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6019A - 드릴쉽 문풀내 해수유동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드릴쉽 문풀내 해수유동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6019A
KR20130066019A KR1020110132674A KR20110132674A KR20130066019A KR 20130066019 A KR20130066019 A KR 20130066019A KR 1020110132674 A KR1020110132674 A KR 1020110132674A KR 20110132674 A KR20110132674 A KR 20110132674A KR 20130066019 A KR20130066019 A KR 20130066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block
perturbation control
central
seawat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2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재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2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6019A/ko
Publication of KR20130066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60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63B1/40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diminishing wave re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5/00Supports for the drilling machine, e.g. derricks or masts
    • E21B15/02Supports for the drilling machine, e.g. derricks or masts specially adapted for underwater dr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17/009Wave breakers, breakwaters, splashboard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B63B2017/045Bulwark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릴쉽 문풀내 해수유동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문풀의 선미측 벽면에 마련되어 선미측 벽면을 타고 솟아오르는 해수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 해수와의 충돌시 발생되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우수한 내구 수명을 기대할 수 있는 드릴쉽 문풀내 해수유동 저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드릴쉽 문풀내 해수유동 저감장치는 문풀의 좌우측 벽면을 향하여 연장된 구조를 갖도록 문풀의 선미측 벽면에 설치되며 후방측면과 상부측면 및 전방측면으로 형성되는 삼각기둥 형태를 갖되, 후방측면은 선미측 벽면에 고정되고, 상부측면은 후방측면의 상단부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며, 전방측면은 상부측면의 끝단부로부터 후방측면의 하단부로 연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중앙부 섭동제어블록; 상기 중앙부 섭동제어블록의 좌측 단부와 좌측 벽면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좌측면과 상부측면 및 우측면으로 형성되는 삼각뿔 형태를 갖되, 좌측면은 좌측 벽면에 고정되고, 상부측면은 좌측면의 상단부로부터 중앙부 섭동제어블록의 상부측면과 평행하도록 연장되어 중앙부 섭동제어블록의 좌측단부에 연결되며, 우측면은 상부측면의 끝단부로부터 좌측면의 하단부로 연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좌측 섭동제어블록; 및 상기 중앙부 섭동제어블록의 우측 단부와 우측 벽면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우측면과 상부측면 및 좌측면으로 형성되는 삼각뿔 형태를 갖되, 우측면은 우측 벽면에 고정되고, 상부측면은 우측면의 상단부로부터 중앙부 섭동제어블록의 상부측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되어 중앙부 섭동제어블록의 우측단부에 연결되며, 좌측면은 상부측면의 끝단부로부터 우측면의 하단부로 연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우측 섭동제어블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드릴쉽 문풀내 해수유동 저감장치{Flowing reduction apparatus of moon-pool structures of drill ship}
본 발명은 드릴쉽의 문풀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문풀 내 해수의 유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풀의 벽면 모서리를 타고 문풀의 내부로 솟아오르는 해수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한 드릴쉽 문풀내 해수유동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드릴쉽의 구조를 살펴보면 시추작업을 위한 파이프를 해저면으로 내려 보내기 위해 선체 중심부에는 선체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문풀(moon-pool)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문풀 내부에는 흘수와 같은 높이의 자유 수면이 존재하게 되며, 선박의 운항 시 문풀 내부에는 유동과 더불어 일정한 주기를 갖는 상하 유동이 발생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일정 속도 이상에서는 문풀의 자유 수면이 파랑으로 발전하게 되고, 나아가서는 쇄파까지도 일어나게 된다. 이렇게 발생된 문풀 내부의 파랑은 문풀의 후단벽면을 치기도 하는데 이러한 현상들은 일종의 부가저항으로써 선체 자체에 걸리는 정수 중 저항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게 된다.
도 1 은 종래 드릴쉽에 설치된 돌출형 유동안정화 장치의 형상을 보인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풀 내의 유동 교란에 의해 야기되는 저항 성능 저하를 개선하기 위해 종래에는 문풀(50)의 선수부측에 위치한 작업단(30)의 모서리에 해저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경사돌출부(20)를 설치하여 경사돌출부의 끝에서 발생하는 와류(Vortex)를 제어하고, 문풀(50)을 지나는 외부 유동(S20)의 박리각도(θ)를 조절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유동 교란 저감구조는 작업단(30)에 부가 형성된 경사돌출부(20)가 드릴쉽의 선저 바닥면 보다 하부 해저방향으로 돌출되어 선박 건조 시 수심에 의한 제약을 받을 수 있다는 문제점과, 박리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성능 개선을 추구할 경우 경사돌출부(20)가 지나치게 커지게 된다는 문제점과, 경사돌출부(20)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성능 개선을 추구할 경우 박리 각도가 증가되어 드릴쉽에 작용하는 저항의 평균값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2 는 종래 드릴쉽에 설치된 인입형 유동안정화부의 형상을 보인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 문풀(50)의 작업단(30)에 인입형 유동안정화부(40)를 형성한 드릴쉽이 연구되고 있다. 상기 인입형 유동안정화부는 크게 유동유입부(41), 유동평형부(42), 유동박리부(4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유동유입부(41)의 경우 드릴쉽의 선수로부터 선저를 따라 흐르는 유동이 인입형 유동안정화부(40)로 유동 박리나 재순환없이 유입되게 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유동평형부(42)의 경우 상기 유동유입부를 통해 들어온 유동에서 발생한 압력 구배나 속도 구배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유동박리부(43)의 경우 문풀 내로 유입되는 유선과 와류의 발생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인입형 유동안정화부의 기하학적 특성상 유동박리부의 효과는 유동평형부와 유동유입부를 지나는 유동 특성(압력 구배, 속도 구배, 난류 운동에너지 등)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며, 유동박리부가 가장 효과적으로 유선 박리 및 와류 발생을 제어하도록 유동평형부와 유동유입부의 형상을 설계한다. 그러나 선저를 따라 흐르는 유동의 모멘텀이 높아질 경우 유동유입부 및 유동평형부의 형상 변경만으로 유동박리부로 유입되는 유동 특성을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도 3 은 종래 드릴쉽에 설치된 섭동제어데크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섭동제어데크(60)를 문풀(50)의 선미측 벽면에 설치하여 해수가 문풀의 선미측 벽면을 타고 솟아오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문풀 내의 수면을 안정화시키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섭동제어데크는 평판형의 판재로 구성되어 선미측 벽면을 타고 솟아오르는 해수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나, 유동하는 해수와의 충돌 시 큰 하중이 작용하여 파손의 위험이 높고, 섭동제어데크에 작용하는 하중이 주변 구조물에 전달되어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문풀의 선미측 벽면에 마련되어 선미측 벽면을 타고 솟아오르는 해수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 해수와의 충돌시 발생되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우수한 내구 수명을 기대할 수 있는 드릴쉽 문풀내 해수유동 저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드릴쉽 문풀내 해수유동 저감장치는 문풀의 좌우측 벽면을 향하여 연장된 구조를 갖도록 문풀의 선미측 벽면에 설치되며 후방측면과 상부측면 및 전방측면으로 형성되는 삼각기둥 형태를 갖되, 후방측면은 선미측 벽면에 고정되고, 상부측면은 후방측면의 상단부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며, 전방측면은 상부측면의 끝단부로부터 후방측면의 하단부로 연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중앙부 섭동제어블록; 상기 중앙부 섭동제어블록의 좌측 단부와 좌측 벽면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좌측면과 상부측면 및 우측면으로 형성되는 삼각뿔 형태를 갖되, 좌측면은 좌측 벽면에 고정되고, 상부측면은 좌측면의 상단부로부터 중앙부 섭동제어블록의 상부측면과 평행하도록 연장되어 중앙부 섭동제어블록의 좌측단부에 연결되며, 우측면은 상부측면의 끝단부로부터 좌측면의 하단부로 연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좌측 섭동제어블록; 및 상기 중앙부 섭동제어블록의 우측 단부와 우측 벽면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우측면과 상부측면 및 좌측면으로 형성되는 삼각뿔 형태를 갖되, 우측면은 우측 벽면에 고정되고, 상부측면은 우측면의 상단부로부터 중앙부 섭동제어블록의 상부측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되어 중앙부 섭동제어블록의 우측단부에 연결되며, 좌측면은 상부측면의 끝단부로부터 우측면의 하단부로 연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우측 섭동제어블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중앙부 섭동제어블록과 좌측 섭동제어블록 및 우측 섭동제어블록에는 유동하는 해수와의 충돌 시 발생되는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한 다수 개의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중앙부 섭동제어블록과 좌측 섭동제어블록 및 우측 섭동제어블록은 내부가 빈 중공형의 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중앙 섭동제어블록과 좌우측 섭동제어블록이 선미측 벽면을 타고 솟아오르는 해수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문풀 내의 수면을 안정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섭동제어블록에 가해지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섭동제어블록 및 주변 구조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 드릴쉽에 설치된 돌출형 유동안정화 장치의 형상을 보인 측면도,
도 2 는 종래 드릴쉽에 설치된 인입형 유동안정화부의 형상을 보인 측면도,
도 3 은 종래 드릴쉽에 설치된 섭동제어데크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수유동 저감장치가 적용된 드릴쉽의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수유동 저감장치의 형상을 보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수유동 저감장치의 형상을 보인 평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수유동 저감장치의 형상을 보인 정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수유동 저감장치의 형상을 보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수유동 저감장치가 적용된 드릴쉽의 평면도를,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수유동 저감장치의 형상을 보인 사시도를,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수유동 저감장치의 형상을 보인 평면도를,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수유동 저감장치의 형상을 보인 정면도를,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수유동 저감장치의 형상을 보인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해수유동 저감장치(100)는 드릴쉽에 마련된 문풀(50)의 내부로 유입되는 해수 중 선미측 벽면(51)을 따라 솟아오르는 해수의 유동을 억제하여 문풀(50) 내 유동 교란의 발생을 억제토록 한 것으로, 중앙부 섭동제어블록(110)과 좌측 섭동제어블록(120) 및 우측 섭동제어블록(1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중앙부 섭동제어블록(110)은 선미측 벽면(51)을 타고 솟아오르는 해수의 유동을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삼각기둥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며, 문풀(50)의 좌우측 벽면(52,53)을 향하여 연장된 구조를 갖도록 문풀(50)의 선미측 벽면(51)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때 중앙부 섭동제어블록(110)의 좌우 양끝단은 문풀(50)의 좌우측 벽면(52,53)으로부터 각기 소정거리 이격된다.
이와 같이 삼각기둥 형태를 갖는 중앙부 섭동제어블록(110)은 후방측면(111)과 상부측면(112) 및 전방측면(113)을 가지며, 이때 후방측면(111)은 문풀(50)의 선미측 벽면(51)에 고정되고, 상부측면(112)은 후방측면(111)의 상단부로부터 선수를 향하여 수평하게 연장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전방측면(113)은 상부측면(112)의 끝단부로부터 후방측면(111)의 하단부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경사진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중앙부 섭동제어블록(110)의 후방측면(111)은 특별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 아닌 선미측 벽면(51)에 고정되는 부분이므로, 후방측면(111)은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구성하지 않고 선미측 벽면(51)을 후방측면으로 활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문풀(50)의 선미측 벽면(51)에 상부측면(112)과 전방측면(113)을 형성하는 부재를 직접 설치하는 것으로 중앙부 섭동제어블록(110)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중앙부 섭동제어블록(110)은 내부가 빈 중공형의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측면(112)과 전방측면(113)에는 해수와의 충돌 시 발생되는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한 다수 개의 구멍(112a,113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측 섭동제어블록(120)은 선미측 벽면(51)과 좌측 벽면(52)이 만나는 모서리를 타고 솟아오르는 해수의 유동을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삼각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며, 중앙부 섭동제어블록(110)의 좌측 단부와 좌측 벽면(52)을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삼각뿔 형태를 갖는 좌측 섭동제어블록(120)은 좌측면(121)과 상부측면(122) 및 우측면(123)을 가지며, 이때 좌측면(121)은 문풀(50)의 좌측 벽면(52)에 고정되고, 상부측면(122)은 좌측면(121)의 상단부로부터 중앙부 섭동제어블록(110)의 상부측면(112)과 평행하도록 연장되어 중앙부 섭동제어블록(110)의 좌측단부에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우측면(123)은 상부측면(122)의 끝단부로부터 좌측면(121)의 하단부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경사진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좌측면(121)은 중앙부 섭동제어블록(110)의 후방측면(111)과 마찬가지로 특별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 아닌 좌측 벽면(52)에 고정되는 부분이므로, 좌측면(121)은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구성하지 않고 문풀(50)의 좌측 벽면(52)을 활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문풀(50)의 좌측 벽면(52)에 상부측면(122)과 우측면(123)을 형성하는 부재를 직접 설치함으로써 좌측 섭동제어블록(120)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좌측 섭동제어블록(120)은 내부가 빈 중공형의 구조로 형성되며, 상부측면(122)과 우측면(123)에는 해수와의 충돌 시 발생되는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한 다수 개의 구멍(122a,123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측 섭동제어블록(130)은 선미측 벽면(51)과 우측 벽면(53)이 만나는 모서리를 타고 솟아오르는 해수의 유동을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삼각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며, 중앙부 섭동제어블록(110)의 우측 단부와 우측 벽면(53)을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삼각뿔 형태를 갖는 우측 섭동제어블록(130)은 우측면(131)과 상부측면(132) 및 좌측면(133)을 가지며, 이때 우측면(131)은 문풀(50)의 우측 벽면(53)에 고정되고, 상부측면(132)은 우측면(131)의 상단부로부터 중앙부 섭동제어블록(110)의 상부측면(112)과 평행하도록 연장되어 중앙부 섭동제어블록(110)의 우측단부에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좌측면(133)은 상부측면(132)의 끝단부로부터 우측면(131)의 하단부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경사진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우측면(131)은 중앙부 섭동제어블록(110)의 후방측면(111)과 마찬가지로 특별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 아닌 우측 벽면(53)에 고정되는 부분이므로, 우측면(131)은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구성하지 않고 문풀(50)의 우측 벽면(53)을 활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문풀(50)의 우측 벽면(53)에 상부측면(132)과 좌측면(133)을 형성하는 부재를 직접 설치함으로써 우측 섭동제어블록(130)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우측 섭동제어블록(130)은 내부가 빈 중공형의 구조로 형성되며, 상부측면(132)과 좌측면(133)에는 해수와의 충돌 시 발생되는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한 다수 개의 구멍(132a,133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해수유동 저감장치가 갖는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수유동 저감장치는 문풀(50)의 선미측 벽면(51)에 설치되며 문풀(50)의 좌우측 벽면(52,53)으로 연장된 구조를 갖고 있다.
한편 문풀(50)의 내부로 유입되어 선미측 벽면(51)을 타고 솟아오르는 해수의 유동은 중앙부 섭동제어블록(110)의 전방측면(113)에 의해 차단되며, 전방측면(113)에 충돌하는 해수의 유동은 경사진 전방측면(113)에 의하여 문풀(50)의 안쪽으로 유동방향이 바뀌면서 자연스럽게 소멸되므로 문풀(50) 내의 해수에 유동 교란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해수의 유동이 전방측면(113)에 충돌할 때, 전방측면(113)에 형성된 다수 개의 구멍(113a)을 통해 일부 해수가 중앙부 섭동제어블록(110)의 내부로 유입되며, 이처럼 전방측면(113)에 충돌하는 해수의 일부를 중앙부 섭동제어블록(110)의 내부로 유입시킴에 따라 해수의 충돌로 인해 발생되는 하중을 분산시켜 해수유동 저감장치 및 주변구조물의 내구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중앙부 섭동제어블록(110)의 양측에 위치한 좌우측 섭동제어블록(120,130)은 선미측 벽면(51)과 좌우측 벽면(52,53)이 만나는 모서리를 타고 상승하는 해수 유동을 억제하게 되며, 이때 좌측 섭동제어블록(120)의 우측면(123)에 충돌하는 해수의 유동은 우측면(123)의 경사에 의하여 문풀(50)의 안쪽으로 방향이 전환되면서 자연스럽게 소멸되고, 이와 마찬가지로 우측 섭동제어블록(130)의 좌측면(133)에 충돌하는 해수의 유동은 좌측면(133)의 경사에 의하여 문풀(50)의 안쪽으로 방향이 전환되면서 자연스럽게 소멸되므로, 문풀(50) 내의 해수에 유동 교란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좌측 섭동제어블록(120)의 우측면(123)과 우측 섭동제어블록(130)의 좌측면(133)에는 다수 개의 구멍(123a,133a)이 형성되며, 이 구멍(123a,133a)을 통해 일부 해수가 좌측 섭동제어블록(120)과 우측 섭동제어블록(130)의 내부로 유입되므로, 해수의 충돌 시 하중을 분산시켜 해수유동 저감장치 및 주변구조물의 내구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문풀 (51) : 선미측 벽면
(52) : 좌측 벽면 (53) : 우측 벽면
(110) : 중앙부 섭동제어블록 (111) : 후방측면
(112) : 상부측면 (113) : 전방측면
(120) : 좌측 섭동제어블록 (121) : 좌측면
(122) : 상부측면 (123) : 우측면
(130) : 우측 섭동제어블록 (131) : 우측면
(132) : 상부측면 (133) : 좌측면

Claims (3)

  1. 문풀(50)의 좌우측 벽면(52,53)을 향하여 연장된 구조를 갖도록 문풀(50)의 선미측 벽면(51)에 설치되며 후방측면(111)과 상부측면(112) 및 전방측면(113)으로 형성되는 삼각기둥 형태를 갖되, 후방측면(111)은 선미측 벽면(51)에 고정되고, 상부측면(112)은 후방측면(111)의 상단부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며, 전방측면(113)은 상부측면(112)의 끝단부로부터 후방측면(111)의 하단부로 연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중앙부 섭동제어블록(110);
    상기 중앙부 섭동제어블록(110)의 좌측 단부와 좌측 벽면(52)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좌측면(121)과 상부측면(122) 및 우측면(123)으로 형성되는 삼각뿔 형태를 갖되, 좌측면(121)은 좌측 벽면(52)에 고정되고, 상부측면(122)은 좌측면(121)의 상단부로부터 중앙부 섭동제어블록(110)의 상부측면(112)과 평행하도록 연장되어 중앙부 섭동제어블록(110)의 좌측단부에 연결되며, 우측면(123)은 상부측면(122)의 끝단부로부터 좌측면(121)의 하단부로 연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좌측 섭동제어블록(120); 및
    상기 중앙부 섭동제어블록(110)의 우측 단부와 우측 벽면(53)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우측면(131)과 상부측면(132) 및 좌측면(133)으로 형성되는 삼각뿔 형태를 갖되, 우측면(131)은 우측 벽면(53)에 고정되고, 상부측면(132)은 우측면(131)의 상단부로부터 중앙부 섭동제어블록(110)의 상부측면(112)과 평행하도록 형성되어 중앙부 섭동제어블록(110)의 우측단부에 연결되며, 좌측면(133)은 상부측면(132)의 끝단부로부터 우측면(131)의 하단부로 연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우측 섭동제어블록(1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쉽 문풀내 해수유동 저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 섭동제어블록(110)과 좌측 섭동제어블록(120) 및 우측 섭동제어블록(130)에는 유동하는 해수와의 충돌 시 발생되는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한 다수 개의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쉽 문풀내 해수유동 저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 섭동제어블록(110)과 좌측 섭동제어블록(120) 및 우측 섭동제어블록(130)은 내부가 빈 중공형의 블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쉽 문풀내 해수유동 저감장치.
KR1020110132674A 2011-12-12 2011-12-12 드릴쉽 문풀내 해수유동 저감장치 KR201300660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674A KR20130066019A (ko) 2011-12-12 2011-12-12 드릴쉽 문풀내 해수유동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674A KR20130066019A (ko) 2011-12-12 2011-12-12 드릴쉽 문풀내 해수유동 저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019A true KR20130066019A (ko) 2013-06-20

Family

ID=48862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2674A KR20130066019A (ko) 2011-12-12 2011-12-12 드릴쉽 문풀내 해수유동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601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871B1 (ko) * 2013-10-04 2015-02-03 삼성중공업(주) 선박
KR101491670B1 (ko) * 2013-07-19 2015-02-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해양구조물
KR20170025133A (ko) 2015-08-27 2017-03-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문풀 내의 와류 저감 시스템
KR20170024695A (ko) 2015-08-26 2017-03-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문풀 내의 와류 저감 시스템
WO2017048055A1 (ko) * 2015-09-15 2017-03-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유동감쇄구조체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670B1 (ko) * 2013-07-19 2015-02-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해양구조물
KR101488871B1 (ko) * 2013-10-04 2015-02-03 삼성중공업(주) 선박
KR20170024695A (ko) 2015-08-26 2017-03-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문풀 내의 와류 저감 시스템
KR20170025133A (ko) 2015-08-27 2017-03-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문풀 내의 와류 저감 시스템
WO2017048055A1 (ko) * 2015-09-15 2017-03-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유동감쇄구조체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
CN108025800A (zh) * 2015-09-15 2018-05-11 三星重工业株式会社 包括流动衰减结构的海上结构
CN108025800B (zh) * 2015-09-15 2020-06-23 三星重工业株式会社 包括流动衰减结构的海上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5990B1 (ko) 문풀 유동 억제 장치
US7900570B2 (en) Roll motion damping device for a floating body
US9340940B2 (en) Floating breakwater
KR20130066019A (ko) 드릴쉽 문풀내 해수유동 저감장치
DK2374708T3 (en) Resistance reducing devices to the moon pool
KR101259718B1 (ko) 복합형 문풀 저항 저감 구조를 갖는 드릴쉽
US9027492B2 (en) Drillship having vortex suppresion block with recessed flow stabilizing section in moon pool
KR101159196B1 (ko) 문풀 및 이를 구비한 시추선
KR102461779B1 (ko) 선박의 전면의 설계
CN105015698A (zh) 一种用于钻井船月池内部的减阻装置
CN202935532U (zh) 一种减少钻井船航行阻力和舯部开口上浪的月池
CN105416521A (zh) 平台月池减阻装置
KR101019051B1 (ko) 해양 플랫폼의 동요 감쇠장치
KR20130082012A (ko) 복합형 문풀 저항 저감 구조를 갖는 드릴쉽
KR20160056051A (ko) 횡동요감소장치
KR101071849B1 (ko) 해수유동 자가억제 장치를 구비한 문풀
KR20110134191A (ko) 오픈 샤프트형 선박
KR20160022536A (ko) 해양구조물 문풀의 해류저항 저감구조
CN209956184U (zh) 一种减阻隔板
CN205589429U (zh) 平台月池减阻装置
KR20080005021U (ko)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문풀
JP2006176068A (ja) 船舶のピッチング軽減装置
KR200459934Y1 (ko) 축 보조 링의 추가 및 끝단판의 구조 개선을 통한 함정용 안정기의 캐비테이션 저감 및 로프 걸림 방지 장치
KR20080006389U (ko) 플로팅도크를 위한 에어커튼 구조
KR101491670B1 (ko) 부유식 해양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