 작업 설비 (1) 를 시공 야드에 귀환시킨다.
복수의 양상 작업 설비 (1) 를 접속하여, 양상 설비의 부품의 하역이나 조립을 위한, 양상 설비 건설용 시공 야드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도 5 에, 복수의 양상 작업 설비 (1) 를 이용한 시공 야드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5 에 나타내는 시공 야드는, 덱 (20) 상에서 양상 설비의 부품의 하역이나 조립을 실시할 수 있도록, 3 기의 양상 작업 설비 (1) 를 접속한 것이다. 크레인 (30) 이 제 1 돌출부 (22) 에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넓은 덱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 또, 크레인 (30) 이 엇갈리게 위치하도록 양상 작업 설비 (1) 를 배치함으로써, 동시에 복수의 크레인 (30) 을 동작시킨 경우여도 서로 간섭하는 것이 억제된다.
시공 야드는, 프로젝트마다 설치할 수 있다. 양상 작업 설비 (1) 를 시공 야드로서 이용함으로써, 야드 작업이 종료되면, 그대로 양상 작업 설비 (1) 를 양상 설비의 건설 해역으로 이동시켜, 양상 설비의 건설을 실시할 수 있다. 시공 야드는, 항구 (恒久) 설비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양상 작업 설비 (1) 를 시공 야드로서 이용함으로써, 양상 설비용의 항만 설비의 대용이 되어, 시공 야드를 저비용으로 또한 단기에 설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대표적인 실시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양상 작업 설비 (1) 는, 메인 덱부 (21) 및 각주 (10) 를 갖는, 자기 승강식 작업 대선 혹은 잭업식 굴착 리그와 같은 기존의 양상 작업 설비에 대해, 제 1 돌출부 (21) 및 크레인 (30) 을 부가하고, 또 필요에 따라 추가로 제 2 돌출부 (23) 를 부가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기존의 양상 작업 설비」란, 그 양상 작업 설비의 목적으로 하는 기능을 갖도록 이미 조립되어 존재하고 있는 양상 작업 설비의 의미이며, 본 형태에 의한 양상 작업 설비 (1) 는, 그러한 양상 작업 설비를 개조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기 승강식 작업 대선 및 잭업식 굴착 리그 등의 종래의 양상 작업 설비는, 자기 승강식의 각주, 및 각주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 플랫폼 (상기 서술한 본 형태의 양상 작업 설비 (1) 에 있어서의 메인 덱부 (21) 에 상당한다) 을 갖는다.
그래서, 기존의 양상 작업 설비를 이용 (개조)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양상 작업 설비를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양상 작업 설비의 구조의 각주 및 플랫폼을 이용하여 각각 각주 (10) 및 메인 덱부 (21) 를 구성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보다 간편하게 또한 짧은 공기로 양상 작업 설비를 얻을 수 있고, 결과적으로, 양상 작업 설비의 대폭적인 비용 다운이 달성된다. 특히, 기존의 잭업식 굴착 리그를 이용하여 양상 작업 설비 (1) 를 구성함으로써, 수심이 90 m 를 넘는 해역에서의 양상 시공시에 각주를 착저시킴으로써 파도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시공을 실시할 수 있는 양상 작업 설비를 보다 간편하게 또한 짧은 공기로 얻을 수 있다.
또, 잭업식 굴착 리그는, 양상에서 착저한 상태에서 석유나 천연 가스의 굴착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선상 굴착 설비를 갖고 있다. 선상 굴착 설비는, 플랫폼 상에 설치된 캔틸레버에 탑재되어 있다. 단, 캔틸레버는 구동 기구에 의해 플랫폼 상을 이동하여, 플랫폼으로부터 돌출된 위치에서 굴착 작업을 한다. 그러한, 구동 기구 및 선상 굴착 설비도 포함한 캔틸레버 전체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서, 플랫폼은, 필요한 강도를 갖는 격벽 등의 강도 부재를 지지 구조로서 내부에 갖고 있다.
본 형태는 이 점에 착안하여, 제 1 돌출부 (22) 를 구성할 때에, 기존의 잭업식 굴착 리그가 갖고 있는 캔틸레버의 지지 구조를 이용하고 있다. 즉, 제 1 돌출부 (22) 는, 캔틸레버의 지지 구조에 의해 지지되어, 메인 덱부 (21) 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캔틸레버의 지지 구조」란, 상기 서술한, 구동 기구 및 선상 굴착 설비도 포함한 캔틸레버 전체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서 플랫폼이 갖고 있는 지지 구조이며, 구체적으로는, 캔틸레버 전체를 지지하는 데에 필요한 강도를 갖는 강도 부재, 예를 들어 격벽이다. 이와 같이, 잭업식 굴착 리그에 원래 존재하고 있는 지지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양상 풍력 발전 설비의 나셀 등의 중량 구조물을 양중 (楊重) 가능한 크레인 (30) 을 탑재하는 데에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 제 1 돌출부 (22) 를, 새롭게 강도 부재를 추가하지 않고, 원래 존재하고 있는 강도 부재에 맞추어 보다 간단하게 추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양상 작업 설비의 대폭적인 비용 다운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잭업식 굴착 리그의 캔틸레버의 지지 구조를 이용하여 제 1 돌출부 (22) 를 구성하는 경우, 잭업식 굴착 리그의 캔틸레버 및 선상 굴착 설비가 철거되어, 캔틸레버의 지지 구조 상에 제 1 돌출부 (22) 가 구성되고, 그 위에 크레인 (30) 이 탑재된다. 따라서, 양상 작업 설비 (1) 는, 더 이상 굴착 리그로는 기능하지 않는다.
또, 덱 (20) 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덱 (20) 을 복층 구조로 하는 경우, 기존의 천벽을 보다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는 천벽과 교환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통상, 천벽의 하면에는 전기 배선이나 급배수관 등 다양한 구조물이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천벽을 교환하는 경우에는 이들 구조물도 함께 교환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벽 (20a) 을 그대로 남기고 그 상방에 제 2 천벽 (120a) 을 배치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전기 배선 및 급배수관 등을 활용할 수 있고, 그 결과, 양상 작업 설비 (1) 의 건조 (建造) 공기를 단축함과 함께, 건조 비용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1 : 양상 작업 설비
10 : 각주
20 : 덱
20a : 천벽
20b : 바닥벽
20c : 외주벽
20d : 격벽
21 : 메인 덱부
22 : 제 1 돌출부
23 : 제 2 돌출부
30 : 크레인
120a : 제 2 천벽
120c : 제 2 외주벽

Claims (7)

  1. 3 개 이상의 각주와,
    부체 구조물로서 구성되고, 상기 각주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 덱과,
    상기 덱에 탑재된 크레인을 갖고,
    상기 덱은, 상기 각주가 배치되는 메인 덱부와, 상기 메인 덱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를 갖는 양상 작업 설비로서,
    상기 양상 작업 설비는, 상기 메인 덱부 및 상기 각주를 갖는 기존의 잭업식 굴착 리그에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크레인을 부가함으로써 구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기존의 잭업식 굴착 리그에 탑재되어 있는 선상 굴착 설비를 위한 캔틸레버의 지지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 덱부에 부가되고,
    상기 크레인은 상기 돌출부에 탑재되어 있는, 양상 작업 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덱은, 부체 구조체로서 구성된 제 2 돌출부를 추가로 갖는, 양상 작업 설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메인 덱부의 폭원을 넘지 않는 형상으로 상기 메인 덱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양상 작업 설비.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메인 덱부와 조합한 형상이, 선수측으로부터 선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폭이 넓어지는 선형이 되는 형상으로 상기 돌출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양상 작업 설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덱은, 천벽, 바닥벽, 외주벽 및 격벽을 갖고, 상기 천벽, 상기 바닥벽 및 상기 외주벽에 의해 상기 덱에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에 의해 상기 내부 공간이 복수의 구획으로 나누어지는, 양상 작업 설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천벽의 상방에 배치된 제 2 천벽과, 상기 제 2 천벽을 상기 천벽과 간격을 두고 지지하는 제 2 외주벽 및 제 2 격벽을 추가로 갖는, 양상 작업 설비.
  7. 양상 작업 설비의 제조 방법으로서,
    3 개 이상의 각주, 상기 각주가 배치되고, 상기 각주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 메인 덱부, 상기 메인 덱부에 지지 구조를 개재하여 지지된 캔틸레버 및 상기 캔틸레버에 배치된 굴착 설비를 갖는 잭업식 굴착 리그를 준비하는 것,
    상기 잭업식 굴착 리그로부터, 상기 캔틸레버 및 상기 굴착 설비를 철거하는 것,
    상기 메인 덱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를, 상기 지지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 덱부에 부가하는 것, 및
    상기 돌출부에 크레인을 탑재하는 것을 포함하는, 양상 작업 설비의 제조 방법.
KR1020207028636A 2018-03-14 2019-03-13 양상 작업 설비 및 그 제조 방법 KR102449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33264A KR102607972B1 (ko) 2018-03-14 2019-03-13 양상 작업 설비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46848 2018-03-14
JP2018046848 2018-03-14
PCT/JP2019/010235 WO2019177010A1 (ja) 2018-03-14 2019-03-13 洋上作業設備およびその製造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3264A Division KR102607972B1 (ko) 2018-03-14 2019-03-13 양상 작업 설비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8723A true KR20200128723A (ko) 2020-11-16
KR102449636B1 KR102449636B1 (ko) 2022-09-29

Family

ID=6790717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3264A KR102607972B1 (ko) 2018-03-14 2019-03-13 양상 작업 설비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07028636A KR102449636B1 (ko) 2018-03-14 2019-03-13 양상 작업 설비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3264A KR102607972B1 (ko) 2018-03-14 2019-03-13 양상 작업 설비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2) JP7126111B2 (ko)
KR (2) KR102607972B1 (ko)
CN (1) CN112119006B (ko)
SG (1) SG11202009003XA (ko)
TW (1) TWI745662B (ko)
WO (1) WO20191770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77486B2 (en) 2014-01-31 2018-01-30 AgBiome, Inc. Methods of growing plants using modified biological control agents
WO2019177010A1 (ja) 2018-03-14 2019-09-19 株式会社 吉田組 洋上作業設備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86653A1 (en) * 2009-01-29 2010-07-29 Friede & Goldman, Ltd. Extended-deck jack-up
JP2015037925A (ja) 2013-07-18 2015-02-26 半蔵 門脇 自己昇降式作業台船
KR20150093392A (ko) * 2014-02-07 2015-08-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데릭 모듈 및 이를 가지는 드릴링 유닛
KR20150107257A (ko) * 2014-03-13 2015-09-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잭업리그의 신축형 접이식 레그
KR20160048345A (ko) * 2014-10-24 2016-05-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시추범위 확대가 가능한 잭업 리그의 캔틸레버 구조물
JP2016215937A (ja) 2015-05-25 2016-12-22 鹿島建設株式会社 自己昇降式作業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1750A (ja) * 2003-06-25 2004-01-08 Penta Ocean Constr Co Ltd 特殊作業船及び洋上構造物の施工方法
CN101304916B (zh) * 2005-10-14 2011-05-18 新加坡国立大学 浮筒型浮动结构
WO2010085970A1 (en) * 2009-01-27 2010-08-05 Statoil Asa Mobile offshore platform
WO2012144952A1 (en) * 2011-04-19 2012-10-26 Primepoint Pte Ltd A multi-functional jack up system for decommissioning an offshore platform
EP2823105B1 (en) * 2012-03-06 2016-09-07 Itrec B.V. An offshore system comprising a rig and a cantilever
CN104554625B (zh) * 2013-10-11 2017-06-06 烟台中集来福士海洋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无人驳船的回转起重船改造方法及起重驳船
KR20160035738A (ko) * 2014-09-24 2016-04-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KR20160150431A (ko) * 2015-06-22 2016-12-30 권순일 풍력과 해류 및 조류 발전장치를 내장한 반 잠수식 플렛폼
CN106005293A (zh) * 2016-06-13 2016-10-12 太重(天津)滨海重型机械有限公司 槽口悬臂式自升式钻井平台
CN106347595B (zh) * 2016-09-30 2019-03-15 南通中远船务工程有限公司 圆筒型海工平台
WO2019177010A1 (ja) 2018-03-14 2019-09-19 株式会社 吉田組 洋上作業設備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86653A1 (en) * 2009-01-29 2010-07-29 Friede & Goldman, Ltd. Extended-deck jack-up
JP2015037925A (ja) 2013-07-18 2015-02-26 半蔵 門脇 自己昇降式作業台船
KR20150093392A (ko) * 2014-02-07 2015-08-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데릭 모듈 및 이를 가지는 드릴링 유닛
KR20150107257A (ko) * 2014-03-13 2015-09-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잭업리그의 신축형 접이식 레그
KR20160048345A (ko) * 2014-10-24 2016-05-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시추범위 확대가 가능한 잭업 리그의 캔틸레버 구조물
JP2016215937A (ja) 2015-05-25 2016-12-22 鹿島建設株式会社 自己昇降式作業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7972B1 (ko) 2023-11-29
CN112119006B (zh) 2023-03-24
JP7126111B2 (ja) 2022-08-26
WO2019177010A1 (ja) 2019-09-19
JPWO2019177010A1 (ja) 2021-03-11
TWI745662B (zh) 2021-11-11
SG11202009003XA (en) 2020-10-29
CN112119006A (zh) 2020-12-22
JP2022160521A (ja) 2022-10-19
JP7464658B2 (ja) 2024-04-09
KR102449636B1 (ko) 2022-09-29
TW201938453A (zh) 2019-10-01
KR20220133334A (ko) 202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1959B1 (ko) 연장 가능한 반 잠수형 플랫폼
JP7464658B2 (ja) 洋上作業設備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151091B1 (ko) 부체식 구조물의 보조 부력체 및 부체식 구조물의 개조 방법
KR101271741B1 (ko) 해상작업용 선박 및 그 선박의 설치방법
KR101422227B1 (ko) 부유식 구조물
CA2892028C (en) Structure-supported jackup system
JP6124064B2 (ja) 洋上風力発電施設の建造・運搬方法
KR20140035658A (ko) 해양 작업 설치선의 레그 시스템
KR101864144B1 (ko) 해양구조물 설치선박
KR20130143363A (ko) 부유식 구조물
KR101947670B1 (ko) 부유식 구조물
KR102071010B1 (ko) 반잠수형 플랫폼의 건조 방법
KR102438693B1 (ko)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
JPS61222892A (ja) 半潜水式浮遊構造物及びその建造方法
KR20160007947A (ko)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KR101824432B1 (ko) 부유식 구조물의 데크 승강장치
KR101358236B1 (ko) 부유식 구조물 및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KR102474058B1 (ko)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
KR101845426B1 (ko) 부유식 구조물
KR101690966B1 (ko) 해양 구조물의 레그 설치 공법
KR20170056845A (ko) 잭업리그의 잭하우스 승강 설비
KR20140021770A (ko) 부유식 구조물
KR101762743B1 (ko) 레그 관리 장비 및 그 운영 방법
KR20220140308A (ko)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용 부유식 구조물
KR20230013308A (ko) 풍력발전기 설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