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0582B1 - 선박 접안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접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0582B1
KR101760582B1 KR1020150188830A KR20150188830A KR101760582B1 KR 101760582 B1 KR101760582 B1 KR 101760582B1 KR 1020150188830 A KR1020150188830 A KR 1020150188830A KR 20150188830 A KR20150188830 A KR 20150188830A KR 101760582 B1 KR101760582 B1 KR 101760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platform
platforms
guiding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8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8375A (ko
Inventor
장영창
Original Assignee
장영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창 filed Critical 장영창
Priority to KR1020150188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0582B1/ko
Publication of KR20170078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6Fe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을 정확한 위치에 안전하고 신속하게 접안시키기 위한 선박 접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박 접안 장치는, 접안하는 상기 선박의 양측에 나란히 구비되는 한 쌍의 플랫폼; 상기 한 쌍의 플랫폼의 후방에 구비되고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그 폭이 확대되는 한 쌍의 유도부; 상기 양 플랫폼에 구비되어 상기 선박의 양측을 수평방향으로 지지함으로써, 상기 선박이 상기 플랫폼에 나란히 접안되게 유도하고 또한 상기 플랫폼과의 충격을 완화하는 수평완충부; 상기 양 유도부에 구비되어 상기 선박의 양측을 수평방향으로 지지함으로써, 상기 선박이 상기 플랫폼 사이로 잘 진입하도록 유도하고 또한 상기 유도부와의 충격을 완화하는 유도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양 플랫폼에 구비되어 상기 선박의 양측에 구비된 레일을 하측방향으로 지지함으로써, 상기 선박이 상기 플랫폼에 일정한 높이로 접안되게 유도하는 수직완충부와, 상기 양 플랫폼에 구비되고, 상기 선박의 양측에 구비되는 요철부와의 상호 작용으로 상기 플랫폼에 진입한 상기 선박을 견인하거나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 접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한 쌍의 플랫폼 및 그 후방에 구비되는 유도부와, 상기 플랫폼과 유도부에 구비되는 수평완충부와 유도완충부를 포함함으로써, 선박을 플랫폼의 정확한 위치에 안전하고, 신속하며, 용이하게 접안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 접안 장치{Berthing apparatus of ship}
본 발명은 선박 접안 장치, 특히 선박을 접안하고자 하는 위치와 높이에 안전하고도 신속하게 접안시키는 선박 접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용도에 따라 군함, 상선, 어선 및 특수선으로 분류되며, 이 중 상선은 해상수송기관의 가장 대표적인 존재로서 크게 객선, 화객선, 화물선 등으로 구분된다. 상기 선박이 접안하는 플랫폼은 해상과 육상의 경계에 마련되어 선박의 안전한 접안과 승객의 승하선, 및 화물의 선적 또는 하역이 이루어지며, 선박의 정박시 플랫폼의 접안 장치를 이용하여 선박을 플랫폼에 인접하게 위치시키는 접안작업을 실시한다.
또한, 접안시 플랫폼과 선박 간의 충격을 완화하여 선박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방현재를 설치하는데, 방현재는 주로 고무 등의 탄력성 재질인 타이어를 플랫폼에 로프 등으로 고정시켜 사용한다. 이러한 종래의 방현재는 타이어가 손상되는 경우 타이어의 충격 흡수 기능이 상실되고, 타이어를 고정시키는 로프가 시간의 경과로 노후화되는 경우 고정되어 있던 타이어가 플랫폼에서 이탈하게 되어 방현재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해상조건이나 선박의 하중 등에 따라 접안되는 선박의 높이와 플랫폼의 높이가 일치하지 않아 선박을 안정적으로 접안시키는 것이 어려우며, 이 경우 승객의 승하선 및 화물의 선적과 하역작업이 매우 비효율적이고, 그 과정에서 승객이나 화물이 추락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선박은 플랫폼에 접안시 그 속력을 서서히 줄여 정지를 하거나, 또는 접안될 위치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부터 수동으로 예인선이나 계류선을 이용하여 접안될 위치까지 선박을 이동시킨 후 접안을 한다. 따라서 전자의 경우 선박과 플랫폼의 충돌 등으로 선박을 안정적으로 접안시키는데 한계가 있고, 파손 및 손상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많은 시간, 비용, 인력, 및 작업과정이 소요되어 비경제적이다.
특허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62487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한 쌍의 플랫폼 및 그 후방(전방은 선박의 앞쪽 방향을 지칭하고, 후방은 선박의 뒤쪽 방향을 지칭한다)에 구비되는 유도부와, 상기 플랫폼과 유도부에 구비되는 수평완충부와 유도완충부를 포함함으로써, 선박을 플랫폼의 정확한 위치에 안전하고, 신속하며, 용이하게 접안시킬 수 있는 선박 접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양 플랫폼에 구비된 수평완충부가 선박의 양측을 수평방향으로 지지하여 선박이 플랫폼에 나란히 접안되도록 유도하면서 선박과 플랫폼 간의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선박 및 플랫폼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하는 선박 접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양 유도부에 구비된 유도완충부가 선박의 양측을 수평방향으로 지지하여 선박이 플랫폼의 사이로 잘 진입하도록 유도하면서 선박과 유도부 간의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선박 및 유도부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하는 선박 접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양 플랫폼에 구비된 수직완충부가 선박의 양측에 구비된 레일을 하측방향으로 지지하여 수면 높이, 승선 인원, 선박 하중 등에 무관하게 선박을 플랫폼에 일정한 높이로 안정적으로 접안시킴으로써, 승객의 승하선 및 화물의 선적과 하역작업이 용이하고, 승객이나 화물이 추락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선박 접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양 플랫폼에 구비된 수평완충부, 유도완충부 및 수직완충부를 각각 회전부재, 절첩부재 및 탄성부재로 구성함으로써, 회전부재의 회전과 충격 흡수, 절첩부재와 탄성부재의 충격 흡수 등으로 선박의 유도 및 충격 흡수 기능이 우수한 선박 접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수평완충부, 유도완충부 및 수직완충부에서 탄성부재를 절첩부재와 그 전방의 절첩부재 사이에 설치하여 각 탄성부재의 신축이 그 전방의 탄성부재의 신축에 영향을 미치게 함으로써, 선박 전방의 회전부재들이 돌출되지 아니하고 완만한 곡선형상으로 배치되어 선박이 플랫폼에 부드럽게 진입할 수 있는 선박 접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양 플랫폼에 구동횔, 프리휠, 체인 및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체인의 요철부와 선박의 요철부 간의 상호 작용으로 플랫폼에 진입하는 선박을 신속하고도 안정되게 필요한 위치에 접안시킬 수 있는 선박 접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의 구동휠과 프리휠의 사이에 복수의 보조휠을 더 설치하여 구동휠과 프리휠 사이의 체인을 선박과 잘 밀착되게 함으로써, 선박의 견인 또는 정지가 용이한 선박 접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구동휠, 프리휠, 보조휠, 및 구동모터의 각 축에 탄성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선박의 좌우유동 등에 무관하게 체인이 선박의 측면에 잘 접촉하여 선박의 견인 또는 정지가 용이한 선박 접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양 플랫폼에 본체, 완충부재, 탄성부재, 및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토퍼부를 구비함으로써, 스토퍼가 선박의 양측에 구비되는 레일의 선단부에 부딪혀 선박을 정확한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는 선박 접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선박 접안 장치는, 선박을 정확한 위치에 안전하고 신속하게 접안시키기 위한 선박 접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박 접안 장치는, 접안하는 상기 선박의 양측에 나란히 구비되는 한 쌍의 플랫폼; 상기 한 쌍의 플랫폼의 후방에 구비되고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그 폭이 확대되는 한 쌍의 유도부; 상기 양 플랫폼에 구비되어 상기 선박의 양측을 수평방향으로 지지함으로써, 상기 선박이 상기 플랫폼에 나란히 접안되게 유도하고 또한 상기 플랫폼과의 충격을 완화하는 수평완충부; 상기 양 유도부에 구비되어 상기 선박의 양측을 수평방향으로 지지함으로써, 상기 선박이 상기 플랫폼 사이로 잘 진입하도록 유도하고 또한 상기 유도부와의 충격을 완화하는 유도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완충부는 상기 플랫폼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플랫폼에 힌지 결합되는 절첩부재와, 상기 절첩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절첩부재가 상기 플랫폼에 탄성 지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 각각은 상기 각 절첩부재와 그 전방의 절첩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각 탄성부재의 신축은 그 전방의 탄성부재의 신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박 접안 장치는, 상기 양 플랫폼에 구비되어 상기 선박의 양측에 구비된 레일을 하측방향으로 지지함으로써, 상기 선박이 상기 플랫폼에 일정한 높이로 접안되게 유도하는 수직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완충부는 상기 플랫폼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플랫폼에 힌지 결합되는 절첩부재와, 상기 절첩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절첩부재가 상기 플랫폼에 탄성 지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 각각은 상기 각 절첩부재와 그 전방의 절첩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각 탄성부재의 신축은 그 전방의 탄성부재의 신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완충부는 상기 유도부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유도부에 힌지 결합되는 절첩부재와, 상기 절첩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절첩부재가 상기 유도부에 탄성 지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 각각은 상기 각 절첩부재와 그 전방의 절첩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각 탄성부재의 신축은 그 전방의 탄성부재의 신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박 접안 장치는, 상기 양 플랫폼에 구비되고, 상기 선박의 양측에 구비되는 요철부와의 상호 작용으로 상기 플랫폼에 진입한 상기 선박을 견인하거나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랫폼의 전방 또는 후방에 구비되는 구동휠; 상기 구동횔과 이격되어 상기 플랫폼의 후방 또는 전방에 구비되는 프리휠; 상기 구동휠과 프리휠 사이에 구비되는 체인; 상기 구동휠을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체인은 그 외면에 상기 선박의 요철부에 대응하는 요철부가 구비되고, 상기 체인의 요철부와 상기 선박의 요철부 상호간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선박을 견인 또는 정지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휠과 프리휠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의 보조휠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휠은 상기 체인을 상기 선박의 요철부 쪽으로 지지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휠, 프리휠, 보조휠, 및 구동모터의 각 축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선박의 좌우유동에도 상기 체인이 상기 선박의 측면에 잘 접촉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박 접안 장치는, 상기 양 플랫폼에 구비되며, 출몰하면서 상기 선박의 양측에 구비되는 레일의 선단부에 부딪혀 상기 선박을 정확한 위치에 정지시키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플랫폼의 양측에 구비되어 출몰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선박의 레일에 부딪히는 완충부재; 상기 플랫폼에 구비되어 상기 선박에 의해 상기 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본체가 출몰되도록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한 쌍의 플랫폼 및 그 후방에 구비되는 유도부와, 상기 플랫폼과 유도부에 구비되는 수평완충부와 유도완충부를 포함함으로써, 선박을 플랫폼의 정확한 위치에 안전하고, 신속하며, 용이하게 접안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양 플랫폼에 구비된 수평완충부가 선박의 양측을 수평방향으로 지지하여 선박이 플랫폼에 나란히 접안되도록 유도하면서 선박과 플랫폼 간의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선박 및 플랫폼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양 유도부에 구비된 유도완충부가 선박의 양측을 수평방향으로 지지하여 선박이 플랫폼의 사이로 잘 진입하도록 유도하면서 선박과 유도부 간의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선박 및 유도부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양 플랫폼에 구비된 수직완충부가 선박의 양측에 구비된 레일을 하측방향으로 지지하여 수면 높이, 승선 인원, 선박 하중 등에 무관하게 선박을 플랫폼에 일정한 높이로 안정적으로 접안시킴으로써, 승객의 승하선 및 화물의 선적과 하역작업이 용이하고, 승객이나 화물이 추락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양 플랫폼에 구비된 수평완충부, 유도완충부 및 수직완충부를 각각 회전부재, 절첩부재 및 탄성부재로 구성함으로써, 회전부재의 회전과 충격 흡수, 절첩부재와 탄성부재의 충격 흡수 등으로 선박의 유도 및 충격 흡수 기능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완충부, 유도완충부 및 수직완충부에서 탄성부재를 절첩부재와 그 전방의 절첩부재 사이에 설치하여 각 탄성부재의 신축이 그 전방의 탄성부재의 신축에 영향을 미치게 함으로써, 선박 전방의 회전부재들이 돌출되지 아니하고 완만한 곡선형상으로 배치되어 선박이 플랫폼에 부드럽게 진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양 플랫폼에 구동횔, 프리휠, 체인 및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체인의 요철부와 선박의 요철부 간의 상호 작용으로 플랫폼에 진입하는 선박을 신속하고도 안정되게 필요한 위치에 접안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의 구동휠과 프리휠의 사이에 복수의 보조휠을 더 설치하여 구동휠과 프리휠 사이의 체인을 선박과 잘 밀착되게 함으로써, 선박의 견인 또는 정지가 용이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휠, 프리휠, 보조휠, 및 구동모터의 각 축에 탄성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선박의 좌우유동 등에 무관하게 체인이 선박의 측면에 잘 접촉하여 선박의 견인 또는 정지가 용이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양 플랫폼에 본체, 완충부재, 탄성부재, 및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토퍼부를 구비함으로써, 스토퍼가 선박의 양측에 구비되는 레일의 선단부에 부딪혀 선박을 정확한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선박 접안 장치의 플랫폼에 선박이 접안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선박 접안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선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3의 수평완충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b는, 도 3의 수평완충부의 다른 실시예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B-B 선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C-C 선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제어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선박 접안 장치의 스토퍼부가 작동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b의 스토퍼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선박 접안 장치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선박 접안 장치는, 접안하는 선박(10)의 양측에 나란히 구비되는 한 쌍의 플랫폼(21)과, 한 쌍의 플랫폼(21)의 후방에 구비되는 한 쌍의 유도부(22)와, 양 플랫폼(21)에 구비되는 수평완충부(23), 수직완충부(25), 및 제어부(26)와, 양 유도부(22)에 구비되는 유도완충부(24)를 포함하여, 선박(10)을 정확한 위치에 안전하고 신속하게 접안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방은 선박(10)의 앞쪽 방향을 지칭하고, 후방은 선박(10)의 뒤쪽 방향을 지칭하며, 이하 동일하다.
한편, 도 2에서 보면 양 플랫폼(21)에는 수평완충부(23), 제어부(26), 및 수직완충부(25)가 플랫폼(21)의 상측에서부터 아래 방향으로 순차로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 순서대로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어부(26)를 제일 상측에 설치할 수도 있고, 수직완충부(25)를 제일 상측에 설치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수평완충부(23), 제어부(26), 수직완충부(25)를 플랫폼(21)에 어떤 순서로 설치할 것인지는 플랫폼(21)의 크기나 상태, 선박(10)의 크기나 상태, 수평완충부(23), 제어부(26), 및 수직완충부(25)의 상호관계 등을 고려하여 설치할 수 있다.
플랫폼(21)은 승객이 승하선하는 곳으로서, 접안할 선박(10)의 양측에 나란히 구비되어 선박(10)이 안전하고도 신속하게 상하좌우의 유동 없이 접안할 수 있도록 한다.
한 쌍의 유도부(22)는 플랫폼(21)의 후방에 한 쌍으로 구비되며 후방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확대되는 형상이다. 이는 선박(10)을 양 플랫폼(21)의 사이로 안전하고도 용이하게 유도함으로써, 선박(10)을 플랫폼(21)의 정확한 위치에 신속하게 접안되게 한다.
수평완충부(2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플랫폼(21)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선박(10)의 양측을 수평방향으로 지지한다. 따라서 선박(10)이 플랫폼(21)에 나란히 접안되도록 유도하면서 선박(10)과 플랫폼(21) 간의 충격을 완화하여 선박(10)이나 플랫폼(21)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한다. 상기 수평완충부(23)는 양 플랫폼(21)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회전부재(231), 복수의 절첩부재(233), 및 복수의 탄성부재(236)를 포함하여 구성(도 4a 참조)될 수 있다.
회전부재(231)는 플랫폼(21)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어 회전하면서 접안하는 선박(10)과 접촉하는 구성이다. 이 회전부재(231)는 회전에 의해 충격에너지를 회전에너지로 변환시키고, 또한 회전부재(231) 자신의 탄성력에 의해 충격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선박(10)이 양 플랫폼(21)의 사이에 안정적으로 접안되도록 유도한다. 즉, 회전부재(231)는 선박(10)의 접안시 일차적으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부분으로서, 내부는 속의 전부 또는 일부가 찬 형상이거나, 또는 내부에 공기 등이 주입된 타이어와 같은 형상일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231)는 고무와 같은 탄력성과 내구성이 좋은 것이 바람직하고, 그 외 충격을 잘 흡수하면서 선박(10)과의 반복적인 접촉이나 환경에 잘 견디는 것이면 어떤 것도 가능하다.
절첩부재(233)는 회전부재(231)와 동일한 숫자로 구비되며, 그 일측은 회전부재(231)와 결합되고 타측은 플랫폼(21)에 결합된다. 회전부재(231)와의 결합은 회전부재(231)가 잘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데, 그 결합 형상은 회전부재(231)가 회전할 수 있는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231)의 축에 삼각형상의 지지바가 구비되어 이 지지바가 절첩부재(233)의 본체에 결합될 수도 있고, 또는 삼각형상의 지지바 없이 절첩부재(233)의 본체가 직접 회전부재(231)의 축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절첩부재(233)의 타측은 플랫폼(21)에 힌지(234) 결합된다. 따라서 선박(10)이 회전부재(231)에 충돌하는 경우 회전부재(231)의 탄성과 회전으로 일차적으로 충격이 흡수되고, 충격이 더 큰 경우에는 절첩부재(233)가 상기 힌지(234)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후술하는 탄성부재(236)가 수축하면서 이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탄성부재(236)는 절첩부재(233)와 플랫폼(21)의 사이에 구비되어 절첩부재(233)가 플랫폼(21)에 탄성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선박(10)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이차적으로 흡수한다. 이 탄성부재(236)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도 가능하고, 또한 실린더도 가능하다. 실린더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 어느 것도 가능하며, 실린더 내에 스프링을 내장할 수도 있다. 유압실린더나 공압실린더의 경우 제어시스템과 연결시켜 유압이나 공압을 제어시스템에서 제어함으로써, 즉 선박(10)의 중량이나 충돌 상태에 따라 압력을 조정함으로써, 선박(10)을 안전하게 접안시킬 수 있다. 예컨대 선박(10)의 무게가 무거운 경우에는 유압이나 공압을 증가시키고, 선박(10)의 무게가 가벼운 경우에는 유압이나 공압을 감소시킴으로써, 선박(10)이 플랫폼(21)에 부드럽고도 안전하게 접안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절첩부재(233)와 탄성부재(236)는 플랫폼(21)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플랫폼(21)에 판스프링을 더 구비하고, 이 판스프링에 절첩부재(233)와 탄성부재(236)가 지지되게 함으로써, 더 큰 충격에 대해서 추가로 지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더 큰 충격의 흡수를 위해 회전부재(231)를 더 촘촘하게 배치하거나, 또는 탄성부재(236)를 탄성력이 더 큰 것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탄성부재(236) 자체를 복수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수평완충부(23)는 접안하는 선박(10)과의 충돌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회전부재(231)의 탄성력과 회전에 의해 일차로 흡수하고, 절첩부재(233)의 회전과 탄성부재(236)의 신축에 의해 이차로 흡수하게 되어 충격 완화 기능이 더욱 증대되며, 따라서 선박(10)과의 충돌시에도 선박(10) 및 플랫폼(2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선박(10)의 승선감이 안정적이고 우수하다.
또한, 상기 수평완충부(23)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236) 각각을 각 절첩부재(233)와 그 전방의 절첩부재(233) 사이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탄성부재(236)의 신축은 그 전방의 탄성부재(236)의 신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선박(10)의 충돌에 의한 충격이 커서 탄성부재(236)가 일정한도 이상 수축하는 경우, 그 전방의 탄성부재(236)를 수축시키게 된다. 따라서 선박(10)의 전방에 위치하는 회전부재(231)가 돌출되지 아니하고 완만하게 경사지게 정렬됨으로써, 선박(10)이 부드럽게 플랫폼(21)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선박(10) 전방의 회전부재(231) 상호간의 경사를 어느 정도로 유도할 것인지는 탄성부재(236)의 결합위치나 결합방향을 조정함으로써 가능하다. 예컨대 탄성부재(236)의 결합위치를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후방의 탄성부재(236)의 신축력이 전방의 탄성부재(236)의 신축력에 민감하게 영향을 미치게 할 수 있고, 반대로 탄성부재(236)의 결합위치를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후방의 탄성부재(236)의 신축력이 전방의 탄성부재(236)의 신축력에 덜 민감하게, 즉 적게 영향을 미치게 할 수 있다. 이는 탄성부재(236)의 결합방향, 즉 도 4b의 탄성부재(236)가 전방의 절첩부재(233)와 결합되는 지점을 변경하거나, 후방의 절첩부재(233)와 결합되는 지점을 변경하거나, 또는 양 절첩부재(233)와 결합되는 지점을 변경하여 탄성부재(236)의 경사를 변경시킴으로써도 가능하다.
유도완충부(2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유도부(22)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선박(10)의 양측을 수평방향으로 지지함으로써, 선박(10)이 양 플랫폼(21)의 사이로 잘 진입하도록 유도하면서 선박(10)과 유도부(22) 간의 충격을 완화하여 선박(10) 및 유도부(22)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한다. 유도완충부(24)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수평완충부(23)와 동일하다. 즉, 회전부재, 절첩부재, 및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전술한 수평완충부(23)의 설명을 참조한다.
수직완충부(25)는 양 플랫폼(21)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선박(10)의 양측에 구비되는 레일(11)을 하측방향으로 지지함으로써 선박(10)이 플랫폼(21)에 일정한 높이로 접안되도록 유도한다. 선박(10)의 경우 수면의 높이, 선박(10)의 무게, 승선 인원 등의 다양한 조건에 따라 접안할 때 플랫폼(21)과 높이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승객의 승하선과 화물의 선적 또는 하역 등이 불편하거나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선박(10)의 접안 높이를 일정하게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선박(10)이 통상적으로 접안하는 높이 중 가장 낮은 높이와 일치하도록 플랫폼(21)을 설계하여, 선박(10)이 가장 낮은 높이로 접안하는 경우에는 그대로 접안되고, 그보다 높은 높이로 접안되는 경우에는 수직완충부(25)를 이용하여 선박(10)의 높이를 낮게 유도함으로써 항상 선박(10)과 플랫폼(21)의 높이 차를 없게 한다. 이에 따라 수심이나 선박(10)의 하중 등에 상관없이 선박(10)이 플랫폼(21)에 일정한 높이로 접안되어 승객의 승하선 및 화물의 선적과 하역작업이 용이하고, 승객이 추락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선박(10)의 양 측면에 레일(11)을 설치하는데, 이 레일(11)을 상기 수직완충부(25)가 하측방향으로 지지되게 함으로써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 레일(11)은 선박(10)의 측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데, 출몰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필요한 경우, 즉 접안시에만 돌출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레일(11)은 전체적으로는 수평이고, 다만 선박(10)의 전방과 후방에는 완만하게 하향 경사지게 함으로써, 선박(10)이 플랫폼(21)에 접근할 때와 떠날 때 선박(10)이 완만하게 하강과 상승을 하도록 하여 부드러운 접안이 가능하게 한다. 한편, 레일(11)은 그 하측에 선박(10)의 측면과 연결하는 헌치부를 길이방향으로 구비하여 레일(11)을 구조적으로 더 안정적인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수직완충부(2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251), 절첩부재(253), 및 탄성부재(25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 수직완충부(25)도 그 방향만 상이할 뿐 전술한 수평완충부(23)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수평완충부(23), 수직완충부(25), 유도완충부(24)는 선박(10)의 진행방향으로 절첩부재(233, 253)가 경사진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반대방향으로 선박(10)이 진입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3에서 선박(10)이 도면과는 반대방향으로 진입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선박(10)이 반대방향으로 진입하는 경우, 탄성부재(236, 256)가 절첩부재(233, 253)와 절첩부재(233, 253)의 사이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회전부재(231, 251)가 완만하게 경사지게 배열됨으로써 그 효과는 더 우수할 수 있다. 다만 선박(10)이 반대방향으로 진입하는 경우에는 도 3의 플랫폼(21)의 전방에도 유도부(22)와 유도완충부(24)를 더 구비할 필요가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어부(26)는 양 플랫폼(21)에 구비되어 선박(10)을 견인하거나 정지시켜 선박(10)을 정확한 위치에 신속하게 접안시키는 구성이다. 선박(10)의 양측에는 상기 제어부(26)와 접촉되는 요철부(13)가 구비되며, 제어부(26)는 상기 선박(10)의 요철부(13)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플랫폼(21)에 진입하는 선박(10)을 견인하거나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26)는 플랫폼(21)의 전방 또는 후방에 구비되는 구동휠(261)과, 상기 구동횔과 이격되어 플랫폼(21)의 후방 또는 전방에 구비되는 프리휠(263)과, 상기 구동휠(261)과 프리휠(263)의 사이에 구비되는 체인(265)과, 상기 구동휠(261)을 구동하는 구동모터(26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체인(265)은 그 외면에 상기 선박(10)의 요철부(13)에 대응하는 요철부(266)가 구비되며, 따라서 구동모터(268)에 의해 구동휠(261)이 구동되고, 이에 체인(265)이 가동되면서 체인(265)의 요철부(266)와 선박(10)의 요철부(13) 상호간의 작용에 의해 상기 요철부(13, 266)들이 서로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플랫폼(21)에 진입한 선박(10)을 견인하거나 정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268)는 구동휠(261)에 직접 연결할 수도 있고, 구동휠(261)과 구동모터(268)의 사이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기어(272)를 구비하여 구동모터(268)의 동력을 구동휠(261)에 전달할 수도 있다.
통상 수면에서 이동하는 선박(10)의 경우 지면에서 이동하는 자동차와 달리 정확한 위치에 신속히 접안하는 것이 쉽지 않다. 즉, 선박(10)이 빠른 속도로 진입하는 경우에는 접안위치를 지나치게 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스크류를 빠르게 역 회전시켜야 하며 그러하더라도 정확한 위치에 선박(10)을 안정되게 접안하는 것이 쉽지 않다. 또한 정확한 위치에 접안하기 위해 선박(10)이 느린 속도록 진입하는 경우에는 그 접안 속도가 지나치게 느려 신속한 승선 및 하선을 바라는 승객의 요구에 부응하기 어렵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 본 발명의 제어부(26)인데, 이 제어부(26)는 좀 빠르거나 느린 속도로 플랫폼(21)에 진입하는 선박(10)의 측면에 작용하여 선박(10)의 속도를 높이거나 낮춤으로써 선박(10)을 신속하게 정확한 위치에 접안되게 한다. 즉, 상기 제어부(26)는 선박(10)의 진입속도에 맞게 회전하면서 체인(265)의 요철부(266)와 선박(10)상의 요철부(13)가 접촉하고, 이후 선박(10)이 접안하고자 하는 위치나 선박(10)의 속도 등을 고려하여 가속하거나 감속하여, 즉 선박(10)의 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가속하고, 선박(10)의 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감속하여, 선박(10)을 정확한 위치에 신속히 접안시키게 된다. 이 제어부(26)는 선박(10)을 양측에서 밀착하여 견인하거나 정지시킴으로써, 통상적으로 물 위에서 선박(10)이 접안되는 과정에서의 선박(10)의 전후좌우 유동이나 울렁거림 등을 방지하고, 선박(10)을 신속하게 접안시킨다.
상기 제어부(26)는 구동휠(261)과 프리휠(263)의 사이에 보조휠(270)을 복수개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휠(270)은 체인(265)을 선박(10) 쪽으로 지지하여 체인(265)과 선박(10)의 측면이 서로 잘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구동휠(261), 프리휠(263), 보조휠(270), 및 구동모터(268) 등의 각 축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접안되는 선박(10)의 좌우유동 등에 상관없이 체인(265)이 선박(10)의 측면에 잘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 또는 실린더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구동휠(261), 구동모터(268), 및 이 둘을 연결하는 기어(272)를 하나의 프레임에 설치하고 이 프레임에 탄성부재를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선박(10) 및 제어부(26)의 요철부(13, 266)는 도면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요철부(13, 266)가 더 굴곡진 형상, 사다리꼴 형상, 삼각형 형상 등 어느 것도 가능하다. 다만, 요철부(13, 266)가 너무 각이 지면 요철부(13, 266)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고, 또한 요철부(13, 266) 상호간에 잘 결합이 됨과 동시에 필요한 경우 일정부분 미끄러져야 하는 상황도 있으므로 지나치게 각이 진 것은 바람직하지 아니하다.
상기 제어부(26)가 선박(10)과 접촉되는 부분은 플랫폼(21)의 전체 길이에 형성할 수도 있지만, 플랫폼(21)의 전방, 중앙, 또는 후방의 일부분에만 형성하거나, 또는 전방과 후방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6)를 양 플랫폼(21)에 하나씩 설치하거나, 또는 복수로 설치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제어부(26)만으로 선박(10)을 정확한 위치에 접안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즉, 제어부(26)가 선박(10)이 접안하고자 하는 위치나 선박(10)의 속도 등을 고려하여 선박(10)을 가속하거나 감속함으로써 선박(10)을 정확한 위치에 신속히 접안시키고자 하나, 속도가 있는 상태에서는 선박(10)을 정확한 위치에 정지시키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선박 접안 장치(20)는 선박(10)을 정확한 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해, 도 8a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플랫폼(21)의 전방에 스토퍼부(28)를 구비할 수 있다.
스토퍼부(28)는 양 플랫폼(21)에 구비되어 출몰하면서 선박(10)의 양측에 구비되는 레일(11)의 선단부에 부딪혀 선박(10)을 정확한 위치에 정지시킨다. 즉, 선박(10)이 플랫폼(21)으로 진입될 때에 스토퍼부(28)를 플랫폼(21)의 외측으로 돌출시킴으로써 상기 스토퍼부(28)에 접안되는 선박(10)의 레일(11)이 부딪히면서 선박(10)이 정지되도록 한다. 선박(10)은 스토퍼부(28)에 부딪히기 전까지 제어부(26)에 의해 속도가 조절되면서 운동량이 남아있는 상태인데, 스토퍼부(28)와 선박(10)의 레일(11)이 부딪히면서 상기 운동량이 소모되어 선박(10)은 정지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부(28)는 출몰하는 본체(281)와, 본체(281)의 외측 단부에 구비되는 완충부재(283)와, 플랫폼(21)에 구비되는 탄성부재(285)와, 본체(281)가 출몰되도록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281)는 양 플랫폼(21)에 구비되어 출몰하는 부분으로서, 공압 또는 유압실린더로 형성하거나, 또는 본체(281)의 외면에 요철 등을 형성하여 상기 요철이 기어 등과 맞물리면서 그 외측 단부가 플랫폼(21)의 외측으로 출몰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281)를 선박(10)의 접안시에만 플랫폼(21)의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선박(10)이 접안될 때 외에는 플랫폼(21)의 내측으로 들어가게 하여 스토퍼부(28)의 출몰에 따라 선박(10)의 정지와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도 8a 및 도 8b 참조).
완충부재(283)는 상기 출몰하는 본체(281)의 외측 단부에 구비되어 선박(10)의 레일(11)이 부딪히는 부분이다. 상기 완충부재(283)는 고무 등으로 형성하여 선박(10)과의 충돌시 파손이나 손상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10)이 접촉하는 본체(281)의 단부 일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본체(281)의 단부 전체를 감싸도록 원통형이나 뚜껑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이건 완충부재(283)를 본체(281)의 외측 단부에 구비시 완충부재(283)가 본체(281)의 외주면보다 더 돌출되지 않고, 본체(281)의 외주면과 동일한 일직선상에 있게 하여 본체(281)의 출몰시 완충부재(283)가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285)는 플랫폼(21)에 구비되어 선박(10)과 스토퍼부(28)의 충돌시 선박(10)에 의해 본체(281)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구비된다. 따라서 탄성부재(285)는 본체(281)의 전방쪽 외주면에 구비되며, 또한 선박(10)과의 충돌시 그 반동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본체(281)의 후방쪽 외주면에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85)는 스프링, 실린더 등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그 수는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 이상 또는 그 이하로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선박
11 : 레일
13 : 요철부
20 : 선박 접안 장치
21 : 플랫폼
22 : 유도부
23 : 수평완충부
231 : 회전부재
233 : 절첩부재
234 : 힌지
236 : 탄성부재
24 : 유도완충부
25 : 수직완충부
251 : 회전부재
253 : 절첩부재
254 : 힌지
256 : 탄성부재
26 : 제어부
261 : 구동휠
263 : 프리휠
265 : 체인
266 : 요철부
268 : 구동모터
270 : 보조휠
272 : 기어
28 : 스토퍼부
281 : 본체
283 : 완충부재
285 : 탄성부재

Claims (14)

  1. 선박을 정확한 위치에 안전하고 신속하게 접안시키기 위한 선박 접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박 접안 장치는,
    접안하는 상기 선박의 양측에 나란히 구비되는 한 쌍의 플랫폼;
    상기 한 쌍의 플랫폼의 후방에 구비되고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그 폭이 확대되는 한 쌍의 유도부;
    상기 양 플랫폼에 구비되어 상기 선박의 양측을 수평방향으로 지지함으로써, 상기 선박이 상기 플랫폼에 나란히 접안되게 유도하고 또한 상기 플랫폼과의 충격을 완화하는 수평완충부;
    상기 양 유도부에 구비되어 상기 선박의 양측을 수평방향으로 지지함으로써, 상기 선박이 상기 플랫폼 사이로 잘 진입하도록 유도하고 또한 상기 유도부와의 충격을 완화하는 유도완충부;
    상기 양 플랫폼에 구비되고, 상기 선박의 양측에 구비되는 요철부와의 상호작용으로 상기 플랫폼에 진입한 상기 선박을 견인하거나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완충부는 상기 플랫폼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플랫폼에 힌지 결합되는 절첩부재와, 상기 절첩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절첩부재가 상기 플랫폼에 탄성 지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 각각은 상기 각 절첩부재와 그 전방의 절첩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각 탄성부재의 신축은 그 전방의 탄성부재의 신축에 영향을 미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랫폼의 전방 또는 후방에 구비되는 구동휠;
    상기 구동휠과 이격되어 상기 플랫폼의 후방 또는 전방에 구비되는 프리휠;
    상기 구동휠과 프리휠 사이에 구비되는 체인;
    상기 구동휠을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체인은 그 외면에 상기 선박의 요철부에 대응하는 요철부가 구비되고,
    상기 체인의 요철부와 상기 선박의 요철부 상호간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선박을 견인 또는 정지시키는 것인 선박 접안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박 접안 장치는,
    상기 양 플랫폼에 구비되어 상기 선박의 양측에 구비된 레일을 하측방향으로 지지함으로써, 상기 선박이 상기 플랫폼에 일정한 높이로 접안되게 유도하는 수직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 접안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직완충부는 상기 플랫폼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플랫폼에 힌지 결합되는 절첩부재와, 상기 절첩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절첩부재가 상기 플랫폼에 탄성 지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선박 접안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 각각은 상기 각 절첩부재와 그 전방의 절첩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각 탄성부재의 신축은 그 전방의 탄성부재의 신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접안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도완충부는 상기 유도부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유도부에 힌지 결합되는 절첩부재와, 상기 절첩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절첩부재가 상기 유도부에 탄성 지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선박 접안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 각각은 상기 각 절첩부재와 그 전방의 절첩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각 탄성부재의 신축은 그 전방의 탄성부재의 신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접안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휠과 프리휠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의 보조휠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휠은 상기 체인을 상기 선박의 요철부 쪽으로 지지하는 것인 선박 접안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구동휠, 프리휠, 보조휠, 및 구동모터의 각 축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선박의 좌우유동에도 상기 체인이 상기 선박의 측면에 잘 접촉하도록 하는 것인 선박 접안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박 접안 장치는,
    상기 양 플랫폼에 구비되며, 출몰하면서 상기 선박의 양측에 구비되는 레일의 선단부에 부딪혀 상기 선박을 정확한 위치에 정지시키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 접안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양 플랫폼에 구비되어 출몰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선박의 레일에 부딪히는 완충부재;
    상기 플랫폼에 구비되어 상기 선박에 의해 상기 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본체가 출몰되도록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선박 접안 장치.
KR1020150188830A 2015-12-29 2015-12-29 선박 접안 장치 KR101760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830A KR101760582B1 (ko) 2015-12-29 2015-12-29 선박 접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830A KR101760582B1 (ko) 2015-12-29 2015-12-29 선박 접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375A KR20170078375A (ko) 2017-07-07
KR101760582B1 true KR101760582B1 (ko) 2017-07-24

Family

ID=59353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8830A KR101760582B1 (ko) 2015-12-29 2015-12-29 선박 접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05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3466A (ko) 2018-04-24 2019-11-01 장영창 선박터미널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344974B1 (en) * 2017-09-22 2020-08-10 Kongsberg Maritime As Smart Gangway Tip
CN108776480B (zh) * 2018-06-08 2021-03-19 江苏科技大学 一种支持平台靠泊钻井平台的航迹规划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5685A (ja) * 2000-05-10 2001-11-13 Mitsubishi Heavy Ind Ltd 浮体式港湾施設の入出港支援装置
KR101549198B1 (ko) * 2014-04-23 2015-09-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바지선을 갖는 드라이 도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5685A (ja) * 2000-05-10 2001-11-13 Mitsubishi Heavy Ind Ltd 浮体式港湾施設の入出港支援装置
KR101549198B1 (ko) * 2014-04-23 2015-09-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바지선을 갖는 드라이 도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3466A (ko) 2018-04-24 2019-11-01 장영창 선박터미널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375A (ko) 2017-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0582B1 (ko) 선박 접안 장치
CN102378708B (zh) 展开时增强了支撑的手动车轮止动块
US4751891A (en) Bow protector
CN103057927B (zh) 一种运砂自卸舶用的液压折叠式输送臂
CN102951105A (zh) 用于机动车辆的惯性锁定反作用保险杠
KR101008105B1 (ko) 수륙양용보트
JP2014080744A (ja) 車両強制停止装置
JP4461330B2 (ja) 車両強制停止装置と該装置を使用した車両強制停止方法
US8424479B1 (en) Universal launch and recovery system
KR20130124743A (ko) 자동 높이 조절형 선박 접근 통로를 갖는 타워
CN113911014A (zh) 抗冲击耐用型防撞装置及防撞缓冲车
KR100657573B1 (ko) 원료 하역기용 충돌방지장치
US11834803B2 (en) Boat docking assist assembly
KR101306967B1 (ko) 열차의 장애물 제거장치
JP6501491B2 (ja) 水陸両用車
CN108104007B (zh) 一种隧道多重缓冲护栏
US8821066B1 (en) Shock mitigating universal launch and recovery system
US10232913B1 (en) Pontoon boat driven by PWC
US6904861B1 (en) Boat capture system
CN101786440A (zh) 汽车防撞防摔防撞人防冲崖防落水安全保护装置
CN208897040U (zh) 故障轮胎自救器
CN114108562A (zh) 一种码头引导船只停靠的减震装置
US6575110B1 (en) Docking slip guide
KR101039844B1 (ko) 부두의 구조물에 지지되어 접안되는 위그선 및 그의 접안 시스템
KR102042092B1 (ko) 보트용 트레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