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4858A -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 - Google Patents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34858A KR20150034858A KR20130114084A KR20130114084A KR20150034858A KR 20150034858 A KR20150034858 A KR 20150034858A KR 20130114084 A KR20130114084 A KR 20130114084A KR 20130114084 A KR20130114084 A KR 20130114084A KR 20150034858 A KR20150034858 A KR 2015003485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rane
- floating
- floating crane
- fixing structure
- wi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52—Floating cranes
- B66C23/53—Floating cranes including counterweight or means to compensate for list, trim, or skew of the vessel or platfor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4—Anch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은 해상크레인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의 해저면에 설치되며, 상기 해상크레인과 와이어로 결속되어 상기 해상크레인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상크레인을 이용하여 특정 작업을 실시할 때에는 해상크레인의 위치 고정을 위해 해상크레인으로부터 앵커(anchor)를 하강시킨다. 이 때, 해상크레인과 앵커를 연결하는 와이어가 다른 선박에 걸리지 않도록 해당 작업 구역에는 다른 선박의 접근을 제한하게 된다.
보통, 3000톤 급의 해상크레인의 경우, 작업 반경은 500m x 600m, 8000톤 급의 해상크레인의 경우, 작업 반경은 750m x 600m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해상크레인(1)으로부터 앵커(3)가 달린 와이어(2)가 하강하고, 앵커(3)는 해상크레인(1)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의 해저면에 걸리게 된다. 해상크레인(1)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파지력을 제공하기 위해, 앵커(3)는 해상크레인(1)으로부터 먼 곳에 위치하여 해저면과 와이어가 이루는 각이 작아야 한다. 통상적으로, 앵커(3)가 해상크레인(1)으로부터 약 300m(d1) 이상 이격되어야 해상크레인(1)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약 300m(d1) 이상의 선박 이동 금지 구역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인접한 플로팅도크(floating dock, 4, 5)의 거리가 수 백 미터 수준에 불과한 경우, 해상크레인(1)의 계류에 의해 약 300m 수준의 이동 금지 구역이 발생되면, 도크(4)와 도크(5) 사이로는 선박의 이동이 전면적으로 금지되는 바, 해당 구역의 물류 흐름 및 도크 작업에 막대한 지장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선박 이동 금지 구역을 최대한 감소시키면서 해상크레인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해상크레인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선박 이동 금지 구역을 감소시켜 작업 구역의 효율적 활용을 도모하는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은, 해상크레인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의 해저면에 설치되며, 상기 해상크레인과 와이어로 결속되어 상기 해상크레인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의 하면에는 상기 해상크레인 측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다수의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의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에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상승하여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의 일단은 상기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에 결속되고, 타단은 해수면 상에 위치하는 부표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의 타단은 소형 선박에 의해 인양되어 상기 해상크레인에 결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해상크레인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선박 이동 금지 구역을 감소시켜 작업 구역의 효율적 활용을 도모하는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2는 종래기술에 의한 해상크레인 고정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상크레인 고정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
도 5는 해상크레인과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이 와이어로 결속되는 일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의 측면도.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상크레인 고정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
도 5는 해상크레인과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이 와이어로 결속되는 일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의 측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상크레인 고정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100)은 해저면에 설치된다.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100)은 해저면에 매립되어 고정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자중에 의해서 해저면에 안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100)은 콘크리트로 제작될 수 있고, 스틸(steel)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콘크리트와 스틸을 혼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100)은 해상크레인(1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의 해저면에 설치되는데, 해상크레인(10)과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100)은 와이어(20)로 연결 및 결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100)의 상면에는 일종의 러그(lug)가 제공될 수 있고, 이러한 러그에 와이어(20)가 결속될 수 있는 것이다.
종래기술에 의한 앵커는 해저면의 흙이나 바위 등의 물체에 걸리는 것을 통해 해상크레인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인데 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100)은 해저면에 고정 설치되거나 자중에 의해 해저면에 위치하여 고정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앵커에 비해 월등한 파지력을 제공할 수 있고, 그 결과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100)이 해상크레인(10)으로부터 이격되어야 할 거리(d2)는 현격히 줄어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100)은 해상크레인(10)으로부터의 거리(d2)가 약 200m일 경우에도 해상크레인(10)의 위치를 고정할 충분한 파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선박 이동 금지 구역(d2) 역시 기존 약 300m 이상에서 약 200m로 감소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선박 이동 금지 구역이던 A 구역에도 다른 선박이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는 작업 구역의 효율적 활용으로 이어져 전체 조선 공정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해상크레인(10)과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100)이 와이어(20)로 결속되는 일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100)의 상부 해수면 상에 위치하는 부표(50) 및 소형 선박(60)을 이용하여 와이어(20)를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20)의 일단은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100)의 상면에 제공된 러그(101)에 결속될 수 있다. 한편, 와이어(20)의 타단은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100)에 대응되는 위치의 해수면 상에 위치한 부표(50)에 배치될 수 있다. 부표(50)에는 일종의 거치 장치가 마련되어 와이어(20)의 타단을 보관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해상크레인(10)을 이용한 작업이 개시되는 경우, 부표(50)에 배치된 와이어(20)의 타단은 소형 선박(60)에 의해 해상크레인(10) 측으로 인양되어 해상크레인(10)에 연결 및 결속될 수 있다. 또는, 해상크레인(10)으로부터 별도의 와이어(미도시)가 배출되고, 부표(50)에 배치되어 있던 와이어(20)의 타단은 상기 해상크레인(10)으로부터 배출된 와이어와 부표(50) 및 해상크레인(10)의 중간 지점에서 결속될 수 있다.
이 때,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100)로부터 수직으로 상승한 위치의 해수면 상에 위치한 부표(50)는 선박 이동 금지 구역임을 표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100)의 측면도이다. 다른 선박과의 간섭 현상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100)은 높이가 낮을수록 좋다. 예를 들어, 일정 중량을 만족하기 위해서라면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100)의 높이가 아닌 폭(또는 길이)를 크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100)에는 다수의 홈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홈부(110)는 해상크레인(10) 측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되어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100)이 해저면에 고정 설치된 경우가 아니라 자중에 의해 해저면에 고정 위치하는 경우, 해저면의 흙이나 바위 등의 물체가 걸리도록 하여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100)이 해저면의 특정 위치에 보다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200)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이동이 가능한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200)을 예시하는 것이다.
해상크레인(10)을 이용한 작업 시 해상크레인(10)의 위치 조정에 따라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200)의 위치를 조정해야 할 경우나, 풍속에 따라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200)의 위치를 조정해야 할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200)은 부력에 의해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200) 내부에는 중공부(220)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중공부(220)와 연통되는 공기주입관(230)이 제공될 수 있다.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200)이 고정된 상태에서는 공기주입관(230)이 개방되어 있어 중공부(220)에 해수가 차기 때문에 부력이 생성되지 않는다.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200)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공기주입관(230)을 통해 중공부(220)에 공기를 주입하고, 주입된 공기에 의해 중공부(220)에 차 있던 해수는 중공부(220) 외부로 배출된다. 결국, 중공부(220)에는 공기만이 차 있을 수 있고, 이로써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200)에는 부력이 작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200)와 연결된 와이어(20)를 조정하면 쉽게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고, 그와 같은 실시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해상크레인 20: 와이어
30, 40: 플로팅도크 50: 부표
60: 소형 선박 100, 200: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
101: 러그 110, 210: 홈부
220: 중공부 230: 공기주입관
30, 40: 플로팅도크 50: 부표
60: 소형 선박 100, 200: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
101: 러그 110, 210: 홈부
220: 중공부 230: 공기주입관
Claims (4)
- 해상크레인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의 해저면에 설치되며, 상기 해상크레인과 와이어로 결속되어 상기 해상크레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의 하면에는 상기 해상크레인 측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다수의 홈부가 형성되는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의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되는,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일단은 상기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에 결속되고, 타단은 해수면 상에 위치하는 부표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의 타단은 소형 선박에 의해 인양되어 상기 해상크레인에 결속되는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14084A KR20150034858A (ko) | 2013-09-25 | 2013-09-25 |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14084A KR20150034858A (ko) | 2013-09-25 | 2013-09-25 |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34858A true KR20150034858A (ko) | 2015-04-06 |
Family
ID=53029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14084A KR20150034858A (ko) | 2013-09-25 | 2013-09-25 |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34858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44279A (ko) * | 2021-04-19 | 2022-10-26 | 김승진 | 부이 앵커 |
-
2013
- 2013-09-25 KR KR20130114084A patent/KR2015003485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44279A (ko) * | 2021-04-19 | 2022-10-26 | 김승진 | 부이 앵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918174B2 (en) | Anti-sloshing device in moon-pool | |
KR101205344B1 (ko) | 부유식 구조물 | |
KR102400054B1 (ko) |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 | |
RU2203828C2 (ru) | Конструкция корпуса | |
KR101741523B1 (ko) | 해양플랫폼 | |
WO2012104309A2 (en) | Production unit for use with dry christmas trees | |
KR101487513B1 (ko) | 문풀유동 소파장치 | |
KR20150034858A (ko) |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 | |
NO337402B1 (no) | Et flytende skrog med stabilisatorparti | |
EP3243734B1 (en) | Assembly of a vessel and a floating module | |
KR20120001055U (ko) | 시추선을 위한 트롤리 레일의 리세스 타입 구조 | |
KR20130127699A (ko) | 부유식 플랜트의 계류 장치 및 계류 방법 | |
KR20170026001A (ko) | 부유식 해양플랜트 | |
KR102095380B1 (ko) | 해양구조물의 계류라인 설치장치 및 해양구조물의 계류라인 설치방법 | |
KR20150089285A (ko) | 쇄파 기능을 겸비한 트롤리 레일 서포트의 리세스 지지구조 및 그 지지구조를 갖는 트롤리 레일 서포트 | |
KR101607875B1 (ko) | 선박 | |
KR101901817B1 (ko) | 해양구조물의 와류유발운동 감소를 위한 장치 | |
KR20090040608A (ko) | 이동 및 위치 조정 가능한 부유식 안벽 | |
KR20150104734A (ko) | 도르래를 이용한 선박 계류장치 | |
KR20130003914A (ko) | 선박용 아지무스 쓰러스터의 육상 설치 방법 | |
KR20160027317A (ko) | 부유식 해양 구조물 | |
KR20170021771A (ko) | 드릴링 동작을 하는 플로팅 유닛 | |
KR101620923B1 (ko) | 부표식 생산 시스템을 위한 계류 시스템 | |
JP2014117980A (ja) | 浮標の設置方法 | |
KR102487582B1 (ko) | 해양 구조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