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0456A - 드릴쉽의 속도성능 향상을 위한 초크 데크 - Google Patents

드릴쉽의 속도성능 향상을 위한 초크 데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0456A
KR20130110456A KR1020120032448A KR20120032448A KR20130110456A KR 20130110456 A KR20130110456 A KR 20130110456A KR 1020120032448 A KR1020120032448 A KR 1020120032448A KR 20120032448 A KR20120032448 A KR 20120032448A KR 20130110456 A KR20130110456 A KR 20130110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choke
door pool
drillship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유원
김정후
한명륜
이강훈
고석천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2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0456A/ko
Publication of KR20130110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4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릴쉽의 속도성능 향상을 위한 초크 데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풀 후면 또는 측면에 초크 데크의 저면을 힌지를 통해 축지하고, 상기 문풀의 후면 또는 측면 내측에는 상기 초크 데크를 선택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세우거나 수평방향으로 펼칠 수 있는 초크 데크 구동수단을 설치하며, 상기 드릴쉽의 갑판에는 상기 초크 데크 구동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문풀 후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초크 데크 인출입 홈과 실린더 안치홈을 연이어 형성하고, 상기 초크 데크 인출입 홈에 소정 면적을 갖는 초크 데크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초크 데크 중앙 후면과 실린더 안치홈의 배면 벽 사이에는 상기 초크 데크를 인출입시켜 주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를 설치하고, 상기 드릴쉽의 갑판에는 상기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드릴링시에는 초크 데크 자체를 드릴쉽 문풀 후면에 형성시킨 공간부로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인입식으로 보관 가능하게 설치하거나, 문풀 측면 또는 후면에 서보 모터나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접이식으로 보관할 수 있어, 드릴링시 초크 데크가 장애물로 작용하는 것 자체를 완벽히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드릴쉽의 속도성능 향상을 위한 초크 데크{Choke deck for improving the velocity of drilldhip}
본 발명은 드릴쉽의 속도성능 향상을 위한 초크 데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릴쉽이 드릴링 작업을 할 때에는 드릴쉽 문풀 후면 공간부에 초크 데크를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를 통해 인입식으로 보관하거나, 문풀 측면 또는 후면에 서보 모터나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접이식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드릴링시 초크 데크가 장애물로 작용하는 것을 해결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추선은 해양에서 원유나 가스 등을 발굴하는 장비로서, 해상 플랫폼의 설치가 불가능한 심해 지역이나 파도가 심한 해상에서 원유나 가스 등의 채취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고, 구조에 따라 반잠수식 시추장비(semisubmersible drilling rig)와 드릴쉽(drill ship)이 있으며, 해상에서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고도의 제작 기술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드릴쉽은 시추작업을 위한 파이프를 해저면으로 내려 보내기 위해 선체 중심부에는 선체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문풀(moonpool)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문풀 내부에는 흘수와 같은 높이의 자유 수면이 존재하게 되며, 선박의 운항 시 문풀 내부에는 유동과 더불어 일정한 주기를 갖는 상하 유동이 발생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일정 속도 이상에서는 문풀의 자유 수면이 파랑으로 발전하게 되고, 나아가서는 쇄파까지도 일어나게 된다. 이렇게 발생된 문풀 내부의 파랑은 문풀의 후단벽면을 치기도 하는데 이러한 현상들은 일종의 부가저항으로써 선체 자체에 걸리는 정수 중 저항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풀 내의 유동 교란에 의해 야기되는 저항 성능 저하를 개선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 1과 같이 문풀(50)의 선수부 모서리에 해저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경사돌출부(20)를 설치하여 경사돌출부의 끝에서 발생하는 와류(Vortex)를 제어하고, 문풀(50)을 지나는 외부 유동(S20)의 박리각도(θ)를 조절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유동 교란 저감구조는 작업단(3)에 부가 형성된 경사돌출부(20)가 드릴쉽의 선저 바닥면보다 하부 해저방향으로 돌출되어 선박 건조 시 수심에 의한 제약을 받을 수 있다는 문제점과, 또한 박리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성능 개선을 추구할 경우 경사돌출부(20)가 지나치게 커지게 된다는 문제점과, 또한 경사돌출부(20)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성능 개선을 추구할 경우 박리 각도가 증가되어 드릴쉽에 작용하는 저항의 평균값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 또 다른 기술로 도 2와 같이 문풀(50)의 작업단(3)에 인입형 유동안정화부(30)를 형성한 드릴쉽이 연구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단에 형성된 인입형 유동안정화부는 크게 유동유입부(31), 유동평형부(32), 유동박리부(33)로 구성된다. 유동유입부의 경우 드릴쉽의 선수로부터 선저를 따라 흐르는 유동이 인입형 유동안정화부로 유동 박리나 재순환없이 유입되게 하는 역할을 하며, 유동평형부의 경우 상기 유동유입부를 통해 들어온 유동에서 발생한 압력 구배나 속도 구배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유동박리부의 경우 문풀 내로 유입되는 유선과 와류의 발생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인입형 유동안정화부의 기하학적 특성상 유동박리부의 효과는 유동평형부와 유동유입부를 지나는 유동 특성(압력 구배, 속도 구배, 난류 운동에너지 등)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며, 유동박리부가 가장 효과적으로 유선 박리 및 와류 발생을 제어하도록 유동평형부와 유동유입부의 형상을 설계한다. 그러나 선저를 따라 흐르는 유동의 모멘텀이 높아질 경우 유동유입부 및 유동평형부의 형상 변경만으로 유동박리부로 유입되는 유동 특성을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문풀 내에 설치되는 섭동제어데크와 선수측 벽면을 형성하는 블록에 형성된 인입형 유동안정화부 그리고 문풀의 선미측 벽면의 하단부에 형성된 경사부의 복합적인 조합을 통해 문풀에서 발생되는 유동 교란을 저감시켜 문풀로 인해 발생되는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복합형 문풀 저항 저감 구조를 갖는 드릴쉽을 선 출원한 바 있다.
이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풀(100)의 선수측 벽면(100a)을 형성하는 블록(140)의 저면 일부분을 선체 상부 쪽으로 인입 가공하여 형성된 인입형 유동안정화부(110); 상기 선미측 벽면(100b)의 하단부를 선미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가공하여 형성된 경사부(120); 및 상기 선미측 벽면(100b)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문풀(100) 내의 해수 유동을 억제하는 섭동제어데크(130)를 구비시켜 문풀(100) 내의 유동 교란을 저감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섭동제어데크(130)는 문풀(100)의 좌우측 벽면(100c,100d)에 연결된 양끝단부 영역(131)이 나머지 중앙부 영역(132)에 비하여 선미측 벽면(100b)으로부터 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양끝단부 영역(131)의 내측면(131a)은 문풀(100)의 좌우측 벽면(100c,100d)으로부터 중앙부 영역(132)에 근접할수록 돌출길이가 감소하게 선미측 벽면(100b)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거나, 또는 상기 양끝단부 영역(131)의 내측면(131a)은 문풀(100)의 좌우측 벽면(100c,100d)으로부터 중앙부 영역(132)에 근접할수록 돌출길이가 감소하게 원호를 그리며 연장된 형태를 갖고, 또한 상기 섭동제어데크(130)의 내측면(131a)에는 충격흡수용 코팅층(133)이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뿐만 아니라, 상기 섭동제어데크(130)는 다수 개로 구성되며, 상기 다수 개의 섭동제어데크(130)들은 수직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선미측 벽면(100b)에 설치되되, 상기 다수 개의 섭동제어데크(130)들은 하부에 위치할수록 돌출길이가 짧게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은 상기 섭동제어데크(130)가 선미측 벽면(100b)으로부터 돌출되게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문풀(100) 내의 해수 유동을 억제하고 있어 드릴쉽에서 드릴링을 할 때에는 상기와 같이 선미측 벽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고정 설치된 상태에 있는 섭동제어데크 자체가 장애물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058187호(2009년 06월 09일)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28170호(2011년 03월 17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초크 데크 자체를 드릴쉽 문풀 후면에 형성시킨 공간부로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인입식으로 보관 가능하게 설치하거나, 문풀 측면 또는 후면에 서보 모터나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접이식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드릴링시 초크 데크가 장애물로 작용하는 것 자체를 완벽히 해결할 수 있는 드릴쉽의 속도성능 향상을 위한 초크 데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드릴쉽의 문풀 내 해수 유동을 억제 및 저감하기 위해 문풀 측면 또는 후면에 초크 데크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문풀 후면 또는 측면에 초크 데크의 저면을 힌지를 통해 축지하고, 상기 문풀의 후면 또는 측면 내측에는 상기 초크 데크를 선택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세우거나 수평방향으로 펼칠 수 있는 초크 데크 구동수단을 설치하며, 상기 드릴쉽의 갑판에는 상기 초크 데크 구동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초크 데크 구동수단은 전압의 공급방향에 대응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되며 자체의 풀리와 초크 데크 사이에 설치된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 주어 초크 데크가 세워지거나 수평으로 펼쳐지게 하는 서보 모터를 포함하여,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며 초크 데크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게 하거나 수평방향으로 펼쳐지게 하는 실린더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드릴쉽의 문풀 내 해수 유동을 억제 및 저감하기 위해 문풀 후면에 초크 데크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문풀 후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초크 데크 인출입 홈과 실린더 안치홈을 연이어 형성하고, 상기 초크 데크 인출입 홈에 소정 면적을 갖는 초크 데크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초크 데크 중앙 후면과 실린더 안치홈의 배면 벽 사이에는 상기 초크 데크를 인출입시켜 주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를 설치하고, 상기 드릴쉽의 갑판에는 상기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드릴쉽의 속도성능 향상을 위한 초크 데크에 의하면, 드릴쉽의 속도성능 향상을 위해 설치되는 초크 데크 자체를 드릴쉽 문풀 후면에 형성시킨 공간부로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인입식으로 보관 가능하게 설치하거나, 문풀 측면 또는 후면에 서보 모터나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접이식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드릴링시 초크 데크가 장애물로 작용하는 것 자체를 완벽히 해결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드릴쉽에 설치된 돌출형 유동안정화 장치의 형상을 보인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드릴쉽에 설치된 인입형 유동안정화부의 형상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종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드릴쉽의 문풀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따른 드릴쉽의 문풀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종래 섭동제어데크의 또 다른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종래 섭동제어데크가 다수 개로 구성되어 문풀 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종래 복합형 문풀 저항 감소 구조가 구비된 문풀 주변의 해수 유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중 초크 데크 구동수단으로 서모 모터를 설치한 상태의 드릴쉽 문풀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중 초크 데크 구동수단으로 실린더를 설치한 상태의 드릴쉽 문풀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드릴쉽 문풀의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중 초크 데크 구동수단으로 서모 모터를 설치한 상태의 드릴쉽 문풀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중 초크 데크 구동수단으로 실린더를 설치한 상태의 드릴쉽 문풀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드릴쉽 문풀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드릴쉽의 문풀(100) 내 해수 유동을 억제 및 저감하기 위해 문풀 측면 또는 후면에 초크 데크(150)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문풀(100) 후면 또는 측면에 초크 데크(150)의 저면을 힌지(151)를 통해 축지하고, 상기 문풀(100)의 후면 또는 측면 내측에는 상기 초크 데크(150)를 선택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세우거나 수평방향으로 펼칠 수 있는 초크 데크 구동수단(160)을 설치하며, 상기 드릴쉽의 갑판에는 상기 초크 데크 구동수단(160)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17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초크 데크 구동수단(160)으로는
제어부(170)에서 공급하는 전압의 공급방향에 대응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되며 자체의 풀리와 초크 데크(150) 사이에 설치된 와이어(161a)를 감거나 풀어 주어 초크 데크(150)가 세워지거나 수평으로 펼쳐지게 하는 서보 모터(161)를 포함하여,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며 초크 데크(150)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게 하거나 수평방향으로 펼쳐지게 하는 실린더(162)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드릴쉽의 문풀(100) 내 해수 유동을 억제 및 저감하기 위해 문풀 후면에 초크 데크(150)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문풀(100) 후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초크 데크 인출입 홈(101)과 실린더 안치홈(102)을 연이어 형성하고, 상기 초크 데크 인출입 홈(101)에 소정 면적을 갖는 초크 데크(150)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초크 데크(150) 중앙 후면과 실린더 안치홈(102)의 배면 벽 사이에는 상기 초크 데크(150)를 인출입시켜 주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180)를 설치하고, 상기 드릴쉽의 갑판에는 상기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18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 드릴쉽의 속도성능 향상을 위한 초크 데크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드릴쉽의 문풀(100) 후면 또는 측면에 초크 데크(150)의 저면을 힌지(151)를 통해 축지시켜 초크 데크(150) 자체가 상기 힌지(151)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되, 상기 문풀(100)의 후면 또는 측면 내측에는 초크 데크 구동수단(160)을 설치하고, 상기 드릴쉽의 갑판에는 제어부(170)를 설치하여 통상시에는 드릴쉽의 속도성능 향상을 위해 초크 데크(150)를 문풀(100)의 측면 또는 후면과 같은 방향인 수직방향으로 도 8 및 도 9의 실선과 같이 접어두어 드릴링시 초크 데크(150)가 장애물로 작용하는 것 자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초크 데크(150)를 선택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세우거나 수평방향으로 펼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초크 데크 구동수단(160)으로는 두 가지 방식을 제시한다.
그 첫째는 도 8과 같이 상기 초크 데크 구동수단(160)으로 서보 모터(161)를 채택하여 문풀(100)의 측면 또는 후면의 내측에 설치한 다음, 상기 서보 모터(161)의 축에 설치되어 있는 풀리와 초크 데크(150) 사이에 와이어(161a)를 설치하여, 제어부(170)에서 공급하는 전압의 공급방향에 대응하여 서보 모터(161)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될 때 상기 와이어(161a)가 풀리에 감기거나 풀리로부터 풀리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 초크 데크(150)가 힌지(151)를 중심으로 회동되며 도 8의 가상선과 같이 세워지거나 실선과 같이 수평으로 펼쳐지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서보 모터(161)의 의해 초크 데크(150)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질 때에는 와이어(161a)를 통해 전달되는 서보 모터(161)의 동력에 의해 힌지(151)를 중심으로 회동되며 강제로 세워지게 되나, 수평방향으로 펼쳐질 때에는 상기 초크 데크(150) 자체의 자중에 의해 힌지(151)를 중심으로 자동 회전되며 펼쳐지게 된다.
둘째로는 상기 초크 데크 구동수단(160)으로 유압 또는 공압식 실린더(162)를 채택하여 문풀(100)의 측면 또는 후면의 내측에 실린더(162)의 몸체를 축지시키고 상기 실린더(162)의 로드 단부는 초크 데크(150)의 상단 중앙에 축지시켜, 상기 제어부(170)에 의해 그 작동방향이 결정되는 상기 실린더(162)에 의해 초크 데크(150)가 초크 데크(150)가 힌지(151)를 중심으로 회동되며 도 9의 가상선과 같이 세워지거나 실선과 같이 수평으로 펼쳐지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초크 데크(150)가 유압 또는 공압식 실린더(162)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거나, 수평방향으로 펼쳐지는 동력은 실린더(162) 로드가 인입 또는 인축될 때 발생되는 동력 및 길이 변화에 대응하여 강제도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드릴쉽의 문풀(100) 후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초크 데크 인출입 홈(101)과 실린더 안치홈(102)을 연이어 형성하여 그 내부에 각각 초크 데크(150)와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180)를 설치하고, 상기 드릴쉽의 갑판에는 제어부(170)를 설치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즉, 상기 드릴쉽의 문풀(100) 후면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시킨 초크 데크 인출입 홈(101)에는 소정 면적을 갖는 초크 데크(150)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초크 데크 인출입 홈(101)의 후방부로 연장 형성시킨 실린더 안치홈(102)의 배면 벽과 상기 초크 데크(150) 중앙 후면 사이에는 상기 초크 데크(150)를 인출입시켜 주기 위한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180)를 설치함은 물론 상기 드릴쉽의 갑판에는 상기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18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설치한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경우, 통상시에는 제어부(170)의 제어를 받는 상기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180)의 로드가 인출된 상태를 갖게 되어 상기 초크 데크(150)가 도 10의 실선과 같이 드릴쉽의 문풀(100) 후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고 문풀(100) 내 해수 유동을 억제 및 저감하는 작용을 하게 되고, 드릴링시에는 상기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180)의 로드가 인입된 상태를 갖게 되어 상기 초크 데크(150)가 도 10의 화살표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드릴쉽의 문풀(100) 후면에 형성된 초크 데크 인출입 홈(101) 내로 삽입된 형태를 갖게 되어 드릴링시 초크 데크(150)가 장애물로 작용하는 것 자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0 : 문풀
101 : 초크 데크 인출입 홈 102 : 실린더 안치홈
150 : 초크 데크 151 : 힌지
160 : 초크 데크 구동수단 161 : 서보 모터
161a : 와이어 162 : 실린더
170 : 제어부
180 :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

Claims (3)

  1. 드릴쉽의 문풀 내 해수 유동을 억제 및 저감하기 위해 문풀 측면 또는 후면에 초크 데크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문풀 후면 또는 측면에 초크 데크의 저면을 힌지를 통해 축지하고, 상기 문풀의 후면 또는 측면 내측에는 상기 초크 데크를 선택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세우거나 수평방향으로 펼칠 수 있는 초크 데크 구동수단을 설치하며, 상기 드릴쉽의 갑판에는 상기 초크 데크 구동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쉽의 속도성능 향상을 위한 초크 데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초크 데크 구동수단은,
    전압의 공급방향에 대응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되며 자체의 풀리와 초크 데크 사이에 설치된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 초크 데크가 세워지거나 수평으로 펼쳐지게 하는 서보 모터를 포함하여,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며 초크 데크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게 하거나 수평방향으로 펼쳐지게 하는 실린더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쉽의 속도성능 향상을 위한 초크 데크.
  3. 드릴쉽의 문풀 내 해수 유동을 억제 및 저감하기 위해 문풀 후면에 초크 데크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문풀 후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초크 데크 인출입 홈과 실린더 안치홈을 연이어 형성하고, 상기 초크 데크 인출입 홈에 소정 면적을 갖는 초크 데크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초크 데크 중앙 후면과 실린더 안치홈의 배면 벽 사이에는 상기 초크 데크를 인출입시켜 주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를 설치하고, 상기 드릴쉽의 갑판에는 상기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쉽의 속도성능 향상을 위한 초크 데크.











KR1020120032448A 2012-03-29 2012-03-29 드릴쉽의 속도성능 향상을 위한 초크 데크 KR201301104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448A KR20130110456A (ko) 2012-03-29 2012-03-29 드릴쉽의 속도성능 향상을 위한 초크 데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448A KR20130110456A (ko) 2012-03-29 2012-03-29 드릴쉽의 속도성능 향상을 위한 초크 데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456A true KR20130110456A (ko) 2013-10-10

Family

ID=49632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448A KR20130110456A (ko) 2012-03-29 2012-03-29 드릴쉽의 속도성능 향상을 위한 초크 데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045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513B1 (ko) * 2013-11-29 2015-0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문풀유동 소파장치
KR20160021566A (ko) * 2014-08-18 2016-02-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CN113232765A (zh) * 2021-05-25 2021-08-10 天津大学 一种用于减小月池附加阻力的空心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513B1 (ko) * 2013-11-29 2015-0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문풀유동 소파장치
KR20160021566A (ko) * 2014-08-18 2016-02-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CN113232765A (zh) * 2021-05-25 2021-08-10 天津大学 一种用于减小月池附加阻力的空心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5990B1 (ko) 문풀 유동 억제 장치
CN103287551A (zh) 一种液压驱动式可变面积的t形减摇水翼
DK2374708T3 (en) Resistance reducing devices to the moon pool
KR200429244Y1 (ko) 선박의 문풀 유동 억제구조
KR20130110456A (ko) 드릴쉽의 속도성능 향상을 위한 초크 데크
KR200435392Y1 (ko) 선박의 문풀 유동 억제구조
KR101487513B1 (ko) 문풀유동 소파장치
KR20130066019A (ko) 드릴쉽 문풀내 해수유동 저감장치
KR101071849B1 (ko) 해수유동 자가억제 장치를 구비한 문풀
KR101195604B1 (ko) 선박용 수차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005898B1 (ko) 해수유동 자가억제 장치를 구비한 문풀
EP2861488A1 (en) Off-shore installation vessel, method of operating an off-shore installation vessel
KR101788745B1 (ko) 문풀의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KR20170003491U (ko) 문풀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
KR20200009675A (ko) 드릴십
KR101607875B1 (ko) 선박
KR200469615Y1 (ko) 쌍동선형 시추선
KR102632396B1 (ko) 문풀 저항 저감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20150073477A (ko) 시추선의 발전장치
KR20130011108A (ko) 시추설비 보관용 하부갑판을 갖는 시추선
KR20150070513A (ko) 반 잠수형 시추선의 상하동요 안정장치
KR20180006110A (ko) 문풀 댐핑장치 및 그 문풀 댐핑장치의 댐핑과 플립의 보관방법
KR20170025822A (ko) 문풀 내부 유동억제 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하는 시추 해양구조물
KR101695892B1 (ko) 문풀 내부 유동억제 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하는 시추 해양구조물
KR20130001080U (ko) 문풀 플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