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4279A - 부이 앵커 - Google Patents

부이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4279A
KR20220144279A KR1020210075320A KR20210075320A KR20220144279A KR 20220144279 A KR20220144279 A KR 20220144279A KR 1020210075320 A KR1020210075320 A KR 1020210075320A KR 20210075320 A KR20210075320 A KR 20210075320A KR 20220144279 A KR20220144279 A KR 20220144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anchor
fixed
fixing
free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8023B1 (ko
Inventor
김승진
Original Assignee
김승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진 filed Critical 김승진
Priority to KR1020210075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8023B1/ko
Publication of KR20220144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4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4Anchors
    • B63B21/26Anchors securing to bed
    • B63B21/29Anchors securing to bed by weight, e.g. flukeless weight anch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4Anchors
    • B63B21/30Anchors rigid when in 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해저면에 안착되는 안착면; 상기 안착면에서 수면을 향해 향해 연장되는 측면, 및 상기 측면에서 상기 안착면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을 향해 상향 경사진 경사면이 구비된 바디; 상기 경사면에 구비되며, 부이에서 연장되는 고정선의 일단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이 고정부; 및 상기 측면에 구비되며, 해저면에 위치된 물체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터 고정부;를 포함하는 부이 앵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이 앵커 및 상기 부이 앵커가 구비된 정박장치 {Buoy Anchor and Anchoring System having the same}
본 출원은 부이 앵커 및 상기 부이 앵커가 구비된 정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트 등의 선박은 해안에 위치된 정박시설(부두 등)에 로프 등으로 고정됨으로써 정박한다(등록특허공보 제10-2128783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6853호). 정박시설은 정박을 위한 공간이 확보 가능한 지역에 정박에 필요한 시설물과 구조물을 설치함으로써 완성되는데, 종래 정박시설들은 설치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될 뿐아니라, 한정된 정박 공간 내에 수용 가능한 선박의 수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출원은 설치 비용의 절감 및 설치 시간을 단축 가능한 부이 앵커 및 부이 앵커가 구비된 정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수용 가능한 선박의 수를 큰 제한 없이 확장 가능한 부이 앵커 및 부이 앵커가 구비된 정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기상 변화에도 선박의 위치를 확고히 유지 가능한 부이 앵커 및 부이 앵커가 구비된 정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앵커에 고정된 부이의 고정선이 앵커에 감기거나 엉키는 문제를 해결 가능한 부이 앵커 및 부이 앵커가 구비된 정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은 선박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선박 연결선, 및 해저면에 위치된 물체에 연결되는 고정선을 각각 구비하여, 해수면에 위치하는 다수의 부이(buoy); 해저면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선의 일단이 연결되는 부이 고정부를 통해 상기 다수의 부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부이가 해수면에서 이동 가능한 범위를 제한하는 다수의 부이 앵커; 해저면에 위치하며, 제1커넥터를 통해 상기 다수의 부이 앵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다수의 고정 앵커;가 구비된 정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다수 개의 부이 앵커들은 서로 이격되도록 해저면에 배치되고, 하나의 부이 앵커는 다른 하나의 부이 앵커와 제2커넥터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부이 앵커는 해저면에 안착되는 안착면, 상기 안착면에서 수면을 향해 향해 연장되는 측면, 및 상기 측면에서 상기 안착면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을 향해 상향 경사진 경사면이 구비된 바디; 상기 안착면에 구비되어 해저면에 상기 바디를 고정시키는 바디 고정부; 및 상기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커넥터 또는 상기 제2커넥터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터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이 고정부는 상기 경사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은 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부이 고정부는 상기 돔의 정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은 상기 측면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안착면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을 향해 상향 경사진 평면으로 구비되고, 상기 부이 고정부는 상기 경사면의 정점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박장치는 상기 바디 내부에 고정된 링 형상의 허브 바디; 및 상기 허브 바디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상기 허브 바디의 내부에 고정된 지지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고정부는 일단은 상기 허브 바디에 고정되고, 자유단은 상기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바디의 외부에 노출된 제1고정바; 상기 제1고정바의 자유단에 후크 형상 또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커넥터 또는 상기 제2커넥터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체결부; 일단은 상기 허브 바디에 고정되고, 자유단은 상기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바디의 외부에 노출된 제2고정바; 및 상기 제2고정바의 자유단에 구비된 후크 형상 또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커넥터 또는 상기 제2커넥터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측면을 관통한 상기 제1고정바의 자유단이 상기 측면을 향해 절곡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측면을 관통한 상기 제2고정바의 자유단이 상기 측면을 향해 절곡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제1고정바의 자유단이 상기 측면를 관통하여 상기 바디 내부로 삽입되도록 절곡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제2고정바의 자유단이 상기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바디 내부로 삽입되도록 절곡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이 고정부는 일단은 상기 지지바디에 고정되고, 자유단은 상기 경사면을 관통하여 상기 바디의 외부에 노출되는 부이 고정바; 및 상기 경사면을 관통한 상기 부이 고정바의 자유단이 후크 형상 또는 링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고정선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부이 체결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이 체결부는 상기 경사면을 관통한 상기 부이 고정바의 자유단이 상기 경사면을 향해 절곡되거나, 상기 경사면을 관통하여 상기 바디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은 선박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선박 연결선을 각각 구비하여, 해수면에 위치하는 제1부이, 및 제2부이; 해저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부이가 해수면에서 이동 가능한 범위를 제한하는 제1부이 앵커; 해저면 중 상기 제1부이 앵커와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며, 상기 제2부이가 해수면에서 이동 가능한 범위를 제한하는 제2부이 앵커; 해저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부이 앵커에 연결되는 제1고정 앵커; 해저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2부이 앵커에 연결되는 제2고정 앵커; 해저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부이 앵커 및 상기 제2부이 앵커에 연결되는 제3고정 앵커 및 제4고정 앵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이 앵커, 상기 제3고정 앵커, 상기 제2부이 앵커, 및 상기 제4고정 앵커는 사각형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고정 앵커 및 상기 제2고정 앵커는 상기 사각형의 외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1부이 앵커와 상기 제2부이 앵커를 연결한 직선 상에 배치되는 정박장치를 제공한다.
본 출원은 선박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선박 연결선을 각각 구비하여, 해수면에 위치하는 제1부이, 제2부이, 및 제3부이(buoy); 해저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부이가 해수면에서 이동 가능한 범위를 제한하는 제1부이 앵커; 해저면 중 상기 제1부이 앵커와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며, 상기 제2부이가 해수면에서 이동 가능한 범위를 제한하는 제2부이 앵커; 해저면 중 상기 제1부이 앵커 및 제2부이 앵커와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며, 상기 제3부이가 해수면에서 이동 가능한 범위를 제한하는 제3부이 앵커; 해저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부이 앵커에 연결된 제1고정 앵커; 해저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2부이 앵커에 연결되는 제2고정앵커; 및 해저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3부이 앵커에 연결되는 제3고정앵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이 앵커, 상기 제2부이 앵커, 및 상기 제3부이 앵커는 삼각형을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커넥터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정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고정 앵커는 상기 삼각형의 중심과 상기 제1부이 앵커를 연결한 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고정 앵커는 상기 삼각형의 중심과 상기 제2부이 앵커를 연결한 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3고정 앵커는 상기 삼각형의 중심과 상기 제3부이 앵커를 연결한 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출원은 선박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선박 연결선을 각각 구비하여, 해수면에 위치하는 제1부이, 제2부이, 제3부이, 및 제4부이(buoy); 해저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부이가 해수면에서 이동 가능한 범위를 제한하는 제1부이 앵커; 해저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부이가 해수면에서 이동 가능한 범위를 제한하는 제2부이 앵커; 해저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3부이가 해수면에서 이동 가능한 범위를 제한하는 제3부이 앵커; 해저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4부이가 해수면에서 이동 가능한 범위를 제한하는 제4부이 앵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이 앵커, 상기 제2부이 앵커, 상기 제3부이 앵커, 및 상기 제4부이 앵커는 사각형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되, 커넥터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정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정박장치는 해저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부이 앵커에 연결되며, 상기 사각형의 중심과 상기 제1부이 앵커를 연결하는 직선 상에 배치된 제1고정 앵커; 해저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2부이 앵커에 연결되며, 상기 사각형의 중심과 상기 제2부이 앵커를 연결하는 직선 상에 배치된 제2고정 앵커; 해저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3부이 앵커에 연결되며, 상기 사각형의 중심과 상기 제3부이 앵커를 연결하는 직선 상에 배치된는 제3고정 앵커; 및 해저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4부이 앵커에 연결되며, 상기 사각형의 중심과 상기 제4부이 앵커를 연결하는 직선 상에 배치된 제4고정 앵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박장치는 해저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부이 앵커에 연결되며, 상기 제1부이 앵커에 인접한 두 개의 부이 앵커들을 상기 제1부이 앵커에 연결한 직선 각각에 배치되는 두 개의 제1고정 앵커; 해저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2부이 앵커에 연결되며, 상기 제2부이 앵커에 인접한 두 개의 부이 앵커들을 상기 제2부이 앵커에 연결한 직선 각각에 배치되는 두 개의 제2고정앵커; 해저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3부이 앵커에 연결되며, 상기 제3부이 앵커에 인접한 두개의 부이 앵커들을 상기 제3부이 앵커에 연결한 직선 각각에 배치되는 두 개의 제3고정앵커; 및 해저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4부이 앵커에 연결되며, 상기 제4부이 앵커에 인접한 두개의 부이 앵커들을 상기 제4부이 앵커에 연결한 직선 각각에 배치되는 두 개의 제4고정앵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박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선박 연결선, 및 해저면에 위치된 물체에 연결되는 고정선을 구비하여 해수면에 위치하는 부이의 위치를 고정하는 부이 앵커에 있어서, 본 출원은 해저면에 안착되는 안착면, 상기 안착면에서 수면을 향해 향해 연장되는 측면, 및 상기 측면에서 상기 안착면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을 향해 상향 경사진 경사면이 구비된 바디; 상기 경사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선의 일단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이 고정부; 상기 측면에 구비된 커넥터 고정부; 일단은 해저면에 위치된 물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커넥터 고정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앵커를 제공한다.
상기 경사면은 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돔의 정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은 상기 측면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안착면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을 향해 상향 경사진 평면으로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경사면의 정점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이 앵커는 상기 바디 내부에 고정된 링 형상의 허브 바디; 및 상기 허브 바디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상기 허브 바디의 내부에 고정된 지지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고정부는 일단은 상기 허브 바디에 고정되고, 자유단은 상기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바디의 외부에 노출된 제1고정바; 상기 제1고정바의 자유단에 후크 형상 또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체결부; 일단은 상기 허브 바디에 고정되고, 자유단은 상기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바디의 외부에 노출된 제2고정바; 제2고정바의 자유단에 구비된 후크 형상 또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체결부; 일단은 상기 허브 바디에 고정되고, 자유단은 상기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바디의 외부에 노출된 제3고정바; 및 제3고정바의 자유단에 구비된 후크 형상 또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3체결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출원은 설치 비용의 절감 및 설치 시간을 단축 가능한 부이 앵커 및 부이 앵커가 구비된 정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출원은 수용 가능한 선박의 수를 쉽게 확장 가능한 부이 앵커 및 부이 앵커가 구비된 정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출원은 기상 변화에도 선박의 위치를 확고히 유지 가능한 부이 앵커 및 부이 앵커가 구비된 정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출원은 앵커에 고정된 부이의 고정선이 앵커에 감기거나 엉키는 문제를 해결 가능한 부이 앵커 및 부이 앵커가 구비된 정박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부이 앵커 및 부이 앵커가 구비된 정박장치의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와 도 3은 부이 앵커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부이 앵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부이 앵커 및 고정 앵커가 구비된 정박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내지 도 9는 정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부이 앵커 및 정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출원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박장치(100)는 부력에 의해 해수면(S)에 노출되어 선박(1)이 연결되는 부이(2, buoy), 해저면(B)에 위치하여 상기 부이(2)의 위치를 고정하는 부이 앵커(3), 해저면(B)에 위치하여 상기 부이 앵커(3)의 위치를 고정(부이 앵커에 연결)된 고정 앵커(4)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이(2)는 선박(1)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선박 연결선(21), 및 해저면(B)에 위치된 물체(부이 앵커 등)에 연결되는 고정선(23)을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선박 연결선(21)은 로프(rope)로 구비되고, 상기 고정선(23)은 체인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박(1)의 선체(11)에 로프 커넥터(13)가 구비될 경우, 상기 선박 연결선(21)의 자유단에는 상기 로프 커넥터(13)에 걸리는 링 형상의 루프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이 앵커(3)는 해저면(B)에 고정되거나 안착되는 바디(31), 상기 바디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선(23)의 일단이 고정되는 부이 고정부(33), 상기 바디(31)의 측면에 구비되어 해저면(B)에 위치된 물체(해저지물, 부이 앵커, 또는 고정 앵커 등)이 연결되는 커넥터 고정부(3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31)는 해저면(B)에 안착되거나 고정되는 베이스(311), 및 상기 베이스(311)의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부이 고정부(33)가 위치하는 경사면(31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311)는 해저면(B)에 접촉하는 안착면(311a), 및 상기 안착면에서 해수면(S)을 향해 향해 연장되는 측면(311b)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경사면(312)은 상기 측면(311b)에서 상기 안착면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H)을 향해 상향 경사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경사면(312)은 해수면(S)을 향해 볼록한 돔 형상(dome)으로 구비되고, 상기 부이 고정부(33)는 상기 돔의 정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312)이 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부이 고정부(33)가 돔의 정점에 고정되면, 상기 고정선(23)이 바디(31)에 엉키거나 감기는 문제를 최소화 가능하다. 파도나 바람에 의해 상기 부이(2)의 위치 변화가 심하면 상기 고정선(23)은 상기 부이 고정부(33)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경사면(312)에 형성된 돔의 곡면은 상기 고정선(23)이 상기 부이 앵커(3)에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달리, 상기 경사면(312)은 상기 측면(311b)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안착면(311a)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H)을 향해 상향 경사진 평면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도 4 참고). 이 경우에도, 상기 부이 고정부(33)는 상기 경사면(312)의 정점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경사면(312)의 정점은 상기 부이 고정부(33)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일례에 불과할 뿐이다. 따라서, 상기 부이 고정부(33)는 상기 경사면(312)이 제공하는 공간 중 어디에나 위치될 수도 있다.
상기 바디의 안착면(311a)에는 상기 바디(31)를 해저면(B)에 고정하는 바디 고정부(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 고정부(34)는 ㄱ자 형상의 브라켓(bracket)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안착면(311a)에서 해저면(B)을 향해 돌출된 바(bar)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안착면(311a)에서 돌출된 바(bar) 및 상기 바에 나선(thread)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는 상기 바디 고정부(33)가 브라켓 형태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 상기 브라켓은 기 설정된 각도을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된 제1고정판(341) 및 제2고정판(342)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 고정부(33)가 구비된 부이 앵커(3)는 상기 고정선(23) 등을 통해 상기 바디(31)에 외력이 공급되거나, 해류 등에 의한 외력이 상기 바디(31)에 공급되더라도 해저면(B)에서 이탈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31) 내부에는 허브(32)가 구비되고, 상기 부이 고정부(33) 및 상기 커넥터 고정부(35)는 상기 허브(32)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허브(32)는 상기 바디(31) 내부에 고정된 링 형상의 허브 바디(321), 및 상기 허브 바디(321)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상기 허브 바디(321)의 내부에 고정된 지지바디(32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고정부(34)는 필요에 따라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3은 상기 커넥터 고정부(35)가 제1고정부(351), 제2고정부(352), 및 제3고정부(353)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고정부(351)는 일단은 상기 허브 바디(321)에 고정되고 자유단은 상기 측면(311b)을 관통하여 상기 바디(31)의 외부에 노출된 제1고정바(351a), 및 상기 제1고정바(351a)의 자유단에 후크 형상(hook) 또는 링 형상(ring)으로 구비되어 후술할 커넥터(5)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체결부(351b)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고정부(352)는 일단은 상기 허브 바디(321)에 고정되고 자유단은 상기 측면(311b)을 관통하여 상기 바디(31)의 외부에 노출된 제2고정바(352a), 및 상기 제2고정바(352a)의 자유단에 구비된 후크 형상 또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5)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체결부(352b)를 포함하고, 상기 제3고정부(353)는 일단은 상기 허브 바디(321)에 고정되고 자유단은 상기 측면(311b)을 관통하여 상기 바디(31)의 외부에 노출된 제3고정바(353a), 및 상기 제3고정바(353a)의 자유단에 구비된 후크 형상 또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5)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3체결부(353b)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351b)는 상기 측면(311b)을 관통한 상기 제1고정바(351a)의 자유단이 상기 측면(311b)을 향해 절곡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부(352b)는 상기 측면(311b)을 관통한 상기 제2고정바(352a)의 자유단이 상기 측면(311b)을 향해 절곡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제3체결부(353b)는 상기 측면(311b)을 관통한 상기 제3고정바(353a)의 자유단이 상기 측면(311b)을 향해 절곡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각 체결부는 후크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체결부(351b, 352b, 352c)에 연결되는 커넥터(5)가 체결부에서 분리될 위험을 낮추기 위해, 각 체결부(351b, 352b, 352c)는 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체결부(351b)는 상기 제1고정바(351a)의 자유단이 상기 측면(311b)를 관통하여 상기 바디(31) 내부로 삽입되도록 절곡되고, 상기 제2체결부(352b)는 상기 제2고정바(352a)의 자유단이 상기 측면(311b)을 관통하여 상기 바디(31) 내부로 삽입되도록 절곡되며, 상기 제3체결부(353b)는 상기 제3고정바(353a)의 자유단이 상기 측면(311b)을 관통하여 상기 바디(31) 내부로 삽입되도록 절곡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이 고정부(33)는 일단은 상기 지지바디(322)에 고정되고 자유단은 상기 경사면(312)을 관통하여 상기 바디(31)의 외부에 노출되는 부이 고정바(331), 및 상기 경사면(312)을 관통한 상기 부이 고정바(331)의 자유단이 후크 형상 또는 링 형상으로 절곡된 부이 체결부(33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이(2)에 연결된 상기 고정선(23)은 상기 부이 체결부(332)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부이 체결부(332)는 상기 경사면(312)을 관통한 상기 부이 고정바(331)의 자유단이 상기 경사면(312)을 향해 절곡되거나, 상기 경사면을 관통하여 상기 바디(31)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부이 앵커(3)는 시멘트 등의 물질로 상기 바디(31)를 제작할 수 있다. 즉, 상기 바디(31)의 형상에 대응하는 틀을 형성하고, 틀 중앙에 상기 허브(32)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부이 고정부(33), 커넥터 고정부(35) 및 바디 고정부(34)를 상기 틀 내부 공간 중 설계된 지점에 위치시킨 후 시멘트 혼합물 등을 틀에 붇고 굳힘으로써 상기 부이 앵커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바디(31)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바디(31)에는 격자형상의 메쉬(313, 철 재질로 만들어진 그물 등)가 매립될 수 있다.
도 2와 도 3은 상기 부이 앵커(3)가 대략 원기둥 형상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상기 부이 앵커(3)의 형상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부이 앵커가 대략 사각기둥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5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앵커(4)는 상기 커넥터(5)를 통해 상기 부이 앵커(3)에 연결되는 로드(41), 상기 로드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로드(41)에 고정된 암(42), 상기 암(42)에 고정되어 상기 로드(41)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1플루크(43, fluke), 및 상기 암(42)에 고정되어 상기 로드(41)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2플루크(44)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드(41)에는 상기 커넥터(5)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관통홀(411)이 구비된다.
외력이 상기 로드(41)에 작용할 때 상기 플루크들(43, 44)이 해저면(B)에 깊숙히 박힐 수 있도록, 상기 암(42)은 상기 로드(4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플루크(43)와 제2플루크(44)는 모서리가 뾰족한 사각형상의 판(plate)로 구비되고, 각 플루크의 양측면에는 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플루크(43)의 우측단에는 상부(해수면을 향하는 방향)를 향해 절곡된 제1플루크 제1리브(431)가 구비되고, 상기 제1플루크(43)의 좌측단에는 상부를 향해 절곡된 제1플루크 제2리브(43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플루크(44)의 우측단에는 상부(해수면을 향하는 방향)를 향해 절곡된 제2플루크 제1리브(441)가 구비되고, 상기 제2플루크(44)의 좌측단에는 상부를 향해 절곡된 제2플루크 제2리브(4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리브들(431, 432, 441, 442)는 해저면(B)에 박힌 각 플루크(43, 44)가 움직이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고정 앵커(4)의 위치변화를 최소화 가능하다.
상기 커넥터(5)는 상기 고정 앵커(4)를 상기 부이 앵커(3)에 연결하는 제1커넥터(52, 고정 앵커 커넥터), 및 다수의 부이 앵커들(3)을 서로 연결하는 제2커넥터(51, 부이 앵커 커넥터)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5 (b)와 도 5 (c)는 하나의 부이(2), 하나의 부이 앵커(3), 및 다수의 고정 앵커(4)로 구성된 정박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5 (b)의 실시예는 하나의 부이 앵커(3)를 중심으로 제1고정 앵커(4a), 제2고정 앵커(4b), 및 제3고정 앵커(4c)가 삼각형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경우이고, 도 5 (c)의 실시예는 하나의 부이 앵커(3)를 중심으로 제1고정 앵커(4a), 제2고정 앵커(4b), 제3고정 앵커(4c), 및 제4고정 앵커(4d)가 사각형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b)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커넥터 고정부(35)가 상술한 제1고정부(351), 제2고정부(352), 및 제3고정부(353)로 충분하지만, 도 5 (c)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커넥터 고정부(35)에 4개의 고정부가 요구된다. 즉, 도 5 (c)의 커넥터 고정부(35)에는 상기 부이 앵커(3)의 중앙(허브)을 중심으로 90도씩 이격된 제1고정부(351), 제2고정부(352), 제3고정부(353), 및 제4고정부(미도시)가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도 6은 두 개의 부이(2a, 2b), 두 개의 부이 앵커(3a, 3b), 및 4개의 고정 앵커(4a, 4b, 4c, 4d)가 구비된 정박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다른 정박장치는 상기 선박 연결선(21) 및 고정선(23)이 구비된 제1부이(2a) 및 제2부이(2b), 상기 제1부이(2a)가 해수면에서 이동 가능한 범위를 제한하는 제1부이 앵커(3a), 상기 제2부이(2b)가 해수면에서 이동 가능한 범위를 제한하는 제2부이 앵커(3b), 해저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부이 앵커(3a)에 연결되는 제1고정 앵커(4a), 해저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2부이 앵커(3b)에 연결되는 제2고정 앵커(4b), 해저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부이 앵커(3a) 및 상기 제2부이 앵커(3b)에 연결되는 제3고정 앵커(4c) 및 제4고정 앵커(4d)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1부이 앵커(3a), 상기 제3고정 앵커(4c), 상기 제2부이 앵커(3b), 및 상기 제4고정 앵커(4d)는 사각형을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고정 앵커(4a) 및 상기 제2고정 앵커(4b)는 상기 제1부이 앵커(3a)와 상기 제2부이 앵커(3b)를 연결한 직선 상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외력에 의해 상기 부이 앵커의 위치가 변경될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상기 제1고정 앵커(4a) 및 상기 제2고정 앵커(4b)는 상기 제1부이 앵커(3a), 상기 제3고정 앵커(4c), 상기 제2부이 앵커(3b), 및 상기 제4고정 앵커(4d)가 형성하는 사각형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고정 앵커들(4a, 4b, 4c, 4d)은 제1커넥터(52)를 통해 상기 부이 앵커들(3a, 3b)에 연결되고, 상기 제1부이 앵커(3a)와 제2부이 앵커(3b)는 제2커넥터(51)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7은 세 개의 부이(2a, 2b, 2c), 세 개의 부이 앵커(3a, 3b, 3c), 및 3개의 고정 앵커(4a, 4b, 4c)가 구비된 정박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다른 정박장치는 상기 선박 연결선(21) 및 고정선(23)이 구비된 제1부이(2a), 제2부이(2b), 및 제3부이(2c), 상기 제1부이(2a)가 해수면에서 이동 가능한 범위를 제한하는 제1부이 앵커(3a), 상기 제2부이(2b)가 해수면에서 이동 가능한 범위를 제한하는 제2부이 앵커(3b), 상기 제3부이(2c)가 해수면에서 이동 가능한 범위를 제한하는 제3부이 앵커(3c), 해저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부이 앵커(3a)에 연결된 제1고정 앵커(4a), 해저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2부이 앵커(3b)에 연결되는 제2고정앵커(4b), 및 해저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3부이 앵커(3c)에 연결되는 제3고정앵커(4c)를 포함한다.
도 7의 정박장치는 상기 제1부이 앵커(3a), 상기 제2부이 앵커(3b), 및 상기 제3부이 앵커(3c)가 삼각형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뿐 아니라, 제2커넥터(51)를 통해 각각의 부이 앵커가 서로 연결되는 것이 특징이다. 각각의 부이 앵커들이 제2커넥터를 통해 서로 연결되면, 외력에 의해 상기 부이 앵커의 위치가 변경될 위험을 최소화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고정 앵커(4a)는 세 개의 부이 앵커(3a, 3b, 3c)에 의해 형성되는 삼각형의 중심(C)과 상기 제1부이 앵커(3a)를 연결한 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고정 앵커(4b)는 상기 삼각형의 중심(C)과 상기 제2부이 앵커(3b)를 연결한 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3고정 앵커(4c)는 상기 삼각형의 중심(C)과 상기 제3부이 앵커(3c)를 연결한 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도 8은 4개의 부이(2a, 2b, 2c, 2d), 4개의 부이 앵커(3a, 3b, 3c, 3d), 및 4개 또는 8개의 고정 앵커(4a, 4b, 4c, 4d)가 구비된 정박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 (a)의 정박장치는 상기 선박 연결선(21) 및 고정선(23)을 각각 구비한 제1부이(2a), 제2부이(2b), 제3부이(2c), 및 제4부이(2d), 해저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부이(2a)가 해수면에서 이동 가능한 범위를 제한하는 제1부이 앵커(3a), 해저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부이(2b)가 해수면에서 이동 가능한 범위를 제한하는 제2부이 앵커(3b), 해저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3부이(2c)가 해수면에서 이동 가능한 범위를 제한하는 제3부이 앵커(3c), 해저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4부이(2d)가 해수면에서 이동 가능한 범위를 제한하는 제4부이 앵커(3d)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부이 앵커(3a), 상기 제2부이 앵커(3b), 상기 제3부이 앵커(3c), 및 상기 제4부이 앵커(3d)는 사각형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되, 제2커넥터(51)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도 8 (a)에 구비된 고정 앵커(4)는 해저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부이 앵커(3a)에 연결되며, 4개의 부이 앵커(3a, 3b, 3c, 3d)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형의 중심(C)과 상기 제1부이 앵커(3a)를 연결하는 직선 상에 배치된 제1고정 앵커(4a), 해저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2부이 앵커(3b)에 연결되며 상기 사각형의 중심(C)과 상기 제2부이 앵커(3b)를 연결하는 직선 상에 배치된 제2고정 앵커(4b), 해저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3부이 앵커(3c)에 연결되며 상기 사각형의 중심(C)과 상기 제3부이 앵커(3c)를 연결하는 직선 상에 배치된는 제3고정 앵커(4c), 및 해저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4부이 앵커(3d)에 연결되며 상기 사각형의 중심(C)과 상기 제4부이 앵커(3d)를 연결하는 직선 상에 배치된 제4고정 앵커(4d)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8 (b)의 정박장치는 고정 앵커(4)의 위치와 개수에 있어 도 8 (a)의 실시예와 구별된다.
즉, 도 8 (b)의 고정 앵커(4)는 상기 제1부이 앵커(3a)에 연결되며 상기 제1부이 앵커(3a)에 인접한 두 개의 부이 앵커들(3b, 3d)을 상기 제1부이 앵커(3a)에 연결한 직선 각각에 배치되는 두 개의 제1고정 앵커(4a), 상기 제2부이 앵커(3b)에 연결되며 상기 제2부이 앵커에 인접한 두 개의 부이 앵커들(3a, 3c)을 상기 제2부이 앵커(3b)에 연결한 직선 각각에 배치되는 두 개의 제2고정앵커(4b), 상기 제3부이 앵커(3c)에 연결되며 상기 제3부이 앵커에 인접한 두 개의 부이 앵커들(3b, 3d)을 상기 제3부이 앵커(3c)에 연결한 직선 각각에 배치되는 두 개의 제3고정앵커(4c), 및 상기 제4부이 앵커(3d)에 연결되며 상기 제4부이 앵커에 인접한 두 개의 부이 앵커들(3a, 3c)을 상기 제4부이 앵커(3d)에 연결한 직선 각각에 배치되는 두 개의 제4고정앵커(4d)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정박장치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구조의 조합으로 도출 가능한 정박장치의 구조들을 예시한 것이다. 상술한 내용은 부이 앵커 및 정박장치의 일례를 설명한 것이므로,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100: 정박장치 1: 선박 11: 선체
13: 로프 커넥터 2: 부이 21: 선박 연결선
23: 고정선 3: 부이 앵커 31: 바디
311: 베이스 311a: 안착면 311b: 측면
312: 경사면 313: 메쉬 32: 허브
321: 허브 바디 322: 지지바디 33: 부이 고정부
331: 부이 고정바 332: 부이 체결부 34: 바디 고정부
35: 커넥터 고정부 351: 제1고정부 351a: 제1고정바
351b: 제1체결부 352: 제2고정부 352a: 제2고정바
352b: 제2체결부 353: 제3고정부 353a: 제3고정바
353b: 제3체결부 4: 고정 앵커 41: 로드
411: 관통홀 42: 암 43: 제1플루크
44: 제2플루크 5: 커넥터 51: 제2커넥터
52: 제1커넥터

Claims (10)

  1. 해저면에 접촉하는 안착면, 상기 안착면에서 수면을 향해 연장되는 측면, 및 상기 측면에서 상기 안착면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을 향해 상향 경사진 경사면이 구비된 바디;
    상기 경사면에 구비되며, 부이에서 연장되는 고정선의 일단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이 고정부; 및
    상기 측면에 구비되며, 해저면에 위치된 물체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터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앵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앵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측면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안착면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을 향해 상향 경사진 평면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앵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이 고정부는 상기 경사면의 정점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앵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의 형상은 원, 또는 다각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앵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체결부는 상기 측면에 다수 개가 구비되며,
    각각의 커넥터 체결부는 상기 안착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각도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앵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내부에 고정된 링 형상의 허브 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고정부는
    일단은 상기 허브 바디에 고정되고, 자유단은 상기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바디의 외부에 노출된 제1고정바;
    상기 제1고정바의 자유단에 후크 형상 또는 링 형상으로 구비된 제1체결부;
    일단은 상기 허브 바디에 고정되고, 자유단은 상기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바디의 외부에 노출된 제2고정바; 및
    상기 제2고정바의 자유단에 후크 형상 또는 링 형상으로 구비된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앵커.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내부에 고정된 링 형상의 허브 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고정부는
    일단은 상기 허브 바디에 고정되고, 자유단은 상기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바디의 외부에 노출된 제1고정바;
    상기 제1고정바의 자유단에 후크 형상 또는 링 형상으로 구비된 제1체결부;
    일단은 상기 허브 바디에 고정되고, 자유단은 상기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바디의 외부에 노출된 제2고정바;
    상기 제2고정바의 자유단에 후크 형상 또는 링 형상으로 구비된 제2체결부;
    일단은 상기 허브 바디에 고정되고, 자유단은 상기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바디의 외부에 노출된 제3고정바; 및
    상기 제3고정바의 자유단에 후크 형상 또는 링 형상으로 구비된 제3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앵커.
  9. 제7항과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바디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상기 허브 바디에 고정된 지지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이 고정부는
    일단은 상기 지지바디에 고정되고, 자유단은 상기 경사면을 관통하여 상기 바디의 외부에 노출되는 부이 고정바; 및
    상기 경사면을 관통한 상기 부이 고정바의 자유단이 후크 형상 또는 링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고정선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부이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앵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를 해저면에 고정하는 바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앵커.
KR1020210075320A 2021-04-19 2021-06-10 부이 앵커 KR102478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320A KR102478023B1 (ko) 2021-04-19 2021-06-10 부이 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296A KR102266943B1 (ko) 2021-04-19 2021-04-19 부이 앵커 및 상기 부이 앵커가 구비된 정박장치
KR1020210075320A KR102478023B1 (ko) 2021-04-19 2021-06-10 부이 앵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296A Division KR102266943B1 (ko) 2021-04-19 2021-04-19 부이 앵커 및 상기 부이 앵커가 구비된 정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279A true KR20220144279A (ko) 2022-10-26
KR102478023B1 KR102478023B1 (ko) 2022-12-15

Family

ID=7662366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296A KR102266943B1 (ko) 2021-04-19 2021-04-19 부이 앵커 및 상기 부이 앵커가 구비된 정박장치
KR1020210075320A KR102478023B1 (ko) 2021-04-19 2021-06-10 부이 앵커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296A KR102266943B1 (ko) 2021-04-19 2021-04-19 부이 앵커 및 상기 부이 앵커가 구비된 정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669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12079B (zh) * 2022-08-10 2023-12-19 交通运输部南海航海保障中心广州航标处 一种浮动标志固定装置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9279A (ko) * 2010-07-23 2012-02-01 한국해양연구원 부유식 물체용 앵커 회수장치 및 그 회수방법
JP2012131332A (ja) * 2010-12-21 2012-07-12 Tokyu Construction Co Ltd 津波に対応した小型船舶の係留システム
KR20130024657A (ko) * 2011-08-31 2013-03-08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오탁방지장치
KR20140104005A (ko) * 2011-12-05 2014-08-27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및 그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의 부설 방법
KR20150034858A (ko) * 2013-09-25 2015-04-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
KR101785080B1 (ko) * 2016-03-14 2017-10-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해양구조물용 계류장치
KR101800794B1 (ko) * 2016-11-21 2017-11-2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선박용 부유 타입 고정 장치
KR20180132358A (ko) * 2017-06-02 2018-12-12 한국수자원공사 식물의 수경재배가 가능한 수상 태양광발전 시스템
US20190352878A1 (en) * 2016-06-16 2019-11-21 Acergy France SAS Upgrading Subsea Foundations of Mooring Systems
KR102128783B1 (ko) * 2020-05-06 2020-07-01 임민영 등부표 설치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483B1 (ko) * 2010-12-27 2013-01-1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해양 구조물의 계류 시스템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9279A (ko) * 2010-07-23 2012-02-01 한국해양연구원 부유식 물체용 앵커 회수장치 및 그 회수방법
JP2012131332A (ja) * 2010-12-21 2012-07-12 Tokyu Construction Co Ltd 津波に対応した小型船舶の係留システム
KR20130024657A (ko) * 2011-08-31 2013-03-08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오탁방지장치
KR20140104005A (ko) * 2011-12-05 2014-08-27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및 그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의 부설 방법
KR20150034858A (ko) * 2013-09-25 2015-04-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크레인 고정용 구조물
KR101785080B1 (ko) * 2016-03-14 2017-10-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해양구조물용 계류장치
US20190352878A1 (en) * 2016-06-16 2019-11-21 Acergy France SAS Upgrading Subsea Foundations of Mooring Systems
KR101800794B1 (ko) * 2016-11-21 2017-11-2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선박용 부유 타입 고정 장치
KR20180132358A (ko) * 2017-06-02 2018-12-12 한국수자원공사 식물의 수경재배가 가능한 수상 태양광발전 시스템
KR102128783B1 (ko) * 2020-05-06 2020-07-01 임민영 등부표 설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8023B1 (ko) 2022-12-15
KR102266943B1 (ko) 2021-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87093A (ko) 선박 앵커링 시스템
US9611011B2 (en) Appratus for mooring floater using submerged pontoon
KR102266943B1 (ko) 부이 앵커 및 상기 부이 앵커가 구비된 정박장치
CA2637358A1 (en) Mooring system
GB218505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an offshore platform jacket
CN101927812B (zh) 浮体结构与桁架结构的配合
US20150307161A1 (en) Device and method for interconnecting a tanker and a floating terminal
US8181589B2 (en) Gravity anchor
US6408781B1 (en) Mooring system and method for deep and ultra deep water
GB2096963A (en) An off-shore mooring system
JPH02214404A (ja) 浮上プラント用長尺体立上げ布設方法
KR20100094126A (ko)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시운전 시스템 및 방법
US6685519B1 (en) System for transferring fluids and methods for installing, modifying and operating system
US4359011A (en) Boat mooring system for a platform structure
US3470841A (en) Anchor
JPH07247528A (ja) 消波装置
KR200249015Y1 (ko) 정박용 닻
KR101152677B1 (ko) 수밀부가 구비된 선박 예인장치
US20190092431A1 (en) Swivel Subsea Anchor System
KR200479276Y1 (ko) 선박 및 해상부유구조물 정박용 닻
KR101172421B1 (ko) 모바일 하버의 해상 계류 방법
KR20240054566A (ko) 다방향 앵커
KR101178597B1 (ko) 케이블 운반용 부유식 드럼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양륙공법
KR102138282B1 (ko) 앵커와이어의 간섭 방지를 위한 해상계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상계류방법
CN209833907U (zh) 一种弧形限位系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