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157B1 -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및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의 계류 방법 - Google Patents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및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의 계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7157B1
KR101577157B1 KR1020147018374A KR20147018374A KR101577157B1 KR 101577157 B1 KR101577157 B1 KR 101577157B1 KR 1020147018374 A KR1020147018374 A KR 1020147018374A KR 20147018374 A KR20147018374 A KR 20147018374A KR 101577157 B1 KR101577157 B1 KR 101577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mooring
rods
mooring rods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8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5518A (ko
Inventor
마사오 고마츠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05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1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 B63B1/107Semi-submersibles; Small waterline area multiple hull vessels and the like, e.g. SW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18Stoppers for anch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0Adaptations of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or of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2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isplacement of masses
    • B63B39/03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isplacement of masses by transferr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20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 F03D13/25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offshore insta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1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 B63B1/1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 B63B2001/128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comprising underwater connectors between the hu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1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ationary structure
    • F05B2240/917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ationary structure attached to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3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ructure floating on a liquid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5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ffsho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부체에 작용하는 표류력이나 회전 모멘트에 대해 안정적으로 부체를 계류할 수 있는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 (10) 와, 주풍향 (W) 의 풍상측에 위치하고, 풍력 발전기가 설치된 제 1 칼럼 (22a) 과, 제 1 칼럼보다 주풍향 (W) 의 풍하측에 위치한 제 2 칼럼 (22b) 및 제 3 칼럼 (22c) 과, 제 1 칼럼 및 제 2 칼럼간, 그리고, 제 1 칼럼 및 제 3 칼럼간을 접속하는 2 개의 로워 헐 (24) 을 포함하는 부체 (20) 와, 부체와 앵커 (32) 를 접속하는 복수의 계류삭 (34) 을 구비한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1) 로서, 복수의 계류삭 중 적어도 2 개는 제 1 칼럼에 접속되고, 적어도 1 개씩은 제 2 칼럼 및 제 3 칼럼에 각각 접속되고, 복수의 계류삭의 각각은, 평면에서 보아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부체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하여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및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의 계류 방법{FLOATING BODY WIND POWER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OF MOORING FLOATING BODY WIND POWER GENERATING DEVICE}
본 개시는, 수면에 뜨는 부체와 풍력 발전기를 구비하고, 계류삭(係留索)에 의해 해상 등에 계류되는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및 그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의 계류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상 등에 풍력 발전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수심이 얕은 영역에서는, 수저(水底)에 기초를 설치하고, 그 위에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는 착저식(着底式)의 풍력 발전 장치가 채용된다. 그러나, 수심이 깊은 영역에서는, 이러한 착저식의 풍력 발전 장치는 비경제적이기 때문에, 부체식의 풍력 발전 장치가 채용된다.
이러한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는, 수면에 뜨는 부체와, 그 부체에 설치된 풍력 발전기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저에 설치한 앵커와 부체를 계류삭에 의해 접속함으로써, 풍력 발전기가 설치된 부체를 해상 등에 계류한다.
일본 공표특허공보 2011-52182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65032호
그런데, 해상 등에 부체를 계류하는 경우, 풍력 발전기에 작용하는 풍하중이나, 부체에 작용하는 파랑이나 조류 등의 영향에 의해, 부체에 표류력이나 선회 모멘트가 작용하지만, 이러한 표류력이나 선회 모멘트에 대해 부체를 안정적으로 계류할 필요가 있다. 표류력이나 선회 모멘트에 대해 부체를 안정적으로 계류하기 위해서는, 계류삭의 구조나 배치뿐만 아니라, 조류나 풍향 등의 주변 환경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고려할 필요가 있지만, 상기 서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그 점에 있어서 충분히 고려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부체에 작용하는 표류력이나 회전 모멘트에 대해 안정적으로 부체를 계류할 수 있는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및 그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의 계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는, 상기 서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풍력 발전기와,
주풍향의 풍상(風上)측에 위치하고, 상기 풍력 발전기가 설치된 제 1 칼럼과, 그 제 1 칼럼보다 주풍향의 풍하(風下)측에 위치한 제 2 칼럼 및 제 3 칼럼과, 상기 제 1 칼럼 및 제 2 칼럼간, 그리고, 상기 제 1 칼럼 및 제 3 칼럼간을 각각 접속하는 2 개의 로워 헐을 포함하여 형성된 부체와,
상기 부체와 수저에 고정된 앵커를 커티너리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계류삭을 구비한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계류삭 중 적어도 2 개는 상기 제 1 칼럼에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계류삭 중 적어도 1 개는 상기 제 2 칼럼에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계류삭 중 적어도 1 개는 상기 제 3 칼럼에 접속됨과 함께,
상기 복수의 계류삭의 각각은, 평면에서 보아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상기 부체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에서는, 주풍향의 풍상측에 위치하는 제 1 칼럼에 적어도 2 개의 계류삭을 접속하고, 주풍향의 풍하측에 위치하는 제 2 칼럼 및 제 3 칼럼에는 각각 적어도 1 개의 계류삭을 접속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 1 칼럼에 접속되는 적어도 2 개의 계류삭이, 부체에 작용하는 주풍향 방향의 표류력에 저항함과 함께, 제 2 칼럼 및 제 3 칼럼에 각각 접속하는 적어도 1 개의 계류삭이, 부체에 작용하는 그 밖의 방향의 표류력 및 제 1 칼럼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모멘트에 대해 저항하는 구성이 되어, 부체에 작용하는 표류력이나 회전 모멘트에 대해 안정적으로 부체를 계류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주풍향」이란, 당해 지점에 있어서의 주된 풍향을 말한다. 풍향은 계절이나 기후에 의해서도 변화되고, 하루 중에서도 아침과 밤에 풍향이 상이한 경우가 있지만, 특히 풍력 발전 장치가 설치되는 장소에서는, 연간을 통해 본 경우에, 주된 풍향이라고 할 수 있는 특정한 풍향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 특정한 풍향을 「주풍향」이라고 부르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에서는,
상기 제 2 칼럼에 접속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계류삭은, 상기 2 개의 로워 헐의 교점에 있어서의 이등분선과, 그 이등분선과 직교하고, 또한 상기 제 2 칼럼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으로 획정된 제 1 칼럼측의 영역으로 향해 연장되는 회전 방지 계류삭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칼럼에 접속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계류삭은, 상기 2 개의 로워 헐의 교점에 있어서의 이등분선과, 그 이등분선과 직교하고, 또한 상기 제 3 칼럼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으로 획정된 제 1 칼럼측의 영역으로 향해 연장되는 회전 방지 계류삭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 2 칼럼 및 제 3 칼럼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계류삭이, 상기 서술한 영역으로 향해 연장되는 회전 방지 계류삭을 포함하고 있으면, 제 1 칼럼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모멘트에 대해, 안정적인 상태로 부체를 계류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에서는,
상기 제 2 칼럼에 접속된 상기 회전 방지 계류삭은, 상기 제 1 칼럼 및 제 2 칼럼간을 접속하는 제 1 로워 헐의 축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3 칼럼에 접속된 상기 회전 방지 계류삭은, 상기 제 1 칼럼 및 제 3 칼럼간을 접속하는 제 2 로워 헐의 축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2 칼럼 및 제 3 칼럼에 접속되는 회전 방지 계류삭이, 각각 제 1 로워 헐 및 제 2 로워 헐의 축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면, 제 1 칼럼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모멘트에 대해, 보다 안정적인 상태로 부체를 계류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에서는,
상기 제 2 칼럼 및 상기 제 3 칼럼에, 각각 복수의 계류삭이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2 칼럼 및 제 3 칼럼에, 각각 복수의 계류삭이 접속되어 있으면, 부체에 작용하는 표류력이나 회전 모멘트에 대해 보다 안정적으로 부체를 계류할 수 있음과 함께, 이들 복수의 계류삭 중 하나가 절단된 경우여도, 즉시 부체가 표류력이나 회전 모멘트에 의해 불안정하게는 되지 않아, 절단 리스크를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에서는,
상기 제 1 칼럼, 상기 제 2 칼럼 및 상기 제 3 칼럼의 각각의 측면에는, 접속되는 계류삭을 그 칼럼의 측면을 따라 연직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다.
부체와 앵커를 커티너리상으로 접속하는 계류삭은, 칼럼의 측면에 대해 비스듬하게 접속되지만, 이와 같은 가이드부가 칼럼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면, 계류삭을 칼럼의 측면을 따라 안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에서는,
상기 제 1 칼럼, 상기 제 2 칼럼 및 상기 제 3 칼럼의 각각의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부보다 상방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된 계류삭이 하방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칼럼의 측면으로부터 내뻗도록 형성되고, 상기 계류삭이 삽입 통과 가능한 구멍부가 상방으로 향해 점차 개구가 커지도록 형성된 돌출 부재와,
상기 구멍부에 계류삭이 삽입 통과된 상태로 상기 구멍부에 상방으로부터 끼워넣기 가능한 쐐기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스토퍼가 칼럼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면, 돌출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부에 쐐기 부재를 끼워넣는 것만의 간단한 구성으로, 계류삭이 하방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에서는,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칼럼의 측면과의 사이에 상기 계류삭을 끼우도록 배치되는 페어리드이다.
상기 서술한 가이드부로서 페어리드를 사용함으로써, 앵커로부터 칼럼의 측면을 향해 커티너리상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있는 계류삭을, 칼럼의 측면을 따라 연직 방향으로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에서는,
상기 계류삭은, 복수의 환상재가 연결된 사슬 형상을 이루며,
상기 페어리드는,
상기 칼럼의 측면으로부터 내뻗도록 형성된 1 쌍의 지지 부재와,
상기 1 쌍의 지지 부재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회전체의 외주 상에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환상재의 길이에 대응하는 피치로 복수의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볼록부에는 상기 환상재가 끼워 삽입 가능한 슬릿이 형성되고, 그 슬릿에 상기 환상재가 끼워 삽입됨으로써, 상기 계류삭이 상기 칼럼의 측면을 따라 연직 방향으로 안내된다.
상기 서술한 페어리드가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회전체의 외주 상에 형성되어 있는 볼록부의 슬릿에 환상재가 끼워 삽입됨으로써, 계류삭이 어긋나거나 하는 일 없이, 계류삭을 확실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에서는,
상기 제 1 칼럼, 상기 제 2 칼럼 및 상기 제 3 칼럼의 상면에, 상기 계류삭을 그 상면에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가압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가이드부에 의해 칼럼의 측면을 따라 안내된 계류삭을 칼럼의 상면에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에서는,
상기 제 1 칼럼, 상기 제 2 칼럼 및 상기 제 3 칼럼의 내부에는, 그 칼럼의 상면에 개구를 갖는 상기 계류삭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스페이스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수납 스페이스가 칼럼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면, 가압부에 의해 고정된 계류삭의 단부측의 잉여 부분을 수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에서는,
상기 부체의 내부에, 선박 평형수의 저류량을 조정 가능하게 구성된 저수 스페이스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저수 스페이스가 부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면, 저수 스페이스의 선박 평형수량을 조정함으로써 부체의 가라앉은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가 계류되는 장소의 주변 환경 등에 따라, 표류력이나 회전 모멘트에 대해 부체가 안정되는 바람직한 부체의 가라앉은 상태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에서는,
상기 부체 내부에 형성된 저수 스페이스는, 상기 로워 헐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서브 룸으로 분할되어 있고, 그 복수의 서브 룸은 각각이 선박 평형수를 주입 및 배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로워 헐의 길이 방향으로 분할되어 있는 각 서브 룸에 있어서 선박 평형수의 저류량을 적당히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부체의 중심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에서는,
상기 칼럼에 접속되는 측의 계류삭의 단부에는 로프가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계류삭의 단부에 로프가 접속되어 있으면, 가이드부를 통하여 계류삭을 칼럼의 측면을 따라 배치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계류삭의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는,
풍력 발전기와,
상기 풍력 발전기가 설치된 제 1 칼럼이 2 개의 로워 헐을 개재하여 제 2 칼럼 및 제 3 칼럼에 각각 접속됨으로써 형성된 부체와,
상기 부체와 수저에 고정된 앵커를 접속하는 복수의 계류삭을 구비한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의 계류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칼럼을 주풍향의 풍상측에, 상기 제 2 칼럼 및 상기 제 3 칼럼을 상기 제 1 칼럼보다 주풍향의 풍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부체를 배향하고,
상기 복수의 계류삭 중 적어도 2 개를 상기 제 1 칼럼에 커티너리상으로 접속하고,
상기 복수의 계류삭 중 적어도 1 개를 상기 제 2 칼럼에 커티너리상으로 접속하고,
상기 복수의 계류삭 중 적어도 1 개를 상기 제 3 칼럼에 커티너리상으로 접속하고,
상기 복수의 계류삭을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방사상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의 계류 방법에서는, 제 1 칼럼을 주풍향의 풍상측에 제 2 칼럼 및 제 3 칼럼을 제 1 칼럼보다 주풍향의 풍하측에 위치하도록 부체를 배향하고, 그 제 1 칼럼에 적어도 2 개의 계류삭을 접속하고, 그 제 2 칼럼 및 제 3 칼럼에, 각각 적어도 1 개의 계류삭을 접속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계류된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는, 제 1 칼럼에 접속하는 적어도 2 개의 계류삭에 의해 부체에 작용하는 표류력에 저항함과 함께, 제 2 칼럼 및 제 3 칼럼에 각각 접속하는 적어도 1 개의 계류삭에 의해 부체에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에 저항하는 구성이 되어, 표류력 및 회전 모멘트에 대해 안정적으로 부체가 계류된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의 계류 방법에서는,
상기 제 2 칼럼에 접속된 상기 적어도 1 개의 계류삭은, 상기 2 개의 로워 헐의 교점에 있어서의 이등분선과, 그 이등분선과 직교하고, 또한 상기 제 2 칼럼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으로 획정된 제 1 칼럼측의 영역으로 향해 연장하도록 접속되는 회전 방지 계류삭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칼럼에 접속된 상기 적어도 1 개의 계류삭은, 상기 2 개의 로워 헐의 교점에 있어서의 이등분선과, 그 이등분선과 직교하고, 또한 상기 제 3 칼럼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으로 획정된 제 1 칼럼측의 영역으로 향해 연장되는 회전 방지 계류삭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 2 칼럼 및 제 3 칼럼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계류삭이, 상기 서술한 영역으로 향해 연장되는 회전 방지 계류삭을 포함하고 있으면, 제 1 칼럼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모멘트에 대해, 안정적인 상태로 부체를 계류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의 계류 방법에서는,
상기 제 2 칼럼에 접속된 상기 회전 방지 계류삭은, 상기 제 1 칼럼 및 제 2 칼럼간을 접속하는 제 1 로워 헐의 축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접속되고,
상기 제 3 칼럼에 접속된 상기 회전 방지 계류삭은, 상기 제 1 칼럼 및 제 3 칼럼간을 접속하는 제 2 로워 헐의 축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접속된다.
이와 같이, 제 2 칼럼 및 제 3 칼럼에 접속되는 회전 방지 계류삭을, 각각 제 1 로워 헐 및 제 2 로워 헐의 축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접속하면, 제 1 칼럼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모멘트에 대해, 보다 안정적인 상태로 부체를 계류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의 계류 방법에서는,
상기 제 2 칼럼 및 상기 제 3 칼럼에, 각각 복수의 계류삭을 접속한다.
이와 같이, 제 2 칼럼 및 제 3 칼럼에, 각각 복수의 계류삭을 접속함으로써, 이들 복수의 계류삭 중 하나가 절단된 경우여도, 즉시 부체가 표류력이나 회전 모멘트에 의해 불안정하게는 되지 않아, 절단 리스크가 저감된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의 계류 방법에서는,
상기 부체에 상기 복수의 계류삭을 접속하기 전에,
상기 부체와는 다른 선박에 의해, 상기 복수의 계류삭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앵커를 수저의 소정 위치에 침강시키는 침강 공정과, 상기 복수의 계류삭을 각각 견인함으로써, 상기 침강시킨 앵커를 수저에 고정시키는 견인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부체에 계류삭을 접속하기 전에, 계류삭에 접속된 앵커를 부체와는 다른 선박에 의해 수저의 소정 위치에 침강시키고, 그 계류삭을 견인함으로써 침강시킨 앵커를 수저에 고정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부체 자체에 크레인을 탑재하지 않고도, 앵커를 수저의 소정 위치에 고정시켜, 부체와 앵커를 계류삭에 의해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져, 계류 작업의 효율화가 도모됨과 함께, 계류 작업에 드는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의 계류 방법에서는,
상기 견인 공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계류삭을 서로 연결하고, 그 연결한 복수의 계류삭을 통합하여 견인함으로써, 상기 침강시킨 복수의 앵커를 통합하여 수저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침강시킨 복수의 앵커를 통합하여 수저에 고정시킴으로써, 견인 작업의 횟수를 줄여, 계류 작업의 효율화와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의 계류 방법에서는,
상기 견인 공정에 있어서, 상기 계류삭을 견인하는 동력원의 출력 토크, 또는, 상기 견인되어 있는 계류삭의 장력에 기초하여, 상기 계류삭의 파주력(把駐力)을 측정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계류삭의 파주력을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앵커가 수저에 적절히 고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부체에 작용하는 표류력이나 회전 모멘트에 대해 안정적으로 부체를 계류할 수 있는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및 그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의 계류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가 해상에 계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를 측방에서 시인(視認)한 측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의 계류삭의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의 부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 는, 도 4 를 A-A 방향에서 시인한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5 의 a 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락 통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1 쌍의 돌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방파벽의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격납 룸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이드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이드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이드부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토퍼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B 는, 쐐기 부재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칼럼 상면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 는,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를 예항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는, 앵커를 수저의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형태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 배치 등은, 본 발명의 범위를 그것에만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고, 단순한 설명예에 불과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가 해상에 계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를 측방에서 시인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1) 는, 수면에 뜨는 부체 (20) 와, 부체 (20) 에 설치된 풍력 발전기 (10) 를 구비하고 있다.
풍력 발전기 (10) 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셀 (10a), 제 1 칼럼 (22a) 의 상면에 수직 형성되어 있는 타워 (10b), 및 나셀 (10a) 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블레이드 (10c) 를 구비하고 있다. 나셀 (10a) 은, 타워 (10b) 에 의해 타워 (10b) 의 축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풍향에 따라 블레이드 (10c) 를 풍상측으로 배향한다. 그리고, 바람을 받은 블레이드 (10c) 가 회전함으로써, 도시 생략된 발전기에 의해 발전이 실시된다.
부체 (20) 는,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가상 삼각형의 정점 위치에 배치된 사각 기둥상의 3 개의 칼럼 (22 (22a, 22b, 22c)) 을 구비함과 함께, 제 1 칼럼 (22a) 과 제 2 칼럼 (22b) 을 접속하는 장척상의 제 1 로워 헐 (24a), 및 제 1 칼럼 (22a) 과 제 3 칼럼 (22c) 을 접속하는 장척상의 제 2 로워 헐 (24b) 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3 개의 칼럼 (22) 과 2 개의 로워 헐 (24) 에 의해, 평면에서 보아 대략 V 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평면에서 보아 대략 V 자상의 한가운데에 위치하는 제 1 칼럼 (22a) 의 상면에는, 상기 서술한 풍력 발전기 (10) 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로워 헐 (24a) 과 제 2 로워 헐 (24b) 이 직각으로 교차됨과 함께, 제 1 로워 헐 (24a) 과 제 2 로워 헐 (24b) 의 교각의 이등분선에 대해 좌우 대칭을 이루는 가상 직각 이등변 삼각형의 정점 위치에, 상기 서술한 3 개의 칼럼 (22) 이 배치된다.
또, 특별히 도시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칼럼 (22b) 과 제 3 칼럼 (22c) 을 접속하는 제 3 로워 헐이 추가로 구비되어도 된다. 또, 제 1 로워 헐 (24a) 과 제 2 로워 헐 (24b) 이, 보강용의 대들보 부재에 의해 연결되어도 된다.
또, 부체 (20)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선박 평형수를 저류하는 저수 스페이스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저수 스페이스에 선박 평형수가 주수됨으로써,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워 헐 (24) 의 상면보다 상방에 흘수면 (WL) 이 위치한 상태로 수면에 계류된다.
또, 부체 (20) 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상면에 풍력 발전기 (10) 가 설치되어 있는 제 1 칼럼 (22a) 이 주풍향 (W) 에 대해 풍상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제 2 칼럼 (22b) 및 제 3 칼럼 (22c) 은, 제 1 칼럼 (22a) 보다 주풍향 (W) 의 풍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풍력 발전기 (10) 가 설치되어 있는 제 1 칼럼 (22a) 을 주풍향 (W) 의 풍상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함으로써, 풍하중을 받아 배면측으로 경도(傾倒)되려고 하는 풍력 발전기 (10) 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 부체 (20) 에는,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저 (E) 에 고정된 앵커 (32) 에 연결된 복수의 계류삭 (34) 이, 현수 곡선을 그리도록 커티너리상으로 접속되어 있다. 부체 (20) 는, 이들 앵커 (32) 및 계류삭 (34) 에 의해, 부체 (20) 에 작용하는 표류력이나 회전 모멘트에 저항하여 해상에 계류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의 계류삭의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칼럼 (22a) 에는 2 개의 계류삭 (34a, 34b) 이 접속된다. 그 2 개의 계류삭 (34a, 34b) 은, 각각 제 1 로워 헐 (24a) 및 제 2 로워 헐 (24b) 의 축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제 2 칼럼 (22b), 제 3 칼럼 (22c) 에는, 각각 3 개의 계류삭 (34c, 34d, 34e) 및 계류삭 (34f, 34g, 34h) 이 접속된다. 그리고, 부체 (20) 전체에서는 합계 8 개의 계류삭 (34a ∼ 34h) 이 접속되어 있다. 이들 8 개의 계류삭 (34) 의 각각은, 평면에서 보아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부체 (20) 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주풍향 (W) 의 풍상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칼럼 (22a) 에는, 적어도 2 개의 계류삭 (34) 이 접속되고, 주풍향 (W) 의 풍하측에 위치하는 제 2 칼럼 (22b), 및 제 3 칼럼 (22c) 에는, 각각 적어도 1 개의 계류삭 (34) 이 접속된다. 이와 같이 하면, 제 1 칼럼 (22a) 에 접속되는 적어도 2 개의 계류삭 (34) 이, 부체 (20) 에 작용하는 주풍향 (W) 의 방향의 표류력 (F) 에 저항함과 함께, 제 2 칼럼 (22b) 및 제 3 칼럼 (22c) 에 각각 접속하는 적어도 1 개의 계류삭 (34) 이, 부체 (20) 에 작용하는 그 밖의 방향의 표류력 (F′) 및 제 1 칼럼 (22a) 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모멘트 (M, M′) 에 대해 저항하는 구성이 되어, 부체 (20) 에 작용하는 표류력 (F, F′) 이나 회전 모멘트 (M, M′) 에 대해 부체 (20) 가 안정적으로 계류된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제 2 칼럼 (22b) 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계류삭 (34) 은, 제 1 로워 헐 (24a) 및 제 2 로워 헐 (24b) 의 교점에 있어서의 이등분선 (a) 과, 그 이등분선 (a) 과 직교하고, 또한 제 2 칼럼 (22b) 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 (b) 으로 획정된 제 1 칼럼 (22a) 측의 영역 (α) 으로 향해 연장되는 계류삭 (34c) (회전 방지 계류삭) 을 포함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서술한 제 3 칼럼 (22c) 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계류삭 (34) 은, 이등분선 (a) 과 직교하고, 또한 제 3 칼럼 (22c) 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 (c) 으로 획정된 제 1 칼럼 (22a) 측의 영역 (β) 으로 향해 연장되는 계류삭 (34h) (회전 방지 계류삭) 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제 2 칼럼 (22b) 및 제 3 칼럼 (22c) 에 접속되는 계류삭 (34) (회전 방지 계류삭) 이, 제 1 칼럼 (22a) 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모멘트 (M, M′) 에 대해 효과적으로 저항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점에서, 부체 (20) 가 안정적으로 계류된다.
또 이 때, 도 3 에 나타낸 계류삭 (34c) 및 계류삭 (34h) 과 같이, 상기 서술한 영역 (α) 및 영역 (β) 으로 향해 연장되는 계류삭 (34) (회전 방지 계류삭) 이, 제 1 로워 헐 (24a) 및 제 2 로워 헐 (24b) 의 축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면, 부체 (20) 가 제 1 칼럼 (22a) 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자 한 경우에, 그 회전력의 접선 방향에 대해 180 도 반대 방향으로 계류삭 (34) 이 연장되는 점에서, 회전 모멘트 (M, M′) 에 대해 보다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고, 부체 (20) 가 보다 안정적인 상태로 계류된다.
또 이 때,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칼럼 (22b) 및 제 3 칼럼 (22c) 에, 각각 복수의 계류삭 (34) 이 접속함으로써, 부체 (20) 에 작용하는 표류력 (F, F′) 이나 회전 모멘트 (M, M′) 에 대해 보다 안정적으로 부체 (20) 를 계류할 수 있음과 함께, 이들 복수의 계류삭 (34) 중 하나가 절단된 경우여도, 즉시 부체 (20) 가 표류력 (F, F′) 이나 회전 모멘트 (M, M′) 에 의해 불안정한 상태는 되지 않는다.
또 이 때,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2 칼럼 (22b) 및 제 3 칼럼 (22c) 에, 각각 복수의 계류삭 (34) 을 접속하는 경우에는, 로워 헐 (24) 의 축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계류삭 (34 (34c, 34h)) 외에, 로워 헐 (24) 의 축방향을 따라, 제 1 칼럼 (22a) 과는 반대측의 영역 (α′,β′) 으로 향해 연장되는 계류삭 (34 (34d, 34e, 34f, 34g)) 을 접속하면 된다. 이와 같은 계류삭 (34 (34d, 34e, 34f, 34g)) 을 제 2 칼럼 (22b) 및 제 3 칼럼 (22c) 에 접속하면, 특히 주풍향 (W) 과는 반대 방향의 표류력 (F′) 에 대해, 부체 (20) 가 안정적으로 계류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의 부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A-A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5 의 a 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6 의 B-B 단면도이다.
상기 서술한 칼럼 (22) 및 로워 헐 (24) 은, 그 단면 형상이 중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4 및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칼럼 (22) 및 로워 헐 (24) 의 내부에는, 선박 평형수를 저류하는 저수 스페이스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로워 헐 (24) 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저수 스페이스는, 로워 헐 (24)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서브 룸 (저수 룸) (26) 으로 분할된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로워 헐 (24a) 및 제 2 로워 헐 (24b) 의 내부에는, 각각 길이 방향으로 3 개의 서브 룸 (26a ∼ 26c 및 26d ∼ 26f) 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칼럼 (22c) 의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분할된 2 개의 서브 룸 (26i, 26h)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제 2 칼럼 (22b) 의 내부에도 동일하게 상하 방향으로 분할된 2 개의 서브 룸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칼럼 (22a) 의 내부에는, 저수 룸 (26g) 외에, 펌프실 (28)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펌프실 (28) 에는 펌프 (50) 가 배치되어 있다. 펌프 (50) 는, 토출관 (50a) 을 개재하여 저수 룸 (26) 의 각 서브 룸 (26) 과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펌프 (50) 를 구동함으로써, 각 서브 룸 (26) 에 저류되어 있는 선박 평형수를 각각 부체 (20) 의 외부에 배출함과 함께, 각 서브 룸 (26) 에 저류되어 있는 선박 평형수를 다른 서브 룸 (26) 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서브 룸 (26) 에는, 서브 룸 (26) 과 외부를 연통 또는 폐지하는 게이트 (52) 가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52) 는, 외부로부터 선박 평형수를 용이하게 주수할 수 있도록, 부체 (20) 가 침강하기 전의 흘수면보다 하측의 위치에 형성된다. 또, 각 서브 룸 (26) 에는, 그 상방의 위치에 공기 밸브 (53)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게이트 (52) 를 개방하면, 서브 룸 (26) 내의 공기가 공기 밸브 (53) 로부터 배출됨과 함께, 서브 룸 (26) 의 내부에 선박 평형수가 주수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펌프 (50), 토출관 (50a), 게이트 (52), 및 공기 밸브 (53) 에 의해, 저수 룸 (26) 전체 뿐만 아니고, 복수의 서브 룸 (26) 에 대해서도, 각각 선박 평형수를 주입 및 배출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선박 평형수의 저류량을 조정 가능한 저수 룸 (26) 이 부체 (20) 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선박 평형수량을 조정함으로써 부체 (20) 의 가라앉은 상태를 변경하여, 표류력 (F, F′) 이나 회전 모멘트 (M, M′) 에 대해 부체 (20) 가 안정되도록 적절히 부체 (20) 의 가라앉은 상태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저수 룸 (26) 가 로워 헐 (24)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서브 룸 (26) 으로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부체 (20) 의 내부에 있어서 선박 평형수가 일방향으로 크게 치우쳐 버려, 부체 (20) 의 중심 밸런스가 무너져 부체 (20) 가 크게 기울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복수의 서브 룸 (26) 에 대해 각각 선박 평형수를 주입 및 배출 가능하게 구성한 점에서, 각 서브 룸 (26) 의 선박 평형수량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부체의 중심 위치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로워 헐 (24) 이 완전히 수몰된 상태의 부체 (20) 는, 파랑 등의 외력이 작용하여 일단 자세가 기울면, 자연히 원래대로 돌아가는 것이 어렵다. 이 때문에, 로워 헐 (24) 내부의 저수 룸 (26) 을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서브 룸 (26) 으로 분할한 본 구성은, 부체 (20) 의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있어서 효과적이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워 (10b) 의 기부에 형성되어 있는 전기실 (60) 에, 부체 (20) 의 기울기를 검지하는 자세 검지 센서 (56), 및 상기 서술한 펌프 (50) 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58) 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자세 검지 센서 (56) 에 있어서 부체 (20) 에 소정 이상의 기울기를 검지하면, 펌프 (50) 가 작동하여, 부체 (20) 가 수평으로 돌아가도록 각 서브 룸 (26) 의 선박 평형수량이 자동적으로 제어되게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워 헐 (24) 의 내부에, 선박 평형수가 저류되는 서브 룸 (26) 과 수밀(水密)하게 구획된 연락 통로 (54) 가 형성되어 있다. 그 연락 통로 (54) 는, 파이프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이 연락 통로 (54) 에 의해, 서브 룸 (26) 에 선박 평형수가 저류되어 있는 경우에도, 칼럼 (22) 의 사이를 사람이나 물건이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도 4 및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칼럼 (22) 의 상면에는 표식등 (23) 이 형성되어 있고, 근처를 통과하는 선박 등에 대해, 본 시설의 존재를 알리게 하는 역할을 다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4 및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3 개의 칼럼 (22) 의 측면에, 칼럼 (22) 의 내부에 액세스하기 위한 엔트런스 (44) 가 형성되어 있다. 해상 등에 계류되어 있는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1) 에 사람이나 물건을 반송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선박 (40a) 이나 잠수정 (40b) 등에 의해 육지로부터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1) 까지 이동하여, 엔트런스 (44) 로부터 칼럼 (22) 의 내부로 액세스한다.
이 엔트런스 (44) 는, 칼럼 (22) 과 로워 헐 (24) 의 접속 지점의 상방의 위치에 형성된다. 로워 헐 (24) 의 상방은, 다른 지점과 비교해서 수면까지의 수심이 얕아, 파도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 이 때문에, 칼럼 (22) 의 측면에 있어서의 로워 헐 (24) 과의 접속 지점의 상방에 엔트런스 (44) 를 형성함으로써, 선박 (40a) 이나 잠수정 (40b) 에 의한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1) 에 대한 액세스가 용이해진다.
또, 상기 서술한 계류삭 (34) 은,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워 헐 (24) 과 교차하지 않고, 또한, 로워 헐 (24)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1) 의 엔트런스 (44) 에 액세스하는 선박 (40a) 이나 잠수정 (40b) 에 있어서, 액세스 상의 장해는 되지 않는다.
또, 도 5 및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트런스 (44) 의 상방 위치에 있어서의 칼럼 (22) 의 상면에는, 크레인 등의 매달기 장치 (42) 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매달기 장치 (42) 가 엔트런스 (44) 의 상방에 형성되어 있으면, 선박 (40a) 에 적재한 화물을 칼럼 (22) 의 내부로 반입하는 반입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5 및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워 헐 (24) 이 완전히 수몰된 상태의 흘수면 (WL) 보다 상방의 위치에, 엔트런스 (44a) 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흘수면 (WL) 보다 상방의 위치에 엔트런스 (44a) 를 형성함으로써, 선박 (40a) 에 의한 칼럼 (22) 의 내부에 대한 액세스가 용이해진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트런스 (44a) 가 형성되어 있는 칼럼 (22) 의 측면으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돌기부 (62, 62) 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1 쌍의 돌기부 (62, 62) 는, 그 사이에 칼럼 (22) 의 측면에 선수 선단부가 맞닿은 상태의 선박 (40a) 의 선수 부분이 수용되도록,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선박 (40a) 의 선수 부분에는, 예를 들어 고무 등의 탄성 부재 (41) 가 장착되어, 선수 부분을 보호하고 있다.
이와 같은 1 쌍의 돌기부 (62) 가 칼럼 (22) 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면, 선박 (40a) 을 추진시킨 상태로 돌기부 (62) 의 사이에 선수 부분을 돌입하여 접안(接岸)시킬 수 있기 때문에, 파랑 등에 의한 선박 (40a) 에의 영향이 경감되어, 엔트런스 (44a) 에 대한 액세스가 용이해진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체 (20) 의 엔트런스 (44a) 의 주위에, 방파벽 (64) 이 배치된다. 방파벽 (64) 은, 선박 (40a) 의 액세스의 장해가 되지 않도록 가동식으로 구성된다. 방파벽 (64) 은, 통상시는 선박 (40a) 의 액세스의 장해가 되지 않는 위치, 예를 들어 칼럼 (22) 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선박 (40a) 이 칼럼 (22) 의 측면에 접안되었을 때에, 엔트런스 (44a) 를 둘러싸도록 이동한다. 그리고, 파도에 의해 선박 (40a) 이 요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다한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5 및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워 헐 (24) 이 완전히 수몰된 상태의 흘수면 (WL) 보다 하방의 위치에, 엔트런스 (44b) 가 형성되어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엔트런스 (44b) 는,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수정 (40b) 이 수밀한 상태로 접속 가능한 해치로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엔트런스 (44b) 가 칼럼 (22) 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면, 잠수정 (40b) 이 잠항된 상태인 채 엔트런스 (44b) 에 액세스할 수 있다. 수중을 잠행하는 잠수정 (40b) 은 파랑의 영향 등을 그다지 받지 않기 때문에, 황천시에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1) 에 액세스하는 경우에 있어서 유리하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트런스 (44b) 가, 계류시의 흘수면 (WL) 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됨과 함께, 잠수정 (40b) 이 통과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칼럼 (22) 의 내부에는, 엔트런스 (44b) 를 통과한 잠수정 (40b) 을 격납 가능한 격납 룸 (70) 이 형성되어 있다.
격납 룸 (70) 은, 엔트런스 (44b) 에 의해 외부와 구획되는 제 1 룸 (72) 과, 제 1 룸 (72) 과 지수(止水) 게이트 (76) 에 의해 구획되는 제 2 룸 (74) 으로 구성되어 있다. 잠수정 (40b) 이 엔트런스 (44b) 를 통과하여 제 1 룸 (72) 에 들어가면, 엔트런스 (44b) 가 폐지된다. 그리고, 엔트런스 (44b) 를 폐지한 상태로 지수 게이트 (76) 가 개방됨으로써, 제 2 룸 (74) 에 형성되어 있는 풀에 잠수정 (40b) 이 진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격납 룸 (70) 이 칼럼 (22) 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면, 잠수정 (40b) 이 잠항된 상태인 채 엔트런스 (44b) 에 액세스할 수 있기 때문에, 황천시에 있어서 유리함과 함께, 격납 룸 (70) 에 잠수정 (40b) 의 전체를 격납할 수 있으므로, 많은 인원이나 화물 등을 간단하게 칼럼 (22) 의 내부에 반입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칼럼 (22a) 의 측면에, 계류삭 (34a, 34b) 을 제 1 칼럼 (22a) 의 측면을 따라 연직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 (80) 가 형성된다. 또, 가이드부 (80) 의 상방에는, 가이드부 (80) 에 의해 안내된 계류삭 (34a, 34b) 이 하방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90) 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 1 칼럼 (22a) 의 상면에는, 계류삭 (34a, 34b) 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부 (66) 가 형성된다. 이들 가이드부 (80), 스토퍼 (90), 및 가압부는, 3 개의 칼럼 (22) 에 각각 접속되는 각 계류삭 (34) 에 대응하여 각각 1 개씩 형성되어 있다.
도 11A ∼ 도 11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이드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A 는 측면도, 도 11B 는 정면도, 도 11C 는 상면도이다.
도 11A ∼ 도 11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이드부 (80) 는, 칼럼 (22) 의 측면과의 사이에 계류삭 (34) 을 끼우도록 배치되는 페어리드 (80a) 이다. 또, 계류삭 (34) 은, 복수의 환상재 (35) 가 종횡 차례로 연결된 사슬 형상을 이루고 있다.
페어리드 (80a) 는, 칼럼 (22) 의 측면으로부터 내뻗도록 형성된 1 쌍의 지지 부재 (82) 와, 1 쌍의 지지 부재 (82) 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체 (84) 를 구비하고 있다. 또, 회전체 (84) 의 외주 상에는, 환상재 (35) 의 길이에 대응하는 피치, 예를 들어 도 1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1 개 분리된 환상재 (35) 의 중심간 거리 (P) 에 대응하는 피치로, 복수의 볼록부 (86)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 (86) 에는, 도 11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아 중앙 부분에 슬릿 (86a) 이 형성되어 있고, 그 슬릿 (86a) 에 회전체 (84) 에 대해 종방향으로 배향되는 환상재 (35) 가 끼워 삽입된다. 또, 도 11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체 (84) 의 외주 상에 있어서 인접하는 볼록부 (86) 사이의 평탄부 (87) 에는, 회전체 (84) 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향되는 환상재 (35) 가 수용된다. 그리고, 볼록부 (86) 의 슬릿 (86a) 에 환상재 (35) 가 끼워 삽입됨으로써, 계류삭 (34) 이 칼럼 (22) 의 측면을 따라 연직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서술한 가이드부 (80) 로서 페어리드 (80a) 를 사용함으로써, 앵커 (32) 로부터 칼럼 (22) 의 측면을 향해 커티너리상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있는 계류삭 (34) 이, 칼럼 (22) 의 측면을 따라 연직 방향으로 원활하게 안내된다. 또, 페어리드 (80a) 의 회전체 (84) 의 외주 상에 형성되는 볼록부 (86) 의 슬릿 (86a) 에 환상재 (35) 가 끼워 삽입됨으로써, 계류삭 (34) 이 어긋나거나 하는 일 없이, 계류삭 (34) 이 확실하게 안내된다.
도 12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토퍼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 (90) 는, 칼럼 (22) 의 측면으로부터 내뻗도록 형성된 돌출 부재 (92) 와, 쐐기 형상을 이룬 쐐기 부재 (96a, 96b) 를 포함하고 있다.
또, 도 12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 부재 (92) 에는, 상방으로 향해 점차 개구가 커지는 구멍부 (94) 가 형성되어 있고, 구멍부 (94) 에는 계류삭 (34) 이 삽입 통과되어 있다. 그리고, 구멍부 (94) 에 계류삭 (34) 이 삽입 통과된 상태에서, 쐐기 부재 (96a, 96b) 를 구멍부 (94) 의 상방으로부터 끼워넣음으로써, 소위 쐐기 효과에 의해, 쐐기 부재 (96a, 96b) 와 계류삭 (34) 의 마찰력에 의해 계류삭 (34) 이 고정되어, 계류삭 (34) 의 하방으로의 낙하가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쐐기 부재 (96) 로서 도 12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멍부 (94) 에 대해 상방으로부터 끼워넣기 가능하게 형성된 형상을 갖는 볼형 부재를 2 분할한 쐐기 부재 (96a, 96b) 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칼럼 상면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칼럼 (22) 의 상면에는, 칼럼 (22) 의 상면과의 사이에 계류삭 (34) 을 끼운 상태로, 볼트 (66a) 에 의해 칼럼 (22) 의 상면에 체결되는 가압부 (66)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가압부 (66) 에 의해, 계류삭 (34) 이 칼럼 (22) 의 상면에 대해 소정의 가압력 (F) 으로 가압된다. 이와 같은 가압부 (66) 가 형성되어 있으면, 칼럼 (22) 의 측면을 따라 안내된 계류삭 (34) 이 칼럼 (22) 의 상면에 고정되기 때문에, 계류삭 (34) 의 단부가 자유롭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1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칼럼 (22) 의 내부에는, 계류삭 (34) 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스페이스 (68) 가 형성되어 있다. 수납 스페이스 (68) 는, 그 개구가 칼럼 (22) 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고, 가압부 (66) 로 고정된 계류삭 (34) 의 단부측의 잉여 부분을 수납한다.
또, 계류삭 (34) 의 칼럼에 접속되는 측의 단부에는 로프 (67) 가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계류삭 (34) 의 단부에 로프 (67) 가 접속되어 있으면, 가이드부 (80) 를 통하여 계류삭 (34) 을 칼럼 (22) 의 측면을 따라 배치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계류삭 (34) 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1) 의 계류 방법에 대해, 도 14 ∼ 도 16 을 기초로 설명한다. 도 14 는,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를 예항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는, 앵커를 수저의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 은, 계류삭과 부체를 접속하는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1) 의 계류 방법에서는, 육상 또는 접안된 상태로 부체 (20) 가 조립되고, 그 위에 풍력 발전기 (10) 가 설치된다. 그리고, 도 1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4 척의 예항선 (15) 에 의해, 해상의 계류 예정 지점까지 예항된다.
또, 도 15 의 (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체 (20) 와는 다른 선박, 예를 들어 크레인선 (16) 에 의해, 상기 서술한 계류삭 (34) 에 접속된 앵커 (32) 를 수저의 소정 위치에 침강시킨다 (침강 공정). 그리고, 도 15 의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레인선 (16) 에 의해 계류삭 (34) 을 견인하고, 침강시킨 앵커 (32) 를 수저에 고정시킨다 (견인 공정).
이 견인 공정에 있어서, 계류삭 (34) 을 견인하는 동력원의 출력 토크, 또는, 견인되고 있는 계류삭 (34) 의 장력에 기초하여, 계류삭 (34) 의 파주력(把駐力)을 측정함으로써, 계류삭 (34) 의 파주력을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고, 앵커 (32) 가 수저에 적절히 고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술한 침강 공정 및 견인 공정을, 복수의 계류삭 (34) 에 대해 각각 반복함으로써, 복수의 계류삭 (34) 의 앵커 (32) 를 수저의 소정 위치에 고정시킨다. 이 때, 복수의 계류삭 (34) 을 서로 연결하고, 연결한 복수의 계류삭 (34) 을 크레인선 (16) 으로 통합하여 견인함으로써, 침강시킨 복수의 앵커 (32) 를 통합하여 수저에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견인 작업의 횟수를 줄여, 계류 작업의 효율화와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크레인선 (16) 에 의해 앵커 (32) 를 수저에 고정시킨 후에는, 계류삭 (34) 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로프 (67) 를 부표에 연결하고, 그 부표를 계류 예정 지점에 띄워 둔다. 그리고, 계류 예정 지점까지 예항한 부체 (20) 로부터 부표에 연결되어 있는 계류삭 (34) 을 회수하고, 회수한 계류삭 (34) 을 칼럼 (22) 에 상기 서술한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부체 (20) 의 내부의 저수 스페이스에 선박 평형수를 주수함으로써, 로워 헐 (24) 의 상면보다 상방에 흘수면 (WL) 이 위치한 상태로,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1) 가 해상 등에 계류된다.
이와 같은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1) 의 계류 방법에 의하면, 부체 (20) 자체에 크레인을 탑재하지 않고도, 앵커 (32) 를 수저의 소정 위치에 고정시켜, 부체 (20) 와 앵커 (32) 를 계류삭 (34) 에 의해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져, 계류 작업의 효율화가 도모됨과 함께, 계류 작업에 드는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의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는, 해상 등에 설치되는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및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의 계류 방법으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1 :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10 : 풍력 발전기
10a : 나셀
10b : 타워
10c : 블레이드
15 : 예항선
16 : 크레인선
20 : 부체
22 : 칼럼
23 : 표식등
24 : 로워 헐
26 : 저수 룸
28 : 펌프실
32 : 앵커
34 : 계류삭
35 : 환상재
40a : 선박
40b : 잠수정
41 : 탄성 부재
42 : 매달기 장치
44 : 엔트런스
50 : 펌프
50a : 토출관
52 : 게이트
53 : 공기 밸브
54 : 연락 통로
56 : 자세 검지 센서
58 : 제어 장치
60 : 전기실
62 : 돌기부
64 : 방파벽
66 : 가압부
67 : 로프
68 : 수납 스페이스
70 : 격납 룸
72 : 제 1 룸
74 : 제 2 룸
76 : 지수 게이트
80 : 가이드부
80a : 페어리드
82 : 지지 부재
84 : 회전체
86 : 볼록부
86a : 슬릿
87 : 평탄부
90 : 스토퍼
92 : 돌출 부재
94 : 구멍부
96 : 쐐기 부재

Claims (22)

  1. 풍력 발전기와,
    주풍향의 풍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풍력 발전기가 설치된 제 1 칼럼과, 그 제 1 칼럼보다 주풍향의 풍하측에 위치한, 상기 풍력 발전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제 2 칼럼 및 제 3 칼럼과, 상기 제 1 칼럼 및 제 2 칼럼간, 그리고, 상기 제 1 칼럼 및 제 3 칼럼간을 각각 접속하는 2 개의 로워 헐을 포함하여 형성된 부체와,
    상기 부체와 수저에 고정된 앵커를 커티너리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계류삭을 구비한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계류삭 중 적어도 2 개는 상기 제 1 칼럼에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계류삭 중 적어도 1 개는 상기 제 2 칼럼에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계류삭 중 적어도 1 개는 상기 제 3 칼럼에 접속됨과 함께,
    상기 복수의 계류삭의 각각은, 평면에서 보아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상기 부체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하여 배치됨과 함께, 상기 제 1 칼럼에 접속되는 적어도 2 개의 계류삭은, 상기 제 1 칼럼으로부터 상기 주풍향의 풍상측으로 향해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칼럼에 접속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계류삭은, 상기 2 개의 로워 헐의 교점에 있어서의 이등분선과, 그 이등분선과 직교하고, 또한 상기 제 2 칼럼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으로 획정된 제 1 칼럼측의 영역으로 향해 연장되는 회전 방지 계류삭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칼럼에 접속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계류삭은, 상기 2 개의 로워 헐의 교점에 있어서의 이등분선과, 그 이등분선과 직교하고, 또한 상기 제 3 칼럼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으로 획정된 제 1 칼럼측의 영역으로 향해 연장되는 회전 방지 계류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칼럼에 접속된 상기 회전 방지 계류삭은, 상기 제 1 칼럼 및 제 2 칼럼간을 접속하는 제 1 로워 헐의 축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3 칼럼에 접속된 상기 회전 방지 계류삭은, 상기 제 1 칼럼 및 제 3 칼럼간을 접속하는 제 2 로워 헐의 축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칼럼 및 상기 제 3 칼럼에는, 각각 복수의 계류삭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칼럼, 상기 제 2 칼럼 및 상기 제 3 칼럼의 각각의 측면에는, 접속되는 계류삭을 그 칼럼의 측면을 따라 연직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칼럼, 상기 제 2 칼럼 및 상기 제 3 칼럼의 각각의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부보다 상방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된 계류삭이 하방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칼럼의 측면으로부터 내뻗도록 형성되고, 상기 계류삭이 삽입 통과 가능한 구멍부가 상방으로 향해 점차 개구가 커지도록 형성된 돌출 부재와,
    상기 구멍부에 계류삭이 삽입 통과된 상태로 상기 구멍부에 상방으로부터 끼워넣기 가능한 쐐기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칼럼의 측면과의 사이에 상기 계류삭을 끼우도록 배치되는 페어리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삭은, 복수의 환상재가 연결된 사슬 형상을 이루며,
    상기 페어리드는,
    상기 칼럼의 측면으로부터 내뻗도록 형성된 1 쌍의 지지 부재와,
    상기 1 쌍의 지지 부재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회전체의 외주 상에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환상재의 길이에 대응하는 피치로 복수의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의 볼록부에는 상기 환상재가 끼워 삽입 가능한 슬릿이 형성되고, 그 슬릿에 상기 환상재가 끼워 삽입됨으로써, 상기 계류삭이 상기 칼럼의 측면을 따라 연직 방향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칼럼, 상기 제 2 칼럼 및 상기 제 3 칼럼의 상면에는, 상기 계류삭을 그 상면에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칼럼, 상기 제 2 칼럼 및 상기 제 3 칼럼의 내부에는, 그 칼럼의 상면에 개구를 갖는 상기 계류삭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스페이스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체의 내부에는, 선박 평형수의 저류량을 조정 가능하게 구성된 저수 스페이스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체 내부에 형성된 저수 스페이스는, 상기 로워 헐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서브 룸으로 분할되어 있고, 그 복수의 서브 룸은 각각이 선박 평형수를 주입 및 배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에 접속되는 측의 계류삭의 단부에는 로프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14. 풍력 발전기와,
    주풍향의 풍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풍력 발전기가 설치된 제 1 칼럼과, 그 제 1 칼럼보다 주풍향의 풍하측에 위치한 제 2 칼럼 및 제 3 칼럼과, 상기 제 1 칼럼 및 제 2 칼럼간, 그리고, 상기 제 1 칼럼 및 제 3 칼럼간을 각각 접속하는 2 개의 로워 헐을 포함하여 형성된 부체와,
    상기 부체와 수저에 고정된 앵커를 커티너리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계류삭을 구비한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계류삭 중 적어도 2 개는 상기 제 1 칼럼에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계류삭 중 적어도 1 개는 상기 제 2 칼럼에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계류삭 중 적어도 1 개는 상기 제 3 칼럼에 접속됨과 함께,
    상기 복수의 계류삭의 각각은, 평면에서 보아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상기 부체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하여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 2 칼럼에 접속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계류삭은, 상기 2 개의 로워 헐의 교점에 있어서의 이등분선과, 그 이등분선과 직교하고, 또한 상기 제 2 칼럼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으로 획정된 제 1 칼럼측의 영역으로 향해 연장되는 회전 방지 계류삭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칼럼에 접속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계류삭은, 상기 2 개의 로워 헐의 교점에 있어서의 이등분선과, 그 이등분선과 직교하고, 또한 상기 제 3 칼럼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으로 획정된 제 1 칼럼측의 영역으로 향해 연장되는 회전 방지 계류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15. 풍력 발전기와,
    상기 풍력 발전기가 설치된 제 1 칼럼이 2 개의 로워 헐을 개재하여, 상기 풍력 발전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제 2 칼럼 및 제 3 칼럼에 각각 접속됨으로써 형성된 부체와,
    상기 부체와 수저에 고정된 앵커를 접속하는 복수의 계류삭을 구비한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의 계류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칼럼을 주풍향의 풍상측에, 상기 제 2 칼럼 및 상기 제 3 칼럼을 상기 제 1 칼럼보다 주풍향의 풍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부체를 배향하고,
    상기 복수의 계류삭 중 적어도 2 개를 상기 제 1 칼럼에 커티너리상으로 접속하고,
    상기 복수의 계류삭 중 적어도 1 개를 상기 제 2 칼럼에 커티너리상으로 접속하고,
    상기 복수의 계류삭 중 적어도 1 개를 상기 제 3 칼럼에 커티너리상으로 접속하고,
    상기 복수의 계류삭을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방사상으로 배치함과 함께, 상기 제 1 칼럼에 접속되는 적어도 2 개의 계류삭을, 상기 제 1 칼럼으로부터 상기 주풍향의 풍상측으로 향해 연장되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의 계류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칼럼에 접속된 상기 적어도 1 개의 계류삭은, 상기 2 개의 로워 헐의 교점에 있어서의 이등분선과, 그 이등분선과 직교하고, 또한 상기 제 2 칼럼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으로 획정된 제 1 칼럼측의 영역으로 향해 연장하도록 접속되는 회전 방지 계류삭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칼럼에 접속된 상기 적어도 1 개의 계류삭은, 상기 2 개의 로워 헐의 교점에 있어서의 이등분선과, 그 이등분선과 직교하고, 또한 상기 제 3 칼럼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으로 획정된 제 1 칼럼측의 영역으로 향해 연장되는 회전 방지 계류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의 계류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칼럼에 접속된 상기 회전 방지 계류삭은, 상기 제 1 칼럼 및 제 2 칼럼간을 접속하는 제 1 로워 헐의 축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접속되고,
    상기 제 3 칼럼에 접속된 상기 회전 방지 계류삭은, 상기 제 1 칼럼 및 제 3 칼럼간을 접속하는 제 2 로워 헐의 축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의 계류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칼럼 및 상기 제 3 칼럼에, 각각 복수의 계류삭을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의 계류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부체에 상기 복수의 계류삭을 접속하기 전에,
    상기 부체와는 다른 선박에 의해, 상기 복수의 계류삭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앵커를 수저의 소정 위치에 침강시키는 침강 공정과, 상기 복수의 계류삭을 각각 견인함으로써, 상기 침강시킨 앵커를 수저에 고정시키는 견인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의 계류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공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계류삭을 서로 연결하고, 그 연결한 복수의 계류삭을 통합하여 견인함으로써, 상기 침강시킨 복수의 앵커를 통합하여 수저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의 계류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공정에 있어서, 상기 계류삭을 견인하는 동력원의 출력 토크, 또는, 상기 견인되고 있는 계류삭의 장력에 기초하여, 상기 계류삭의 파주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의 계류 방법.
  22. 풍력 발전기와,
    상기 풍력 발전기가 설치된 제 1 칼럼이 2 개의 로워 헐을 개재하여 제 2 칼럼 및 제 3 칼럼에 각각 접속됨으로써 형성된 부체와,
    상기 부체와 수저에 고정된 앵커를 접속하는 복수의 계류삭을 구비한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의 계류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칼럼을 주풍향의 풍상측에, 상기 제 2 칼럼 및 상기 제 3 칼럼을 상기 제 1 칼럼보다 주풍향의 풍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부체를 배향하고,
    상기 복수의 계류삭 중 적어도 2 개를 상기 제 1 칼럼에 커티너리상으로 접속하고,
    상기 복수의 계류삭 중 적어도 1 개를 상기 제 2 칼럼에 커티너리상으로 접속하고,
    상기 복수의 계류삭 중 적어도 1 개를 상기 제 3 칼럼에 커티너리상으로 접속하고,
    상기 복수의 계류삭을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방사상으로 배치함과 함께,
    상기 제 2 칼럼에 접속된 상기 적어도 1 개의 계류삭은, 상기 2 개의 로워 헐의 교점에 있어서의 이등분선과, 그 이등분선과 직교하고, 또한 상기 제 2 칼럼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으로 획정된 제 1 칼럼측의 영역으로 향해 연장하도록 접속되는 회전 방지 계류삭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칼럼에 접속된 상기 적어도 1 개의 계류삭은, 상기 2 개의 로워 헐의 교점에 있어서의 이등분선과, 그 이등분선과 직교하고, 또한 상기 제 3 칼럼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으로 획정된 제 1 칼럼측의 영역으로 향해 연장되는 회전 방지 계류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의 계류 방법.
KR1020147018374A 2011-12-05 2012-08-10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및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의 계류 방법 KR1015771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65667 2011-12-05
JP2011265667 2011-12-05
JP2011265666 2011-12-05
JPJP-P-2011-265666 2011-12-05
PCT/JP2012/070493 WO2013084545A1 (ja) 2011-12-05 2012-08-10 浮体式風力発電装置および浮体式風力発電装置の係留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518A KR20140105518A (ko) 2014-09-01
KR101577157B1 true KR101577157B1 (ko) 2015-12-11

Family

ID=4857393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8375A KR101592130B1 (ko) 2011-12-05 2012-08-10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KR1020147018374A KR101577157B1 (ko) 2011-12-05 2012-08-10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및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의 계류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8375A KR101592130B1 (ko) 2011-12-05 2012-08-10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2) EP2789850B1 (ko)
JP (1) JP5762565B2 (ko)
KR (2) KR101592130B1 (ko)
CN (2) CN104066979B (ko)
ES (2) ES2599808T3 (ko)
PT (2) PT2789850T (ko)
WO (5) WO20130845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3626A (ko) * 2018-09-20 2020-03-30 세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부유식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설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334535B1 (no) * 2012-08-23 2014-03-31 Olav Olsen As Dr Techn Flytende, halvt nedsenkbart skrog for opplagring av fortrinnsvis én eller flere vindturbiner
JP6320738B2 (ja) * 2013-12-06 2018-05-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風力発電設備および風力発電設備の保守方法
CA2938975C (en) 2014-02-06 2023-05-23 University Of Maine System Board Of Trustees Method of assembling a floating wind turbine platform
ES2555500B1 (es) * 2014-05-27 2016-12-13 Sea Wind Towers Sl Obra flotante y procedimiento de instalación de la misma
CN104481813B (zh) * 2014-12-05 2017-05-31 佛山市榕岸海洋工程装备有限公司 一种海上避雷风力发电机及其制造方法
DK3286071T3 (da) * 2015-04-20 2021-04-12 Univ Maine System Skrog til en flydende vindturbineplatform
CN104977937B (zh) * 2015-06-12 2018-05-11 海门黄海创业园服务有限公司 一种浮动码头的自动稳定控制系统
JP7014498B2 (ja) * 2015-06-26 2022-02-01 シングル ブイ ムーリ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浮遊式風力タービン組立体、ならびにそのような浮遊式風力タービン組立体を係留するための方法
JP6290945B2 (ja) * 2016-01-28 2018-03-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浮体式風力発電装置及びその操作又はメンテナンス方法
GB2547216B (en) * 2016-02-10 2021-02-24 Flinstone Tech Ltd Improved chain stopper
ES2644169B1 (es) * 2016-05-26 2018-09-11 Iberdrola Renovables Energía, S.A.U. Plataforma semisumergible para aerogeneradores marinos
DE102016110290B4 (de) * 2016-06-03 2021-11-25 Aerodyn Consulting Singapore Pte Ltd Schwimmende Windenergieanlage mit einer Mehrzahl von Energiewandlungseinheiten
JP6820698B2 (ja) * 2016-09-09 2021-01-27 清水建設株式会社 係留索の継ぎ足し方法、浮体構造物の係留方法および浮体式洋上風力発電施設の施工方法
JP6820697B2 (ja) * 2016-09-09 2021-01-27 清水建設株式会社 浮体構造物の係留方法および浮体式洋上風力発電施設の施工方法
FR3065706B1 (fr) * 2017-04-27 2019-06-28 Dcns Energies Flotteur semi-submersible notamment d'eolienne
CN107061174B (zh) * 2017-06-23 2019-01-15 嘉兴钛胺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分离功能的海上风力发电机
JP6983640B2 (ja) * 2017-12-04 2021-12-17 三菱造船株式会社 浮体、浮体係留装置および浮体係留方法
JP6949690B2 (ja) * 2017-12-04 2021-10-13 日鉄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浮体係留方法および浮体
CN108252263A (zh) 2018-03-06 2018-07-06 大连理工大学 一种用于深海养殖的浮式防波提和风能集成系统
CN108725700B (zh) * 2018-07-18 2024-03-22 交通运输部天津水运工程科学研究所 收纳式弹性绑索链条
DE102018117647A1 (de) * 2018-07-20 2020-01-23 Aerodyn Consulting Singapore Pte Ltd Single-Point-Mooring-Windenergieanlage
JP7116621B2 (ja) * 2018-08-07 2022-08-10 五洋建設株式会社 緊張係留式浮体構造物の撤去方法
DE102019103305A1 (de) * 2019-02-11 2020-08-13 Innogy Se Ankerseilsystem für eine Offshore-Vorrichtung
FR3093700B1 (fr) * 2019-03-11 2021-02-26 Naval Energies Flotteur d’éolienne semi-submersible, ensemble d’éolienne et procédé de remorquage associés
CN110886684B (zh) * 2019-10-31 2021-08-13 中国能源建设集团广东省电力设计研究院有限公司 海上发电装置及方法
JP2023523500A (ja) * 2020-02-04 2023-06-06 シングル・ブイ・ムーリ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風力海洋水生成設備及びそのような設備を製造する方法
WO2021158209A1 (en) * 2020-02-04 2021-08-12 Sbm-Imodco, Inc. Wind powered offshore water production fac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facility
KR102323429B1 (ko) * 2020-03-17 2021-11-09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다이나믹 케이블을 고정하는 부유식 풍력발전 시스템
WO2022004690A1 (ja) * 2020-06-30 2022-01-06 三菱造船株式会社 洋上風車の浮体
JP7365298B2 (ja) 2020-07-13 2023-10-19 日立造船株式会社 係留システムの設置方法および係留用浮体の設置方法
GB2597761B (en) * 2020-08-04 2022-11-16 Equinor Energy As Mooring system for floating wind turbine
NO346590B1 (en) 2020-09-18 2022-10-17 Fred Olsen Ocean Ltd Wind turbine with floating foundation
EP4059826A1 (en) * 2021-03-19 2022-09-21 Siemens Gamesa Renewable Energy A/S Safety system for offshore wind turbine supported by a floating foundation
AU2021470535A1 (en) * 2021-10-19 2024-04-18 Global Energy Harvest Co. Power generation system
GB2618784A (en) * 2022-05-13 2023-11-22 Equinor Energy As Asymmetric floating wind turbine installation
CN116853426B (zh) * 2023-08-31 2023-12-08 山东省科学院海洋仪器仪表研究所 一种高稳定性深海浮标平台及其摇摆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1671A (ja) * 1995-07-21 2000-02-15 ブルパット リミテッド 投錨装置及び投錨方法
WO2011137903A2 (en) * 2010-05-05 2011-11-10 Stephan Moellgaard Henriksen Semi-submerged multiple wind-turbin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07991A (en) * 1980-12-23 1982-07-05 Toshiba Corp Oceanic structure
GB2122138B (en) * 1982-04-27 1985-10-16 Hydro Betong Ab Buoyant plant especially for the off-shore manufacturing of concrete structures
JPS59174992U (ja) * 1983-05-12 1984-11-22 五洋建設株式会社 海洋構造物の係留用中間ブイ
JPS6148758A (ja) * 1984-08-17 1986-03-10 Nippon Steel Corp 海洋浮遊構造物係留用平行線ケ−ブルの破断素線検知法
JPS61139588A (ja) * 1984-12-07 1986-06-26 Mitsubishi Heavy Ind Ltd 屈曲コラム式半潜水型海洋構造物
JPH01145897U (ko) * 1988-03-31 1989-10-06
JP2770449B2 (ja) 1989-07-26 1998-07-02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風力発電装置
JPH09309486A (ja) * 1996-05-22 1997-12-02 Kayaba Ind Co Ltd スライドハッチ装置
JP3995170B2 (ja) * 1997-06-09 2007-10-24 独立行政法人海洋研究開発機構 海中観測係留系の係留状況監視装置
JP2000108984A (ja) * 1998-10-06 2000-04-18 Mitsubishi Heavy Ind Ltd 浮体係留装置
JP2001165032A (ja) 1999-12-07 2001-06-19 Mitsubishi Heavy Ind Ltd 風力発電装置
JP4358456B2 (ja) * 2000-05-16 2009-11-0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浮体の動揺低減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浮体
JP4743953B2 (ja) 2000-12-18 2011-08-10 三井造船株式会社 浮体式風力発電装置及びその設置方法
JP2003034289A (ja) * 2001-07-19 2003-02-04 Mitsubishi Heavy Ind Ltd 揺れ低減化浮体
JP2004019470A (ja) * 2002-06-12 2004-01-22 Mitsubishi Heavy Ind Ltd 浮体式大型風力発電装置
JP2004058691A (ja) * 2002-07-24 2004-02-26 Mitsubishi Heavy Ind Ltd 浮体の動揺低減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浮体
JP4210540B2 (ja) * 2003-03-27 2009-01-21 株式会社荏原製作所 ブレードのメンテナンスが容易な風車及び風力発電装置
JP4844915B2 (ja) * 2005-04-21 2011-12-28 清水建設株式会社 浮体構造
JP4720279B2 (ja) * 2005-04-28 2011-07-13 横浜ゴム株式会社 可撓性ブイ
NO20052704L (no) * 2005-06-06 2006-12-07 Norsk Hydro As Flytende vindturbininstallasjon.
JP4848215B2 (ja) * 2006-07-07 2011-12-28 日本海洋掘削株式会社 浮体式構造物の補助浮力体及び浮体式構造物の改造方法
NO327871B1 (no) * 2007-11-19 2009-10-12 Windsea As Flytende vindkraftanordning
PT2727813T (pt) 2008-04-23 2017-10-26 Principle Power Inc Resumo
EP2143629B1 (en) * 2008-07-08 2013-04-24 Siemens Aktiengesellschaft Arrangement for stabilization of a floating foundation
DK2382389T3 (da) * 2008-12-18 2013-11-11 Single Buoy Moorings Flytbare offshore vindturbiner med forinstalleret fortøjningssystem
EP2221474A1 (en) * 2009-02-20 2010-08-25 XEMC Darwind B.V. Offshore wind park
US8118552B2 (en) * 2009-10-06 2012-02-21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manipulating a component of a wind turbine
MY163431A (en) * 2009-12-07 2017-09-15 Hexicon Ab Floating energy producing pla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1671A (ja) * 1995-07-21 2000-02-15 ブルパット リミテッド 投錨装置及び投錨方法
WO2011137903A2 (en) * 2010-05-05 2011-11-10 Stephan Moellgaard Henriksen Semi-submerged multiple wind-turbine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3626A (ko) * 2018-09-20 2020-03-30 세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부유식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설치장치
KR102095210B1 (ko) 2018-09-20 2020-03-31 세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부유식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설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84546A1 (ja) 2013-06-13
PT2789848T (pt) 2017-01-02
WO2013084633A1 (ja) 2013-06-13
EP2789848A1 (en) 2014-10-15
CN104066980A (zh) 2014-09-24
WO2013084545A1 (ja) 2013-06-13
ES2599837T3 (es) 2017-02-03
JPWO2013084818A1 (ja) 2015-04-27
EP2789850B1 (en) 2016-09-28
WO2013084878A1 (ja) 2013-06-13
EP2789850A1 (en) 2014-10-15
KR101592130B1 (ko) 2016-02-05
CN104066979A (zh) 2014-09-24
CN104066980B (zh) 2017-02-22
PT2789850T (pt) 2017-01-02
EP2789848B1 (en) 2016-09-28
WO2013084818A1 (ja) 2013-06-13
EP2789848A4 (en) 2015-11-04
CN104066979B (zh) 2017-04-05
JP5762565B2 (ja) 2015-08-12
ES2599808T3 (es) 2017-02-03
KR20140105518A (ko) 2014-09-01
KR20140105519A (ko) 2014-09-01
EP2789850A4 (en) 2015-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7157B1 (ko)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및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의 계류 방법
KR102317990B1 (ko) 해상 풍력 터빈 용 플로트 지지 구조물 및 이와 같은 지지 구조물을 구비한 풍력 터빈을 설치하기 위한 방법
CN106164482B (zh) 包括浮动基座的浮动式顺风涡轮机和用于安装这样的风力涡轮机的方法
US9822767B2 (en) Floating-body type wind turbine power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transporting components of the same
EP2905217B1 (en) Vessel for transporting and installing a floating platform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nd installing such a platform
ES2444436T3 (es) Barco y procedimiento para transportar y colocar estructuras offshore
EP2789847B1 (en) Floating type wind turbine generation apparatus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EP1150881B1 (en) Working ship
ES2785674T3 (es) Estructura base de lecho marino y método para la instalación de la misma
US11519388B2 (en) Semi-submersible type floating substructure and wind turbine offshore installation method using semi-submersible type floating substructure
EP3142762B1 (en) System for forming an artificial wave
WO2014205603A1 (en) Platform for tidal turbines
EP3078846B1 (en) Wind turbine parts handling method and device
KR101415488B1 (ko) 부유식 발전설비의 해상 정박장치
JPH0656076A (ja) 海底ケーブル敷設工法及びその敷設作業船
JP5738431B2 (ja) 浮体式風力発電装置および浮体式風力発電装置の係留方法
JP5748865B2 (ja) 浮体式風力発電装置
NL2033898B1 (en) A method and system of installing a floating foundation, assembly of floating foundation and ballasting frame, and ballasting frame
KR20120053984A (ko) 수력 터빈 엔진을 침강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WO2023156474A1 (en) A method and system of installing a floating foundation, assembly of floating foundation and ballasting frame, and ballasting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