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2092B1 - 보트용 트레일러 - Google Patents

보트용 트레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2092B1
KR102042092B1 KR1020180015795A KR20180015795A KR102042092B1 KR 102042092 B1 KR102042092 B1 KR 102042092B1 KR 1020180015795 A KR1020180015795 A KR 1020180015795A KR 20180015795 A KR20180015795 A KR 20180015795A KR 102042092 B1 KR102042092 B1 KR 102042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t
trailer
seating member
vehicle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6177A (ko
Inventor
홍석무
김종형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5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092B1/ko
Publication of KR20190096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1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for carrying b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14Draw-gear o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18Tow ropes, chains or the like
    • B60D1/187Tow ropes, chain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to the towing vehicle or to the trai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8Semi-trailers, articulat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28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related to towing or towed situ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트용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트의 하부를 지지하고, 차량에 견인으로 연결되는 링크로드가 선단에 형성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에 의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바퀴를 피벗차륜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보트의 저면이 안착 고정되도록 안착부재를 갖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용 트레일러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에 비해 보트의 탑재에 대해 안전성을 더욱 확보하여 차량을 통한 지상 이동 시 탈선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리 예방하는 보트용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트용 트레일러{Boat Trailer}
본 발명은 보트용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에 비해 보트의 탑재에 대해 안전성을 더욱 확보하여 차량을 통한 지상 이동 시 탈선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리 예방하는 보트용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트(boat)라 함은 수상(水上)에서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스크루에 의해 운행되는 이동수단으로서, 트레일러(railer)와 같은 별도의 장치 없이는 지상에서의 이동이 불가능하다. 즉, 보트를 육상으로 이동 시키기 위해서는 트레일러와 같은 별도의 장치를 통해 보트를 견인해야만 한다.
또한, 보트는 접안하여 정박할 수 있는 부두시설이 마련되어야 하고, 이를 통해 승객 등의 탑승자가 승, 하차함으로써 안전성이 보장된다.
그런데, 최근 레저 문화의 급속한 발전에 힘입어 수상에서 운항되는 보트를 육상에서도 운행할 수 있도록 한 보트가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보트는 지상에서 운행되다가 필요 시 아무런 준비절차 없이 곧바로 수상으로 진입하여 보트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갯벌이 아닌 비교적 딱딱한 해안가가 조성된 곳에서 호평받고 있다.
이와 같은, 보트는 일반적으로 접이식 차륜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접이식 차륜 시스템은, 수륙양용 운송기구가 수중에서 이동하는 경우, 바퀴를 접어서 선체의 전면부로 상승시키는 원리로 구동되고 있다.
또한, 보트는 선수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이므로 차륜이 3개인 삼륜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보트는 지상에서 운행될 때 속도 및 연비가 일반 차량에 비해 떨어지므로, 장거리 이동 시에는 트레일러와 같은 별도의 장치에 탑재하여 이동해야 하며, 지상 이동 중에 차량의 선회 또는 갑작스런 핸들 조작으로 인해 트레일러에서 보트가 탈선되어 차량 충돌 또는 물품 파손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489934 B1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트의 저면에 대응되는 동일한 형상으로 안착패널을 구성하여 기존에 비해 보트의 탑재에 대해 안전성을 더욱 확보하여 차량을 통한 지상 이동 시 탈선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리 예방하는 보트용 트레일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트의 하부를 지지하고, 차량에 견인으로 연결되는 링크로드가 선단에 형성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에 의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바퀴를 피벗차륜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보트의 저면이 안착 고정되도록 안착부재를 갖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용 트레일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안착부재는 3D프린터를 통해 사용자 보트의 저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마찰계수가 높은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안착부재의 상측 양 끝단에는 상기 고정프레임으로부터 상기 보트의 이탈 방지를 위해 걸고리 형상의 단면을 갖는 밀착지지부가 더 형성되거나, 상기 안착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보트의 유동 방지를 위해 저면에 밀착 지지하는 복수의 밀착돌기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과 안착부재의 사이에는 상기 보트 중량 및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링크로드에 결합된 힌지핀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양쪽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라져서 상기 보트의 하부를 양쪽을 감싸듯이 보트를 안착시키도록 두 개의 제1,2몸체로 분할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기존에 비해 보트의 탑재에 대해 안전성을 더욱 확보하여 차량을 통한 지상 이동 시 탈선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리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트용 트레일러의 구성 및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트용 트레일러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트용 트레일러의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트용 트레일러의 구성 및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트용 트레일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트용 트레일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배면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동일한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보트용 트레일러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트(10)의 하부를 지지하고, 차량에 견인으로 연결되는 링크로드(21)가 선단에 형성된 메인프레임(20)과; 상기 메인프레임(20)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에 의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바퀴(26)를 피벗차륜(25)과; 상기 메인프레임(2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보트(10)의 저면이 안착 고정되도록 안착부재(30)를 갖는 고정프레임(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프레임(40)의 상부에 형성되는 안착부재(30)는 상기 보트(10)의 저면에 대응되도록 동일한 굴곡으로 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안착부재(30)는 3D프린터를 통해 사용자 보트(10)의 저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이미 기존 기술로 제공되는 3D스캐너 및 3D프리터를 통해 안착부재(30)를 제작한다.
다시 말해, 상기 3D스캐너를 통해 사용자의 보트(10) 저면에 대해 형상 및 굴곡을 전면적으로 스캔 한다.
다음으로, 상기 3D스캐너의 보트(10) 저면 정보를 3D프리터에 제공하여 사용자의 보트(10) 저면과 동일한 골곡의 면을 갖는 안착부재(30)를 제작한다.
이때, 상기 안착부재(30)의 하단은 상기 메인프레임(20)의 상부와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규격화로 형성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착부재(30)는 마찰계수가 높은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즉, 상기 3D프리터로 출력되는 제품이 재질상 상기 보트(10)의 저면과 슬립 없이 견고하게 밀착되는 모든 재질을 사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재(30)의 상측 양 끝단에는 상기 고정프레임(40)으로부터 상기 보트(10)의 이탈 방지를 위해 걸고리 형상의 단면을 갖는 밀착지지부(33)가 더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보트(10)가 안착부재(30)의 상면에 안착되어 슬립 없이 밀착된다 하더라도 차량 주행 중 방지턱 또는 싱크홀 등에 의한 충격으로 인한 롤링 현상으로 보트(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행시 안정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재(30)의 상면에는 상기 보트(10)의 유동 방지를 위해 저면에 밀착 지지하는 복수의 밀착돌기부(31)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밀착돌기부(31)는 상기 보트(10)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보트(10)의 가로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정프레임(40)과 안착부재(30)의 사이에는 상기 보트(10) 중량 및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부재(50)가 더 구비된다.
즉, 차량을 통한 트레일러 주행 시 상기 안착부재(30)를 통해 메인프레임(20)과 일체로 고정 결합된 보트(10)가 자체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숏업쇼바 또는 공압댐퍼 등의 완충부재(50)를 통해 안정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20)은 상기 링크로드(21)에 결합된 힌지핀(23)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양쪽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면서 상기 보트(10)의 하부를 양쪽을 감싸듯이 보트(10)를 안착시키도록 두 개의 제1,2몸체(20a,20b)으로 분할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보트(10)를 트레일러에 탑제 시 상기 제1몸체(20a)와 제2몸체(20b)를 좌/우로 벌려 상기 보트(10)를 사이에 두고 두 개의 제1,2몸체(20a,20b)를 서로 대응으로 접합하여 상기 보트(10)를 상부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안착부재(30)를 갖는 고정프레임(40) 역시 상기 제1,2몸체(20a,20b)에 각각 설치되는 제1,2고정체(40a,40b)로 분할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2몸체(20a,20b)에 바퀴(26)를 갖는 피벗차륜(25)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기존에 비해 보트의 탑재에 대해 안전성을 더욱 확보하여 차량을 통한 지상 이동 시 탈선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리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보트
20: 메인프레임
20a: 제1몸체
20b: 제2몸체
21: 링크로드
23: 힌지핀
25: 피벗차륜
26: 바퀴
30: 안착부재
31: 밀착돌기부
33: 밀착지지부
40: 고정프레임
40a: 제1고정체
40b: 제2고정체
50: 완충부재

Claims (7)

  1. 보트(10)의 하부를 지지하고, 차량에 견인으로 연결되는 링크로드(21)가 선단에 형성된 메인프레임(20)과;
    상기 메인프레임(20)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에 의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바퀴(26)를 피벗차륜(25)과;
    상기 메인프레임(2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보트(10)의 저면이 안착 고정되도록 안착부재(30)를 갖는 고정프레임(40)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재(30)의 상측 양 끝단에는 상기 고정프레임(40)으로부터 상기 보트(10)의 이탈 방지를 위해 걸고리 형상의 단면을 갖는 밀착지지부(3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용 트레일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30)는 3D프린터를 통해 사용자 보트(10)의 저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상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용 트레일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30)는 마찰계수가 높은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용 트레일러.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30)의 상면에는 상기 보트(10)의 유동 방지를 위해 저면에 밀착 지지하는 복수의 밀착돌기부(31)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용 트레일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40)과 안착부재(30)의 사이에는 상기 보트(10) 중량 및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부재(5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용 트레일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20)은
    상기 링크로드(21)에 결합된 힌지핀(23)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양쪽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면서 상기 보트(10)의 하부를 양쪽을 감싸듯이 보트(10)를 안착시키도록 두 개의 제1,2몸체(20a,20b)으로 분할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용 트레일러.
KR1020180015795A 2018-02-08 2018-02-08 보트용 트레일러 KR102042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795A KR102042092B1 (ko) 2018-02-08 2018-02-08 보트용 트레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795A KR102042092B1 (ko) 2018-02-08 2018-02-08 보트용 트레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177A KR20190096177A (ko) 2019-08-19
KR102042092B1 true KR102042092B1 (ko) 2019-11-07

Family

ID=67807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795A KR102042092B1 (ko) 2018-02-08 2018-02-08 보트용 트레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09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9516A (ja) * 2000-07-10 2002-01-23 Shiima Consultant:Kk 小型船の揚降装置および収容ドック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076B1 (ko) * 2013-02-05 2014-09-11 이정상 다양한 종류의 소형 선박을 이동할 수 있는 대차
KR101489934B1 (ko) 2014-04-02 2015-02-06 박인식 보트 트레일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9516A (ja) * 2000-07-10 2002-01-23 Shiima Consultant:Kk 小型船の揚降装置および収容ド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177A (ko) 201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2864B2 (en) Amphibious vehicles with retractable wheels
US8678868B2 (en) Boat and combination boat and snowmobile
CN104875565A (zh) 水陆两用车辆
KR101473570B1 (ko) 엔진내장형 수륙양용 에어보트
JPH04500344A (ja) 軽量電気自動車
JP2010509110A (ja) 水陸両用車
KR101008105B1 (ko) 수륙양용보트
WO2010062294A1 (en) Snowmobile
US3177836A (en) Boat and use thereof
KR102042092B1 (ko) 보트용 트레일러
US2457567A (en) Boat trailer
KR101760582B1 (ko) 선박 접안 장치
US3119127A (en) Boat trailer
US20170326932A1 (en) Amphibious vehicle
CH441019A (fr) Dispositif déjaugeur pour embarcation légère
US10106225B1 (en) Hull for a watercraft
RU147473U1 (ru) Аэросани - амфибия
CN206374935U (zh) 船舶的舟船滑道结构
KR20120116070A (ko) 수륙양용 수단을 구비하는 교통수단
CN106394811B (zh) 船舶的舟船滑道结构
US1926177A (en) Coupling mechanism for tractors and trailers
KR20190027465A (ko) 견인용 저상 트레일러
CA2804834C (en) Boat and combination boat and snowmobile
KR20120013754A (ko) 수륙양용보트
KR20120013753A (ko) 수륙양용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