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2421B1 - 모바일 하버의 해상 계류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하버의 해상 계류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72421B1 KR101172421B1 KR20100031792A KR20100031792A KR101172421B1 KR 101172421 B1 KR101172421 B1 KR 101172421B1 KR 20100031792 A KR20100031792 A KR 20100031792A KR 20100031792 A KR20100031792 A KR 20100031792A KR 101172421 B1 KR101172421 B1 KR 1011724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chor
- container ship
- mobile harbor
- mooring
- contain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ve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하버의 계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하버의 계류 방법에 의하면, 컨테이너선 및 모바일 하버의 파랑에 따른 요동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컨테이너의 하역 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하버의 계류 방법에 의하면, 컨테이너선 및 모바일 하버의 파랑에 따른 요동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컨테이너의 하역 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바일 하버의 해상 계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하버(Mobile Harbor)는, 항구에 정박하지 않고 해상에 정박 중인 컨테이너선으로부터 항구 및 부두로 컨테이너를 이송하거나, 항구 및 부두로부터 컨테이너를 컨테이너선으로 이송하는데 사용되는 선박이다.
모바일 하버를 이용하는 경우 대형 크레인이나 접안 시설이 없는 일반 항구에서도 컨테이너의 하역이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다.
그러나, 해상에서는 항상 파도가 일고, 컨테이너선, 모바일 하버 등 모든 부유물은 작은 파랑에도 흔들리게 되므로, 크레인으로 컨테이너를 정확하게 집어 올려 하역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특히, 모바일 하버를 이용한 컨테이너의 하역에 있어서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독립적인 두 개의 부유물의 움직임을 동시에 줄여야 한다는 점에서 매우 고도의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모바일 하버를 이용한 컨테이너 하역 시 컨테이너선 및 모바일 하버의 요동을 최소화하기 위한 모바일 하버의 해상 계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모바일 하버의 해상 계류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모바일 하버의 해상 계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하버의 해상 계류 방법에는,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다수의 제 1 앵커 및 제 2 앵커가 설치된 구역으로 컨테이너선을 진입시키는 단계; 상기 컨테이너선을 선수의 좌우와 선미의 좌우에서 상기 제 1 앵커에 계류하는 단계; 상기 컨테이너선에 모바일 하버를 접안시켜, 상기 모바일 하버의 일측을 상기 컨테이너선에 계류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하버의 타측의 선수와 선미를 상기 제 2 앵커에 계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앵커와 상기 제 2 앵커는 석션 방식으로 해저에 미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앵커와 상기 제 2 앵커에는 선박 연결용 부이가 연결용 체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부이는 상기 컨테이너선 또는 상기 모바일 하버로부터 연장되는 체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앵커와 상기 제 2 앵커에는 상기 연결용 체인의 장력 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토압을 받는 플레이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하버의 해상 계류 방법에 의하면, 컨테이너선 및 모바일 하버의 파랑에 따른 요동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컨테이너의 하역 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컨테이너선을 1차적으로 지하 매설 타입의 앵커에 견고하게 계류한 후 모바일 하버를 계류함으로써 모바일 하버의 해상 계류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하버의 해상 계류 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앵커가 매설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5의 앵커의 사시도.
도 5는 앵커가 매설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5의 앵커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하버의 계류 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앵커가 매설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앵커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컨테이너선(100)은 다수 개의 제 1 앵커(510) 및 다수 개의 제 2 앵커(520)가 해저에 설치되어 있는 지역의 중심부로 진입한다.
상기 제 1 앵커(510) 및 상기 제 2 앵커(520)는 항구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바다에 제공되며, 모바일 하버(200)를 이용한 컨테이너 하역 전에 미리 해저에 설치된 상태로 제공된다.
상기 제 1 앵커(510) 및 상기 제 2 앵커(520)는 각각 상기 컨테이너선(100) 및 모바일 하버(200)를 계류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 1 앵커(510)는 컨테이너선용 앵커라고 부를 수 있고, 상기 제 2 앵커(520)는 모바일 하버용 앵커라고 부를 수 있다.
상기 제 1 앵커(510)들은 상기 컨테이너선(100)이 4 방향으로 계류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앵커(510)는 상기 컨테이너선(10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두 개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선(10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된 두 개의 상기 제 1 앵커(510) 중 하나는 상기 컨테이너선(100)의 좌측에 위치되고, 다른 하나는 우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앵커(510)들은 사각형의 꼭지점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컨테이너선(100)은 상기 제 1 앵커(510)들이 형성하는 사각형의 중심 부위에서 계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앵커(510)는 상기 컨테이너선(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접안되는 상기 모바일 하버(200)의 일측이 2 방향으로 계류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2 앵커(510)는 상기 모바일 하버(200)의 상기 컨테이너선(100)의 반대측 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모바일 하버(20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하버(200)는 상기 컨테이너선(100)의 양측에 모두 계류 가능하므로, 상기 제 2 앵커(510)들도 상기 컨테이너선(100)을 중심으로 사각형의 꼭지점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앵커(510, 520)는 지하에 소정 깊이로 매설되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앵커(510, 520)에는 연결용 체인(535)이 연결되며, 상기 연결용 체인(535)이 선박 연결용 부이(buoy, 530)에 연결된다.
상기 부이(530)는 상기 앵커(510, 520)가 매설된 지점을 확인할 수 있도록 물에 뜰 수 있게 제공되며, 상기 연결용 체인(535) 및 후술할 체인(111, 211)에 동시에 연결되어 상기 컨테이너선(100)과 상기 제 1 앵커(510) 또는 상기 모바일 하버(200)와 상기 제 2 앵커(52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용 체인(535) 및 상기 체인(111, 211)은 상기 부이(530)를 통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앵커(510, 520)는 석션(suction) 방식으로 지하에 매설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앵커를 석션 방식으로 매설하는 방법은 U.S. Patent No. 5,992,060 등에 의해 공지된 기술인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상기 앵커(510, 520)는 지하에 매설되어 있으므로 토압으로 인하여 큰 저항력을 가진다. 따라서, 중력을 이용한 일반적인 앵커보다 훨씬 더 큰 힘으로 상기 컨테이너선(100) 및 상기 모바일 하버(2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석션 타입 지하 매설 앵커는 중력을 이용한 앵커보다 수십 배 이상의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앵커(510)에는 상기 제 1 앵커(510)에는 토압을 받는 플레이트(511), 상기 플레이트(511)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체인 연결용 브라켓(512), 및 상기 연결용 브라켓(512)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용 체인(535)이 연결되는 고리(513)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앵커(510)는 토압을 직접 받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용 체인(535)에 큰 장력이 걸리더라도 변형되지 않아야 하므로 충분한 강도를 지닌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플레이트(511)는 상기 컨테이너선(100)를 지지하기 위한 힘의 크기를 고려하여, 충분한 토압을 받을 수 있도록 일정 면적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 2 앵커(520)도 상기 제 1 앵커(51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테이너선(100)은 상기 제 1 앵커(510)의 개수 및 위치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다수 개의 윈치(110)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컨테이너선(100)은 선수의 좌우측과 선미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윈치(1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컨테이너선(100)에는 상기 컨테이너선(100)의 계류를 위한 4개의 윈치(11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윈치(110)에는 체인(111)가 권선되어 있으며, 상기 윈치(110)는 각각 서로 대응되는 상기 제 1 앵커(510)를 향해 상기 체인(111)을 풀 수 있도록 제공된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선(100)의 양측에는 상기 모바일 하버(200)와의 연결 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펜더(12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기 컨테이너선(100)은 상기 제 1 앵커(510)들이 형성하는 사각형 내부로 진입하여 상기 제 1 앵커(510)에 계류할 준비를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컨테이너선(100)은 상기 제 1 앵커(510) 설치 지역의중심부에서 상기 제 1 앵커(510)에 계류된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선(100)은 각각의 상기 제 1 앵커(510)와의 거리가 동일하게 위치된 후 계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컨테이너선(100)은 상기 윈치(110)를 구동하여 상기 체인(111)을 풀고, 풀린 상기 체인(111)은 상기 제 1 앵커(510)에 연결된 선박 연결용 부이(53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해상에 떠있는 상기 부이(530)를 이용해 선박으로부터 연장되는 체인과 앵커로부터 연장되는 체인을 연결하는 작업을 하므로, 계류가 보다 손쉽게 이뤄질 수 있으며, 계류에 소모되는 시간도 줄일 수 있다.
상기 체인(111)이 상기 부이(530)에 연결되면, 상기 윈치(110)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체인(111)을 권선한다. 상기 체인(111)이 권선되면, 상기 체인(111)과 상기 연결용 체인(535)은 일직선에 가까워지며, 상기 체인(111, 525)에 걸리는 장력은 증가된다.
상기 연결용 체인(535)의 장력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연결용 체인(535)과 상기 플레이트(511)가 이루는 각도는 수직에 가까워진다. 또한, 상기 연결용 체인(535)의 장력에 의해, 상기 제 1 앵커(510)는 지하에 매설된 채로 움직여 상기 연결용 체인(535)과 상기 플레이트(511)는 점점 더 수직에 가까워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511)에 가해지는 토압은 점점 증가하게 된다.
상기 윈치(110)는 상기 제 1 앵커(510)에 의한 상기 컨테이너선(100)의 지지력이 일정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체인(111)을 권선한다. 또한, 상기 윈치(110)는 각각의 상기 제 1 앵커(510)에 연결되는 4방향으로 연장되는 체인(111)의 장력이 서로 평형을 이뤄 상기 컨테이너선(10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체인(111)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선(100)의 계류 수단으로서 지지력이 큰 지하에 매설되는 타입의 상기 제 1 앵커(510)를 사용하는 바, 상기 컨테이너선(100)의 요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선(100)과 상기 제 1 앵커(510)의 계류 작업이 완료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바일 하버(200)를 상기 컨테이너선(100)에 고정한다.
상기 모바일 하버(200)는 해상에 정박 중인 상기 컨테이너선(100)으로부터 직접 컨테이너를 하역(荷役)하는 선박으로서, 컨테이너를 하역하기 위한 크레인 장비가 장착된다. 상기 모바일 하버(200)에는 직접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어, 상기 컨테이너선(100)과 상기 모바일 하버(200)사이의 컨테이너의 하역이 완료되면 항구로 이동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모바일 하버(200)는 항구와 상기 모바일 하버(200) 사이를 왕복하는 셔틀과 상기 컨테이너선(100) 사이의 컨테이너 하역 작업만을 담당할 수도 있다.
상기 모바일 하버(200)의 일측 선수와 선미에는 상기 모바일 하버(200)를 상기 제 2 앵커(520)에 계류하기 위한 윈치(210)가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모바일 하버(200)에는 2개의 윈치(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치(210)에는 체인(211)이 권선되어 있으며, 상기 윈치(210)는 상기 제 2 앵커(520)를 향해 체인(211)을 풀 수 있도록 제공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윈치(210)는 상기 컨테이너선(100)의 반대측 대각선 방향으로 상기 체인(211)을 풀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모바일 하버(200)에는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추진기(미도시)가 다수 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추진기를 구동하여 상기 컨테이너선(100)에 접안한다. 상기 모바일 하버(200)는 상기 추진기를 사용하여 상기 윈치(210)가 상기 컨테이너선(100)의 반대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컨테이너선(100)에 접안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모바일 하버(200)가 상기 컨테이너선(100)의 양측에 모두 접안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상기 컨테이너선(100)의 일측에만 접안할 수도 있다.
상기 모바일 하버(200) 및 상기 컨테이너선(100) 중 어느 하나에서는 다른 하나에 형성된 계류주에 계류 로프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모바일 하버(200)와 상기 컨테이너선(100)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계류 로프로는 브레스트 라인, 스프링 라인 등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바일 하버(200)는 상기 펜더(120)가 압축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컨테이너선(100)에 견고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바일 하버(200)와 상기 컨테이너선(100)의 연결이 종료되면, 도 4에 개시된 것과 같이 상기 모바일 하버(200)를 상기 제 2 앵커(520)에 계류한다.
상기 제 2 앵커(200)와 상기 모바일 하버(200)의 계류는 상기 제 1 앵커(100)와 상기 컨테이너선(100)의 계류와 동일한 방법으로 이뤄지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상기 모바일 하버(200)는 일측이 상기 제 1 앵커(100)에 계류되어 있는 상기 컨테이너선(100)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제 2 앵커(200)에 계류되어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파랑에 의한 요동도 최소화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계류 수단으로서 체인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와이어, 로프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선(100) 및 상기 모바일 하버(200)와 상기 앵커(510, 520)를 연결하는 매개체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이(530)를 예로 들었지만, 체인 고리 등 공지된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하버(200)의 해상 계류 방법에 의하면, 지지력이 큰 지하 매설 타입의 앵커를 사용하여 상기 컨테이너선(100) 및 상기 모바일 하버(200)를 계류하는 바, 파도가 높게 이는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컨테이너의 하역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컨테이너선(100)을 1차적으로 안정적으로 계류한 후, 상기 모바일 하버(200)를 상기 컨테이너선(100)에 접안시키는 바, 두 선박간의 연결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앵커(510, 520)를 해저에 미리 매설해놓고, 상기 컨테이너선(100) 및 상기 모바일 하버(200)를 정해진 위치에 계류할 수 있는 바, 모바일 하버의 사용에 있어서 해상 정박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하버의 계류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0 : 컨테이너선 200 : 모바일 하버
110 : 윈치 210 : 윈치
510 : 제 1 앵커 520 : 제 2 앵커
530 : 선박 연결용 부이
110 : 윈치 210 : 윈치
510 : 제 1 앵커 520 : 제 2 앵커
530 : 선박 연결용 부이
Claims (4)
- 석션 방식으로 해저에 미리 설치되어 있고, 연결용 체인의 장력 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토압을 받는 플레이트를 갖는 다수의 제 1 앵커 및 제 2 앵커가 설치된 구역으로 컨테이너선을 진입시키는 단계;
상기 컨테이너선을 선수의 좌우와 선미의 좌우에서 상기 제 1 앵커에 계류하는 단계;
상기 컨테이너선의 양측에 모바일 하버를 접안시키되, 상기 컨테이너선과 상기 모바일 하버의 사이에 개재된 펜더가 압축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컨테이너선과 상기 모바일 하버를 계류 로프인 브레스트 라인 또는 스프링 라인으로 견고하게 연결함에 따라 상기 모바일 하버의 일측을 상기 컨테이너선에 계류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하버의 타측의 선수와 선미를 상기 제 2 앵커에 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앵커와 상기 제 2 앵커에는 선박 연결용 부이가 상기 연결용 체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부이는 상기 컨테이너선 또는 상기 모바일 하버로부터 연장되는 체인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1 앵커 또는 상기 제 2 앵커들이 사각형의 꼭지점을 형성하도록 배치됨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선이 상기 제 1 앵커 또는 상기 제 2 앵커들이 형성하는 사각형의 중심 부위에서 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하버의 해상 계류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90134802 | 2009-12-30 | ||
KR1020090134802 | 2009-12-3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79440A KR20110079440A (ko) | 2011-07-07 |
KR101172421B1 true KR101172421B1 (ko) | 2012-08-08 |
Family
ID=44918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00031792A KR101172421B1 (ko) | 2009-12-30 | 2010-04-07 | 모바일 하버의 해상 계류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7242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6484B1 (ko) * | 2013-10-29 | 2015-08-24 | (주)대우건설 | 원위치에서 수직 인발이 가능한 석션 파일 앵커 시공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170076A1 (en) * | 2000-08-01 | 2003-09-11 | Michael Macrea | Method and structure for connecting a floating structure with rope anchor lines to the seabed |
JP2006206006A (ja) | 2005-01-31 | 2006-08-10 | Univ Of Ryukyus | 浮体の係留方法 |
JP2008534349A (ja) | 2005-03-22 | 2008-08-28 | シングル・ブイ・ムーリ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改良された並列係留構造物 |
-
2010
- 2010-04-07 KR KR20100031792A patent/KR10117242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170076A1 (en) * | 2000-08-01 | 2003-09-11 | Michael Macrea | Method and structure for connecting a floating structure with rope anchor lines to the seabed |
JP2006206006A (ja) | 2005-01-31 | 2006-08-10 | Univ Of Ryukyus | 浮体の係留方法 |
JP2008534349A (ja) | 2005-03-22 | 2008-08-28 | シングル・ブイ・ムーリ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改良された並列係留構造物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6484B1 (ko) * | 2013-10-29 | 2015-08-24 | (주)대우건설 | 원위치에서 수직 인발이 가능한 석션 파일 앵커 시공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79440A (ko) | 2011-07-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464213B (zh) | 用于船舶的系泊系统以及包括该系泊系统的浮体和岸壁 | |
CN101356092B (zh) | 系泊系统 | |
US5339760A (en) | Apparatus for securing a vessel to a submersible mooring buoy | |
KR19990087093A (ko) | 선박 앵커링 시스템 | |
US7993176B2 (en) | Submersible mooring system | |
US5501625A (en) | Floating terminal | |
KR20110009671A (ko) | 파동 에너지 변환장치의 전개 및 회수용 시스템 및 방법 | |
JP2006525189A (ja) | 船舶係泊方法及びシステム | |
KR101680184B1 (ko) | 앵커 격납장치 | |
US20150307161A1 (en) | Device and method for interconnecting a tanker and a floating terminal | |
KR101702516B1 (ko) | 앵커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부유식 해양 구조물 | |
US8181589B2 (en) | Gravity anchor | |
KR101172421B1 (ko) | 모바일 하버의 해상 계류 방법 | |
KR20100136766A (ko) | 이동/자항형 해상 하역 부유 구조물 | |
KR102050794B1 (ko) | 스토퍼가 구비된 선박용 완충장치 | |
KR101567871B1 (ko) | 선박용 앵커링 장치 | |
KR101694859B1 (ko) | 계류 부표 | |
WO2002028703A1 (en) | A mooring system for a tender for production platforms | |
KR100979145B1 (ko) | 이동 및 위치 조정 가능한 부유식 안벽 | |
KR20130137888A (ko) | 선박 | |
KR102629003B1 (ko) | 부유식 구조물의 펜더 장치 | |
JP2014117980A (ja) | 浮標の設置方法 | |
KR101166716B1 (ko) | 스마트 하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화물 하역 방법 | |
WO2021096368A1 (en) | Floating construction with mooring system and mooring method | |
KR101166714B1 (ko) | 스마트 하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화물 하역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