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198B1 - 부유식 바지선을 갖는 드라이 도크 - Google Patents

부유식 바지선을 갖는 드라이 도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198B1
KR101549198B1 KR1020140048495A KR20140048495A KR101549198B1 KR 101549198 B1 KR101549198 B1 KR 101549198B1 KR 1020140048495 A KR1020140048495 A KR 1020140048495A KR 20140048495 A KR20140048495 A KR 20140048495A KR 101549198 B1 KR101549198 B1 KR 101549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 dock
barge
floating
guide portion
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8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원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8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1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08Graving d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식 바지선을 갖는 드라이 도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유식 바지선을 갖는 드라이 도크는 드라이 도크의 양측면으로부터 인입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드라이 도크 내외부로의 이동 및 상기 드라이 도크 내에서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부유식 바지선을 포함하며, 상기 부유식 바지선은, 상기 드라이 도크 내의 해수 배출에 의해 하강되어 상기 부유식 바지선의 상면이 육상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부에 안착 및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유식 바지선을 갖는 드라이 도크{Dry dock with floating barge}
본 발명은 드라이 도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라이 도크 내로의 이동이 가능한 바지선을 이용하여 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해상구조물의 건조뿐만 아니라, 건조된 해상구조물의 진수 및 이동이 용이한 부유식 바지선을 갖는 드라이 도크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대부분의 대형 선박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 공법으로 육상에서 건조 작업이 이루어지는 육상 건조 공법과 도크를 이용한 도크 건조 공법으로 이루어진다.
우선, 육상 건조 공법은 육상에서 선박 블럭의 제작 및 조립을 통해 선박 건조를 완료하여 바다에 진수 시키는 공법으로써 대형 선박인 경우 진수를 위한 이동의 어려움으로 인해 적용 빈도가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대형 선박의 경우, 도크를 이용한 도크 건조 공법으로 제조되며, 이러한 도크는 수심이 충분한 바다에 면한 곳에 선박의 출입이 가능할 정도의 길이, 너비, 깊이로 땅을 파서 바다와 연결시키고, 입구에 도크 게이트를 설치하여 해수의 유입에 의해 선박을 진수시키는 드라이 도크와,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탱크에 의해 바다에서 부유 가능한 부유식 도크가 적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 해양에서의 자원 개발을 위한 관련 시장이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이와 관련한 해상구조물(플랫폼)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해상구조물의 경우, 그 크기가 거대하여 공간적 제약에 의해 도크 건조 방식의 건조 공법 보다는 육상 건조 공법의 건조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육상 건조 공법의 경우 건조 완료된 해상구조물을 진수 또는 설치 지역으로 이동시키기에 상당한 어려움(관련 장비 및 비용 등)이 존재하며, 해상구조물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육상 건조 시설의 확충에 따른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아울러, 대부분의 해상구조물의 건조가 육상에서 건조됨에 따라 기존에 건설 및 사용되어 왔던 도크의 유휴(遊休)에 의한 다양한 손실이 발생 및 증가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3241호(2011.07.20.)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9269호(2012.12.27.)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드라이 도크 내에 부유 및 이동 가능한 부유식 바지선을 적용하여, 드라이 도크의 공간적 제약을 극복함으로써, 드라이 도크에서 육상 건조 공법과 같은 조건으로 해상구조물을 건조가 가능하고, 건조된 해상구조물의 진수 및 이동이 용이한 부유식 바지선을 갖는 드라이 도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육상과 해상이 접하는 지역에 형성되고, 육상으로부터 인입된 구조의 건조공간을 갖는 드라이 도크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 도크의 양측면으로부터 인입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드라이 도크 내외부로의 이동 및 상기 드라이 도크 내에서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부유식 바지선을 포함하며, 상기 부유식 바지선은, 상기 드라이 도크 내의 해수 배출에 의해 하강되어 상기 부유식 바지선의 상면이 육상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부에 안착 및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바지선을 갖는 드라이 도크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부유식 바지선의 이동을 위한 구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름부의 외면에는 상기 부유식 바지선의 이동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의 하면에는 부유식 바지선의 수평유지를 위한 수평 유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유지부는 상기 가이드부 하면측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하면측으로부터 노출 또는 비노출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다수의 빔(beam)구조물과 상기 빔 구조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유지부는 빔 구조물을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식 바지선은 커넥터에 의해 복수개가 연결되어 건조면적이 확장 가능한 것을 특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드라이 도크에 형성된 건조부의 상면을 부유식 바지선에 의해 드라이 도크의 상면을 공간적 제약을 극복함으로써, 육상 건조 공법과 같은 조건으로 해상구조물의 건조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드라이 도크에서 해상구조물의 건조가 가능함에 따라 드라이 도크의 유휴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상구조물을 건조하기 위한 별도의 부지를 건설하지 확보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해상구조물 건조 부지 및 시설 관련 비용이 절감될 수 있음과 동시에 해상구조물의 건조 역량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건조된 해상구조물을 바지선을 통해 해상 설치 지역 또는 지정 지역으로의 이동시킴으로써, 해상구조물의 진수 및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수 및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바지선을 갖는 드라이 도크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a 및 2b는 도 1에 도시된 드라이 도크에 부유식 바지선이 드라이 도크 내부로 이동된 상태와, 드라이 도크에 안착 및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드라이 도크를 A-A 방향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드라이 도크를 B-B 방향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바지선이 다수개의 결합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바지선을 갖는 드라이 도크를 이용한 해상구조물 건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바지선(200)을 갖는 드라이 도크(100)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a 및 2b는 도 1에 도시된 드라이 도크(100)에 부유식 바지선(200)이 드라이 도크(100) 내부로 이동된 상태와, 드라이 도크(100)에 안착 및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2b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 도크(100)는, 드라이 도크(100) 내에 부유식 바지선(200: 이하 '바지선'으로 약칭함)이 설치되는 구조로, 육상면(G)과 바지선(200)의 상면(200a)이 동일한 평면을 형성함으로써 드라이 도크(100)의 한정된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여 드라이 도크(100)에서 해상구조물(S)과 같은 초 대형 구조물의 건조가 육상 건조 공법에 대응되는 공법으로 건조 가능할 수 있도록 하고, 건조된 해상구조물(S)의 설치 지역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드라이 도크(100)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드라이 도크와 같이 육상과 해상이 접하는 지역에 육상면(G)으로부터 소정의 길이와 깊이로 지반을 파서 해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해수가 유입되는 입구에는 도크 게이트(미도시)가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드라이 도크(100)는 위와 같은 구조에 제한되지 않으며, 선박의 건조 작업 공간을 제공하면서 드라이 도크 내로 해수를 유입하여 도크 내의 선박을 부유시킬 수 있는 원리를 적용한 다양한 구조의 드라이 도크가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드라이 도크(100)를 A-A 방향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드라이 도크(100)를 B-B 방향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 도크(100)에는 바지선(200)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10)는 이하 후술할 상기 바지선(200)의 지지부(210)가 결합되어 바지선의 드라이 도크(100) 내외부로의 이동(수평 이동) 및 드라이 도크(100) 내에서의 상하 이동(수직 이동)을 가이드 하며, 드라이 도크(100)의 양측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인입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10)에는 상기 가이드부(110)를 따라 이동하는 바지선(200)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구름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름부(120)는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모든 것을 지칭하여 예를 들어 볼, 롤러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으로 한정하기 않기로 한다. 이러한 구름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상면(110a) 및 측면(110b) 중 어느 한 측 또는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름부(120)에 대해 도 3 및 4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이드부(110)의 상면(110a)또는 측면(110b)에 형성되는 구름부(120a, 120b)는 롤러 형태로 가이드부의 내측으로 일부분이 노출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110)의 상면(110a)측에 설치되는 구름부(120a)는 수평방향의 회전 중심을 가지며, 측면(110b)에 형성되는 구름부(120b)는 수직방향의 회전중심을 갖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름부(120)는 가이드부(110)를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구름부(120)의 외면에는 바지선(200)의 지지부(210)와 접촉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부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부(110)의 하면(110c)에는 드라이 도크(100) 내의 해수 유입 또는 배출에 따른 바지선(200)의 하강 또는 상승 시, 바지선(200)의 수평유지를 위한 수평유지부(13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유지부(130)는 가이드부(110)에 결합된 바지선(200)의 지지부(210)의 하측을 지지함으로써 바지선(200)이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져 하강 또는 상승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빔(beam)구조물(130a)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10)의 하면에는 하면의 하방향(수직 방향)으로 빔구조물(130a)의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한 수용부(130b)가 형성되며, 상기 빔구조물(130a)을 수직 방향으로 이동 시키기 위한 구동모터와 같은 별도의 구동부(미도시) 및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 등이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수평유지부(130)는 가이드부(110)의 히면측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구동부 및 제어부에 의해 가이드부(110) 내부로 노출 또는 비노출 되도록 동시 다발적 또는 개별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바지선(200)은 양측에 상기 가이드부(110)에 삽입되어 가이드부(110) 내에서 이동되는 지지부(210)가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부(210)는 드라이 도크(100) 내로 해수의 유입 및 배출 과정에 따라 부유되어 이동 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110)를 따라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바지선(100)의 안정적인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해수의 배출에 의해 하강되어 지지부(210)가 가이드부(110)의 하면(110c)에 접하여 안착 및 하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지지부(110)는 바지선(200)의 상측에 해상구조물(S)의 건조에 따른 전반적인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 지며, 바지선(200) 상에 건조될 해상구조물(S)의 규모 및 중량이 지지부(210)가 감당하지 못할 정도일 경우, 바지선(200)의 하부에 해수를 부분적으로 유입시켜 부력에 의해 바지선(200)에 부가되는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바지선(200)에는 운항할 수 있는 추진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추진체에 의해 바지선(200)이 자항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지선(200)에 자항 능력이 있음으로써 별도의 예인선은 요구되지 않고, 바지선(200)을 드라이 도크(100) 내외로 이동 시, 보다 신속하고 정밀하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예인선을 운용하기 위한 운영비용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태풍과 같은 기상 상황 발생 시, 바지선(200)을 즉각적으로 안전한 장소로 이동 시킴으로써 건조 중인 해상구조물(S)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바지선이 다수개의 결합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지선(200')은 다수개의 바지선(200) 간의 결합에 의해 해상구조물(S)의 건조 면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지선(200)간의 결합은 커넥터(22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220)에 의해 바지선(200)에 의한 건조면적은 폭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확장될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지선(200)이 길이방향으로 확장되는 경우에는 크게 고려할 사항은 아니나, 폭방향으로 결합되는 구조인 경우, 상호 바지선(200)이 접하는 부분에는 지지부(210)가 형성되지 않는 구조가 바람직할 수 있으며, 지지부가 형성된 상태로 결합하는 경우에는 인접한 바지선 중 어느 한 측에는 지지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다수의 바지선(200)이 연결되는 구조에 따르면, 다양한 크기(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의 건조 공간을 갖는 드라이 도크에 적용될 수 있음으로써, 바지선의 불필요한 중복 제작을 방지하고, 다양한 크기의 드라이 도크의 운영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바지선을 갖는 드라이 도크를 이용한 해상구조물 건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5e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바지선(200)을 갖는 드라이 도크(100)를 이용한 해상구조물(S)의 건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드라이 도크(100)의 도크 게이트를 오픈시켜 해수를 드라이 도크(100) 내부로 유입시킨 후, 바지선(200)을 드라이 도크(100)의 도크 게이트가 오픈된 입구측으로 이동 시킨다. 이때, 상기 바지선(200)은 드라이 도크(100)의 크기에 따라 단일 구조일 수 있으며,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바지선(200)이 커넥터(220)에 의해 연결된 구조일 수 있다.
다음으로 드라이 도크(100)의 입구로 이동된 바지선(200)의 지지부(210)를 드라이 도크(100)의 가이드부(110)와 대응되도록 일치 시킨 후, 서서히 드라이 도크(100) 내로 이동 시킨다. 이때, 바지선(200)의 지지부(210)는 가이드부(110)의 상면(110a)과 측면(110b)에 형성된 구름부(120a, 120b)와 접촉하게 되어 바지선(200)이 자연스럽게 드라이 도크(100) 내부로 이동 될 수 있다.
드라이 도크(100) 내부로 이동된 바지선(200)은 도 6a와 같이 여전히 해수에 의해 부유된 상태이며, 바지선(200)의 상면(200a)은 육상면(G)보다도 상측으로 위치되어 진다. 이에, 드라이 도크(100)의 도크 게이트를 닫고, 드라이 도크(100) 내부의 해수를 배출하여 해수면을 낮추게되면, 바지선(200)의 지지부(210)가 가이드부(110) 측면측 구름부(120b)의 외면을 따라 하강 이동 된다.
이때, 해수의 배출에 의해 바지선(200)이 하강하는 과정에서 바지선(200)과 드라이 도크(100)와의 간격(지지부와 측면측 구름부와의 간격)이 작음에 따라, 바람이 강한 바람과 같은 주위 환경에 의해 바지선(200)의 수평이 유지되지 못하는 경우나, 또는 바지선(200)의 무게중심이 불안정한 경우, 바지선(200)이 기울어져 지지부(210)가 가이드부(110)에 끼여 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여지가 있다. 이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평유지부(130)가 도 6b와 같이 바지선의 지지부를 지지한 상태로 해수면의 하강과 함께 하강됨으로써, 바지선(200)의 흔들림을 최소화 하여 바지선(200)의 수평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와 같이 수평유지부(130)는 해수 유입에 따른 바지선(200)의 상승 시에도 작동되어 바지선(200)의 수평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바지선(200)의 하강에 따라 바지선(200)의 지지부(210)가 가이드부(110)의 하면(110c)에 접하여 안착되고, 바지선(200)의 자중에 의해 고정됨과 동시에 도 6c와 같이, 바지선(200)의 상면(200a)이 육상면(G)과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되어 하나의 평면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바지선(200)의 상면(200a)과 육상면(G)이 하나의 평면을 이루게 된 상태에서 도 6d와 같이 드라이 도크(100)의 바지선(200) 상에서 육상 건조 공법과 같이 해상구조물(S)을 건조한다.
드라이 도크(100)에서의 해상구조물(S)의 건조가 완료되면, 드라이 도크(100)에 해수를 유입시켜 바지선(200)을 부유시킨다. 이때, 바지선(200)상에 건조된 해상구조물(S)에 의해 무게 중심이 적절치 않다면 바지선(200)의 수평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가이드부(110)에 끼일 우려가 존재한다. 이에, 도 6e 와 같이 수평유지부(130)를 이용하여 바지선(200)의 수평이 유지되도록 바지선(200)의 부유와 함께 상승하여 상방향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후 해상구조물(S)과 함께 바지선(200)이 부유되면 바지선(200)에 형성된 추진체에 의해 해상구조물(S)의 설치지역 또는 별도의 지정지역으로 이동 시킴으로써 해상구조물(S)의 진수를 완료한다.
이상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부유식 바지선(200)을 갖는 드라이 도크(100)는 바지선(200)에 의해 드라이 도크(100)의 상면(100a)을 육상면(G)과 일치시켜 하나의 평면이 되도록 함으로써 드라이 도크(100)에서도 육상 건조 공법과 같이 해상구조물(S)의 건조가 가능 할 수 있어 드라이 도크(100)의 유휴에 따른 문제점 및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드라이 도크(100) 상에서 건조된 해상구조물(S)의 진수 및 이동에 있어서도, 육상 건조 공법과 비교하여 건조된 해상구조물(S)을 진수 및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레일, 선적 등이 요구되지 않고, 자항 능력을 갖는 바지선(200)에 의해 용이하게 진수 및 이동 될 수 있다.
아울러, 바지선(200)을 다수개 연결하여 확장 가능함에 따라, 드라이 도크(100)의 크기에 따른 바지선(200)의 적용 및 바지선(200)의 불필요한 중복 제작을 방지하고, 바지선(200)상에 건조되는 다양한 크기 및 개수의 해상구조물(S)의 건조 및 일괄적인 이동이 용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드라이 도크 110: 가이드부
120: 구름부 130: 수평유지부
200: 부유식 바지선 210: 지지부
220: 커넥터

Claims (7)

  1. 육상과 해상이 접하는 지역에 형성되고, 육상으로부터 인입된 구조의 건조공간을 갖는 드라이 도크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 도크의 양측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인입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드라이 도크 내외부로의 수평방향으로 이동 및 상기 드라이 도크 내에서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부유식 바지선을 포함하며,
    상기 부유식 바지선은,
    상기 지지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드라이 도크 내의 해수 배출에 의해 하강되어 상기 부유식 바지선의 상면이 육상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부에 안착 및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하면에는,
    상기 부유식 바지선의 수평유지를 위한 수평 유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바지선을 갖는 드라이 도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부유식 바지선의 이동을 위한 구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바지선을 갖는 드라이 도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름부의 외면에는 상기 부유식 바지선의 이동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바지선을 갖는 드라이 도크.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 유지부는
    상기 가이드부 하면측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하면측으로부터 노출 또는 비노출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다수의 빔(beam)구조물과 상기 빔 구조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바지선을 갖는 드라이 도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 유지부는,
    빔 구조물을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바지선을 갖는 드라이 도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바지선은 커넥터에 의해 복수개가 연결되어 건조면적이 확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바지선을 갖는 드라이 도크.
KR1020140048495A 2014-04-23 2014-04-23 부유식 바지선을 갖는 드라이 도크 KR101549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495A KR101549198B1 (ko) 2014-04-23 2014-04-23 부유식 바지선을 갖는 드라이 도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495A KR101549198B1 (ko) 2014-04-23 2014-04-23 부유식 바지선을 갖는 드라이 도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9198B1 true KR101549198B1 (ko) 2015-09-04

Family

ID=54246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8495A KR101549198B1 (ko) 2014-04-23 2014-04-23 부유식 바지선을 갖는 드라이 도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1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0582B1 (ko) * 2015-12-29 2017-07-24 장영창 선박 접안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0582B1 (ko) * 2015-12-29 2017-07-24 장영창 선박 접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7157B1 (ko)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및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의 계류 방법
JP6360060B2 (ja) 浮上式プラットフォームの移動及び設置用船体、およびその船体を用いた浮上式プラットフォームの移動及び設置方法
KR20140066666A (ko) 모듈식 반-잠수식 구조체 및 이러한 구조체를 만드는 방법
KR101162981B1 (ko) 문풀의 저항 저감장치
RU2683920C2 (ru) Способ использования плавучей морской базы
KR101500844B1 (ko) 잠수식 부교를 이용한 계류장치
US9180941B1 (en) Method using a floatable offshore depot
KR101555362B1 (ko) 부유 구조물
KR101549198B1 (ko) 부유식 바지선을 갖는 드라이 도크
KR101304912B1 (ko) 풍력발전기 설치용 선박 및 이를 이용한 풍력발전기 설치 방법
JP6033839B2 (ja) 潜水可能な装置、およびアンカリング装置を設置する方法
KR101785080B1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용 계류장치
KR101402763B1 (ko) 수상시설용 롤링피칭 감쇠장치
JP2012051555A (ja) 海洋または潜水機械装置の回収用装置
KR101885076B1 (ko) 이동식 문풀장치
WO2015028609A1 (en) Protected moonpool
RU2603340C1 (ru) Морская технологическая ледостойкая платформа
KR20140022999A (ko) 반잠수식 드릴링 유닛의 애지머스 스러스터 설치방법
NO20200755A1 (en) Fish farming system
KR102086155B1 (ko) 해상 풍력발전장치
KR101140399B1 (ko) 확장형 부유식 도크 및 이를 이용한 선박 건조 공법
KR101681257B1 (ko) 가변중량탱크를 갖는 부유식 구조물
KR101616826B1 (ko) 계류 장치를 포함한 부유식 구조물
KR102448003B1 (ko) 소파 및 수평 기능을 가지는 부잔교
KR102601484B1 (ko) 부유식 해상구조물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