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875B1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875B1
KR101607875B1 KR1020140075708A KR20140075708A KR101607875B1 KR 101607875 B1 KR101607875 B1 KR 101607875B1 KR 1020140075708 A KR1020140075708 A KR 1020140075708A KR 20140075708 A KR20140075708 A KR 20140075708A KR 101607875 B1 KR101607875 B1 KR 101607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ss
movable body
guide
coupled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6005A (ko
Inventor
이주현
김수형
김희정
손혜종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5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875B1/ko
Publication of KR20150146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6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63B1/40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diminishing wave resis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선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문풀(Moonpool)이 구비된 선체를 포함하는 선박으로서, 문풀 내부에 형성되는 단차에 의해 마련되는 리세스(Recess); 및 저항 저감을 위해, 리세스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리세스가동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VESSEL}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항조건에 따른 선박의 선속과 흘수 등의 변화에 대해 문풀에 배치된 리세스가동유닛의 높이가 가변되도록 마련되어 문풀 내부에서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구조물이라 함은 해상 또는 해저에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수심에 따라 고정식, 반잠수식, 부유식으로 분류되며, 주로 석유 또는 천연가스 등의 에너지원 탐사 및 채취와 같은 해상 작업에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해양구조물에는 시추 장비 등이 탑재되어 있으며, 해저 유전 등을 개발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한편, 산업화에 따른 석유 사용량의 증가에 따라, 경제성이 없던 군소의 한계 유전(marginal field)이나 심해 유전의 개발이 경제성을 가지게 되었으며, 해저 채굴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이러한 유전의 개발에 적합한 시추설비를 구비한 시추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시추선은 다양한 종류의 선박을 포함하는데, 예를 들어, 다른 예인선에 의해 항해가 가능하고, 계류 장치를 이용하여 해상의 일정한 지점에 정박한 상태에서 해저 시추 작업을 하는 해저 시추 전용의 리그선(rig ship)이나, 고정식 플랫폼, 그리고, 첨단의 시추 장비를 탑재하고 자체의 동력으로 항해를 할 수 있도록 일반 선박과 동일한 형태로 제작된 소위 드릴쉽(drill ship)이 개발되어 해저 시추에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시추선의 중심부에는 시추 파이프 등을 해저면으로 내려 보내기 위한 문풀(moonpool)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문풀은 시추선의 용도 측면에서는 필수 불가결한 구조이지만, 선박의 정박, 항해 안정성이나 항해 성능의 측면에서는 매우 불리한 구조이다.
즉, 문풀 내에 유입되어 있는 해수와 선체 외부의 해수의 상대적인 유동에 의해 발생되는 슬로싱(sloshing) 현상으로 인하여, 시추선의 항해 시에 저항 증가, 속도저하, 소요 마력 증가, 연료소모증가 및 선체의 손상 등이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경우, 문풀 내부에 단차에 의한 리세스(Recess)를 형성하여, 문풀 내의 슬로싱현상을 저감시키게 되었다.
하지만, 선박의 경우 운항조건에 따라 선속과 흘수 등이 달라지는데, 종래와 같이, 리세스의 높이가 고정되어 있다면, 다양한 운항조건에서 선속과 흘수 등이 변동되는 때에는 오히려 저항이 증가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공개번호:제10-2011-0027404호(공개일자:2011년03월16일)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운항조건에 따른 선박의 선속과 흘수 등의 변화에 대해 문풀에 배치된 리세스가동유닛의 높이가 가변되도록 마련되어 문풀 내부에서의 저항을 감소시키며, 이에 의해, 선박의 운항에 따른 에너지효율을 향상시켜 비용절감이 가능한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문풀(Moonpool)이 구비된 선체를 포함하는 선박으로서, 상기 문풀 내부에 형성되는 단차에 의해 마련되는 리세스(Recess); 및 저항 저감을 위해, 상기 리세스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리세스가동유닛을 포함하는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세스가동유닛은, 상기 리세스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리세스가동본체; 및 상기 리세스가동본체가 결합되며, 상기 리세스가동본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리세스가동본체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세스가동본체는, 물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물수용탱크; 및 상기 물수용탱크의 측면에 결합되는 높이조절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수용탱크는, 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물저장룸; 및 상기 물저장룸에 결합되며, 상기 물의 유출입을 위해 작동되는 펌프가 배치되는 펌프배치룸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세스가동본체는 상기 리세스로 유입되는 유체에 의한 부력작용에 의해 상승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세스가동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리세스가동본체가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상하구동력제공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세스에 마련되는 가이드중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중공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세스가동본체가이드는, 상기 문풀 내부에서 상기 선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LM가이드레일; 및 상기 LM가이드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LM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되, 상기 리세스가동본체가 결합되는 LM가이드이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세스가동본체의 상하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LM가이드레일 및 상기 선체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리세스가동본체정지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운항조건에 따른 선박의 선속과 흘수 등의 변화에 대해 문풀에 배치된 리세스가동유닛의 높이가 가변되도록 마련되어 문풀 내부에서의 저항을 감소시키며, 이에 의해, 선박의 운항에 따른 에너지효율을 향상시켜 비용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서 문풀의 구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일반적인 선박에서 리세스의 높이에 따른 파진폭(波振幅)의 스펙트럼에 대한 실험결과 그래프이다.
도 4는 일반적인 선박에서 리세스의 높이에 따른 유효마력의 절감정도를 나타낸 도표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서 리세스가동유닛의 작동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측'과 '타측'의 용어는 특정된 측면을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특정된 측면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측면 중 임의의 측면을 일측이라 지칭하면, 이에 대응되는 다른 측면을 타측이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선박(100)은, 상선, 군함, 어선, 운반선, 드릴쉽, 크루즈선 및 특수 작업선 등과 같이 자항능력을 가지고 사람이나 화물을 이송시키는 선박(100)을 모두 포함하며, 또한, 부유식 생산저장설비(FPSO : 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부유식 원유 저장 설비(FSU : Floating Storage Unit) 등 화물을 저장 및 하역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은, 문풀(Moonpool,120)이 구비된 선체(110)를 포함하는 선박(100)으로서, 문풀(120) 내부에 형성되는 단차에 의해 마련되는 리세스(Recess,200)와, 저항 저감을 위해, 리세스(200)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리세스가동유닛(300)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선체(1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선수부, 중앙평행부, 선미부로 구분될 수 있으며, 선체(110)에는 화물이 적재될 수 있고, 또한, 작업자 등의 주거 및 사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선체(110)에는 해저의 지하에 존재하는 석유나 가스 등을 시추하는 시추 파이프(미도시)가 상하 이동되어 드릴링될 수 있도록 문풀(12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문풀(120)은 시추선의 선수와 선미의 중간정도에 위치할 수 있으며, 문풀(120) 상부에는 데릭(derrick)이 설치되어 시추장비와 시추파이프(미도시)를 이용하여 문풀(12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서 시추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에서 문풀(120)의 구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리세스(200)는 문풀(120) 내부에 형성되는 단차에 의해 마련된다. 즉, 문풀(120) 내에서 유체 유동이 증가하는 슬로싱현상을 저감시키도록 문풀(120)의 후방에 단차가 형성되며, 그러한 단차에 의해 소정의 공간이 마련된다.
여기서, 리세스(200)는 시추 작업을 위한 장비의 설치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시추 작업을 통한 시추물을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시추물 저장탱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리세스(200)는 문풀(120)의 후방에서 선수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마련되는데, 이러한 형상에 의해 문풀(120)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동이 안정화될 수 있다.
즉, 문풀(120) 내부에 리세스(200)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문풀(120) 내부의 유체의 파고(波高)가 감소되어 유체의 출렁이는 현상이 줄어들게 되며, 이에 의해, 문풀(120) 내의 슬로싱현상이 저감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선박(100)의 운항시의 흘수에 해당되는 운항흘수를 기준으로, 리세스(200)의 높이를 변화시키게 되면, 문풀(120) 내의 저항 저감 효과도 달라지는데, 이하, 이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일반적인 선박에서 리세스의 높이에 따른 파진폭(波振幅)의 스펙트럼에 대한 실험결과 그래프이다.
여기서, 도 3(a)는 6.45m 높이의 리세스를 가지는 선박이 12노트(Knot)의 속도로 이동할 때의 파진폭의 스펙트럼이고, 도 3(b)는 7.3m 높이의 리세스를 가지는 선박이 12노트(Knot)의 속도로 이동할 때의 파진폭의 스펙트럼이며, 도 3(c)는 8.15m 높이의 리세스를 가지는 선박이 12노트(Knot)의 속도로 이동할 때의 파진폭의 스펙트럼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리세스의 높이에 따라 파진폭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리세스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파진폭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는 일반적인 선박에서 리세스의 높이에 따른 유효마력의 절감정도를 나타낸 도표이다. 도 4에서 EHP는 Effective Horse Power의 약자이며, 유효마력을 의미한다.
여기서, 기준 리세스의 높이는 7.3m이며, 7.3m 높이의 리세스를 가지는 선박에서 유효마력의 절감정도가 0%인 경우, 6.45m 높이의 리세스를 가지는 선박에서 유효마력의 절감정도는 -1%이고, 8.15m 높이의 리세스를 가지는 선박에서 유효마력의 절감정도는 9%이다.
즉, 리세스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유효마력의 절감정도는 증가하므로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다만, 리세스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면 오히려 에너지효율이 나빠질 수 있게 되는 것을 실험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기준이 되는 운항흘수가 고정된 상태, 즉, 흘수값이 변화되지 않는 상태에서의 실험결과인데, 흘수값이 변하게 되면 리세스의 높이도 달라져야 하므로, 흘수값의 변동에 대응되게 리세스의 높이도 가변되도록 마련되어야만 유체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운항조건에 따라 선속과 흘수 등이 변화되는 경우에도 리세스의 높이가 고정되어 있다면, 경우에 따라, 오히려 저항이 증가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의 경우, 운항조건에 따라 리세스가동유닛(300)의 이동을 통해 높이가 조절되므로, 이에 의해 리세스(200)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과 공통되거나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바,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에서 리세스가동유닛(300)의 작동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리세스가동유닛(300)은 저항 저감을 위해, 리세스(200)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리세스가동유닛(300)은 운항조건에 따라 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상하로 이동하게 되며, 리세스(200)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과 공통되거나 유사한 기능과 작용을 하게 된다.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리세스가동유닛(300)은 리세스가동본체(310)와 리세스가동본체가이드(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리세스가동본체(310)는 리세스(200)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선박(100)의 항해를 위한 이동시에 적용되는 운항흘수와, 선박(100)의 다양한 작업을 위해 적용되는 작업흘수에 따라 리세스가동본체(310)가 상하로 이동되며, 해당 흘수에 최적화된 높이에서 정지하게 된다.
이에 대해 설명하면, 선박(100)의 이동시에는 속도에 영향을 받게 되므로, 속도에 유리할 수 있는 작은 흘수값을 가지도록 세팅되며, 리세스가동본체(310)는 상대적으로 작은 흘수값에서 저항이 감소될 수 있도록 조절된다.
그리고, 선박(100)의 작업시에는 선박(100)의 이동시보다 상대적으로 속도에 영향을 덜 받게 되므로, 이동시보다 큰 흘수값을 가지도록 세팅되며, 리세스가동본체(310)는 상대적으로 큰 흘수값에서 저항이 감소될 수 있도록 조절된다.
여기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리세스가동본체(310)는 물수용탱크(311)와, 높이조절플레이트(31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수용탱크(311)는 물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즉, 물수용탱크(311)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유입파이프(315)를 통해 물수용탱크(311) 내부로 물이 유입될 수 있으며, 물수용탱크(311)의 타측에 연결되어 있는 유출파이프(317)를 통해 물수용탱크(311)의 외부로 물이 유출될 수 있다.
여기서, 물수용탱크(311)로 유입되는 물은 펌프(314)에 의해 물수용탱크(311)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물수용탱크(311)는 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물저장룸(312)과, 물저장룸(312)에 결합되며, 물의 유출입을 위해 작동되는 펌프(314)가 배치되는 펌프배치룸(3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유입파이프(315)는 물저장룸(312)에 결합되어 있고, 물저장룸(312)의 측면에는 펌프배치룸(313)이 결합되어 있으며, 펌프배치룸(313)에는 펌프(314)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파이프(316)가 물저장룸(312)과 펌프(314)를 연결하며, 펌프배치룸(313)에는 유출파이프(317)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유입파이프(315)를 통해 물저장룸(312) 내부로 물이 유입되면, 자중에 의해 물수용탱크(311)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리세스(200)의 높이가 낮아지는 것과 공통되거나 유사한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펌프(314)의 작동에 의해, 물저장룸(312)에 저장된 물이 연결파이프(316)를 거쳐 유출파이프(317)를 통해 물저장룸(312)으로부터 외부로 유출되면, 리세스(200)의 바닥측으로 유입되는 유체에 의한 부력, 예를 들어, 해수에 의한 부력이 작용하여, 물수용탱크(311)와 높이조절플레이트(319)를 포함하는 리세스가동본체(310)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의해, 리세스(200)의 높이가 높아지는 것과 공통되거나 유사한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리세스가동본체(310)는 부력에 의해 상승하고, 물이 유입되어 자중에 의해 하강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지만, 상하구동력제공유닛(미도시)에 의해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상하구동력제공유닛(미도시)이 리세스가동본체(310)에 결합되어 리세스가동본체(310)의 상하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하구동력제공유닛(미도시)은 유압실린더로 마련될 수도 있고, 또는, 각종의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높이조절플레이트(319)는 물수용탱크(311)의 측면에 결합되며, 문풀(120) 내로 유입된 유체의 유동을 안정화시키도록 마련된다.
이에 대해 설명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문풀(120) 내부에 리세스(200)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문풀(120) 내의 슬로싱현상이 저감될 수 있게 되며, 리세스(200)의 높이에 따라 슬로싱 저감정도가 달라진다.
즉, 높이조절플레이트(319)는 물수용탱크(311)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하면서 리세스(200)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와 공통되거나 유사한 기능을 하게 되며, 이에 의해, 물풀 내의 유체의 출렁임을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해수와 같은 유체가 문풀(120) 내부로 인입되어 슬로싱 현상이 발생되면 오버플로우(Overflow) 현상에 의해 유체가 상부 갑판으로 넘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부 갑판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는 안전 사고에 노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장비에도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여기서, 높이조절플레이트(319)는 물수용탱크(311)의 측면에 결합되어 오버플로우 발생시 유체가 상부 갑판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리세스(200)에는 가이드중공(210)이 형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높이조절플레이트(319)는 가이드중공(210)에 삽입되어 가이드중공(21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중공(210)은 높이조절플레이트(319)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중공(210) 내부에는 높이조절플레이트(319)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높이조절플레이트(319)가 결합되는 높이조절플레이트가이드(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리세스가동본체가이드(320)는 리세스가동본체(310)가 결합되며, 리세스가동본체(310)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리세스가동본체가이드(320)는 다양한 방식의 가이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직선 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LM가이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리세스가동본체가이드(320)가 LM가이드로 마련되는 경우, 리세스가동본체가이드(320)는 LM가이드레일(321)과, LM가이드이동유닛(3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LM가이드레일(321)은 문풀(120) 내부에서 선체(110)에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LM가이드레일(321)은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LM가이드레일(321)은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LM가이드이동유닛(322)은 LM가이드레일(321)에 안착되어 LM가이드레일(321)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LM가이드이동유닛(322)이 리세스가동본체(310)에 결합되는데, LM가이드이동유닛(322)이 LM가이드레일(321)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하게 되면, LM가이드이동유닛(322)이 결합되어 있는 리세스가동본체(310)는 LM가이드이동유닛(322)의 이동에 연동되어 직선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리세스가동본체정지스토퍼(330)는 리세스가동본체(310)의 상하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LM가이드레일(321)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리세스가동본체(310)가 상하로 이동하게 되면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정지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리세스가동본체정지스토퍼(330)는, 리세스가동본체(310)의 정지위치에 해당되는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LM가이드레일(321)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리세스가동본체정지스토퍼(330)는 LM가이드레일(321)로부터 근접한 위치에서 문풀(120) 내부의 선체(1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리세스가동본체정지스토퍼(330)는 가이드중공(210) 내부에 마련되는 높이조절플레이트가이드(미도시)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에서, 운항조건에 따른 선박(100)의 선속과 흘수 등의 변화에 대해 문풀(120)에 배치된 리세스가동유닛(300)의 높이가 가변되도록 마련되어 문풀(120) 내부에서의 저항을 감소시키며, 이에 의해, 선박(100)의 운항에 따른 에너지효율을 향상시켜 비용절감이 가능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문풀(120)에 리세스(200)가 형성되면 문풀(120) 내부의 유체의 파고(波高)가 감소되어 문풀(120) 내의 슬로싱현상이 저감될 수 있으며, 슬로싱현상의 저감 정도는 리세스(200)의 높이에 따라 달라진다.
그리고, 문풀(120) 내부에서 발생되는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리세스(200)의 높이는 선박(100)의 선속이나 흘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해당 운항조건, 특히, 흘수의 변화에 대응되도록 리세스(200)의 높이를 변화시키면 해당 운항조건에서 유체의 저항은 최소화되므로, 에너지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의 경우, 문풀(120)에 리세스가동유닛(300)을 설치하여 리세스(200)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과 공통되거나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선박(100)이 작업 중이거나 이동 중인 경우 흘수는 변화되므로, 이에 대응되게 리세스가동유닛(300)이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이를 위해, 리세스가동유닛(300)은 물수용탱크(311)와 높이조절플레이트(319)로 마련되는 리세스가동본체(310)와, 리세스가동본체(3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리세스가동본체가이드(320)가 구비되는데, 여기서, 물수용탱크(311)는 물의 유출입이 가능한 물저장룸(312)과, 펌프(314)가 배치되는 펌프배치룸(313)을 포함한다.
그리고, 물저장룸(312)으로 물이 유입되면 그 자중에 의해 리세스가동본체(310)가 리세스가동본체가이드(320)를 따라 하강하게 되며, 펌프(314)의 작동에 의해 물저장룸(312)의 물이 유출되면 리세스(200)로 인입된 해수 등의 유체작용에 의한 부력에 의해 리세스가동본체(310)가 리세스가동본체가이드(320)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운항조건에 따른 선박(100)의 선속과 흘수 등의 변화에 대해 문풀(120)에 배치된 리세스가동유닛(300)의 높이가 가변되므로, 문풀(120) 내부에서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선박(100)의 운항에 따른 에너지효율을 향상시켜 비용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선박 110 : 선체
120 : 문풀 200 : 리세스
210 : 가이드중공 300 : 리세스가동유닛
310 : 리세스가동본체 311 : 물수용탱크
312 : 물저장룸 313 : 펌프배치룸
314 : 펌프 315 : 유입파이프
316 : 연결파이프 317 : 유출파이프
319 : 높이조절플레이트 320 : 리세스가동본체가이드
321 : LM가이드레일 322 : LM가이드이동유닛
330 : 리세스가동본체정지스토퍼

Claims (9)

  1. 문풀(Moonpool)이 구비된 선체를 포함하는 선박으로서,
    상기 문풀 내부에 형성되는 단차에 의해 마련되는 리세스(Recess); 및
    저항 저감을 위해, 상기 리세스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리세스가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리세스가동유닛은,
    상기 리세스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리세스가동본체; 및
    상기 리세스가동본체가 결합되며, 상기 리세스가동본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리세스가동본체가이드를 포함하는 선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가동본체는,
    물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물수용탱크; 및
    상기 물수용탱크의 측면에 결합되는 높이조절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선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수용탱크는,
    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물저장룸; 및
    상기 물저장룸에 결합되며, 상기 물의 유출입을 위해 작동되는 펌프가 배치되는 펌프배치룸을 포함하는 선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가동본체는 상기 리세스로 유입되는 유체에 의한 부력작용에 의해 상승하도록 마련되는 선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가동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리세스가동본체가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상하구동력제공유닛을 더 포함하는 선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에 마련되는 가이드중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중공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선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가동본체가이드는,
    상기 문풀 내부에서 상기 선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LM가이드레일; 및
    상기 LM가이드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LM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되, 상기 리세스가동본체가 결합되는 LM가이드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선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가동본체의 상하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LM가이드레일 및 상기 선체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리세스가동본체정지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선박.
KR1020140075708A 2014-06-20 2014-06-20 선박 KR101607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708A KR101607875B1 (ko) 2014-06-20 2014-06-20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708A KR101607875B1 (ko) 2014-06-20 2014-06-20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6005A KR20150146005A (ko) 2015-12-31
KR101607875B1 true KR101607875B1 (ko) 2016-03-31

Family

ID=55128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708A KR101607875B1 (ko) 2014-06-20 2014-06-20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8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369B1 (ko) * 2014-06-24 2016-12-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7404A (ko) 2009-09-10 2011-03-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해상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6005A (ko) 2015-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9868B1 (ko) 2개의 데릭을 구비하는 드릴쉽
KR20120032610A (ko) 문풀용 댐핑 디바이스의 잠금장치
KR101741523B1 (ko) 해양플랫폼
KR101487513B1 (ko) 문풀유동 소파장치
KR101607875B1 (ko) 선박
KR20090023891A (ko) 문풀이 형성된 시추선
KR101444146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EP3243734B1 (en) Assembly of a vessel and a floating module
KR20110068486A (ko) 시추선
KR101625824B1 (ko) 선박
KR101788745B1 (ko) 문풀의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KR101503279B1 (ko) 계류장치의 배치구조를 갖는 드릴십
KR102055401B1 (ko) 세미 리그선의 가설 발라스트 장치
KR101707412B1 (ko) 해저 브리지 시스템
KR101466055B1 (ko) 슬로싱 저감 장치
KR102632396B1 (ko) 문풀 저항 저감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20180006110A (ko) 문풀 댐핑장치 및 그 문풀 댐핑장치의 댐핑과 플립의 보관방법
KR101167924B1 (ko) 선박의 문풀부 저항 감소구조
KR20090058187A (ko) 시추선의 문풀 구조물 유동저감 구조
KR101695892B1 (ko) 문풀 내부 유동억제 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하는 시추 해양구조물
KR101571305B1 (ko) 문풀유동 소파장치
KR101751844B1 (ko)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횡 동요 및 상하동요 저감장치, 그리고 그 횡 동요 및 상하동요 저감장치를 구비하는 부유식 해상구조물
KR20180001140A (ko) 해양구조물
KR20150034858A (ko)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
KR20150070513A (ko) 반 잠수형 시추선의 상하동요 안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